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94B1 -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494B1
KR102031494B1 KR1020180086431A KR20180086431A KR102031494B1 KR 102031494 B1 KR102031494 B1 KR 102031494B1 KR 1020180086431 A KR1020180086431 A KR 1020180086431A KR 20180086431 A KR20180086431 A KR 20180086431A KR 102031494 B1 KR102031494 B1 KR 10203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w water
pipe
inlet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황기섭
문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8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03Iron or iron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06Manganese or manganes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수된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산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 상기 취수관과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부측의 취수관에서 하부측의 이송관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수에 압축공기를 혼합시키는 인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젝터가 상기 함유물의 산화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원수와 압축공기의 혼합 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시켜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기수용부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수용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하고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Iron and manganese purification system of under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게 하고 용이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먹는물, 생활용수, 산업용수, 농업용수 등은 강, 하천, 댐, 지하 등의 상수원에서 공급받은 원수를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여과수를 가리킨다. 상수원에 수용된 원수는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을 함유하고 있고,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함유물을 여과해야 한다.
상수원에 저장된 원수의 여과(정수)는 정수장에 설치된 정수 처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정수 처리 시스템은 취수관을 통해 원수를 취수하여 저장조에 저장하고, 이송관과 연결된 여과유닛으로 그 원수를 이송시켜 함유물을 여과하며, 깨끗해진 정수물을 가정이나 산업현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수 처리 시스템은, 원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그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어렵고, 여과유닛의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361655호(2002.11.06) ‘상수원으로부터 생물학적으로 철과 망간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서 취수하는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숙련된 전문가 및 전문 장비의 도움 없이도 노후화된 여과유닛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고, 수질에 따른 맞춤형 여과를 가능하게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은 취수관을 통해 지하수에서 원수를 취수하고, 이송관에 의해 상기 원수가 여과유닛으로 이송되게 하여,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여과시키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수된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산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 상기 취수관과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부측의 취수관에서 하부측의 이송관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수에 압축공기를 혼합시키는 인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젝터는, 상기 함유물의 산화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원수와 압축공기의 혼합 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시켜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기수용부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수용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하고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관에서 압축공기와 원수가 서로 혼합되는 일 구간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벤추리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송관과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유입구와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원수에서 분리된 공기를 공기펌프 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및 상기 원수유입구와 공급구 사이의 수용공간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축공기와 혼합된 원수에서 상기 함유물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여과부재가 수용공간에서 개별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을 각각 개폐시켜, 상기 여과부재를 수용공간에 각각 인입 또는 반출시키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와 연결되어 배출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인젝터의 공기수용부에 소통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 및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수용부에 주입시키는 주입부와, 상기 상부측의 취수관을 향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상기 유입부 및 주입부에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원수유입구 및 공기펌프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주입부로 이동되게 하고 원수가 공기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곡부를 구비한 사이퍼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젝터는, 상기 취수관과 이송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수를 통과시키며 상기 공기수용부 및 공기배출부를 수용하는 커버 파이프; 및 상기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에 미세버블을 생성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와 접촉되는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미세돌기를 구비한 버블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은, 상수원에서 취수된 원수가 취수관을 거쳐 이동관으로 하강될 때 인젝터가 이동관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그 원수에 압축공기가 혼합되게 하고, 그 인젝터의 공기수용부가 이송관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며 공기배출부가 공기수용부와 연결되고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이송관의 내부에 배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여과유닛에서 산화된 함유물을 여과시킴으로써, 상수원인 지하수에서 취수하는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포함한 원수에 침전된 함유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유닛의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여과부재가 적층되게 배치되고, 케이스에 다층구조로 구비된 도어들에 의해 그 여과부재들이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인입 또는 반출되어 그 케이스와 개별적으로 착탈됨으로써, 숙련된 전문가 및 전문 장비의 도움 없이도 노후화된 여과유닛을 유지보수할 수 있고, 여과부재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해 수질에 따른 맞춤형 여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Ⅱ 부분의 확대도이며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인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인젝터가 이송관에서 다중 구조로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이송관에서 일구간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여과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채용된 인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채용된 사이퍼관을 이용한 여과유닛의 세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 부분의 확대도이며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인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인젝터가 이송관에서 다중 구조로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이송관에서 일구간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여과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은, 취수관(100)을 통해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상수원(A)(지하수)에서 원수를 취수하고, 이송관(200)에 의해 상기 원수가 여과유닛(400)으로 이송되게 하여,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여과시키 위한 것이고, 상기 취수관(100)과 이송관(200) 사이에 인젝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수관(100)은 상수원(A)에 배치된 양수펌프(10)와 연결되어 그 상수원(A)에 저장된 원수를 인젝터(3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취수관(100)은 이송관(200)과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다.
