KR102592290B1 - 피처리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290B1
KR102592290B1 KR1020230039526A KR20230039526A KR102592290B1 KR 102592290 B1 KR102592290 B1 KR 102592290B1 KR 1020230039526 A KR1020230039526 A KR 1020230039526A KR 20230039526 A KR20230039526 A KR 20230039526A KR 102592290 B1 KR102592290 B1 KR 10259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ing
module
unit
guid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넘버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to KR102023003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01F27/171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for disintegrating, e.g. for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1Grinding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6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 B01F33/8361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 B01F33/83612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combining mixing with other treatments with disintegrating by crushing or bre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피처리물을 그 크기가 일정한 미세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피처리물 분쇄장치를 개시한다.
피처리물 분쇄장치는 피처리물을 분쇄하기 위한 피처리물 분쇄장치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유닛,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며 수용유닛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미세입자로 분쇄 가능한 분쇄유닛, 분쇄유닛에 결합되고 분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 및 동력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동력유닛에 연결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한다. 분쇄유닛은 일부와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른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피처리물 분쇄장치{Apparatus for grinding object}
본 발명은 피처리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미세입자의 피처리물로 분쇄하기 위한 피처리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는 페인트나 안료, 화장품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로 미립화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도료는 비드밀(이하 도료 분쇄장치라 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료 분쇄장치는 페인트나 안료, 화장품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로 미립화시키는 장치로, 대개 용기 내에 충전된 원료를 로터와 비드에 의해 교반 및 미립화시키게 된다.
종래의 도료 분쇄장치는 도료(혹은 도료의 원료)의 유출입 가능하도록 교반용기와 교반용기에 삽입되어 교반용기에 수용된 도료를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도료 분쇄장치의 분쇄기는 교반용기에 수용된 도료의 크기가 일정한 미세입자로 분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도료 분쇄장치는 도료를 분쇄함에 있어서, 아주 미세한 입자와 너무 큰 입자가 모두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에, 도료를 균일한 크기의 미세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도료 분쇄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0-0035693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그 크기가 일정한 미세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피처리물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분쇄장치는 피처리물을 분쇄하기 위한 피처리물 분쇄장치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유닛;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며, 상기 수용유닛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미세입자로 분쇄 가능한 분쇄유닛; 상기 분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 및 상기 동력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동력유닛에 연결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은, 일부와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른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쇄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동력유닛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상하 이동모듈; 상기 상하 이동모듈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1 분쇄모듈; 상기 제1 분쇄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한 상기 제1 분쇄모듈의 일부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고,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2 분쇄모듈; 및 상기 제2 분쇄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3 분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모듈은,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그 내부가 관통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 분쇄부; 상기 복수의 제1 분쇄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분쇄부의 폭 이하로 상호 이격된 두 면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부; 그 일단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상하 이동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동모듈과 함께 회전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부는, 그 내부가 관통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분쇄프레임; 상기 제1 분쇄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를 가지는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분쇄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분쇄프레임을 고정하도록 나머지 일부가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신축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부가 상기 상하 이동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부샤프트; 및 그 내부에 상기 신축부샤프트가 관통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샤프트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신축부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샤프트는,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경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로드;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1 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로드; 및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는, 그 측부에서 관통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제1 삽입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삽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1 로드 혹은 상기 제2 로드를 가압하며 상기 신축부샤프트에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플레이트는, 그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는, 그 하부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유닛은, 그 상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모듈; 및 상기 수용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1 분쇄모듈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피처리물을 상기 수용모듈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모듈은, 그 내경이 하측으로 점차 감소하며, 상기 수용모듈에 걸려 안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 유도부; 및 그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제1 유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입구의 아래로 돌출되는 제2 유도부; 및 상기 제1 유도부와 상기 제2 유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된 피처리물을 상기 수용모듈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도부에 설치되는 제3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유입구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상기 제1 유도부의 외경이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내주면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유도부의 내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경사 각도가 15°초과 내지 40°미만이며, 상기 제1 유도부는, 그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과 라운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걸림턱과 상기 수용모듈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유도부는, 그 내부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고, 상기 유도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이동관;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모듈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가스이동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관; 및 상기 복수의 분사관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이동관에 연결되는 가스이동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가스가 배출되는 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향하게 배치되고, 단부를 향하여 내부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상기 제1 유도부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관 및 제2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관 및 상기 제2 분사관은,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쇄모듈은, 상기 신축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제3 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쇄부재를 구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그 두께, 그 길이, 그 너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축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그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제1 분쇄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하강할 경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부와 상기 제2 분쇄부는, 상기 동력유닛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피처리물을 교번하여 분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분쇄모듈은,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축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지지축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분쇄부; 상기 제3 분쇄부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축부; 및 그 일부가 상기 연결축부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설치되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분쇄부는, 상기 연결축부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연결축부에 삽입되고, 기어 이를 구비하는 제1 위치변경체; 및 상기 제1 위치변경체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지지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위치변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모듈은, 상기 제2 분쇄부재를 상기 지지축부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지지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쇄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부는, 