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485B1 -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485B1
KR102591485B1 KR1020230072337A KR20230072337A KR102591485B1 KR 102591485 B1 KR102591485 B1 KR 102591485B1 KR 1020230072337 A KR1020230072337 A KR 1020230072337A KR 20230072337 A KR20230072337 A KR 20230072337A KR 102591485 B1 KR102591485 B1 KR 10259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op
legs
coupled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2023007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485B1/ko
Priority to KR1020230137027A priority patent/KR102634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 부분을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 모두를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Table with upper panel both surface usable sturcture}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 상판의 상면과 하면을 필요에 따라 뒤집어서 다리에 결합함으로써 테이블 상판의 양면을 모두 활용 가능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전후 좌우로 배치된 다수개의 다리에 테이블 상판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각종 테이블은 상판을 목재 등으로 구성하고, 다리 부분은 금속제의 다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테이블에 있어서 상판과 다리를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조립 연결구를 매개로 결합하는 방식은 금속제로 이루어지는 다리와 테이블 상판에 브라켓을 대주고, 브라켓을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다리와 테이블 상판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다수개의 다리에 테이블 상판이 연결된 테이블이 완성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테이블 상판을 다리에 고정식으로 연결하여 테이블 상판의 상면이 마모나 기타 요인에 의해 테이블 상판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테이블 상판의 한쪽 면만 사용(즉, 테이블 상판의 상면만 사용)하고 그대로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테이블 상판을 한쪽 면만 사용하고 폐기해야 하는 관계로 자원 낭비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테이블의 수명도 그만큼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7449호(1999년11월0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92578호(2018년08월2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18485호(2018년01월09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5729호(2000년04월0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판을 다리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상판을 뒤짚어서 슬라이딩하여 다리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 부분을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 모두를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이 제공된다.
상기 다리(13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4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 또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상기 돌출부(140)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140)가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40)는, 서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고정된 픽싱 브라켓부(142); 상기 픽싱 브라켓부(142)에 기단부가 연결된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홈(120)은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좌우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 또는 전후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에 형성된 브이자 형상의 홈(1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전후 좌우 다수개의 다리(130)의 상단부 위쪽에서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켜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두 군데의 브이자 형상의 상기 홈(120)이 브이자 형상의 상기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네 개의 상기 다리(130)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에는 세라믹층(112)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에는 나노 페닉스층(1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을 다리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블 상판을 뒤짚어서 슬라이딩하여 다리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한쪽 면만 사용하지 않고 다른 쪽 면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 유리하고, 테이블의 사용 수명도 그만큼 늘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돌출부와 홈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의 전후 단부에 마감 몰딩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더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더 부분과 테이블 상판 및 다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이더에 의해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와 보조 테이블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보강 연결 바아와 보조 테이블 패널이 테이블의 다리들에 결합되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를 보조 테이블과 연결된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를 테이블의 다리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이 다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돌출부와 홈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의 전후 단부에 마감 몰딩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은
본 발명을 통해 테이블 상판(110)을 다리(130)에 슬라이딩식 결합으로 사용가능하도록하며, 필요시 상판을 뒤집어서 슬라이딩하여 다리(130) 결합함으로서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판에는 홈(120)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다리(130)의 돌출부(140)에 끼워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 부분을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 모두를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13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수개의 다리(130)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네 개의 다리(130)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4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 또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상기 돌출부(140)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140)가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0)는, 서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고정된 픽싱 브라켓부(142); 상기 픽싱 브라켓부(142)에 기단부가 연결된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픽싱 브라켓부(142)는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의 상단부에 하단부에서 다리(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다리(13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140)가 서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고정된 구조를 취한다. 