즉, 취수관(100)과 이송관(200)은 서로 연결될 때, 상측에 취수관(100)이 배치되고 하측에 이송관(200)이 배치되어 수직배관 형태를 이룬다. 상기 취수관(100)은 상수원(A)에서 연장형성되며 이송관(200)과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관(200)은 취수관(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여과유닛(400)과 연결되어 원수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여과유닛(400)으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이송관(200)은 내부에 원수가 이동되게 이동로를 형성하고 그 내부의 이동로에 인젝터(300)가 배치되게 하여, 압축공기와 혼합된 원수가 여과유닛(400)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이송관(200)과 취수관(100)이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일 구간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그 취수관과 이송관이 배치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로 인해, 상기 원수는 취수관(100)에서 이송관(200)으로 이동 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인젝터(400)는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 취수관(100) 및 이송관(200) 사이 또는 그 이송관(200)에 배치되며 원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부측의 취수관(100)에서 하부측의 이송관(200)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원수에 압축공기를 혼합시키고 그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이 산화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인젝터(400)는 공기수용부(310)와 공기배출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젝터(400)의 공기수용부(310)는 원수가 이동하는 이송관(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펌프(미도시)와 소통되고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상기 인젝터(400)의 공기배출부(320)는 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수용부(310)에서 연장형성되고, 일시적으로 수용된 상기 공기가 이송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노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취수관(100)에서 상기 이송관(200)으로 이동하는 원수에 압축공기가 혼합되게 하여 그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이 효과적으로 산화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인젝터(300)가 내부에 마련된 취수관(100)과 이송관(200)의 연결부위 또는 이송관(200)은, 내부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인젝터가 배치된 부분에서 원수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원수와 압축공기의 혼합율을 증대시켜 철 및 망간을 포함한 함유물의 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여과유닛(400)은, 이송관(200)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200)을 따라 수직하강하며 압축공기와 혼합된 원수를 전달받고,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침전된 함유물을 여과한 후, 깨끗한 물을 가정이나 산업현장에 공급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은 상수원에서 취수(取水)된 원수가 취수관(100)을 거쳐 이동관(200)으로 하강될 때 인젝터(300)가 이동관(20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그 원수에 압축공기가 혼합되게 하고, 그 인젝터의 공기수용부(310)가 이송관(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며 공기배출부(320)가 공기수용부(310)와 연결되고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이송관(200)의 내부에 배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여과유닛(400)에서 산화된 함유물을 여과시킴으로써, 상수원인 지하수에서 취수하는 원수에 함유된 철 및 망간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인젝터(300)는 원수가 이동하는 이송관(200)에서 복수로 마련되어 하부측의 이송관(200)에 다중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원수에서 상기 압축공기의 혼합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함유물의 산화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이송관(200)에서 압축공기와 원수가 서로 혼합되는 일구간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벤추리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압축공기가 원수에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이송관(200)에서 벤추리관 형태로 이루어진 구간은, 원수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그 이송관(20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음으로써, 원수와 압축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여과유닛(400)은, 케이스(410) 및 복수의 여과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유닛(400)의 케이스(4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송관(200)과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를 그 수용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원수유입구(4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410)는 함유물이 여과된 여과수(깨끗한 물)를 가정이나 산업현장으로 공급하는 공급구(412)를 구비하고, 그 공급구가 형성된 상부에 원수에서 분리된 공기를 공기펌프 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413)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부재(420)는, 원수유입구(411)와 공급구(412) 사이의 수용공간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축공기와 혼합된 원수에서 침전이 이루어진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을 필터링한다.
