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65B1 -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65B1
KR102590965B1 KR1020180016463A KR20180016463A KR102590965B1 KR 102590965 B1 KR102590965 B1 KR 102590965B1 KR 1020180016463 A KR1020180016463 A KR 1020180016463A KR 20180016463 A KR20180016463 A KR 20180016463A KR 102590965 B1 KR102590965 B1 KR 10259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ort film
crack prevention
prevention layer
ben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340A (ko
Inventor
송주희
하승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965B1/ko
Priority to US16/248,655 priority patent/US11135804B2/en
Priority to CN201910106441.2A priority patent/CN110136578B/zh
Priority to EP19155899.8A priority patent/EP3525035A1/en
Publication of KR2019009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지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필름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FILM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개시는 표시 장치용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벤딩 가능한 표시 장치용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표시 장치가 휘거나 접힐 수 있도록 가요성(flexible)을 가지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벤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들은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을 지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은 벤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지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필름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지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1 홈을 둘러싸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1 홈과 연결되고,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여, 벤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표시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perspective view)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지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지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한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perspective view)이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과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는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는 복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플렉서블한 기판, 트랜지스터, 발광부 등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시 패널(100) 아래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100)을 지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 필름(20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접착층 등의 추가 층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패널(100) 위에는 윈도우 등의 추가 층이 포함될 수 있다.
지지 필름(200)은 플라스틱 또는 얇은 금속 필름일 수 있다.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를 포함한다. 제1 크랙 방지부(210)는 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지지 필름(200)의 제1 크랙 방지부(2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지 필름(200)의 제1 크랙 방지부(210)는 벤딩 영역(BA)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크랙 방지층을 포함한다. 제1 크랙 방지부(210)의 복수의 크랙 방지층은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을 가지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한다.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1 크랙 방지층(210a)은 지지 필름(200)의 가장자리(20)를 따라 가장자리(20)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일정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위치한다.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이 뻗어 있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넓은 폭은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폭과 거의 같다. 이처럼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넓은 폭은 벤딩 영역(BA)의 폭과 같도록 형성함으로써,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은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으로 둘러 쌓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이 위치하는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최대 두께인 제1 두께(D1)는 지지 필름(200)의 제2 두께(D2)의 약 20%일 수 있다. 또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볼 때,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단면은 삼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이 이루는 제1 각도(θ1)는 약 60도일 수 있다.
또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크랙 방지층(210a)의 제1 폭(W1)은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제2 폭(W2)보다 좁을 수 있다.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이 위치하는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제1 두께(D1)가 너무 클 경우, 제1 홈(21a)과 제2 홈(21b)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지지 필름(200)이 손상될 수 있고,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이 이루는 제1 각도(θ1)가 60도 이하보다 작을 경우,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폭이 너무 커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두께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을 포함하고,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끝 단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의 끝 단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벤딩 영역(BA)의 끝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지지 필름(200)의 중심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은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를 포함하고, 제1 크랙 방지부(210)의 복수의 크랙 방지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크랙 방지층은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을 가지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하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지지 필름(200)의 가장자리(20)와 나란하게 뻗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과는 달리, 제2 크랙 방지층(210b) 뿐만 아니라, 제1 크랙 방지층(210a)도 지지 필름(200)의 가장자리(2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크랙 방지층(210a)은 제2 크랙 방지층(210b)보다 지지 필름(200)의 가장자리(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크랙 방지부(210)의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이 뻗어 있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넓은 폭은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폭과 거의 같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이 위치하는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최대 두께는 지지 필름(200)의 두께의 약 20%일 수 있다. 또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볼 때,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단면은 삼각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홈(21a)과 제2 홈(21b)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은 약 60도를 이룰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양쪽 가장자리(2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지지 필름(200)의 중심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포함한다.
제2 크랙 방지부(220)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크랙 방지층을 포함한다. 제2 크랙 방지부(220)의 복수의 크랙 방지층은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지지 필름(200)의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은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지지 필름(200)의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의 크기 및 깊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지지 필름(200)의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은 지지 필름(200)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지지 필름(200)의 표면의 흠(flaw)일 수 있다.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홈(22a, 22b, 22c) 내에 크랙 방지층(220a, 220b, 220c)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은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포함하고, 제2 크랙 방지부(220)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과 달리,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둘러싸는 제6 홈(23a)을 가지고, 제6 크랙 방지층(230a)은 제6 홈(23a) 내에 위치한다.