상기 제2 분쇄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분쇄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1 유지보수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2 유지보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쇄부재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도부는, 그 내주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도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유도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변경부재; 상기 복수의 변경부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분쇄모듈은, 상기 지지축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축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지지축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분쇄부; 상기 제3 분쇄부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축부; 및 그 일부가 상기 연결축부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보조지지축부에 설치되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분쇄부는, 상기 연결축부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연결축부에 삽입되고, 기어 이를 구비하는 제1 위치변경체; 및 상기 제1 위치변경체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지지축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위치변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상기 유도모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내주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메인분사관; 및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분사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분사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모듈을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모듈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모듈은,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 상기 한쌍의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허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 상기 한쌍의 허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을 상기 패시브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한쌍의 허브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 및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패시브롤러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패시브롤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는, 제1 허브부재와, 상기 제1 허브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부재는, 상기 제1 허브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브부재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서 상기 제2 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분쇄모듈 내지 제3 분쇄모듈이 수용모듈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이 균일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메쉬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분쇄부가 피처리물을 분쇄하므로, 피처리물을 미세입자로 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도부가 분쇄작업시 발생되는 미세입자가 수용모듈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분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 중 제1 분쇄모듈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분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분쇄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재의 일예 및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일예 및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분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쇄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유닛 중 제1 분쇄모듈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분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분쇄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분쇄부재의 일예 및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구조를 도시한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일예 및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모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분쇄장치(1000,2000,3000,40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분쇄장치(1000,2000,3000,4000)는 피처리물(P)(예컨데, 도료)을 분쇄하기 위한 피처리물 분쇄장치로서, 상하방향(도 1에 도시됨)을 따라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P)이 유입되는 유입구(1110)와 유입된 피처리물(P)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20)을 가지는 수용유닛(1000),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며 수용유닛(1000)에 수용된 피처리물(P)을 미세입자로 분쇄 가능한 분쇄유닛(2000), 분쇄유닛(2000)에 결합되고 분쇄유닛(20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3000) 및 동력유닛(30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동력유닛(3000)에 연결되는 컨트롤유닛(40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쇄유닛(2000)은 일부(하기의 제1 분쇄부(2210))와 다른 일부(하기의 제2 분쇄부(232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일부(하기의 제1 분쇄부(2210))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른 일부(하기의 제2 분쇄부(2320))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수용유닛(1000)은 피처리물 공급기(미도시)에서 공급된 피처리물(P)을 인입받아 수용할 수 있다. 수용유닛(1000)은 수용모듈(1100), 유도모듈(1200) 및 롤러모듈(1300)을 포함한다.
수용모듈(1100)은 그 상부에 유입구(1110)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수용공간(1120)을 가진다. 한편, 수용모듈(1100)은 그 측면 하부에 배출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유도모듈(12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도모듈(1200)은 수용모듈(1100)에 장착될 수 있다. 유도모듈(1200)은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1210)을 가지며, 낙하하는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안내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0)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유도모듈(1200)은 분리 가능하게 수용모듈(1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유도모듈(1200)이 수용모듈(1100)의 상부벽체에 안착되어 결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도모듈(1200)은 피처리물 공급기로부터 낙하하는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의 중심부로 유도할 수 있다. 유도모듈(1200)은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와 연통되는 관통홀(1210)을 구비하고, 상부벽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모듈(1200)은 관통홀(1210)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수용모듈(1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모듈(1200)은 그 내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도모듈(1200)의 경사진 내주면에 피처리물(P)이 접촉하여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유도모듈(1200)은 관통홀(1210)의 중심부가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의 중심부와 일치되도록, 상부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관통홀(1210)의 중심축과 유입구(111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유도모듈(1200)을 상부벽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한 피처리물(P)이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와 연통된 관통홀(1210)을 통과하여 수용모듈(1100)의 중심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도모듈(1200)은 제1 유도부(1220) 및 제2 유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도부(1220)는 유도모듈(1200)의 상부를 이루며, 수용모듈(1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부(12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1220)는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중심부의 내경이 하측으로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1220) 내주면의 경사 각도는 예컨데 15°초과 내지 40°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도부(1220)에서 상하로 관통된 부분이 상술한 관통홀(1210)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제1 유도부(1220)의 관통된 부분을 관통홀(1210)의 상부 영역이라 한다.
또한, 제1 유도부(1220)는 수용모듈(11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2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도부(1220)의 걸림턱(1221)은 제1 유도부(1220) 하부의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다. 제1 유도부(1220)의 직경이 후술하는 제2 유도부(12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1 유도부(1220)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턱(12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1221)은 원기둥 형상의 제1 유도부(122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서, 제2 유도부(1230)보다 직경이 길게 형성된 단차진 부분일 수 있다. 이에, 제1 유도부(1220)의 걸림턱(1221)을 통해 유도모듈(1200)가 상부벽체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1220)는 유입구(1110)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도부(1220)는 외경이 유입구(1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도부(1220)의 외경이 유입구(1110)의 직경 및 상부벽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도부(1220)가 수용모듈(1100) 및 상부벽체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고, 낙하하는 피처리물(P)이 상부벽체에 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1220)는 내화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부(1220)는 걸림턱(1221)과 상부벽체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밀폐부재(1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재(1222)는 걸림턱(1221)의 하면에 설치되며,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222)가 제1 유도부(1220)의 걸림턱(1221)과 상부벽체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피처리물(P)이 수용모듈(1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유도부(1230)는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제1 유도부(12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는 제1 유도부(1220)의 중앙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도부(1230)는 하측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도부(1230)의 내주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유도부(1230) 내주면의 경사 각도는 제1 유도부(1220) 내주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데, 제2 유도부(1230) 내주면의 경사 각도는 15°초과 내지 40°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도부(1230)에서 상하로 관통된 부분이 상술한 관통홀(1210)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제2 유도부(1230)의 관통된 부분을 관통홀(1210)의 하부 영역이라 한다.
