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62B1 - 헤어 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62B1
KR102590962B1 KR1020217034219A KR20217034219A KR102590962B1 KR 102590962 B1 KR102590962 B1 KR 102590962B1 KR 1020217034219 A KR1020217034219 A KR 1020217034219A KR 20217034219 A KR20217034219 A KR 20217034219A KR 102590962 B1 KR102590962 B1 KR 10259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air
styling device
hair styling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262A (ko
Inventor
로리 윌리엄 버몬트
스티븐 벤자민 코트니
마우리지오 발라라티
알렉산더 에드워드 휴즈
로버트 마크 브렛 코울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3815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909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being separable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45D2001/045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the power being supplied by batterie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봇가능하게 함께 결합된 2 개의 아암들을 갖는 헤어 스트레이트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암들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 내에 모발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캐비티 내의 모발을 향해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유출구를 갖는 플리넘을 포함한다. 헤어 클램프가 그 사이의 모발을 붙잡는 한 쌍의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각각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내벽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 기기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식 헤어 스타일링 기기들은 모발을 원하는 형상 또는 스타일로 형성하기 위해 열 및 기계적 수단 및 기류의 작용을 사용하도록 디자인된다.
헤어 스트레이트너(hair straightener)는 피봇 아암(pivoted arm)들에 부착된 가열 플레이트들을 사용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가열 플레이트들 사이에 모발의 다발(tress of hair)이 클램핑된 채로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모발의 다발은 모발이 전이 온도를 넘어 가열되면 변화된 형상으로 스타일링될 수 있다.
모발 다발이 헤어 스트레이트너의 폐쇄된 아암들 사이에 붙잡혀 가열 플레이트들로부터의 고온에 노출되는 동안, 모발에 대한 열 손상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평평하고 단단하게 고정된 2 개의 가열 플레이트들 사이에 붙잡힌 모발의 다발이 플레이트들을 가로질러 넓게 퍼지게 되며, 이는 모발을 곧고 균일한 다발들로 스타일링할 때 불리하다. 또한, 모발은 열 절연체이므로, 가열 플레이트들로부터 모발 다발의 중심으로의 열 전달이 열악하다. 그러므로, 개선된 헤어 스타일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제 1 단부에서 함께 결합되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를 제공하며, 제 1 아암의 내벽은 제 2 아암의 내벽을 향해 있고,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제 1 아암과 제 2 아암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내에 모발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플리넘(plenum)을 포함하고, 상기 플리넘은 팬 유닛(fan unit)으로부터 기류를 수용하는 공기 유입구 및 캐비티 내의 모발을 향해 기류를 방출하는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을 따라 연장된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팬 유닛은 약 3.5 내지 3.9 kPa의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장치를 통해 중심 몸체로부터 각 아암의 플리넘까지 고속 및 고압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장치와 관련하여, 플리넘은 유입구 및 유출구, 및 챔버 내에서 대기압보다 큰 기압을 갖는 챔버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출구는 개구부(aperture)를 포함하고, 개구부는 1 mm 내지 3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1.5 mm 내지 2.5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90 mm 내지 180 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개구부를 빠져나가는 층류의 블레이드형 기류(laminar, blade-like airflow)는 또한 모발의 다발 내에서 개별 모발 가닥들의 정렬을 개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구부는 슬롯이며, 슬롯은 아암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정렬로 위치될 수 있고 아암의 상부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출구는 일반적으로 아암의 하부 에지를 향해 기류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는 내벽의 평면으로부터 30° 내지 60° 범위의 각도로 기류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출구는 내벽의 평면으로부터 40° 내지 50° 범위의 각도로 기류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하향 기류가 모발 다발과 상호작용할 때, (모발 가닥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모표피(hair cuticle)들은 하향으로 압박되고, 이에 따라 모간(hair shaft) 상에 평평하게 놓인다. 그러므로, 모발 가닥은 더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이는 윤기가 개선된 헤어스타일을 유도한다.
공기 유출구는 플리넘과 캐비티 사이에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은 상기 개구부에서 끝난다. 채널은 공기 유출구에 앞서 사전설정된 거리만큼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채널은 공기 유출구에 앞서 사전설정된 거리만큼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벽들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에서의 내벽의 말단은, 기류가 플리넘을 빠져나와 채널로 들어갈 때 이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매끄럽고 둥근 구성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플리넘 내의 기류는 내벽의 둥근 말단에 닿을 수 있고, 비교적 좁은 개구부 채널을 통과할 때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는 채널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vane)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베인은 방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상기 장치의 x-축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베인들이 채널 내에서 개구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일련의 베인들은 층류 기류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그리고 개구부의 길이를 따라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구조적 지지는 상기 장치의 아암들에 비틀림 힘이 가해지거나 고온이 구성요소들의 가소성(plasticity)을 유발하는 경우에도 원래 슬롯 치수를 유지한다.