지지 필름(200)의 제6 홈(23a)은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6 홈(23a)과 제6 크랙 방지층(230a)은 폐곡선 형태를 가진다.
제6 홈(23a)은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들의 제1 홈(21a) 및 제2 홈(21b)과 유사하게 삼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6 홈(23a)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은 약 60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6 홈(23a)의 최대 깊이는 지지 필름(200)의 두께의 20% 이내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포함하고, 제2 크랙 방지부(220)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또한,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홈(23a) 및 제6 홈(23a) 내에 위치하는 제6 크랙 방지층(230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과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과 연결되어 있고, 제6 홈(23a) 및 제6 크랙 방지층(230a)으로 둘러싸여 있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7 홈(23b) 및 제8 홈(23c)과 제7 홈(23b) 및 제8 홈(23c) 내에 위치하는 제7 크랙 방지층(230b)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을 더 포함한다.
제6 홈(23a) 및 제6 크랙 방지층(230a), 제7 홈(23b) 및 제7 크랙 방지층(230b), 그리고 제8 홈(23c)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은 폐곡선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연결되어 벤딩 영역(BA)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제7 홈(23b) 및 제8 홈(23c)과 제7 홈(23b) 및 제8 홈(23c) 내에 위치하는 제7 크랙 방지층(230b)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은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 및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의 제1 크랙 방지부(210)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하고, 지지 필름(200)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을 가지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제2 크랙 방지부(220)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의 끝 단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벤딩 영역(BA)의 끝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지지 필름(200)의 중심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홈(22a, 22b, 22c) 내에 크랙 방지층(220a, 220b, 220c)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2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은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 및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 그리고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의 제1 크랙 방지부(210)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하고, 지지 필름(200)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을 가지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제2 크랙 방지부(220)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제6 크랙 방지층(230a)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다.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의 끝 단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벤딩 영역(BA)의 끝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지지 필름(200)의 중심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홈(22a, 22b, 22c) 내에 크랙 방지층(220a, 220b, 220c)을 형성하고,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3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 및 도 10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연결되고 제6 크랙 방지층(230a)으로 둘러싸여 있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7 크랙 방지층(230b)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의 제1 크랙 방지부(210)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하고, 지지 필름(200)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을 가지고,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2 크랙 방지층(210b)은 제1 홈(21a)과 제2 홈(21b) 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제2 크랙 방지부(220)는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을 포함한다.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을 가지고, 제2 크랙 방지부(220)의 제3 크랙 방지층(220a), 제4 크랙 방지층(220b), 제5 크랙 방지층(220c)은 지지 필름(200)은 표면에 형성된 제3 홈(22a), 제4 홈(22b), 제5 홈(22c) 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제6 크랙 방지층(230a)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다. 지지 필름(200)의 제7 크랙 방지층(230b)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은 벤딩 영역(BA)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연결되어 벤딩 영역(BA)의 중심부를 둘러싸고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200)의 끝 단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제1 크랙 방지층(210a)에 인접하여 벤딩 영역(BA)의 끝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210b)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지지 필름(200)의 중심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의 홈(22a, 22b, 22c) 내에 크랙 방지층(220a, 220b, 220c)을 형성하고, 제2 크랙 방지부(220), 제2 크랙 방지부(220)를 둘러싸고 있는 제6 크랙 방지층(230a), 제2 크랙 방지부(220)와 연결되어, 제6 크랙 방지층(230a)으로 둘러싸여 있는 벤딩 영역(BA)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제7 크랙 방지층(230b) 및 제8 크랙 방지층(230c)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의 중심에 서 발생한 크랙이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지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 배치된 마루(ridge)와 골짜기(valley)(24)를 가진다. 