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05B1 -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05B1
KR102591505B1 KR1020210046426A KR20210046426A KR102591505B1 KR 102591505 B1 KR102591505 B1 KR 102591505B1 KR 1020210046426 A KR1020210046426 A KR 1020210046426A KR 20210046426 A KR20210046426 A KR 20210046426A KR 102591505 B1 KR102591505 B1 KR 10259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flow path
purification tank
pipe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16A (ko
Inventor
박성민
손봉호
황기섭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4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05B1/ko
Priority to PCT/KR2021/006584 priority patent/WO2022065626A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는 정화 탱크;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상기 정화 탱크에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지하수가 존재하는 원수조와 상기 정화 탱크를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원수배관; 상기 정화 탱크의 배출구 측에 접속되는 역세척용 접속부,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와 직교하고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상기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직교하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유로 연결부와, 상기 유로 연결부와 직교하고 하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역세배관; 상기 정화 탱크 내에 배치되어서 지하수에 함유된 철/망간을 흡착시키는 플로팅 필터 유닛; 및 상기 정화 탱크 내에서 상기 필로팅 필터 유닛의 부력에 의한 상측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정화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걸름망형 디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Underground water filtering devices with power saving type backwashing unction}
본 발명은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 정화 효율 증대를 위한 별도의 부대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 구조만으로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정화장치는, 펌프와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여 원수와 공기를 혼합하고, 여과탑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수하여 산화하는 하향 방식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정화장치는, 별도의 펌프와 공기압축기로 원수와 공기를 강제적으로 혼합하고, 산화촉매제의 첨가를 위한 별도의 부대 설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 정화장치는 원수량, 공기량, 산화촉매제량 등의 혼합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이 매우 높은 단점을 가진다. 한편 철 및 망간 성분의 제거를 위한 정화장치들 중, 기존의 접촉산화여과방식의 정화장치는, 원수와 공기의 혼합에 의한 산화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 염소 및 특수산화촉매제 등의 약품을 그 원수에 첨가해야 하고 별도의 산소발생장치 및 이온발생장치 등을 설치해야 한다.
즉, 종래의 정화장치는 지하수의 정화를 위해 별도의 부대시설들이 필요하고 그 부대시설들의 운영을 위해 많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높은 문제점과, 정화 효율 증대를 위해 여과재를 세척하려면 추가적인 작업과 시설 및 전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2034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의 정화를 위해 폭기 장치, 산기장치와 같은 전력을 소모하는 동력 식 추가장치(부대시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력 소모나 추가 작업 없이 자체 구조만으로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는,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는 정화 탱크;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상기 정화 탱크에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지하수가 존재하는 원수조와 상기 정화 탱크를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원수배관; 상기 정화 탱크의 배출구 측에 접속되는 역세척용 접속부,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와 직교하고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상기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직교하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유로 연결부와, 상기 유로 연결부와 직교하고 하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역세배관; 상기 정화 탱크 내에 배치되어서 지하수에 함유된 철/망간을 흡착시키는 플로팅 필터 유닛; 및 상기 정화 탱크 내에서 상기 필로팅 필터 유닛의 부력에 의한 상측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정화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걸름망형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정화 탱크 내의 오염수가 상기 역세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오염수의 역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정화 탱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수위조절용 접속부들과, 상기 각 접속부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 공기와 소통 가능하게 노출되는 기압 형성부를 구비하는 수위조절관; 및 상기 각 수위조절용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위조절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원수배관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원수배관에 접속되고, 그 접속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벤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폭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 배관의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는,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에 연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 배관의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는, 오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승강부와 제2승강부를 동시에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연결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나사결합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는, 정화 탱크에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고, 역세배관에 그 지하수가 일정량 수용되며, 정화 탱크 내부의 플로팅 필터 유닛과 걸름망형 디스크에 의해 상기 지하수가 상향류 정화되고, 정화 탱크에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역세배관에 일정량을 초과하여 지하수가 수용될 경우 그 역세배관의 구조적 특징으로 초과 수용된 지하수를 배출하여, 상기 지하수를 걸름망형 디스크와 플로팅 필터 유닛에 역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정화를 위해 전력을 소모하는 동력 식 추가장치(부대시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력 소모나 추가 작업 없이 자체 구조만으로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역세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채용된 승강수단에 의한 역세배관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채용된 역세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역세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는 정화 탱크(100), 원수배관(200), 역세배관(300), 플로팅 필터 유닛(400) 및 걸름망형 디스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 탱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용공간에 플로팅 필터 유닛(400)과 걸름망형 디스크(500)가 설치된다. 상기 정화 탱크(100)의 수용공간에는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고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정화 탱크(100)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을 위한 원수배관(200)과 결합되고, 그 원수배관(200)의 결합부위 반대측이 역세배관(300)과 결합된다.