개구부는 공기 유출구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구부는 공기 유출구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지 않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출구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각각에 위치된다. 공기 유출구들은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각각에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구부들은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각각에 비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고속 가열 기류는 대류를 사용하여 모발 다발을 가열하고, 열 전달은 다발 전체에 걸쳐 이루어진다. 건조 캐비티 내의 기류 온도는 약 130 내지 170 ℃,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160 ℃일 수 있다. 그러므로, 모발 형태를 직모 가닥들로 바꾸는 것이 가열 플레이트들을 사용하여 일반 헤어 스트레이트너보다 낮은 온도에서 달성될 수 있다. 캐비티를 통한 기류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주 효과에 따라 초당 약 4 내지 12 리터의 유속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더 높은 유속은 젖은 모발 다발의 수분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한 한편, (더 높은 온도와 조합된) 더 낮은 유속은 모발 가닥들을 성형하는 데 유리하다. 사용 시, 헤어 스타일링 장치는 모발 다발의 건조 및 스트레이트닝을 동시에 수행한다.
유리하게는, 개구부들을 빠져나가는 기류의 특성들은 팬 유닛의 파워 및 여하한의 베인들을 포함하고 있는 개구부들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제 1 단부에서 함께 결합되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를 제공하며, 제 1 아암의 내벽은 제 2 아암의 내벽을 향해 있고,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제 1 아암과 제 2 아암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 내에 모발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플리넘을 포함하고, 상기 플리넘은 캐비티 내의 모발을 향해 기류를 방출하는 공기 유출구, 및 그 사이의 모발을 붙잡는 한 쌍의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한 헤어 클램프(hair clamp)를 포함하며,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각각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내벽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모발과 접촉하는 클램핑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연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와 회수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지지되는 아암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동은 연장된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아암들이 개방된 위치에 있는 경우, 헤어 클램핑 부재들은 연장된 위치에 있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가 사용 중이고 사용자에 의해 아암들이 폐쇄된(평행한) 위치로 압착되는 경우, 헤어 클램핑 부재들은 회수된 위치로 떠밀린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위치에서, 한 쌍의 클램핑 면들 사이의 거리는 제 1 아암의 내벽과 제 2 아암의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각각의 아암의 내벽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바아(elongate bar)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내벽들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에는 온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상기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주변 온도로 되돌아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벽들은 양극산화된 금속(anodised metal)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아암과 평행한 정렬로 위치되고, 아암의 상부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아암은 아암의 내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고,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홈 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홈 내에는 탄성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클램핑 부재는 탄성 수단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다. 또한,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지지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직선의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오목한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힌지(hinge)를 통해 함께 결합되어,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으로 하여금 제 1 아암의 내벽 및 제 2 아암의 내벽이 서로 평행하고 그 사이에 모발 처리 캐비티가 형성되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한다.
아암들 및 중심 몸체는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아암들이 개방된 위치로 편향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매끄럽게 폐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내벽들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에는 온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상기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주변 온도로 되돌아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건조 캐비티 벽은 양극산화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구조가 대칭이고 중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심 몸체도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구조가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유리하게는, 균형 잡힌 장치가 사용자의 손과 팔의 긴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불균형 장치에 비해 무게가 더 가벼운 것으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칭적이고 균형 잡힌 구성이 사용자에 대한 인체공학적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스타일링되고 건조되는 모발 다발은 주로 고압 기류에 의해 곧게 펴진, 일반적으로 정렬된 모발 가닥들을 포함한다. 중요하게는, 모발 다발이 가닥들 사이의 기류로 인한 증가된 볼륨을 가지며, 이는 헤어 스타일링에서 바람직한 특징이다. 대조적으로, 종래의 스트레이트닝 아이론은 2 개의 단단한 가열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모발 다발이 압착될 때 모발 다발의 볼륨을 감소시킨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는 배터리로 작동되거나 주 전력 공급을 통해 동력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위치의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갖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아암들이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 1a에 나타낸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내의 주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략적인 도면;
도 3a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모발 처리 섹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3b는 모발 처리 섹션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개구부 프로파일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베인들을 갖는 개구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모발 처리 섹션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단면도;
도 7a는 헤어 클램프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아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b는 헤어 클램프 구성의 횡단면도;
도 7c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폐쇄된 아암들 사이에 유지된 모발 다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발 처리 섹션의 정면 사시도;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모발 처리 섹션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단면도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코랄링(corralling) 특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하나의 아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모발 처리 섹션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는 힌지(18)에 의해 일 단부에서 함께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아암(12), 제 2 아암(14) 및 중심 몸체(16)를 포함한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10)는 아암들의 힌지 단부를 향하는 핸들 섹션(20) 및 아암들의 원위 단부(distal end)를 향하는 모발 처리 섹션(22)을 포함한다. 모발 처리 섹션(22)은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표면 상의 벽(24, 26)을 포함한다. 벽(24, 26)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지향성 층류 기류를 생성하는 공기 유출구이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중심 몸체(16)의 상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8)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빠져나가는 고속 가열 기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고압 기류를 생성하는 1 이상의 모터 및 기류를 가열하는 1 이상의 가열기를 필요로 한다.