또한, 제2 유도부(1230)는 수용모듈(110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는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에 삽입되며, 제2 유도부(1230) 전체가 수용모듈(110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혹은 제2 유도부(1230) 일부만 수용모듈(1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을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피처리물(P)이 제2 유도부(1230)의 내주면을 따라 수용모듈(1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부(1230)의 외주면은 수용모듈(1100) 내부에서 비산된 피처리물(P)과 충돌하며 피처리물(P)이 수용모듈(1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의 외주면은 피처리물(P)이 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유도부(1230)는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유도부(1230) 중 직경이 제일 길게 형성되는 부분의 길이(D1)가 유입구(1110)의 직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 중 직경이 제일 긴 제2 유도부(1230)의 상부 직경의 길이(D1)가 제3 유도부(1240) 내부의 삽입홀의 직경의 길이(D2) 및 유입구(1110)의 직경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부(1230)는 내부에 분쇄유닛(20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유도부(1230) 중 내경이 제일 짧은 부분인 관통홀 하부의 내경 길이(D3)가 제1 분쇄모듈(2200) 내지 제3 분쇄모듈(2400)의 직경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2(b)를 참조하여 유도모듈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제2 유도부(1230) 내주면의 경사 각도가 제1 유도부(1220) 내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 내주면의 경사 각도가 제1 유도부(1220) 내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용모듈(1100)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모듈(1100)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유입구(111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여 유입구(1110) 중 피처리물(P)이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모듈(1100)에 유도모듈(12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유입구(111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지 않으므로, 수용모듈(1100)이 완전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유입구(1110) 전체가 피처리물(P)이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반면, 수용모듈(1100)에 유도모듈(1200)이 설치될 경우, 유입구(1110)의 일부 영역을 제2 유도부(1230)가 유입구(1110)를 커버하므로, 유입구(1110) 중 제2 유도부(1230)가 커버하지 않는 소정 영역만 피처리물(P)이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를 통해 수용모듈(1100)의 개방된 정도가 조절된(즉, 개방된 정도가 축소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도부(1230) 내주면의 경사 각도가 제1 유도부(1220) 내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수용모듈(1100)의 개방된 정도를 상대적으로 더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분쇄유닛(2000)이 피처리물(P)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관통홀(1210)을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피처리물(P)의 양을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2(c)를 참조하여 유도모듈의 제2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부(1220)는 내주면이 콘벡스(convex)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낙하하는 피처리물(P)이 라운드진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을 타고 원활하게 하측으로 유도되어, 수용모듈(110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유도모듈의 제3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2 유도부(1230)는 내주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부(1230)는 하단부를 수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도부(1230)의 하단부를 수축시키는 것은, 제2 유도부(1230)의 상단부의 내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단부의 내경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유도부(1230)는 복수의 변경부재(1231), 동력부재(미도시) 및 제어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경부재(1231)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 유도부(122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서로 중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변경부재(1231)의 상단부는 제1 유도부(1220)의 하단부에 결합된 동력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동력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수의 변경부재(1231)의 상단부가 회전할 수 있고, 상단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단부가 관통홀(1210)의 중심부로 모아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하단부의 직경이 D1에서 D2 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변경부재(1231)의 이동방식은 오리피스의 개폐방식에 적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변경부재(1231)가 수용모듈(1100)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하며, 피처리물(P)의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력부재는 복수의 변경부재(12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부재는 제1 유도부(122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변경부재(123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부재는 모터 및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체에 연결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체는 제1 유도부(122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자전 가능하도록, 제1 유도부(122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체가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하며, 복수의 변경부재(1231)의 하단부가 수축되도록, 복수의 변경부재(12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재는 동력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재는 분쇄유닛(2000)이 수용모듈(1100)에 수용되면, 동력부재를 구동시켜 복수의 변경부재(1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분쇄유닛(2000)와 복수의 변경부재(1231) 사이의 틈새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모듈(1100) 내부의 피처리물(P)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유도모듈의 제1 변형예 내지 제3 변형예는 서로 조합 혹은 변경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유도부(1240)는 유도모듈(1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유도부(1240)는 가스를 분사하여 유도모듈(1200)에 부착된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 유도부(1240)는 적어도 일부가 유도모듈(1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을 향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제3 유도부(1240)는 유도모듈(1200)의 둘레 상부에서 유도모듈(1200)의 경사진 내주면을 향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제3 유도부(1240)는 가스이동관(1241), 분사관(1242) 및 가스이동라인(12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도부(1240)는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탱크(124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이동관(1241)은 가스이동라인(1243)에서 분사관(1242)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가스이동관(1241)은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이동관(1241)은 내부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가스이동라인(1243) 및 분사관(1242)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이동관(1241)은 제1 유도부(122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링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분사관(1242)은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부착된 피처리물(P)에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관(1242)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가스이동관(124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분사관(1242)은 가스이동관(1241)에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관(1242)은 가스를 배출하는 단부가 제2 유도부(1230)의 경사진 내주면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분사관(1242)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사관(1242)은 내부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통로의 직경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분사관(1242)이 가스를 분사하여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부착된 피처리물(P)을 밀어내어 내주면에서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관(1242)은 가스를 계속 분사하여,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를 향하여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분사관(1242)을 통해 분사된 가스를 통해, 피처리물(P)을 유도모듈(1200)의 하부로 이동시켜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스이동라인(1243)은 가스이동관(1241)에 연결되며, 가스이동관(1241)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이동라인(1243)은 