상기 원수배관(200)은, 지하수가 존재하는 원수조와 상기 정화 탱크(100)를 소통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상기 정화 탱크(100)에 유입되게 한다. 상기 원수배관(200)은 정화 탱크(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0)에 연결된다. 상기 원수배관(200)은 지하수 내부에 배치된 수중 펌프(210)에 의해 지하수를 정화 탱크(100)로 유입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원수배관(200)과 연결되는 펌프는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역세배관(300)은, 정화 탱크(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20)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하고, 일정량 이상의 지하수가 저장 탱크로 부터 유입될 때 그 지하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추가 장치 및 전력 소모 없이 정화 탱크(100)에 수용되는 지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역세배관(300)은 역세척용 접속부(310),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 유로 연결부(330),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310)는 상기 정화 탱크(100)의 배출구(120)에 접속되어 그 정화 탱크(100)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지하수를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 유로 연결부(330),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 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는, 역세척용 접속부(310)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며 유로 연결부(33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지하수가 상측으로 이동 및 일시적으로 수용되게 한다. 상기 유로 연결부(330)는,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와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는, 유로 연결부(330)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하측을 향해 길게 형성됨으로써, 역세배관(300)에 일정량 이상의 지하수가 유입되어 유로 연결부(330)로 넘어올 때 그 지하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역세배관(300)은, 정화 탱크(100)의 배출구(120)와 연결되고,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다가 절곡되어 하측을 향해 다시 길게 형성되는 상부 돌출형 꺽임 배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정화 탱크(100)의 내부에 지하수가 수용될 때 일정량의 지하수를 함께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역세배관(300)은 상기 정화 탱크(100)에 지하수가 기 설정량을 초과하여 수용(기 설정된 내부 압력을 초과)될 때 일정량 이상의 지하수를 수용한 후, 일정량을 초과한 만큼의 지하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나 추가 설비 없이도 자체 구조적 특징만으로 상기 정화 탱크에 수용된 지하수의 량과 정화 탱크(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역세배관(300)은 상기 일정량을 초과한 만큼의 지하수를 배출시킬 때, 정화 탱크(100)에서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과 걸름망형 디스크(500)을 순차 통과한 후 일시적으로 수용된 정화된 지하수를, 다시 걸름망형 디스크(500)와 플로팅 필터 유닛(400)으로 역순 통과되게 한 후 그 지하수(정화 탱크 내부의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나 추가 작업 없이 자체 구조만으로 여과재(플로팅 필터 유닛 및 걸름망 디스크)를 세척할 수 있게 하고 그 여과재에 존재하는 공극의 막힘현상(오염물의 협착에 의한 막힘현상)을 억제하여 정화 효율을 증대시킨다.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은, 부유성 필터소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화 탱크(100) 내에 배치됨으로써, 지하수에 함유된 철 이온 또는 망간 이온과 같은 이물질들이 상기 걸름망형 디스크(5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유성 필터소재는, 예컨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를 발포시킨 것으로 직경 2㎜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은 지하수가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을 통과할 때, 그 지하수에 포함된 철 이온 또는 망간 이온을 그 지하수로부터 걸러내고 상기 철 이온 또는 망간 이온과 달라붙게 됨으로써, 상기 지하수를 정화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은 망 구조의 패킹부재(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되어 하나의 단위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역세배관(30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지하수가 상기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와 연결된 유로 연결부(330)를 경유하여 배출될 때, 플로팅 필터 유닛(400)을 통과하여 정화된 지하수가 역(逆)으로 다시 그 플로팅 필터 유닛(400)을 통과한 후 상기 역세배관(300)을 경유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플로팅 필터 유닛(400)에 달라붙어 있던 철 이온 또는 망간 이온을 그 플로팅 필터 유닛에서 탈리시키고,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의 공극(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공극)을 확보한다.
