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673B1 - 선박건조용 지그 - Google Patents

선박건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73B1
KR102591673B1 KR1020180150386A KR20180150386A KR102591673B1 KR 102591673 B1 KR102591673 B1 KR 102591673B1 KR 1020180150386 A KR1020180150386 A KR 1020180150386A KR 20180150386 A KR20180150386 A KR 20180150386A KR 102591673 B1 KR102591673 B1 KR 10259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jig
welded structure
raising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353A (ko
Inventor
김정민
노대규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63B270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선박건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제1 삽입공과 하부에 제2 삽입공 및 제3 삽입공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제1 용접구조물과 제2 용접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본체, 제1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제1 삽입공에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을 마주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체, 제2 삽입공 및 제3 삽입공에 각각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끼움부 및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마련되고, 축이 제2 지지부의 하부와 접촉되어 승하강 하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건조용 지그{Jig for ship construction}
본 발명은 선박건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구조물을 맞대어 용접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용접구조물의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선박건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 작업은 판재와 판재를 연결하여 단위 블록을 형성하는 소조립 공정과, 이러한 소조립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단위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는 중조립 공정 및 중조립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블록들을 다시 연결하는 대조립 공정을 거치게 된다. 대조립 공정을 거친 블록은 도크에서 탑재되기 전 선행탑재(선행탑재(PE : Pre Erection)공정을 거치며 최대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 뒤 다음 도크 내에서 최종 선박구조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선체블록의 조립은 일반적으로 블록 간 맞대어진 부위에 대한 용접 조립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접작업 전, 블록과 블록을 정확히 서로 맞댄 상태로 취부(가설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는 용접구조물을 맞대어 용접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용접구조물의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유압 쟉키램의 힘을 론지 면재에 전달하고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T'형 플레이트와, 'T'형 스틸 플레이트 하단에 용접 결합되어 론지 면재에 설치 가능한 클램프와, 클램프 상단면에 삽입되어 론지 면재에 클램프를 고정하고 회전시 상호 간섭을 배제하도록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볼트와, 볼트 상단 홀에 장착되어 볼트를 회전시키고, 회전시 'T'형 스틸 플레이트와 터치 되지 않도록 홀에서 이동 가능한 핸들로 구성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별도의 취부 작업을 없앨 수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양측 저면에 밀어올림부를 구비한 'T'자형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용접구조물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이 개구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지그에 있어서, 높이조절지그는 클램프가 설치된 본체의 반대편 하부에는 쐐기삽입구멍을 하향 관통되게 형성한 쐐기삽입구가 설치되며, 쐐기삽입구 양측의 가상 수직선상 외측의 본체 상부에는 고정대삽입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클램프의 상부는 상향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양측 밀어올림부와 양측 밀어올림부와 연결되는 본체의 측면에는 보강살이 형성되고, 클램프가 설치된 본체의 반대편에는, 상부에 쐐기삽입구멍을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삽입결합부가 돌출되고, 클램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내측 하부에 삽입홈이 수평으로 절개 형성되며, 외측상부에는 손잡이 겸용 장공을 형성한 보조고정대가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높이조절지그의 클램프가 설치된 본체의 반대편에 하부에 설치된 쐐기삽입구의 쐐기삽입구멍 또는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고정대에 형성된 삽입결합부의 쐐기삽입구멍에는 쐐기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ㄱ'자형 용접구조물은 물론이고, 'T'자형 용접구조물도 안정되게 고정하여 용접구조물을 용접 결합할 수 있고, 높이조절지그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증대되어 높이조절지그의 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이즈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휴대성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 시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지그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8087호 (2000.02.01. 등록)(건조 론지 면재 맞춤용 지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8439호 (2004.04.09. 등록)(선박건조용 지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용접구조물을 맞대어 용접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용접구조물의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선박건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선박건조용 지그보다 크기 및 무게를 줄여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한 선박건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장기간 사용 시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선박건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는 본체, 보조체, 끼움부 및 승하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부에 제1 삽입공과 하부에 제2 삽입공 및 제3 삽입공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제1 용접구조물과 제2 용접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보조체는 상기 제1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삽입공에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을 마주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2 삽입공 및 상기 제3 삽입공에 각각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마련되고, 축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와 접촉되어 승하강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에 의하면, 용접구조물을 맞대어 용접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용접구조물의 단차를 맞출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별도로 힘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선박건조용 지그보다 크기 및 무게를 줄여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므로, 설치가 자유로워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장기간 사용 시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본체(110), 보조체(120), 끼움부(130) 및 승하강 수단(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통상적인 박판(sheet, 薄板)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길이가 하부의 길이보다 짧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상부에 제1 삽입공(111)과 하부에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삽입공(111)은 본체(110) 상부 중앙에 장방향 형상으로 관통형성되고,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은 본체(110) 하부에 장방향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되,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그러나, 제1 삽입공(111)은 장방향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면에는 제1 삽입공(111)이 본체(110)의 상부중앙에 장방향 형상으로 관통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제2 지지부(122)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할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은 장방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끼움부(13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체(110)는 서로 인접한 제1 용접구조물(1)과 제2 용접구조물(2)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도면 미도시)에 삽입된다.