지지 필름(200)의 마루와 골짜기(24)는 지지 필름(200) 양쪽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필름(200)의 골짜기(24)에는 제3 크랙 방지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크랙 방지부(240)는 지지 필름(200)의 양쪽 표면에 형성된 골짜기(24)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은 일렬 배치된 오목부인 골짜기(24)와 골짜기(24)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부(240)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고, 크랙의 확산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의 제3 크랙 방지부(240)를 통해, 벤딩 영역(BA)의 표면이 평탄한 바, 벤딩 영역(BA)의 크랙 방지부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00)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200)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지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200)은 벤딩 영역(BA)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9 홈(25)을 가지고, 복수의 제9 홈(25) 내에 위치하는 제4 크랙 방지부(2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9 홈(25)과 제4 크랙 방지부(250)는 벤딩 영역(BA) 전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9 홈(25)의 단면은 삼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9 홈(25)의 최대 두께는 지지 필름(200)의 두께의 약 20%일 수 있고, 제9 홈(25)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은 약 60도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에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9 홈(25)과 복수의 제9 홈(25) 내에 위치하는 제4 크랙 방지부(250)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00)를 벤딩함에 따라,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고, 크랙의 확산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의 제4 크랙 방지부(250)는 지지 필름(200)의 표면과 평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벤딩 영역(BA)의 표면이 평탄한 바, 벤딩 영역(BA)의 크랙 방지부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8 내지 도 19과 함께 도 1을 참고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지지 필름(200)에 홈(21)을 형성한다. 홈(21)은 식각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홈(21)의 제1 두께(D1)는 지지 필름(200)의 제2 두께(D2)의 약 20%일 수 있다. 홈(21)의 단면은 삼각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홈(21)의 측면과 지지 필름(200)의 표면과 이루는 제1 각도(θ1)가 약 6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1) 내에 크랙 방지층을 이루는 수지 등의 크랙 방지 물질층(3)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지지 필름(200)의 표면과 크랙 방지층(2100)의 표면이 평편하도록 지지 필름(200) 표면 위에 위치하는 크랙 방지 물질층(3)을 제거하여,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필름(200)의 홈(21) 내에 크랙 방지층(210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홈(21)과 크랙 방지층(2100)을 포함하는 지지 필름(200)을 기판, 트랜지스터, 발광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에 부착하여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0)를 형성한다.
지지 필름(200)의 홈(21) 내에 크랙 방지층(2100)을 형성할 때, 크랙 방지층(2100)의 표면이 평탄한 바, 벤딩 영역(BA)의 표면이 평탄한 바, 벤딩 영역(BA)의 크랙 방지부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과 함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2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필름(200)에 홈(21)을 형성하고 홈(21) 내에 크랙 방지층(2100)을 형성하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필름(200)의 제1 가장자리(20a)에 인접한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중첩하는 위치(V)를 따라 절단하여, 제1 크랙 방지층(210a)과 중첩하는 위치에 지지 필름(200)의 가장자리(20)를 형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지지 필름(200)의 벤딩 영역(BA)의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제1 크랙 방지층(210a)을 포함하는 제1 크랙 방지부(210)를 형성하고, 지지 필름(200)을 기판, 트랜지스터, 발광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에 부착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0)를 형성한다.
이처럼,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에 홈 및 홈 내에 위치하는 크랙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벤딩에 의해 지지 필름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크랙에 의한 지지 필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 필름(2000의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지지 필름
BA: 벤딩 영역 210: 제1 크랙 방지부
220: 제2 크랙 방지부 240: 제3 크랙 방지부
250: 제4 크랙 방지부
21, 21a, 21b, 22a, 22b, 22c, 23a, 23b, 23c, 25: 홈
210a, 210b, 220a, 220b, 220c, 230a, 230b, 230c: 크랙 방지층

Claims (22)

  1.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부를 지지하는 벤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벤딩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필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벤딩 영역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벤딩 영역은 평면상 상기 지지 필름의 제1 가장자리부터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제2 가장자리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홈은 평면상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홈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과 같은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4. 제2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오목부 형태인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2 홈을 둘러싸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6. 제5항에서,
    상기 제3 홈은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7. 제1항에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뻗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8. 제7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9. 제7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오목부 형태인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10. 제9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2 홈을 둘러싸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11. 제10항에서,
    상기 제3 홈은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지지 필름.