각각의 여과부재(4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특성의 여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함유물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여과부재(420)는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부재(4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421)는 여과부재(420)들의 적층 시 여과부재(420)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여과부재(420)를 그 케이스(410)에 개별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함유물의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여과부재의 용이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여과유닛(400)의 케이스(410)는 복수의 도어(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14)들은, 케이스(410)에 다층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각각 개폐시키며, 여과부재(420)들이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각각 인입 또는 반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420)들이 케이스(410)에 개별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압축공기를 포함한 원수에 침전된 함유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유닛(400)의 케이스(410) 내부에 복수의 여과부재(420)가 적층되게 배치되고, 케이스(410)에 다층구조로 구비된 도어(414)들에 의해 그 여과부재(420)들이 그 케이스의 내부에서 각각 인입 또는 반출되어 그 케이스와 개별적으로 착탈됨으로써, 숙련된 전문가 및 전문 장비의 도움 없이도 노후화된 여과유닛을 유지보수할 수 있고, 여과부재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해 수질에 따른 맞춤형 여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은, 사이퍼관(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퍼관(500)은 유입부(510), 주입부(520) 및 절곡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1 및 도 8 참조)
상기 사이퍼관(500)의 유입부(510)는 상기 케이스(410)의 공기배출구(413)와 연결되어 공기를 유입시킨다. 상기 유입부(510)는 주입부(520)와 소통되어, 공기펌프에 의해 상기 인젝터의 공기수용부(310)로 공기가 주입될 때 유입된 공기를 그 주입부(52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이퍼관(500)의 주입부(520)는 상기 인젝터(300)의 공기수용부(310)와 소통되고 유입부(510)에도 연결됨으로, 공기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수용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이퍼관(500)의 절곡부(530)는, 상기 상부측의 취수관을 향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상기 유입부 및 주입부에 연결되고, 하측이 원수유입구(411) 및 공기펌프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유입부(510)로 유입되는 공기를 주입부(520)로 이동되게 하고 원수가 공기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사이퍼관(500)은, 공기펌프에 의해 절곡부(530)로 주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그 공기가 주입부(520)를 통해 인젝터(300)로 주입되게 하며, 이때 유입부(510)로 유입된 공기를 그 주입부(520)로 이동되게 하여, 인젝터(300)의 공기수용부(310)에 공기가 일시적으로 수용되게 한다.
또한, 사이퍼관(500)은 절곡부에서 공기펌프에 연결되지 않은 하측 단부가 여과유닛(400)의 원수유입구(411)와 소통되게 연결되나, 절곡부(530)의 구조적 특징(상방으로 절곡된 구조)으로 인해 원수가 공기펌프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도 1 및 도 8 참조).
본 실시예는, 상수원(A)에 저장된 원수를 취수하여 여과할 수 있게 하고, 여과유닛(40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며 여과부재(420)를 통과한 여과된 물을 상기 사이퍼관(500)을 향해 이동(여과유닛에서 원수가 여과될 때 그 원수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원수를 이동)시켜 상기 여과부재(420)에 잔류하는 함유물과 침전된 함유물을 그 여과부재(420)로부터 탈리시키고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역세척 효과를 도출한다(도 8 참조).
상기 역세척 효과의 도출을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여과된 물이 인젝터(300) 측을 향해 이송관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그 이송관(여과유닛의 원수유입구와 연결된 이송관)에 밸브(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400)에서 여과된 물이 사이퍼관(50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여과유닛(400)의 공급구(412)나 공기배출구(413) 측에 역세척용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채용된 인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인젝터(300)의 커버 파이프(340) 내부에 버블생성부(350)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인젝터(300)는 커버 파이프(340) 및 버블생성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파이프(340)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기수용부(310) 및 공기배출부(320)가 배치되게 하고, 그 공기배출부(320)에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 버블생성부(350)가 배치되게 한다.