보조체(120)는 제1 삽입공(111)에 삽입되고, 후술할 승하강 수단(140)이 승하강 하는 경우, 승하강 수단(140)의 축(141)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부(121), 제2 지지부(122), 경사부(123) 및 걸림홈(124)을 포함한다.
이때, 보조체(120)는 제1 지지부(121), 제2 지지부(122), 경사부(123) 및 걸림홈(124)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대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1)는 일정한 두께를 갖되, 원통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용접구조물(1)의 상면에 지지된다. 즉, 제1 지지부(121)는 일단이 제1 용접구조물(1)의 상면에 접촉되고, 경사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지지부(121)는 원통의 단면 형상이 아니라 사각 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원통의 단면 형상 즉, 하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승하강 수단(140)이 승하강 운동을 하여 제2 지지부(122)를 밀어올림에 따라, 제1 지지부(121)의 하부에서 제1 용접구조물(1)로 작용되는 힘 즉, 작용점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지지부(122)는 제1 삽입공(111)에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제2 용접구조물(2)의 상면을 마주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지지부(122)의 하부는 승하강 수단(140)의 축(141)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122)는 제1 삽입공(111)에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폭 또는 크기가 제1 삽입공(111)의 폭 또는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지지부(122)의 폭 또는 크기를 제1 삽입공(111)의 폭 또는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부(122)의 폭 또는 크기가 제1 삽입공(111)의 폭 또는 크기보다 작은 경우, 제2 지지부(122)는 제1 삽입공(111)에 삽입되더라도 승하강 수단(14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유동되어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제2 지지부(122)의 폭 또는 크기를 제1 삽입공(111)의 폭 또는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123)는 제2 지지부(122)에서 제1 지지부(12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경사부(123)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제2 지지부(122)를 제1 삽입공(111)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체(120)는 경사부(123) 없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지지부(122)가 승하강 수단(14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경우, 제1 지지부(121)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경사부(12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부(123)의 경사는 승하강 수단(14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제2 지지부(121)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경사이면 어떠한 경사를 갖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3)의 상부는 제2 지지부(122)의 상부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단턱지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122)의 상부는 경사부(123) 방향으로 경사를 갖다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경사부(123)와 제2 지지부(122) 사이에는 단턱진 부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진 부분에는 걸림홈(124)이 형성된다.
걸림홈(124)은 경사부(123)와 제2 지지부(122)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122)가 제1 삽입공(111)에 삽입된 경우, 제1 삽입공(111)의 상면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걸림홈(124)은 승하강 수단(140)이 승하강 하는 경우, 제2 지지부(12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홈(124)은 보조체(120)의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삽입공(111)의 상면이 효율적으로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제2 지지부(122)의 상면이 경사부(123)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다가 평평해지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제2 지지부(122)의 상면 즉, 평평한 부분이 걸림홈(1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지지부(122)가 제1 삽입공(111)에 삽입된 경우, 제1 삽입공(111)의 상면이 걸림홈(124)에 원활하게 유도되어 걸리게되므로, 제2 지지부(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체(120)는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철(steel)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끼움부(1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끼움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철(steel)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며,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에 각각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된다.