상기 걸름망형 디스크(500)는, 정화 탱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화 탱크(100) 내에서 상기 필로팅 필터 유닛(400)의 부력에 의한 상측 유동을 제한한다. 상기 걸름망형 디스크(500)는 복수의 공극을 형성하는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름망형 디스크(500)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1mm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정화 탱크(100)에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고 역세배관(300)에 그 지하수가 일정량 수용되며, 정화 탱크 내부의 플로팅 필터 유닛(400)과 걸름망형 디스크(500)에 의해 상기 지하수가 상향류 정화되고, 정화 탱크(100)에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역세배관(300)에 일정량을 초과하여 지하수가 수용될 경우 그 역세배관(300)의 구조적 특징으로 초과 수용된 지하수를 배출하여, 상기 지하수를 걸름망형 디스크(500)와 플로팅 필터 유닛(400)에 역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정화를 위해 전력을 소모하는 동력 식 추가장치(부대시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력 소모나 추가 작업 없이 자체 구조만으로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수위조절관(600), 수위조절 밸브(700) 및 폭기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조절관(600)은, 상기 정화 탱크(100) 내의 오염수(오염된 지하수)가 상기 역세 배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오염수의 역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정화 탱크(100)에 접속되는 복수의 수위조절용 접속부(610)들과, 상기 각 접속부(6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 공기와 소통 가능하게 노출되는 기압 형성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조절 밸브(700)는 각 수위 조절용 접속부에 설치되어 그 수위 조절용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지하수가 역세배관으로 배출될 때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400)과 걸름망형 디스크(500)의 하강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위조절 밸브(700)는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연직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수위조절 밸브(700) 중, 최하부의 수위조절 밸브(700)를 개방하여 외부와 저장 탱크(100) 내부를 소통시켜 그 저장 탱크(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경우, 상기 저장 탱크(100) 내부의 수위는, 상기 최하부의 수위조절용 접속부(610)(최하부의 수위조절 밸브가 설치된 접속부)가 설치된 위치까지 조절되고 그 수위가 내려간 만큼의 지하수가 상기 역세배관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폭기관(800)은, 원수배관(200)에 접속되고 그 접속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벤츄리부(810)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폭기장치 나 산기장치 없이도 상기 원수배관(200)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그 원수배관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고, 그 지하수에 폭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정화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채용된 승강수단에 의한 역세배관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는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기 역세배관(300) 구조의 차이점 및 승강수단(9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역세배관(300)의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는, 제1고정부(321)와 제1승강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321)는 역세척용 접속부(3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322)는 제1고정부(321)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330)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역세배관(300)의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는, 제2고정부(341) 및 제2승강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1)는, 상기 정화 탱크(100) 내부에서 불용성 침전물의 침적으로 내부 압력이 일정량 이상 높아졌을 때 상기 역세배관(300)을 통해 오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1고정부와 같이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342)는 제2고정부(341)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33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승강부(342)는, 상기 제1승강부(322) 및 유로 연결부(3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제1승강부(322) 및 유로 연결부(330)와 함께 상하로 승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승강수단(9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900)은 유로 연결부(330)에 연결되고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제1승강부(322)와 제2승강부(342)를 동시에 승강되게 함으로써, 상기 역세배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수단(900)은, 상기 유로 연결부(330)에 구비되고 나사결합이 가능한 브라켓(331)과 결합되는 이송스크류(91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900)의 이송스크류(910)는, 상기 브라켓(331)과 나사결합되고 모터(9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유로 연결부(330)를 승강시켜 역세배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일예로 상기 승강수단(900)에 의해 상기 유로 연결부(330)를 상승시킬 경우, 상기 역세배관(300)의 높이는 높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역세배관(300)으로 오염수가 배출될 시점의 상기 정화 탱크(100) 내부의 압력는, 상대적으로 좀더 높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화 탱크(100)는 높게 설정된 내부 압력이 발생될 시점까지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고 보다 많은 량의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도 5의 (a) 참조)
한편, 상기 승강수단(900)에 의해 상기 유로 연결부(330)를 하상시킬 경우, 상기 역세배관(300)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역세배관(300)으로 오염수가 배출될 시점의 상기 정화 탱크(100) 내부의 압력는,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화 탱크(100)는 낮게 설정된 압력이 발생될 시점까지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도 5의 (b) 참조)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900)은 이송스크류(9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역세배관(3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정화 탱크(100) 내의 지하수를 그 역세배관으로 배출시키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여과재(걸음망형 디스크 및 플로팅 필터 유닛)의 역세척 시점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를 설명하였다. 아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에 채용된 역세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역세배관(3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상기 역세배관(300)은 정화 탱크(100)의 배출구(120)에 연결된 역세척용 접속부(310),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 및 내부압력조절용 밸브(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압력조절용 밸브(350)는,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와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 사이 공간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그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320)와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340)를 서로 소통 또는 차단시킨다.
