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65B1 - 구슬 용기 - Google Patents

구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65B1
KR102591565B1 KR1020210040799A KR20210040799A KR102591565B1 KR 102591565 B1 KR102591565 B1 KR 102591565B1 KR 1020210040799 A KR1020210040799 A KR 1020210040799A KR 20210040799 A KR20210040799 A KR 20210040799A KR 102591565 B1 KR102591565 B1 KR 10259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housing
bead
bead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122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2013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22A/ko
Priority to KR102023006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6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formed in a band or a blisterweb, inserted in a dispensing device or container
    • B65D83/047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formed in a band or a blisterweb, inserted in a dispensing device or container the band being wound in flat spiral, folded in accordio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8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articles passing through a small opening or passage, without additional dispensing devices and without retaining means for the following article

Abstract

구슬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슬 용기{BEAD CASE}
본 발명은 구슬 용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들의 놀이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완구를 이용한 놀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완구를 이용한 놀이중에서 슈팅을 이용한 놀이는 주로 일정 위치에 거치된 표적을 향해 구슬, 메달, 원반 등의 발사체를 발사하고, 발사된 발사체가 표적에 명중되면 넘어가는 놀이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5462호(발명의 명칭: 탄환 발사 완구)에는 완구 본체와, 상기 완구 본체에 설치된 발사편과, 상기 완구 본체 상에 놓인 탄환을 상기 발사편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키는 압추 부재와, 상기 완구 본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발사편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구 본체에 장전된 탄환은 상기 발사편에 작용하는 구속력을 이용하여 완구 본체로부터 튕겨나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완구에 사용되는 탄환이나 발사체는 구(球)형상의 구슬(또는 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구슬 보관 용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상 또는 원통형상 등의 수납함에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를 개방한 다음,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나씩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구슬을 꺼내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구슬 보관 용기는 덮개를 여는 과정에 수납된 구슬이 쏟아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의 구슬을 정확하게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5462호(발명의 명칭: 탄환 발사 완구) 2.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97893호(발명의 명칭: 구슬 조립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구슬 용기로서, 내측에 구슬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슬이 배출되는 인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에 형성한 상부 하우징 잠금부; 및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하부 하우징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와 하부 하우징 잠금부는 서로 체결되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과 체결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구슬이 삽입되도록 상기 인출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수납된 구슬이 인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슬과 부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은 상면이 인출구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접착부가 인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는 말단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착부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되고, 상기 접착부의 상측에는 덮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삽입구는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 또는 상기 삽입구를 덮는 덮개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는 내측에 구슬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부에는 수납된 구슬이 배출되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부에는 수납된 구슬이 배출되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슬이 삽입되는 삽입구;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가 매칭되면 상기 하우의 측면에 형성되는 인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수납된 상기 구슬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접착부에 부착된 구슬을 분리하는 구슬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접착부에서 분리된 구슬을 하부 하우징 인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인출구 또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슬이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구슬은 구슬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구슬 용기로서, 내측에 구슬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측부에 수납된 구슬이 배출되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측부에는 수납된 구슬이 배출되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슬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이동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가 매칭되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일측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회전축이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워쳐 편심되어 설치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슬과 부착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접착부는 구슬이 부착되는 접착면에 기울기를 갖는 접착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회전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인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은 내측면에 접착부 경사면과 치합하여 편심 회전축이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상기 가압부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구슬 용기로서, 내측에 구슬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슬이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슬이 배출되는 인출구;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구슬과 부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되, 일측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접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접착부가 상기 인출구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가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은 내측면에 가변 지지부와 치합하여 상기 가변 지지부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지지부는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수납 공간을 증가시켜 더욱 많은 구슬을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6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14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15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8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9는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회동부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20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도1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3은 도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는, 하우징(110)과, 삽입구(120)와, 인출구(130)와, 접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구슬(200)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구(120)와,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면이 인출구(130)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111a)을 형성하여, 배출된 구슬(200)이 구슬 용기(100)의 상면에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110b)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10a)의 저면에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의 하부에 구슬(200)이 수납되도록 받침부(113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13a)는 상부 하우징(110a)에 수납된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110a)의 중앙부 또는 하부 하우징(110b)의 중앙부에 쉽게 모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의 