신장 수축 가능한 벨로우즈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저장탱크(1244)는 가스이동라인(1243)에 연결되며, 내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스저장탱크(1244)는 가스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분사관(1242)은 가스를 배출하는 단부가 수용모듈(1100)의 유입구(111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부(즉, 가스를 배출하는 하단부)를 향하여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관(1242)은 가스이동관(1241)에 연결되는 상단부의 내경보다 가스를 배출하는 하단부의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해 내경의 단면적이 점점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는 동일한 유량일 때, 통과하는 단면적이 작을수록 이동속도를 더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단부를 향해 내경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분사관(1242)을 통해, 분사관(1242)의 단부에서 가스의 배출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분사관(1242)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므로, 가스의 분사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관(1242)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분사력으로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분사관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분사관(1242)은 유도모듈(1200)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관(1242a) 및 제2 분사관(1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사관(1242a) 및 제2 분사관(1242b)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분사관(1242a)에 대하여 제2 분사관(1242b)이 제1 분사관(1242a)과 다른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은 사이에 각도(α)를 가지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영역을 향해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가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의 내주면으로 가스를 분사하여 더 많은 양의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 사이의 각도(α)는, 예컨데 10° 이상 내지 30° 이하일 수 있다.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 사이의 각도(α)가 10도 미만이면, 가스를 분사하는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피처리물(P)을 수용모듈(1100)로 용이하게 이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 사이의 각도(α)가 30도를 초과하면, 제1 분사관(1242a) 및 제2 분사관(1242b) 중 어느 하나가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을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여, 피처리물(P)을 원활하게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가스가 유도모듈(1200)의 내부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1 분사관(1242a)과 제2 분사관(1242b) 사이의 각도(α)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분사부의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분사관(1242)은 적어도 일부가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부착된 피처리물(P)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관(1242)은 메인분사관(1242c) 및 보조분사관(1242d)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분사관(1242c)은 가스이동관(1241)과 보조분사관(1242d)에 각각 연결되며, 보조분사관(1242d)로 가스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분사관(1242c)은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내주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메인분사관(1242c)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가스이동관(1241)에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조분사관(1242d)은 메인분사관(1242c)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보조분사관(1242d)은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부착된 피처리물(P)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보조분사관(1242d)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메인분사관(1242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분사관(1242c)에 복수의 보조분사관(1242d)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분사관(1242d)은 하향 경사진 메인분사관(1242c)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보조분사관(1242d)은 메인분사관(1242c)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진 교차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보조분사관(1242d)은 사선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보조분사관(1242d)이 유도모듈(120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도모듈(1200)에 부착된 피처리물(P)로 가스를 분사하므로,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서 피처리물(P)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P)을 더 효과적으로 수용모듈(1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모듈(1300)은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1310), 한쌍의 허브(1310)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허브(1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1320), 복수의 패시브롤러(1320)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한쌍의 허브(13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330), 한쌍의 허브(1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시브롤러(1320)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시브롤러(13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1340), 지지링(1340)을 패시브롤러(1320)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1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유도체(1350)는 한쌍의 허브(1310)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1351) 및 회전유도체샤프트(1351)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회전유도체샤프트(1351)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지지링(1340)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1352)을 포함한다.
지지링(1340)은 패시브롤러(1320)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패시브롤러(1320)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1341)을 형성하고 함몰홈(1341)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될 수 있다.
한쌍의 허브(1310)는 제1 허브부재(1311)와, 제1 허브부재(13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1312)를 포함한다.
제1 허브부재(1311)는 제1 허브부재(131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허브부재(1311)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1311a), 그 내부에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330)가 삽입되고, 복수의 가이드슬릿(131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1311b) 및 복수의 가이드슬릿(1311a)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베어링(1311b) 각각을 지지하며 복수의 가이드슬릿(1311a)에서 제2 베어링(1311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슬릿(1311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1311c)를 포함한다. 이에, 수용모듈(1100)이 예컨데 메카넘휠 구조로 마련되는 롤러모듈(1300)에 의해,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하며 수용모듈(11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분쇄유닛(2000)은 수용모듈(1100)에 수용된 피처리물(P)을 미세입자의 피처리물(P)이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분쇄유닛(2000)은 상하 이동모듈(2100), 제1 분쇄모듈(2200), 제2 분쇄모듈(2300), 제3 분쇄모듈(2400)을 포함한다.
상하 이동모듈(2100)은 동력유닛(3000)에 결합되고 동력유닛(30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모듈(2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이동모듈(2100)은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쇄모듈(2200)은 피처리물(P)을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쇄모듈(220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분쇄모듈(2200)은 제1 분쇄부(2210), 제1 분쇄부(2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220), 일단이 고정부(2220)에 연결되는 신축부(2230)를 포함한다.
제1 분쇄부(2210)는 제1 분쇄프레임(2211) 및 메쉬망(2212)을 포함한다. 제1 분쇄부(221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된 고정부(2220)에 각각 고정된다.
제1 분쇄프레임(2211)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며,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쉬망(2212)은 메쉬구조로 형성되며, 제1 분쇄프레임(2211)의 관통된 내부에 결합된다. 메쉬망(2212)은 메쉬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관통구를 가진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분사관(1242a)은 각각의 관통구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메쉬망(2212)에 의해 피처리물(P)이 채질되고, 채질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구에 의해 더 고운 입자로 분쇄될 수 있다.