도 2는 중심 몸체(16) 내에 위치된 모터(30) 및 각각의 아암의 모발 처리 섹션 내에 위치된 가열기(32, 34)를 갖는 바람직한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아암들(12, 14)은 각각 제 1 및 제 2 도관들(36, 38)을 통해 중심 몸체에 연결된다. 모터(30)에 의해 생성되는 고압 기류가 제 1 및 제 2 도관들(36, 38)을 통과하여 각각 제 1 및 제 2 플리넘(40, 42)으로 들어간다. 제 1 및 제 2 플리넘(40, 42)은 각각 제 1 및 제 2 아암(12, 14) 내에 하우징된다. 기류는 각각의 아암(12, 14)의 개구부를 통해 플리넘을 빠져나가기 전에, 플리넘의 가열기(32, 34)를 지나간다.
도 3a는 폐쇄된 위치에서의 제 1 및 제 2 아암들(12, 14)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며, 그 사이의 모발 건조 캐비티(44)를 나타낸다. 건조 캐비티(44)는 모발 처리 섹션(22)의 길이 대부분에 대해 연장된다. 화살표들이 제 1 및 제 2 플리넘(40, 42)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개구부들(46, 48)을 통과하여, 건조 캐비티(44)로 들어가는 기류를 나타낸다. 건조 캐비티(44)는 유입되는 고압 기류를 위한 팽창 챔버로서 기능한다. 팽창된 기류는 배기구(50)를 통해 건조 캐비티를 빠져나간다.
상기 장치의 y-축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은 건조 캐비티의 폭은 모발 다발이 움직일 수 있는 이용가능한 볼륨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모발 다발의 움직임이 모발의 가닥들을 분리하여 기류에 노출되는 모발의 더 큰 표면적을 드러내며, 이는 모발 다발을 건조하는 데 더 짧은 시간을 유도한다.
또한, 건조 캐비티의 하단부에 있는 배기구(50)는 수분 방울(moisture droplet)들을 위한 유출구로서 기능한다.
z-축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은 건조 캐비티(44)의 높이는 배기구(50)에서의 기류의 온도를 결정하는 인자이다. 건조 캐비티(44)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개구부들(46, 48)과 배기구(50) 사이의 온도 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캐비티의 치수들 및 유입 개구부들에서의 기류 온도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는 것이, 배기구에서의 기류 온도가 제어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배기구 너머의 기류 온도는 사용자가 피부에 편안하게 느껴야 한다.
도 3b는 개구부들(46, 48)의 대안적인 비대칭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비대칭 개구부 위치들은 대칭 개구부 위치들과 비교하여 건조 캐비티(44) 내에서 더 격렬한 기류 패턴을 조장한다. 유리하게는, 건조 캐비티 내의 더 큰 난기류가 젖은 모발 다발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킨다.
개구부 프로파일은 기류의 출구각(exit angle) 및 속도를 결정한다. 도 4a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출구(46)는 아암의 상부를 향해 위치되고, 기류를 일반적으로 아래쪽으로 지향하도록 기능한다. 공기 유출구(46)는 플리넘(40)으로부터의 채널(52)을 포함하며, 이는 건조 캐비티(44)로의 개구부(54)에서 끝난다. 채널(52)은 건조 캐비티 벽(56)과 상부 플리넘 벽(58)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채널(52)은 개구부(54)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거리(p)에 대해 일정한 폭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채널(52)은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구부(54)의 폭(w)은 약 1 내지 3 mm이고, 모발 처리 섹션(22) 전체에 걸쳐 아암(1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개구부(54)의 폭(w)은 약 1.5 내지 2.5 mm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개구부(54)의 폭(w)은 약 2 mm이다.
z-축에 대한 층류 기류의 출구각(θ)은 상기 장치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모발 다발을 건조하고 스타일링하는지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출구각들(θ)은 30°, 60° 및 45°를 포함한다. 건조 캐비티 벽(56)의 말단(58)은 기류가 플리넘(40)을 빠져나와 채널(52)에 들어갈 때 이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매끄럽고 둥근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건조 캐비티 벽의 말단(58)의 반경은 주로 기류 출구각(θ)을 결정한다.