다수개의 다리(130)에 각각 하나씩 상기 돌출부(140)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홈(120)은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좌우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 또는 전후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에 형성된 브이자 형상의 홈(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전후 좌우 다수개의 다리(130)의 상단부 위쪽에서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켜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두 군데의 브이자 형상의 상기 홈(120)이 브이자 형상의 상기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네 개의 상기 다리(130)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140)는 탄성 금속 재질(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강 등)으로 구성되어,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누르는 힘에 의해 눌려질 수 있고,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이 상기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에 접촉된 상태에서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다수개의 다리(130)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를 다리(130) 쪽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고, 테이블 상판(110)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를 다른 쪽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다리(130) 쪽으로 눌려져 있다가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브이자 형상의 상기 홈(120)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와 만나게 되면, 눌려져 있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다시 원래의 브이자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브이자 형상의 홈(120)에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전후 좌우 네 군데의 다리(130)들에 테이블 상판(110)의 서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이 위로 배치된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을 일정 기간 동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테이블 상판의 전후 단부에 마감 몰딩재(113)가 결합되어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마감 몰딩재를 테이블 상판의 전후 단부에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일체형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테이블 상판(110)을 다리(130)들에서 분리하여 테이블 상판(110)을 뒤집어서 다시 다리(130)들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이 위쪽으로 향해 있는 상태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다가 테이블 상판(110)을 슬라이드식으로 위쪽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탄성 결합 브라켓(162)을 다리(130) 쪽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고, 테이블 상판(110)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를 다른 쪽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다리(130) 쪽으로 눌려져 있다가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브이자 형상의 상기 홈(120)이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면서 상기 테이블을 다수개의 다리(130)들에서 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테이블 상판(110)과 하판이 위아래 반대가 되도록 뒤집어준 다음, 테이블 상판(110)을 다수개의 다리(130)들 사이의 안쪽에서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네 군데의 다리(130)들에 테이블 상판(110)의 서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이 위로 배치된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을 일정 기간 동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에는 세라믹층(112)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에는 나노 페닉스층(1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라믹층(112)은 세라믹판이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고, 판형상의 나노 페닉스층(114)도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을 테이블 상판(110)의 저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에는 세라믹층(112)이 구비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에는 나노 페닉스층(114)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을 활용할 때에는 세라믹층(112)이 위로 배치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을 활용할 때에는 나노 페닉스층(114)이 위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을 다리(130)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블 상판(110)을 뒤짚어서 슬라이딩하여 다리(130)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 상판(110)에 홈(120)이 존재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상판의 홈(120)이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다수개의 다리(130)에 상판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테이블 상판(110)을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테이블 상판(110)의 한쪽 면이 마모나 기타 요인에 의해 테이블 상판(110)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을 반대로 뒤집어서 사용해야 할 경우에 다리(130)의 돌출부(140)에서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부분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110)을 뒤집어서 그동안 사용하여 오던 테이블의 한쪽 면과 그동안 사용하지 않던 다른 쪽면이 위아래 반대가 되도록 뒤집어 준 다음,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을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끼워줌으로써, 테이블의 다른 쪽 면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의 한쪽 면만 사용하지 않고 다른 쪽 면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 유리하고, 테이블의 사용 수명도 그만큼 늘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더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더 부분과 테이블 상판 및 다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이더에 의해 테이블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와 보조 테이블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보강 연결 바아와 보조 테이블 패널이 테이블의 다리들에 결합되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를 보조 테이블과 