고정부(2220)는 제1 분쇄부(221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 분쇄부(2210)의 폭 이하로 상호 이격된 두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정부(2220)는 도 3의 (a)와 같이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고정부(2220) 내로 삽입되어 고정부(2220)의 내측의 마주보는 두면 사이로 억지끼움될 수 있다. 즉, 고정부(2220)의 마주보는 두면 사이의 이격된 폭이 제1 분쇄부(2210)의 폭보다 크면,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에 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부(2220)가 제1 분쇄부(2210)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고정부(2220)의 마주보는 두면 사이의 이격된 폭(D)이 제1 분쇄부(2210)의 폭과 같거나 제1 분쇄부(2210)의 폭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고정부(2220)에 제1 분쇄부(2210)를 끼우면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반대로, 제1 분쇄부(2210)를 고정부(2220)에서 빼내면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에서 탈착된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고정부(2220)의 개방된 부분을 가공할 수 있다. 즉, 고정부(2220)의 개방되는 부분의 마주보는 면들의 일부를 폐쇄된 부분에서 개방된 부분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폭이 증가하도록 테이퍼(2221) 가공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220)의 입구측의 폭은 제1 분쇄부(2210)의 폭보다 크고, 고정부(2220)의 다른 내측의 폭은 제1 분쇄부(2210)의 폭 이하이다. 따라서, 제1 분쇄부(2210)가 테이퍼(2221) 가공된 부분을 통해 고정부(222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운딩 가공 등 다양한 가공을 통해 고정부(2220)의 제1 분쇄부(2210)가 삽입되는 입구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의 (c)와 같이 고정부(2220)의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22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고정부(2220)의 마주보는 면을 거칠게 또는 빨래집개와 같이 가공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2220)와 제1 분쇄부(2210)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20)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자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쇄부(2210)를 고정부(2220)에 용이하게 끼움결합하기 위해 고정부(2220)의 제1 분쇄부(2210)과 접촉하는 부분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부(2220)의 두면 사이의 폭이 제1 분쇄부(2210)의 폭 이하이기 때문에, 고정부(2220)의 두면은 최소 제1 분쇄부(2210)의 폭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부(2220)가 탄성력을 가지면 제1 분쇄부(2210)의 표면에 고정부(2220)가 밀착되기 때문에, 제1 분쇄부(221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220)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2220)의 제1 분쇄부(2210)과 접촉하는 부분만 탄성력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를 고정부(2220)의 서로 이격된 두면에 부착하여 제1 분쇄부(2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2220)는 제1 분쇄부(2210) 중 철 성분을 함유하는 제1 분쇄부(2210)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자력(磁力)을 가지거나, 자력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분쇄부(2210) 중 철 성분을 함유하는 제1 분쇄부(22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철이 자석에 붙는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쇄부(2210)를 고정부(2220)에 끼운 후 고정부(2220)가 자력을 발생시키면, 제1 분쇄부(2210)가 고정부(2220)에 더욱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220) 자체가 자력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2220)의 제1 분쇄부(2210)과 접촉하는 부분만 자력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자력을 가지는 부재를 고정부(2220)의 서로 이격된 두면에 부착하여 제1 분쇄부(2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부(2220)의 구조와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20)가 제1 분쇄부(2210)를 지지하거나 고정시키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신축부(22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이 동력유닛(30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부샤프트(2231), 및 내부에 신축부샤프트(2231)가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신축부샤프트(223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고정부(2220)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를 포함하고,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구비되는 고정볼트(2233)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는 상부가 사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하부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2220)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중심부에는 신축부샤프트(2231)가 관통하는 경로가 형성되고,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는 신축부샤프트(22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와 신축부샤프트(2231)가 원형으로 형성되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와 신축부샤프트(2231) 사이에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축부샤프트(2231)가 신축부가이드부재(2232) 내의 경로에서 헛돌게 된다. 반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와 신축부샤프트(2231)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신축부샤프트(2231)의 네 모서리가 신축부가이드부재(2232) 내의 경로에 걸린다. 따라서, 신축부샤프트(2231)를 회전시키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회전한다.
신축부샤프트(2231)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신축부샤프트(2231)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로드(2231a), 경로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경로에 삽입가능하고 제1 로드(2231a)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로드(2231b), 및 경로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제2 로드(2231b)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판플레이트(2231c)를 포함한다.
제1 로드(2231a)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2231a)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 내에서 헛돌도록 형성된다.
제2 로드(2231b)는 제1 로드(2231a)의 하단에 연결되고,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가 사각인 경우, 제2 로드(2231b)는 사각의 봉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로드(2231b)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에 삽입되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제2 로드(2231b)가 동력유닛(3000)에 의해 회전하면, 제2 로드(2231b)의 모서리들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에 걸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2 로드(2231b)의 연장되는 길이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높이 이상이다. 이에, 제2 로드(2231b)와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제2 로드(2231b)가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용이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원판플레이트(2231c)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형성된 경로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판플레이트(2231c)는 제2 로드(2231b)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에, 원판플레이트(2231c)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 로드(2231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원판플레이트(2231c)는 하측으로 이동한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를 지지해주고,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는 원판플레이트(2231c)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고정볼트(2233)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관통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고정볼트(2233)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상부 즉, 사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2233)는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제1 삽입홈(2232a)에 삽입되고,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볼트(2233)는 체결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볼트(2233)가 풀어져 있는 경우, 신축부가이드부재(2232)는 신축부샤프트(22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고정볼트(2233)가 관통하는 부분이 신축부샤프트(2231)의 상부 즉, 제1 로드(2231a)의 높이까지 이동시키고, 고정볼트(2233)를 조여줄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2233)는 일단이 제1 로드(2231a)에 접촉할 때까지 조여질 수 있다. 제1 로드(2231a)와 제2 로드(2231b)의 폭 차이로 인해 제1 로드(2231a)와 제2 로드(2231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고정볼트(2233)가 제1 로드(2231a)와 제2 로드(2231b) 사이의 단차에 걸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원판플레이트(2231c)에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핀(2231c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하부에는 고정핀(2231ca)이 삽입가능한 제2 삽입홈(2232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원판플레이트(2231c)의 외곽영역에 한 쌍의 고정핀(2231ca)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의 하부에는 고정핀(2231ca)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핀(2231ca)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2232b)이 구비된다.