상기 커버 파이프(340)는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 취수관(100)과 이송관(20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원수와 압축공기를 통과시킨다. 이러한 커버 파이프(34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 일실시예에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버블생성부(350)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 파이프(340)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와 접촉되는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미세돌기들(351)을 구비함으로써,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에 미세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고 철 및 망간 등의 함유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미세돌기(351)들은 버블생성부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된 나사산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나사산 구조의 미세돌기들은 압축공기 및 원수가 통과될 때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압축공기와 원수가 효과적으로 홉합되게 하여 함유물의 산화율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도 7 참조).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취수관 200: 이송관
300: 인젝터 310: 공기수용부
320: 공기배출부 340: 커버 파이프
350: 버블생성부 351: 미세돌기
400: 여과유닛 410: 케이스
411: 원수유입구 412: 공급구
413: 공기배출구 414: 도어
420: 여과부재 421: 보호부재
500: 사이퍼관 510: 유입부
520: 주입부 530: 절곡부

Claims (6)

  1. 취수관을 통해 지하수에서 원수를 취수하고, 이송관에 의해 상기 원수가 여과유닛으로 이송되게 하여,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여과시키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수된 상기 원수에 함유된 함유물을 산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배관 형태로 연결된 상기 취수관과 이송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부측의 취수관에서 하부측의 이송관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수에 압축공기를 혼합시키는 인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함유물의 산화효율을 증대시키고 상기 원수와 압축공기의 혼합 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시켜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기수용부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수용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의 내부로 분사되게 하고 상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송관과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유입구와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원수에서 분리된 공기를 공기펌프 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및 상기 원수유입구와 공급구 사이의 수용공간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축공기와 혼합된 원수에서 상기 함유물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서 압축공기와 원수가 서로 혼합되는 일 구간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벤추리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여과부재가 수용공간에서 개별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을 각각 개폐시켜, 상기 여과부재를 수용공간에 각각 인입 또는 반출시키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와 연결되어 배출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인젝터의 공기수용부에 소통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 및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수용부에 주입시키는 주입부와, 상기 상부측의 취수관을 향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상기 유입부 및 주입부에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원수유입구 및 공기펌프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주입부로 이동되게 하고 원수가 공기펌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곡부를 구비한 사이퍼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는,
    상기 취수관과 이송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수를 통과시키며 상기 공기수용부 및 공기배출부를 수용하는 커버 파이프; 및
    상기 압축공기가 혼합된 원수에 미세버블을 생성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와 접촉되는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미세돌기를 구비한 버블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KR1020180086431A 2018-07-25 2018-07-25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KR10203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31A KR102031494B1 (ko) 2018-07-25 2018-07-25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31A KR102031494B1 (ko) 2018-07-25 2018-07-25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494B1 true KR102031494B1 (ko) 2019-10-11

Family

ID=6821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31A KR102031494B1 (ko) 2018-07-25 2018-07-25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4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627A (zh) * 2020-09-23 2021-02-26 河南天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污染地下水的抽提井装置
CN113664033A (zh) * 2021-08-26 2021-11-19 西交利物浦大学 一种移除淹水土壤重金属污染的方法
CN114247740A (zh) * 2020-09-23 2022-03-29 株式会社基恩斯工程 利用风能的地下污染物质处理装置
WO2022065626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20220140216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35A (ja) * 1995-07-20 1997-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装置
KR19990035413U (ko) * 1999-06-21 1999-09-06 이두우 자동염소투입기의인젝터
KR20040013921A (ko) * 2002-08-09 2004-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존반응기와 여과장치를 단일화한 원수 처리 장치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방법
KR20180007154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퓨리 공기 유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35A (ja) * 1995-07-20 1997-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装置
KR19990035413U (ko) * 1999-06-21 1999-09-06 이두우 자동염소투입기의인젝터
KR20040013921A (ko) * 2002-08-09 2004-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오존반응기와 여과장치를 단일화한 원수 처리 장치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방법
KR20180007154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퓨리 공기 유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627A (zh) * 2020-09-23 2021-02-26 河南天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污染地下水的抽提井装置
CN114247740A (zh) * 2020-09-23 2022-03-29 株式会社基恩斯工程 利用风能的地下污染物质处理装置
WO2022065626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지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20220140216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KR102591505B1 (ko) * 2021-04-09 2023-10-19 주식회사 지엔에스엔지니어링 전력절감형 역세척 기능을 가진 지하수 정화 장치
CN113664033A (zh) * 2021-08-26 2021-11-19 西交利物浦大学 一种移除淹水土壤重金属污染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494B1 (ko) 지하수의 철 및 망간 제거 시스템
JP520148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US7241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EP1385604B1 (en) Method for treatment of water
US20070144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KR20090024668A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10532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xygenation of waste water
KR101156125B1 (ko)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KR20150052307A (ko) 산기 장치, 산기 방법, 및 수처리 장치
KR20130018456A (ko)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CN206654807U (zh) 一种煤化工污水处理装置
AU2004298748B2 (en) Membrane filter system comprising parallel cross-flow filter modules
KR100826971B1 (ko) 원수 정수장치
CN102923842A (zh) 曝气生物滤罐
JP2004025111A (ja) 加圧型浸漬膜濾過装置
WO2018153992A1 (en) Filtering of wastewater by cake filtration
JP2000024421A (ja) 濾過装置
AU2005311248B2 (en) Filtering system for water and waste water
KR100945484B1 (ko) 정수 처리장치
CN206881244U (zh) 一种印刷版材生产用水的过滤装置
CN110436613A (zh) 用于滤饼过滤的管状元件和提供滤饼的方法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JP2000024420A (ja) 水の浄化システム
CN214611970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20618683U (zh) 一种无菌净化供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