이때, 끼움부(130)는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철(steel)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끼움부(130)는 알루미늄과 같이 가벼운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제작되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끼움부(130)는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에 착탈식으로 삽입된 경우, 상하로 흔들려 빠지지 않도록, 절개홈(131)이 형성된다.
이때, 절개홈(131)은 끼움부(130)의 밑면 중앙에서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의 하면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끼움부(130)의 절개홈(131)이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의 하면에 끼워진 경우, 제1 용접구조물(1)과 제2 용접구조물(2)의 단차에 따라 일정한 경사를 갖게 되므로, 작업자가 끼움부(130)를 통해 인접한 용접구조물(1)(2)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수단(140)은 제2 용접구조물(2)의 상면에 마련되고, 축(141)이 제2 지지부(122)의 하부와 접촉되어 승하강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하강 수단(140)은 축(141)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제2 지지부(122)의 하부를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승하강 수단(140)의 축(141)이 제2 지지부(122)의 하부를 위로 밀어 올리는 경우, 보조체(120)는 고정되어 있기에, 승하강 수단(140)이 신장되어 단차가 다른 제1 용접구조물(1) 및 제2 용접구조물(2)이 맞춰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승하강 수단(140)은 일반적인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접구조물(2) 상면에 구비된 승하강 수단(140)의 축(141)을 신장시켜 제2 용접구조물(2)과 제1 용접구조물(1)의 단차를 조정하는 것이다.
먼저, 작업자는 인접한 용접구조물(1)(2)의 단차를 맞추기 위하여, 본체(110), 보조체(120), 끼움부(130) 및 승하강 수단(140)을 준비한다.
이후, 작업자는 인접한 용접구조물(1)(2)의 사이에 형성된 사이공간(S)에 본체(110)를 삽입한다.
본체(110)가 상기 사이공간(S)에 삽입되면, 보조체(120)의 제2 지지부(122) 부분을 제1 삽입공(111)에 삽입 시킨다.
이때, 보조체(120)는 제2 용접구조물(2)에 비해 높이가 낮은 제1 용접구조물(1)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122)가 제1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삽입공(111)은 경사부(123)와 제2 지지부(122)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124) 및 단턱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본체(110)와 보조체(120)가 결합되면, 작업자는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에 끼움부(130)를 삽입하고, 끼움부(130) 하부에 형성된 절개홈(131)을 제2 삽입공(112) 및 제3 삽입공(113)의 하면에 끼운다.
이와 같이, 본체(110), 보조체(120) 및 끼움부(130)가 결합되면, 작업자는 제1 용접구조물(1)에 비해 높이가 높은 제2 용접구조물(2)의 상면과 제2 지지부(122)의 하부 사이로 승하강 수단(140)을 설치한다.
이때, 승하강 수단(140)은 제1 용접구조물(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제1 용접구조물(1)에 비해 높이가 높은 제2 용접구조물(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승하강 수단(140)이 제2 용접구조물(2)보다 높이가 낮은 제1 용접구조물(1)의 상면에 설치되면 작용력/반작용력의 상관 관계에 따라 단차 맞춤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용접구조물(1)에 비해 높이가 높은 제2 용접구조물(2)의 상면과 제2 지지부(122)의 하부 사이로 승하강 수단(140)을 설치한 후, 승하강 수단(140)을 동작시킨다.
이후, 승하강 수단(140)이 동작됨에 따라, 축(141)이 신장된다.
아울러, 신장된 축(141)은 제2 지지부(122)의 하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그만큼 승하강 수단(1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2 용접구조물(2)이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이가 높은 제2 용접구조물(2)과 높이가 낮은 제1 용접구조물(1)의 높이가 맞춰진다.
이후, 작업자는 승하강 수단(140)의 동작을 멈추고 단차가 맞춰진 양측 용접구조물(1)(2)의 용접할 부위를 용접하는 것이다.