고정핀(2231ca)이 제2 삽입홈(2232b)에 삽입되면, 원판플레이트(2231c)와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동력유닛(3000)에 의해 신축부샤프트(2231)가 회전하면 고정핀(2231ca)이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신축부샤프트(2231)의 제2 로드(2231b)와 고정핀(2231ca)이 이중으로 신축부가이드부재(2232)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신축부가이드부재(2232)가 안정적으로 회전한다.
제2 분쇄모듈(2300)은 제2 분쇄모듈(2300)은 제1 분쇄모듈(2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피처리물(P)을 분쇄할 수 있다.
제2 분쇄모듈(2300)은 신축부(22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3 삽입홈(2311)이 형성되는 지지축부(2310)와, 지지축부(2310)의 제3 삽입홈(231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축부(2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를 구비하는 제2 분쇄부(2320)를 포함한다.
지지축부(2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지지축부(2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신축부(223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분쇄부(2320)는 지지축부(2310)의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를 포함한다.
제2 분쇄부재(2321)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쇄부재(2321)는 지지축부(23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축부(2310)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3 삽입홈(2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쇄부재(2321)의 일부분이 제3 삽입홈(231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축부(2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삽입홈(2311)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도 각 제3 삽입홈(2311)에 끼워져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파손된 제2 분쇄부재(2321)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제2 분쇄부재(2321)은 그 외주면이 캐스터블(Castable Refractory)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제2 분쇄부재(2321)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는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제2 분쇄부재(2321)가 구비되어 지지축부(2310)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각 제2 분쇄부재(2321)가 배치되는 위치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될수록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 중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분쇄부재가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분쇄부재보다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 중 최상측의 제2 분쇄부재의 크기가 제일 작고, 최하측의 제2 분쇄부재의 크기가 제일 클 수 있다.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 중 최하측의 제2 분쇄부재가 다른 제2 분쇄부재에 비해 피처리물(P)과 접촉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측 제2 분쇄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높이의 제2 분쇄부재보다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크기는 두께(T), 길이(L), 너비(W)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분쇄부재(2321)의 연장되는 길이(L)가 서로 다른 경우, 각 제2 분쇄부재(2321)가 피처리물(P)을 용기(10) 외측으로 밀어내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길이(L)가 짧은 제2 분쇄부재(2321)가 길이(L)가 긴 제2 분쇄부재(2321)에 비해 더 적은 양의 피처리물(P)을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원주방향(즉,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복수의 제1 분쇄부(2210)와 교대로 배열된다. 이에, 제2 분쇄부재(2321)와 제1 분쇄부(2210)가 함께 회전될 경우, 제2 분쇄부재(2321)가 피처리물(P)을 밀어내고, 밀어낸 피처리물을 제1 분쇄부(2210)의 메쉬망(2212)이 파쇄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쇄부재(2321)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축부(231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에, 지지축부(2310)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제2 분쇄부재(2321)와 피처리물(P)이 접촉하는 영역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 및 도 9(c)와 같이 제2 분쇄부재(2321)는 평면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분쇄부재(2321)가 평면상으로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분쇄부재(2321)의 볼록한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이 피처리물(P)을 밀어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제2 분쇄부의 구조이자, 지지축부(2310)에서 제2 분쇄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2 분쇄모듈(2300)은 유지보수부(23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2 분쇄부(2320)는 제2 분쇄부재(2321)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2322), 및 제2 분쇄부재(232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결부재(2323)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유지보수부(2330)는, 제1 체결부재(2322)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가능하고 제1 체결부재(2322)와 결합 가능한 제1 유지보수부재(2331), 및 제2 체결부재(2323)가 이동하는 경로로 이동가능하고 제2 체결부재(2323)와 결합 가능한 제2 유지보수부재(2332)를 포함한다.
제1 유지보수부재(2331)는 제1 체결부재(2322) 또는 제1 체결부재(2322)가 제2 분쇄부재(232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할 수 있으며, 제1 유지보수부재(2331)가 전진하면 제1 체결부재(2322)와 연결되고, 후진하면 제1 체결부재(2322)와 분리될 수 있다. 제2 유지보수부재(2332)는 제2 체결부재(2323) 또는 제2 체결부재(2323)가 제2 분쇄부재(232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로를 향하여 전후진할 수 있으며, 제2 유지보수부재(2332)가 전진하면 제2 체결부재(2323)와 연결되고, 후진하면 제2 체결부재(2323)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322)는 제2 분쇄부재(2321)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322)에는 제1 유지보수부재(2331)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지보수부재(2331)가 전진하면 제1 유지보수부재(2331)의 돌출부가 제1 체결부재(2322)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2323)는 제2 분쇄부재(2321)의 일단과 타단 사이 또는 제2 분쇄부재(2321)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2323)에는 제2 유지보수부재(2332)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유지보수부재(2332)가 전진하면 제2 유지보수부재(2332)의 돌출부가 제2 체결부재(2323)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322)가 제1 유지보수부재(2331)에 결합되고 제2 체결부재(2323)가 제2 유지보수부재(23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부(2310)를 역회전시키면, 지지축부(2310)는 회전하고, 제2 분쇄부재(2321)는 유지보수부(23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지지축부(2310)에 끼움결합되었던 제2 분쇄부재(2321)가 지지축부(2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지지축부(2310)에서 분리된 제2 분쇄부재(2321)를 유지보수부(2330)로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축부(2310)를 정회전시키면, 지지축부(2310)가 회전하면서 제2 분쇄부재(2321)가 지지축부(2310)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분쇄부재(2321)가 지지축부(2310)에 끼워져 회전하면, 제1 체결부재(2322)의 결합홈에서 제1 유지보수부재(2331)가 빠져 분리되고, 제2 체결부재(2323)의 결합홈에서 제2 유지보수부재(2332)가 빠져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2 분쇄부재(2321)를 지지축부(23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제2 분쇄부재(2321)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3 분쇄모듈(2400)은 제2 분쇄모듈(23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3 분쇄모듈(2400)은 지지축부(23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지지축부(23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축부(2410), 보조지지축부(2410)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지지축부(23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분쇄부(2420), 제3 분쇄부(2420)와 보조지지축부(24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축부(2430) 및 그 일부가 연결축부(2430)에 삽입되고 일부가 보조지지축부(2410)에 설치되는 위치변경부(2440)를 포함한다.