말단부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은 하부 하우징(110b)과 치합하여 상부 하우징(110a)이 하부 하우징(110b)의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의 중앙부에는 하부 하우징(110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부(111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11b)는 상부 하우징(110a)에 형성된 인출구(130)까지 연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1b)는 하부 하우징(110b)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여 구슬(200)이 더욱 많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6은 지지부(111b)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슬 용기(100')의 지지부(111b)는 말단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접착부(140)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140)가 지지부(111b)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부(140)의 상측에는 박막의 덮개부(113b)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11b)는 덮개부(113b)와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측벽의 말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은 상부 하우징(110a)에 설치된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과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7 내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에서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110a")은 내측면에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가 설치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0b")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는 서로 체결되면,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이 하부 하우징(110b")과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걸림돌기(116b")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구(120)는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1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1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1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121)는 상부 하우징(1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1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1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구(130)는 구슬(200)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삽입구(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인출구(130)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1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슬(200)의 삽입을 위해 인출구(130)와 구분하여 삽입구(120)를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구(120)와 인출구(1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인출구(130)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인출구(130)로 구슬(200)의 삽입하고, 상기 인출구(130)를 통해 삽입된 구슬(2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140)는 하부 하우징(110b)의 지지부(111b) 말단에 설치되고, 수납된 구슬(200)과 부착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140)는 부착된 구슬(200)이 인출구(1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140)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슬(200)은 구형상의 부재로서, 접착부(1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슬(200)의 몸체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슬(200) 전체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200)은 외부면에 박막의 필름재 또는 코팅층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름재 또는 코팅층에는 임의의 정보, 예를 들면 문자, 숫자, 도형, 그림, 임의의 캐릭터 형상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되는 정보는 양각 또는 음각 등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도3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구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110a)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이 이동함에 따라 도4와 같이 받침부(113a)도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받침부(113a)의 이동을 통해 수납된 구슬(200)은 접착부(140)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증가하여 상기 구슬(200)은 접착부(140)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부 하우징(1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접착부(140)와 상기 접착부(140)에 부착된 구슬(200)의 지름을 합한 값보다 크면, 상기 구슬(200)은 접착부(140)의 상면, 즉 인출구(1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과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를 통해 더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1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도5와 같이 위치되면, 하나의 구슬(200)이 인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구슬(200)은 접착부(1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떨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유지된다.
(제2 실시 예)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14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고, 도15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300)는 하우징(310)과, 삽입구(320)와, 인출구와, 접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이 서로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상부에 삽입구(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에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도록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하부 하우징(310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축(313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13a)의 말단에는 쐐기 형상의 걸림턱(314a)이 설치되어 하부 하우징(310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이 회전축(31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하우징(310a)의 내부면과 하부 하우징(310b)의 외부면에 서로 치합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변경 실시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상부 하우징(310a)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하우징(31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하부 하우징(310b)의 측부에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상부 하우징(310a)이 회전축(313a)을 통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결합홈(312b)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후술되는 접착부(340)에 부착된 구슬(200)이 상기 접착부(340)와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구슬 분리부(313b)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슬 분리부(313b)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310a)의 저면에 부착된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310a)의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도달하면, 상기 구슬(200)과 접촉하여 접촉부(340)로부터 구슬(200)이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접착부(340)에서 분리된 구슬(200)을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로 이동시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314b)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14b)는 접착부(340)와 분리된 구슬(200)이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설치되어 분리된 구슬(200)이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접착부(315b)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315b)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구(320)는 상부 하우징(3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3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3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3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321)는 상부 하우징(3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3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3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구(330)는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의 회전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매칭되면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구슬(20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340)는 상부 하우징(310a)에 설치되어 수납된 구슬(200)이 상기 상부 하우징(310a)에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착부(340)는 부착된 구슬(200)을 상부 하우징(310a)의 회전을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340)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삽입구(32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을 구슬 용기(300)에 삽입한다.