  12. 기판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지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부를 지지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벤딩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필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벤딩 영역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벤딩 영역은 평면상 상기 지지 필름의 제1 가장자리부터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제2 가장자리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홈은 평면상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홈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과 같은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오목부 형태인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2 홈을 둘러싸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3 홈은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18. 제12항에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벤딩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1 크랙 방지층은 상기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뻗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홈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오목부 형태인 제2 홈과 상기 제2 홈 내에 위치하는 제2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제2 홈을 둘러싸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 내에 위치하는 제3 크랙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제3 홈은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20180016463A 2018-02-09 2018-02-09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63A KR102590965B1 (ko) 2018-02-09 2018-02-09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6/248,655 US11135804B2 (en) 2018-02-09 2019-01-15 Film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106441.2A CN110136578B (zh) 2018-02-09 2019-02-02 用于显示装置的膜和包括该膜的显示装置
EP19155899.8A EP3525035A1 (en) 2018-02-09 2019-02-07 Film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63A KR102590965B1 (ko) 2018-02-09 2018-02-09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40A KR20190097340A (ko) 2019-08-21
KR102590965B1 true KR102590965B1 (ko) 2023-10-18

Family

ID=6536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63A KR102590965B1 (ko) 2018-02-09 2018-02-09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35804B2 (ko)
EP (1) EP3525035A1 (ko)
KR (1) KR102590965B1 (ko)
CN (1) CN1101365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1660B2 (en) *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102617925B1 (ko) * 2018-09-27 2023-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224009B (zh) * 2019-11-01 2022-10-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造方法
CN111128024B (zh) * 2019-12-30 2021-10-2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081150B (zh) * 2019-12-31 2021-08-2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支撑膜及显示装置
KR20220007751A (ko) 2020-07-09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70911B2 (en) * 2020-08-20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289750A (zh) * 2020-10-28 2021-0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支撑层及柔性显示面板
CN113112914B (zh) * 2021-03-19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面板的制备方法及装置
CN114973949B (zh) * 2022-05-24 2023-11-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N114973968B (zh) * 2022-06-22 2023-07-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400960U (zh) * 2017-01-16 2017-08-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显示面板和可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49A (ja) 2000-10-04 2002-04-12 Sony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408510B1 (ko) 2007-05-18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소자용 연성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
KR101876540B1 (ko)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58802B1 (ko) *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116469B1 (ko) * 2012-11-20 2020-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33625B1 (ko) 2013-04-10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6105B1 (ko) 2013-07-31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1907593B1 (ko) 2013-08-13 2018-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183086B1 (ko) * 2013-10-15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1634B1 (ko) * 2013-11-28 2020-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811120B2 (en) * 2013-11-28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32697B1 (ko) 2013-12-05 2020-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4393B1 (ko) * 2014-12-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773853B2 (en) * 2015-01-09 2017-09-26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ent substrate
KR101862251B1 (ko) 2015-08-03 2018-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102463838B1 (ko) * 2015-08-24 2022-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067799B1 (ko) 2015-09-25 2020-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58141B1 (ko) 2015-09-30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필름
US20180311943A1 (en) 2015-10-28 2018-11-01 Madico, Inc. Multilayer composite films for architectural applications
KR102489110B1 (ko) * 2016-02-04 2023-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5208B1 (ko) 2016-03-10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97728B1 (ko) 2016-03-11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2722B1 (ko) * 2016-05-11 2023-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6676B1 (ko) * 2016-05-12 2023-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400960U (zh) * 2017-01-16 2017-08-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柔性显示面板和可折叠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40A (ko) 2019-08-21
US11135804B2 (en) 2021-10-05
CN110136578A (zh) 2019-08-16
US20190248102A1 (en) 2019-08-15
EP3525035A1 (en) 2019-08-14
CN110136578B (zh)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965B1 (ko)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044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0485B1 (ko) 분할된 배선 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7004617B (zh) 具有桥接配线迹线的柔性显示装置
US10522783B2 (en) Flexible display including protective coating layer having different thickness in bend section
KR102414171B1 (ko) 복수 타입들의 마이크로 코팅층들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7004694B (zh) 柔性显示装置
CN108292710B (zh) 具有柔性显示面板的电子装置
KR102486570B1 (ko) 챔퍼링된 편광층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14712B1 (ko)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지지층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45361B1 (ko) 내부식성 인쇄 회로 필름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