제3 분쇄부(2420)는 연결축부(2430)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421), 베이스플레이트(2421)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하는 블레이드(2422) 및 베이스플레이트(2421)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24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블레이드(242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베이스플레이트(2421)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베이스플레이트(2421)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된다.
위치변경부(2440)는 연결축부(2430)에 삽입되고 기어 이(2443)를 구비하는 제1 위치변경체(2441)와, 제1 위치변경체(2441)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2444)를 구비하며 보조지지축부(24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위치변경체(244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분쇄부(2420)는 피처리물(P)을 분쇄할 수 있다. 제3 분쇄부(2420)는 보조지지축부(2410)에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3 분쇄부(2420)는 지지축부(2310)와 함께 회전하며 피처리물(P)을 휘저어주며 동시에 피처리물(P)을 파쇄할 수 있다.
또한, 제3 분쇄부(2420)는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분쇄부(2420)는 패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3 분쇄부(2420)가 지지축부(2310)에 수용된 피처리물(P)을 교반시킴에 있어서, 피처리물(P)과의 마찰저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며, 적재된 피처리물(P)을 휘저어줄 수 있다. 이에, 제3 분쇄부(2420) 및 지지축부(231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유닛(3000)의 작동 부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분쇄부(2420)는 보조지지축부(2410)(및, 지지축부(23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분쇄부(2420)의 연장방향은 반경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제3 분쇄부(2420)가 피처리물(P)을 교반시키면서, 동시에 피처리물(P)을 밀어내며 파쇄할 수 있다.
연결축부(2430)는 제3 분쇄부(242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축부(2430)는 제3 분쇄부(2420)와 보조지지축부(24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부(2430)는 제1 연결축부재(2431)와 제2 연결축부재(2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축부재(24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팔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축부재(2431)의 측면에 제3 분쇄부(242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축부재(2431)는 제3 분쇄부(2420)와 용접결합 혹은 볼팅체결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축부재(2431)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430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축부재(2431)는 관통홀(2430a)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2430a)에는 제2 연결축부재(243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축부재(2432)는 제1 연결축부재(2431)를 보조지지축부(24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결축부재(24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축부재(24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축부재(2432)가 제1 연결축부재(2431)의 관통홀(2430a) 및 보조지지축부(2410)의 삽입홀(2411)에 차례로 나사 결합되며, 제1 연결축부재(2431) 및 제3 분쇄부(2420)를 보조지지축부(24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변경부재(1231)는 제3 분쇄부(2420)가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변경부재(1231)는 제1 위치변경체(2441) 및 제2 위치변경체(2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244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링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2441)의 홀로 제1 연결축부재(2431)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 위치변경체(2441)가 제1 연결축부재(24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변경체(2441)는 하면에 기어 이(24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2441)의 기어 이(2443)는 후술하는 제2 위치변경체(2442)의 기어 이(2444)에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변경체(2441)에서 기어 이(2443)들이 형성되는 각도는 예컨데,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제1 위치변경체(2441)의 둘레를 따라 10°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2442)는 제1 위치변경체(244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보조지지축부(2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2442)는 상면에 기어 이(24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2442)의 기어 이(2444)는 제1 위치변경체(2441)의 기어 이(2443)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1 위치변경체(2441)의 기어 이(2443)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위치변경체(2442)의 기어 이(2444)들은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제2 위치변경체(2442)의 둘레를 따라 10°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변경체(2442)와 치합된 제1 위치변경체(2441)를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위치변경체(2442)의 기어 이(2444)와 제1 위치변경체(2441)의 기어 이(2443)가 서로 맞물리도록, 제1 위치변경체(2441)를 예컨데 10°씩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위치변경체(2441), 연결축부(2430) 및 제3 분쇄부(2420)가 함께 회전하며, 배출방향에 대한 제3 분쇄부(2420)의 연장방향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동력유닛(3000)은 분쇄유닛(2000)에 결합되며, 분쇄유닛(20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유닛(3000)은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3100), 모터(3100)에 연결되는 풀리(3200)를 포함한다. 동력유닛(3000)은 길이방향(도 1에 도시됨)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직교하는 폭방향(도 1에 도시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컨트롤유닛(4000)은 동력유닛(30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유닛(4000)은 수용모듈(1100)에 피처리물(P)이 인입될 경우, 동력유닛(30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유닛(4000)은 예컨데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며, 레이저센서로 피처리물(P)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분쇄모듈 내지 제3 분쇄모듈이 수용모듈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이 균일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메쉬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분쇄부가 피처리물을 분쇄하므로, 피처리물을 미세입자로 더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도부가 분쇄작업시 발생되는 미세입자가 수용모듈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수용유닛 2000: 분쇄유닛
3000: 동력유닛 4000: 컨트롤유닛

Claims (3)

  1. 피처리물을 분쇄하기 위한 피처리물 분쇄장치로서,
    상하방향을 따라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피처리물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유닛;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며, 상기 수용유닛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미세입자로 분쇄 가능한 분쇄유닛;
    상기 분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 및
    상기 동력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동력유닛에 연결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은, 일부와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다른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쇄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동력유닛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상하 이동모듈;
    상기 상하 이동모듈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1 분쇄모듈;
    상기 제1 분쇄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한 상기 제1 분쇄모듈의 일부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고,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2 분쇄모듈; 및
    상기 제2 분쇄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피처리물을 분쇄 가능한 제3 분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모듈은,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그 내부가 관통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 분쇄부;