상기 구슬 용기(300)에 구슬(200)이 수납되면, 수납된 상기 구슬(200)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접착부(340)에 부착된다.
상기 구슬(200)이 접착부(340)에 부착되면 상부 하우징(310a)을 회전 이동시키되,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서로 매칭되어 인출구(330)를 형성할 때까지 회전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회전 이동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서로 매칭되면, 구슬 분리부(313b)는 구슬(200)과 접착부(3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슬(200)이 접착부(340)와 분리되도록 한다.
접착부(340)와 분리된 구슬(200)은 가이드부(314b)를 따라 이동하고, 이때 배출된 구슬(200)은 접착부(315b)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구슬(200)이 구슬 용기(3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실시 예)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18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19는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회동부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20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6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400)는 하우징(410)과, 삽입구(420)와, 회전부(430)와, 접착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측부에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내측면에 회전부(430)와 치합하여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430)가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412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상부 하우징의 측부 말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상부 하우징(410a)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의 측부에는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원통 형상의 측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410a)의 가압부(412a)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412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하부 하우징 걸림턱(413b)을 구비하여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과의 치합을 통해 상부 하우징(410a)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구(420)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4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4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4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421)는 상부 하우징(4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4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4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4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4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되면 하우징(4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구슬(200)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되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딘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구슬(200)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형성하지 못해 내부의 구슬(200)이 하우징(51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출구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430)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경사면(431)과, 회전축(432)과, 탄성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31)은 회전부(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부(4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32)은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워쳐 편심된 곳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410a)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431)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433)는 회전축(432)에 설치되어 회전부(43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4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부(440)는 회전부(430)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슬(200)과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440)는 말단에 기울기를 갖는 접착부 경사면(441)을 형성하여 편심 회전부(4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접착부 경사면(441)에 접착된 구슬(200)이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440)는 회전부(4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이동함에 따라 인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다음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부(430)와 접착부(440)는 일정 위치 즉, 하우징(410)의 인출구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삽입구(420)를 통해 하우징(410)의 내측에 구슬(200)이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410)에 삽입된 구슬(200)은 삽입구 블레이드(421)에 의해 하우징(4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410a)을 하부 하우징(410b)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과 하부 하우징 걸림턱(413b)이 서로 치합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는 서로 어긋나게 되어 구슬(200)이 인출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4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412a)와 치합된 회전부(430)의 경사면(431)에 의해 상기 회전부(430)는 탄성부(433)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 상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함에 따라 접착부(440)는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된 임의의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4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부(412a)는 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43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접착부(440)에 부착된 구슬(200)도 상기 회전부(43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이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접착부(440)의 말단에 부착된 구슬(200)은 원통 형상의 하부 하우징(410b) 내측면을 따라 회전부(43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슬(200)은 접착부 경사면(441)에 의해 인출구 방향으로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계속해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서로 매칭되어 인출구가 형성되고, 회전부(430)의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구슬(200)은 상기 인출구를 통해 하우징(4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접착부(440)는 상기 인출구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실시 예)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2는 도1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23은 도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이다.
도21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500)는 하우징(510)과, 삽입구(520)와, 인출구(530)와, 접착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10)은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구슬(20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520)와,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5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상면이 인출구(530)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510b)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510a)의 저면에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측벽부의 내측면에 하부 하우징(510b)의 일부 구성과 치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의 일부 구성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5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은 상부 하우징(510a)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의 중앙부에는 하부 하우징(510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지지부(511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일측이 상부 하우징(510a)의 가압부(511a)와 접촉하고, 타측은 접착부(54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하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접착부(540)가 인출구(5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즉,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지렛대와 같이 가압부(511a)가 가변 지지부(511b)의 양측 말단을 가압하면,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양측 말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에 대응하여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원위치되어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삽입구(520)는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5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5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5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521)는 상부 하우징(5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5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5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구(530)는 삽입구(5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에 설치되고, 구슬(200)이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인출구(530)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5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540)는 하우징(510)에 삽입된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변 지지부(511b)의 이동에 따라 인출구(530)로 이동하거나 또는 인출구(53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우징(510)에 수납된 구슬(200)이 부착되도록 한다.