연결된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강 연결 바아를 테이블의 다리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을 네 군데의 다리(130)에 원활하고 쉽게 결합하기 위한 가이더(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150)는, 내부에 상단부로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하여 네 군데의 다리(130)의 전후 좌우로 마주하는 면에 장착된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네 코너부쪽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되는 결합 블록(154);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바닥판 쪽에서 위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삽입 경사 가이드편(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네 코너부쪽 저면에 구비된 네 군데의 결합 블록(154)이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 슬라이드식으로 다리(130) 하단부 쪽을 향하여 내려주면, 상기와 같이,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브이자 형상의 홈(120)에 상기 돌출부(140)의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162)부(144)가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전후 좌우 네 군데의 다리(130)들에 테이블 상판(110)의 서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이 위로 배치된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저면에 구비된 네 개의 결합 블록(154)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바닥판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다리(130)들에 결합됨과 동시에 높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다리(130)들에 테이블 상판(110)을 결합할 때에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와 결합 블록(154)의 삽입 결합에 의해 테이블 상판(110)을 다리(130)들에 보다 원활하고 쉽게 결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상단부에는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바닥판 쪽에서 위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삽입 경사 가이드편(156)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슬라이드식으로 내려서 다리(130)들에 결합시킬 때에 상기 삽입 경사 가이드편(156)에 의해 테이블 상판(110) 저면의 결합 블록(154)들이 더욱 원활하게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 내부의 공간부로 진입하도록 가이드되므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결합 블록(154)들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다리(130)들에 구비된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 내부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결합 블록(154)의 상단부는 양면 테이프(115)에 의해 테이블 상판(110)에 있는 나노 펠릭스층(114)의 외표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뒤집어서 세라믹층(112)이 아래로 가고 나노 펠닉스층(114)이 위로 갈 띠에는 상기 나노 펠닉스층(114)에서 양면 테이프(115)와 함께 결합 블록(154)을 떼어낸 다음, 아래쪽에 배치된 세라믹층(112)의 외표면에 양면 테이프(115)로 결합 블록(154)의 붙여줄 수 있고, 테이블 상판(110)의 위아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세라믹층(112)의 외표면에 양면 테이프(115)로 붙어 있는 결합 블록(154)을 상기 다리(130)에 구비된 결합 가이드 케이스(152)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에 구비된 결합 브라켓(162)이 다수개의 다리(130)에 체결구로 결합되며 기단부는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중심부 쪽으로 몰려서 배치되는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기단부 쪽에 배치되어 네 군데의 코너부가 힌지(172)를 매개로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기단부에 연결된 수평 방향의 보조 테이블 패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 브라켓(162)은 내부에 상하단부로 관통된 다리 결합홀(162CH)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전단부에는 다리(130) 삽입홀과 연통된 다리 진입 가이드홀(162GH)이 구비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들은 기단부가 상기 힌지(172)를 매개로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의 코너부에 연결된 고정 보강 연결 바아(164); 상기 고정 보강 연결 바아(164)에 내주면의 나사부의 일부가 결합된 길이 조절 슬리브(166);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가 상기 길이 조절 슬리브(166)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162)이 구비된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다수개의 다리(130)에 상기 돌출부(140)와 상기 홈(120)의 삽입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테이블을 형성하고,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들은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연결된 힌지(172)를 기준으로 상부 쪽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다리(130) 안쪽 위치에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을 배치한 다음, 다수개의 다리(130)를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연결된 힌지(172)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켜주면,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 선단부의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상기 다리 진입 가이드홀(162GH)에 의해 결합 브라켓(162) 내부의 다리 결합홀(162CH)이 상기 테이블 상판(110)과 결합되어 있는 다리(130)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테이블 상판(110)과 다수개의 다리(130)들이 결합된 테이블에서 다수개의 다리(130)를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들이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된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상기 다리(130)의 외표면에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들이 다수개의 다리(130)들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높이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과 다수개의 다리(130)들이 결합된 테이블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들이 안쪽에서 다수개의 다리(130)들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테이블 사용자가 보조 테이블 패널(170) 위에 필요한 물품을 올려놓을 수도 있어서 테이블 사용시 편의성을 더 높여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보강 연결 바아(164)와 길이 조절 슬리브(166)와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를 상기 길이 조절 슬리브(166)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길이 조절 슬리브(166)를 기준으로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와 결합 브라켓(162)이 전진하면서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게 되고, 상기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를 상기 길이 조절 슬리브(166)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길이 조절 슬리브(166)를 기준으로 가변 보강 연결 바아(168)(160)와 결합 브라켓(162)이 