    상기 복수의 제1 분쇄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분쇄부의 폭 이하로 상호 이격된 두 면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부;
    그 일단이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상하 이동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동모듈과 함께 회전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쇄부는,
    그 내부가 관통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제1 분쇄프레임;
    상기 제1 분쇄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를 가지는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분쇄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분쇄프레임을 고정하도록 나머지 일부가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신축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부가 상기 상하 이동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부샤프트; 및
    그 내부에 상기 신축부샤프트가 관통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샤프트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신축부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샤프트는,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경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로드;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1 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로드; 및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경로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는, 그 측부에서 관통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의 제1 삽입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삽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1 로드 혹은 상기 제2 로드를 가압하며 상기 신축부샤프트에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플레이트는, 그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가이드부재는, 그 하부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피처리물 분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그 상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모듈; 및
    상기 수용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1 분쇄모듈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피처리물을 상기 수용모듈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모듈은,
    그 내경이 하측으로 점차 감소하며, 상기 수용모듈에 걸려 안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 유도부; 및
    그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제1 유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입구의 아래로 돌출되는 제2 유도부; 및
    상기 제1 유도부와 상기 제2 유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된 피처리물을 상기 수용모듈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도부에 설치되는 제3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유입구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상기 제1 유도부의 외경이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내주면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유도부의 내주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경사 각도가 15°초과 내지 40°미만이며,
    상기 제1 유도부는, 그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과 라운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부는, 상기 걸림턱과 상기 수용모듈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유도부는,
    그 내부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갖고, 상기 유도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이동관;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모듈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가스이동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관; 및
    상기 복수의 분사관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이동관에 연결되는 가스이동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가스가 배출되는 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향하게 배치되고, 단부를 향하여 내부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상기 제1 유도부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관 및 제2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관 및 상기 제2 분사관은,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쇄모듈은,
    상기 신축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제3 삽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쇄부재를 구비하는 제2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그 두께, 그 길이, 그 너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축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그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제1 분쇄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하강할 경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2 분쇄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부와 상기 제2 분쇄부는, 상기 동력유닛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피처리물을 교번하여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피처리물 분쇄장치.
KR1020230039526A 2023-03-27 2023-03-27 피처리물 분쇄장치 KR10259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26A KR102592290B1 (ko) 2023-03-27 2023-03-27 피처리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26A KR102592290B1 (ko) 2023-03-27 2023-03-27 피처리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90B1 true KR102592290B1 (ko) 2023-10-20

Family

ID=885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26A KR102592290B1 (ko) 2023-03-27 2023-03-27 피처리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693A (ko) 1998-11-26 2000-06-26 이노우에 란코 사하제
JP2007330847A (ja) * 2006-06-12 2007-12-27 Nippon Kagaku Kikai Seizo Kk 攪拌装置
KR101992949B1 (ko) * 2017-09-21 2019-06-26 주식회사 우원 면상 온도 센서를 구비한 원료 균질화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693A (ko) 1998-11-26 2000-06-26 이노우에 란코 사하제
JP2007330847A (ja) * 2006-06-12 2007-12-27 Nippon Kagaku Kikai Seizo Kk 攪拌装置
KR101992949B1 (ko) * 2017-09-21 2019-06-26 주식회사 우원 면상 온도 센서를 구비한 원료 균질화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11B1 (ko) 제트밀
US8702023B2 (en) Stirring ball mill
US5497948A (en) Basket media mill with extended impeller
CN101287554A (zh) 搅拌式研磨机
US9089846B2 (en) Media-agitation type pulverizer
EP2860480B1 (en) Gas feed device in powder/granular material feeder
JP7358598B2 (ja) ミル
US9861026B2 (en) Seed treater
CN105689075A (zh) 用于加工原料的装置和方法
KR100989446B1 (ko) 구형 요소의 이동 제어 방법, 구형 요소의 이동 조절 장치 및 원자력 발전 설비
KR102592290B1 (ko) 피처리물 분쇄장치
JP2002035631A (ja) 流動層型対向ジェットミル
KR102592294B1 (ko) 피처리물 파쇄장치
KR20190051828A (ko) 분쇄기 및 분쇄기의 운용 방법
DE2743935A1 (de) Vorrichtung zum pulverisieren von feststoffmaterial in eine fein zerteilte form
JPH04243554A (ja) 予め液体内に分散させた固体を粉砕および細砕するためのミル
KR100375296B1 (ko) 분산장치
JP6808212B2 (ja) メディア循環型粉砕機
US8733677B1 (en) Deterring wear at a bearing construct in a basket media mill
JP2003181316A (ja) 媒体撹拌粉砕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粉砕処理システム
KR100592922B1 (ko) 건식 나노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나노 분쇄 시스템
CN110548429B (zh) 制备超细浆料的固液混合设备及其混合方法
JPH0235943A (ja) 撹拌ミル
RU265941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диспергирова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2021501681A (ja) 固体材料及び流体からなる混合物を分離するための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