다음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이 도18과 같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수납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하우징(510a)의 가압부(511a)는 하부 하우징(51b)의 가변 지지부(511b) 말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이 인출구(5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이 인출구(530) 방향, 즉 도면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부(540)는 상부 하우징(510a)에 설치된 인출구(53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구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510a)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이 이동함에 따라 도20과 같이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와 분리되어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과 접착부(54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와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일정 형상으로 복원되어 가변 지지부(511b)의 말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하우징(510)에 수용된 구슬(200)은 접착부(5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접착부(540)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5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19와 같이, 가압부(511a)는 가변 지지부(511b)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부(540)에 부착된 구슬(200)은 상기 접착부(540)에 부착된 상태에서 인출구(530)로 이동하여 하나의 구슬(200)이 인출구(530)를 배출된다.
따라서,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수납 공간을 증가시켜 더욱 많은 구슬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100', 100", 300, 400, 500 : 구슬 용기
110, 110", 310, 410, 510 : 하우징
110a, 110a", 310a, 410a, 510a: 상부 하우징
110b, 110b", 310b, 410b, 510b : 하부 하우징
111a : 경사면 111b : 지지부
112a : 상부 하우징 측벽부 112b : 하부 하우징 걸림턱
113a : 받침부 113b : 덮개부
114a : 상부 하우징 걸림턱 115a : 상부 하우징 잠금부
115b : 하부 하우징 잠금부 116b : 걸림돌기
120, 320, 420, 520 : 삽입구 121, 421, 521 : 삽입구 블레이드
130, 130", 330, 530 : 인출구 131 : 인출구 덧살부
140, 340, 440, 540 : 접착부 200 : 구슬
311a : 상부 하우징 측부 311b : 하부 하우징 인출구
312a : 상부 하우징 인출구 312b : 회전축 결합홈
313a : 회전축 313b : 구슬 분리부
314a : 걸림턱 314b : 가이드부
315b : 접착부 321 : 삽입구 블레이드
411a : 상부 하우징 인출구 411b : 하부 하우징 인출구
412a : 가압부 412b : 가이드부
413a : 상부 하우징 걸림턱 413b : 하부 하우징 걸림턱
421 : 삽입구 블레이드 430 : 회전부
431 : 경사면 432 : 회전축
433 : 탄성부 440 : 접착부
441 : 접착부 경사면 511a : 가압부
511b : 가변 지지부

Claims (27)

  1.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110a, 110a")과 하부 하우징(110b)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하우징(110a, 110a")은 하부 하우징(110b, 110b")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납된 구슬(200)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a, 110a")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받침부(113a)와, 상기 하부 하우징(110b, 110b")의 저면으로부터 인출구(130)까지 연장된 지지부(111b)를 구비한 하우징(110, 110");
    상기 상부 하우징(110a, 110a")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 110")에 수납된 구슬(20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인출구(130, 130"); 및
    상기 지지부(111b)에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110a, 110a")이 승강함에 따라 받침부(113a)의 경사면을 통해 이동한 구슬(200)과 부착되어 상기 구슬(200)이 지지부(111b)의 말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부(140);를 포함하는 구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에 형성한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 및
    하부 하우징(110b")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는 서로 체결되면,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이 하부 하우징(110b")과 체결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걸림돌기(11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2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인출구(1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에 설치되는 삽입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140)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a, 110a")은 상면이 인출구(130, 130")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111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1b)는 말단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착부(14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되고,