후진하면서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테이블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리(130)들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들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서 상기 보강 연결 바이들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을 다수개의 다리(130)들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11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서 다수개의 다리(130)들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늘어난 경우에는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길이를 더 늘려서 결합 브라켓(162)을 다리(130)에 결합하면 되고, 테이블 상판(110)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작아져서 다수개의 다리(130)들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줄어든 경우에는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길이를 더 줄여서 결합 브라켓(162)을 다리(130)에 결합하면 되므로, 테이블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테이블 패널(170)과 네 개의 보강 연결 바아(16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테이블의 다리(130)들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테이블 사이즈 규격에 따라 상기 보강 연결 바아(16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서 테이블의 다리(130)들을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테이블 상판 112. 세라믹층
114. 나노 펠닉스층 120. 홈
130. 다리 140. 돌출부
142. 픽싱 브라켓부 144. 탄성 결합 브라켓부
150. 가이더 152. 결합 가이드 케이스
154. 결합 블록 156. 삽입 경사 가이드편
160. 보강 연결 바아 162. 결합 브라켓
162CH. 다리 결합홀 162GH. 다리 진입 가이드홀
164. 고정 보강 연결 바아 166. 길이 조절 슬리브
168. 가변 보강 연결 바아 170. 보조 테이블 패널
172. 힌지

Claims (3)

  1. 테이블 상판(110)의 홈(120) 부분을 다수개의 다리(130)에 구비된 돌출부(140)에 결합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과 하면 모두를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리(13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4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 또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상기 돌출부(140)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140)가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40)는,
    서로 나란한 다수개의 다리(1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고정된 픽싱 브라켓부(142);
    상기 픽싱 브라켓부(142)에 기단부가 연결된 브이자 형상의 탄성 결합 브라켓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홈(120)은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좌우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 또는 전후로 나란한 두 군데의 측면에 형성된 브이자 형상의 홈(1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110)을 전후 좌우 다수개의 다리(130)의 상단부 위쪽에서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켜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두 군데의 브이자 형상의 상기 홈(120)이 브이자 형상의 상기 탄성 결합 브라켓부(144)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판(110)이 네 개의 상기 다리(130)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상면에는 세라믹층(112)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110)의 하면에는 나노 페닉스층(1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230072337A 2023-06-05 2023-06-05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59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37A KR102591485B1 (ko) 2023-06-05 2023-06-05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230137027A KR102634915B1 (ko) 2023-06-05 2023-10-13 상판 활용성 향상 기능이 있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37A KR102591485B1 (ko) 2023-06-05 2023-06-05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027A Division KR102634915B1 (ko) 2023-06-05 2023-10-13 상판 활용성 향상 기능이 있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485B1 true KR102591485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337A KR102591485B1 (ko) 2023-06-05 2023-06-05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230137027A KR102634915B1 (ko) 2023-06-05 2023-10-13 상판 활용성 향상 기능이 있는 테이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027A KR102634915B1 (ko) 2023-06-05 2023-10-13 상판 활용성 향상 기능이 있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14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479U (ko) * 1993-08-05 1995-03-20 김진규 양면 사용이 가능한 상
KR200167449Y1 (ko) 1999-08-10 2000-02-15 공한식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연결구
KR200185729Y1 (ko) 1999-10-21 2000-06-15 임진순 다용도컴퓨터테이블상판
KR101818485B1 (ko) 2017-03-07 2018-01-15 고운길 테이블의 상판프레임과 다리의 조립구조
KR101892578B1 (ko) 2017-03-07 2018-08-30 주식회사 크레아 가구용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479U (ko) * 1993-08-05 1995-03-20 김진규 양면 사용이 가능한 상
KR200167449Y1 (ko) 1999-08-10 2000-02-15 공한식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연결구
KR200185729Y1 (ko) 1999-10-21 2000-06-15 임진순 다용도컴퓨터테이블상판
KR101818485B1 (ko) 2017-03-07 2018-01-15 고운길 테이블의 상판프레임과 다리의 조립구조
KR101892578B1 (ko) 2017-03-07 2018-08-30 주식회사 크레아 가구용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915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485B1 (ko) 테이블 상판의 양면 활용이 가능한 테이블
JP2006087448A (ja) 物品載置天板
JP5339269B2 (ja) 天板及び天板付家具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JPS5829974Y2 (ja) 棚受け具
KR100590426B1 (ko) 가구용 판재의 체결구조
JP5490204B2 (ja) 天板及び天板付家具
JPS6338835Y2 (ko)
KR20100132410A (ko) 조립성이 향상된 가구용 마감부재
JP2003052461A (ja) デスク天板とデスクワゴンの天板との結合構造
KR102529783B1 (ko) 가구 상판
US11175753B2 (en) Mouse
JP2023162660A (ja) 天板付き什器及び拡張天板
KR200382219Y1 (ko) 가구용 백-플레이트 결합구조
CN215423679U (zh) 一种可靠实用的教室多功能架
JP7326034B2 (ja) 天板付き什器
KR970006071Y1 (ko) 소품가구의 지지틀 결합구조
CN219570522U (zh) 一种板材连接件
KR950009834Y1 (ko) 양측에 책상판을 체결시킬수있는 의자
KR102260634B1 (ko) 연결 못
JP4314670B2 (ja) キャビネット
KR20220147007A (ko) 조립식 앵글
KR200354582Y1 (ko) 가구용 판재의 체결구조
JP2005118508A (ja) スライド式補助テーブル
JP4001087B2 (ja) 畳台座における三角ボックスユニットの角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