즉, 작업자는 상술한 동작을 통해 인접한 용접구조물(1)(2)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그(100)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부품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지그(100)는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부품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그 자체를 교체해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교체가 용이하므로, 교체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제1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걸림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50)는 보조체(120)를 본체(110)와 결합하는 과정중에 보조체(120)가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보조체(12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굽어져 제1 용접구조물(1)의 양쪽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보조체(120)의 측면에는 결합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50)는 보조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도면 미도시)에 통상적인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50)는 상기 결합홈(도면 미도시)에 통상적인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걸림부(150)가 상기 결합홈(도면 미도시)에 통상적인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결합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걸림부(150)는 보조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도면 미도시)에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의 동작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되, 끼움부(130)를 설치하기 전에 걸림부(150)를 결합하게되는 것만 차이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용접구조물(1)(2)을 맞대어 용접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용접구조물(1)(2)의 단차를 맞출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별도로 힘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종래의 선박건조용 지그보다 크기 및 무게를 줄여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므로, 설치가 자유로워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건조용 지그(100)는 장기간 사용 시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제1 용접구조물
2: 제2 용접구조물
100: 선박건조용 지그
110: 본체
120: 보조체
130: 끼움부
140: 승하강 수단
150: 걸림부

Claims (4)

  1. 상부에 제1 삽입공과 하부에 제2 삽입공 및 제3 삽입공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제1 용접구조물과 제2 용접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본체;
    상기 제1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삽입공에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을 마주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체;
    상기 제2 삽입공 및 상기 제3 삽입공에 각각 착탈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끼움부; 및
    상기 제2 용접구조물의 상면에 마련되고, 축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와 접촉되어 승하강 하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체는, 상부에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체는, 양쪽 측면에 걸림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는, 일측이 'ㄷ'자 형상으로 굽어져 상기 제1 용접구조물의 양쪽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는, 밑면의 중앙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건조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50386A 2018-11-29 2018-11-29 선박건조용 지그 KR10259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86A KR102591673B1 (ko) 2018-11-29 2018-11-29 선박건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86A KR102591673B1 (ko) 2018-11-29 2018-11-29 선박건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353A KR20200064353A (ko) 2020-06-08
KR102591673B1 true KR102591673B1 (ko) 2023-10-26

Family

ID=7108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386A KR102591673B1 (ko) 2018-11-29 2018-11-29 선박건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14Y1 (ko) * 2002-02-22 2002-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럭단차조정 치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288U (ko) * 1985-02-04 1986-08-20
KR200178087Y1 (ko) 1997-12-02 2000-05-01 김형벽 건조 론지 면재 맞춤용 지그
KR20000000834U (ko) * 1998-06-17 2000-01-15 추호석 단차조정용 치구
KR100428439B1 (ko) * 2001-08-01 2004-04-27 전성종 선박건조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14Y1 (ko) * 2002-02-22 2002-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럭단차조정 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353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479B2 (ja) 高架構造物の構築方法
CN110359722A (zh) 一种钢柱校正用千斤顶支座及其使用方法
JP2007538177A (ja) 床構造体
KR102591673B1 (ko) 선박건조용 지그
KR20120007385U (ko) 보강재 용접을 위한 보강재밀착지그
CN108313615B (zh) 一种矿用皮带夹持装置
EP2951117B1 (en) Method to form a rail joint, and a rail joint
JP5345447B2 (ja) 梁の補強方法
JP7098361B2 (ja) 吊り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構造体の組立方法
KR20140002205U (ko)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KR100428439B1 (ko) 선박건조용 지그
KR102128820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CN111055115B (zh) 一种分块式盾构机工厂组装方法
KR20130047347A (ko) 선박 블록용 주판과 프레임의 용접을 위한 단차 조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2657164B1 (ko) 건조용 선박블록의 취부를 위한 분리형 지그
CN205772897U (zh) 海洋起重机活动式滑轮架
CN215949003U (zh) 支撑装置及混凝土楼板结构
EP2466016A1 (en) Frame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205116772U (zh) 一种钢筋混凝土柱的外包角钢主动加固装置
CN215034955U (zh) 一种钢管分段接口拼装及坡口间隙调整装置
CN214828550U (zh) 一种内爬塔吊钢梁预埋件装置
CN212670854U (zh) 一种楼板钢结构与混凝土柱连接的承载结构
CN218952229U (zh) 一种波浪桩冠梁模板一体化装置
CN214185670U (zh) 一种辅助延伸平台
CN212478230U (zh) 一种液压式预制楼板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