일예로, 상기 내부압력조절용 밸브(350) 중 최하측에 위치한 내부압력조절용 밸브(350)만 개방될 경우, 상기 정화 탱크(100)의 내부 압력은 최상측의 내부압력조절용 밸브가 개방될때보다 낮은 낮게 설정될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정화 탱크(100)는 낮게 설정된 압력이 발생될 시점까지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내부압력조절용 밸브(350)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개방 또는 폐쇄 동작만으로 상기 역세배관(3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정화 탱크(100) 내의 지하수를 그 역세배관으로 배출시키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여과재(걸음망형 디스크 및 플로팅 필터 유닛)의 역세척 시점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정화 탱크 110: 유입구
120: 배출구 200: 원수배관
210: 수중펌프 300: 역세배관
310: 역세척용 접속부 320: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
321: 제1고정부 322: 제1승강부
330: 유로 연결부 331: 브라켓
340: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 341: 제2고정부
342: 제2승강부 350: 내부압력조절용 밸브
400: 플로팅 필터 유닛 500: 걸름망형 디스크
600: 수위조절관 610: 접속부들
620: 기압 형성부

Claims (5)

  1. 오염된 지하수가 유입되는 정화 탱크;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상기 정화 탱크에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지하수가 존재하는 원수조와 상기 정화 탱크를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원수배관;
    상기 정화 탱크의 배출구 측에 접속되는 역세척용 접속부,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와 직교하고 상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상기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와 직교하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유로 연결부와, 상기 유로 연결부와 직교하고 하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역세배관;
    상기 정화 탱크 내에 배치되어서 지하수에 함유된 철/망간을 흡착시키는 플로팅 필터 유닛; 및
    상기 정화 탱크 내에서 상기 플로팅 필터 유닛의 부력에 의한 상측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정화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걸름망형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역세 배관의 상향류식 유로 형성부는, 상기 역세척용 접속부에 연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세 배관의 하향류식 유로 형성부는, 오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부와 제2승강부를 동시에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승강부 및 제2승강부는,
    상기 승강수단이 유로 연결부를 승강시킬 때 그 유로 연결부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승강 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내측에 각각 인출입되게 하여서 상기 역세배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탱크 내의 오염수가 상기 역세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오염수의 역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정화 탱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수위조절용 접속부들과, 상기 각 수위조절용 접속부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 공기와 소통 가능하게 노출되는 기압 형성부를 구비하는 수위조절관; 및
    상기 각 수위조절용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위조절용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배관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원수배관에 접속되고, 그 접속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벤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폭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나사결합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1020210046426A 2020-09-23 2021-04-09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10259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26A KR102591505B1 (ko) 2021-04-09 2021-04-09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PCT/KR2021/006584 WO2022065626A1 (ko) 2020-09-23 2021-05-27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26A KR102591505B1 (ko) 2021-04-09 2021-04-09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16A KR20220140216A (ko) 2022-10-18
KR102591505B1 true KR102591505B1 (ko) 2023-10-19

Family

ID=8380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26A KR102591505B1 (ko) 2020-09-23 2021-04-09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79B1 (ko) * 2008-11-10 2009-04-10 김광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031494B1 (ko) * 2018-07-25 2019-10-11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200Y1 (ko) * 1986-06-16 1989-04-15 배은실 정수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79B1 (ko) * 2008-11-10 2009-04-10 김광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031494B1 (ko) * 2018-07-25 2019-10-11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16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53409A1 (zh) 一种高效反硝化滤池系统及工作方法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EP213565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layer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670038A (en) Liquid filter system
US6641737B2 (en) Vertical filter
AU2014352938B2 (en) Biofiltration with enhanced sludge handling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2555069B1 (ko) 효율적인 역세척이 가능한 컴팩트한 구조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및 그 역세척 방법
RU2316482C2 (ru) Способ сепарирования суспенз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5770081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ducing solids and controlling surges in the flow of ef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KR102591505B1 (ko)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CN218924072U (zh) 快速沉淀膜系统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CN105771341B (zh) 一种恒水位过滤及反冲洗一体化装置及控制方法
CN214115164U (zh) 一种用于喷淋塔循环水箱的废水处理设备
CN110067302B (zh) 一体化雨水泵站
JPH08215692A (ja) 浄化装置
GB2396348A (en) Wastewater treatment plant capable of dealing with heavy inflo
KR20240069855A (ko) 전력 생산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20030009799A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CN109678279A (zh) 污水脱硫处理装置
CN219860646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0255003Y1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CN220564320U (zh) 一种浸没式超滤过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