    상기 접착부(140)의 상측에는 덮개부(113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1b)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20)는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121) 또는 상기 삽입구(120)를 덮는 덮개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130, 130")는 상부 하우징(110a, 110a")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210040799A 2021-03-19 2021-03-30 구슬 용기 KR10259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082A KR102618185B1 (ko) 2021-03-19 2023-05-19 구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73 2021-03-19
KR20210036173 2021-03-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082A Division KR102618185B1 (ko) 2021-03-19 2023-05-19 구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22A KR20220131122A (ko) 2022-09-27
KR102591565B1 true KR102591565B1 (ko) 2023-10-19

Family

ID=83451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99A KR102591565B1 (ko) 2021-03-19 2021-03-30 구슬 용기
KR1020230065082A KR102618185B1 (ko) 2021-03-19 2023-05-19 구슬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082A KR102618185B1 (ko) 2021-03-19 2023-05-19 구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15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43Y1 (ko) * 2006-02-17 2006-05-02 임효빈 물품 보관용기
KR200424929Y1 (ko) 2006-04-26 2006-08-29 김강철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102074023B1 (ko) * 2012-07-30 2020-02-05 피.씨.오.에이.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고형 의약용 알약을 수용 및 분배하기 위한 리셉터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42Y1 (ko) * 2003-02-15 2003-06-18 동진기업 주식회사 휴대용 보관케이스
KR20080011399A (ko) * 2005-04-26 2008-02-0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알약 분배기
KR20080003947U (ko) * 2007-03-13 2008-09-19 티피엘 주식회사 펌프형 껌 배출용기
KR101109886B1 (ko) * 2009-07-06 2012-02-14 (주)아이디플라텍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KR101342843B1 (ko) * 2012-01-30 2013-12-17 김광식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EP2810700A4 (en) 2012-01-30 2015-08-05 Tomy Co Ltd TOY WITH PLAYING OF PLAYSTONES
KR20130142709A (ko) * 2012-06-20 2013-12-30 박충만 고형체 낱개 배출 케이스
BR112017017104A2 (pt) * 2015-03-04 2018-04-10 Helen Of Troy Ltd conjunto de recipiente de armazenamento, método para montar uma tampa, e, tela para expandir uma gaxeta.
KR101918390B1 (ko) 2017-02-24 2018-11-14 최종일 구슬 조립체
KR101993976B1 (ko) * 2017-06-30 2019-10-01 주식회사 태성산업 구슬 크림 화장품 보관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43Y1 (ko) * 2006-02-17 2006-05-02 임효빈 물품 보관용기
KR200424929Y1 (ko) 2006-04-26 2006-08-29 김강철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102074023B1 (ko) * 2012-07-30 2020-02-05 피.씨.오.에이.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고형 의약용 알약을 수용 및 분배하기 위한 리셉터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185B1 (ko) 2023-12-27
KR20230104544A (ko) 2023-07-10
KR20220131122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8578Y1 (ko) 팽이 완구
EP3530334A1 (en) Spinning top toy
US11648486B2 (en) Transformable toy
US7147224B2 (en) Multifunctional cylindrical sliding block jigsaw puzzle
KR102591565B1 (ko) 구슬 용기
JP3650720B2 (ja) 弾球遊技機
US10500478B2 (en) Swaying toy
US4195421A (en) Shape matching device
JP7276801B2 (ja) ゲーム装置
US6270080B1 (en) Coin-operated item vending and game apparatus
US4266767A (en) Competitive capture game
KR101965526B1 (ko) 발사완구
JP3137755U (ja) 弾接触面を有するノズル、弾の発射装置及び玩具空気銃
KR200479955Y1 (ko) 팽이를 발사하는 완구
KR102632550B1 (ko) 변신완구
KR102421474B1 (ko) 발사완구
EP1374960A1 (en) Safety spinning top
JP3235033U (ja) 駒弾きゲーム玩具
EP3870329B1 (en) Device and assembly for flipping cards and method of use
US4291879A (en) Ball hitting game
KR102053966B1 (ko) 발사장치를 구비한 변신완구
KR100443297B1 (ko) 농구 놀이 기능을 구비하는 필통
JPH0639274Y2 (ja) クラッカー起爆ゲーム玩具
KR20240022966A (ko) 변형 가능한 장난감
KR200370732Y1 (ko) 게임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