공기 유출구(46)는 모발 처리 섹션(22)의 길이 대부분에 대해 연장되는 슬롯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의 베인들(60)이 채널(52) 내에서 공기 유출구(46)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각의 베인(60)은 도 5bi 및 5bⅱ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캐비티(44)로의 개구부(54)에 직접 위치되거나 채널(52) 내부로 물러나 있다. 각각의 베인(60)이 슬롯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베인들(60)은 유사한 수직 방위에서 층류 기류를 지향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베인들(60)은 층류 기류의 방위를 제어하도록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들, 및 결과적으로는 기류를 모발 처리 섹션의 중간 지점을 향해 회전시키는 것이 모발 처리 섹션(22)의 중심부로 모발 다발을 코랄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는 직사각형 슬롯(62)일 수 있으며, 이는 슬롯의 길이를 따라 각각의 위치에서 일정한 속도를 갖는 층류 기류를 생성한다. 도 6b는 타원형 개구부(64)를 나타내며, 이는 더 넓은 중심부에서의 상대적으로 더 낮은 속도 및 더 좁은 개구부 단부들을 향해 증가하는 속도를 갖는 층류 기류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슬롯 형상은 모발 처리 섹션의 중심부를 향해 모발 다발을 코랄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역 구성이 도 6c에 도시되어 있으며, 즉 슬롯이 개구부 단부들에서 넓어지는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좁은 유출구를 갖고, 이에 따라 중심부에서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속도 및 개구부 단부들을 향해 감소하는 속도를 갖는 층류 기류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발 처리 섹션을 따라 더 균일하게 젖은 모발 다발을 분포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제 1 아암(12) 및 제 2 아암(14)은 각각 제 1 헤어 클램프(68) 및 제 2 헤어 클램프(70)를 포함한다. 제 1 헤어 클램프(68)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52)에 평행하게 제 1 아암(12)을 따라, 그리고 모발 처리 섹션(22)의 길이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도 7b는 U-형 헤어 클램프 섀시(hair clamp chassis: 74) 및 그 사이의 편향 수단(76)에 지지되는 헤어 클램프 헤드(72)를 포함하는 헤어 클램프(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편향 수단(76)은 헤어 클램프 섀시(74) 내의 홈에 위치되는 일련의 개별 실리콘 플러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헤어 클램프(70)는 아암(14)의 쉘(shell: 78)의 상부 에지에 인접한다.
사용 시, 제 1 및 제 2 세장형 헤어 클램프들(68, 70)은 도 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아암들(12, 14) 사이의 올바른 위치에 모발 다발(80)을 유지하도록 함께 기능한다. 유리하게는, 모발 다발(80)은 헤어 클램프 헤드들에 의해 단단히 유지되지만, 모발 가닥들을 손상시킬 수 있는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사용자가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핸들 섹션에 비교적 높은 압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편향 수단은 압축력이 모발 다발(80)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도록 기능한다.
헤어 클램프(68, 70) 바로 아래에 있는 모발 다발(80)의 섹션은 건조 캐비티(44) 내에 속박되고, 건조 캐비티(44)의 볼륨 내에서 이동의 자유가 제한된다. 또한, 헤어 클램프는 모발 다발로부터 물방울들을 부드럽게 짜내도록 기능한다. 이 방식으로 모발 다발로부터 제거된 이러한 과도한 수분은 건조 캐비티를 통해 떨어지고 상기 장치를 빠져나갈 것이다. 또한, 헤어 클램프는 젖고 뭉친 모발 다발을 더 효율적으로 건조 및 스타일링될 수 있는 더 넓은 층류 형태로 퍼뜨리도록 기능한다.
헤어 클램프 헤드(7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매끄러운 모발 접촉면에 코팅을 갖는다. 수분 및/또는 온도 센서들이 헤어 클램프에 통합되거나 헤어 클램프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헤어 클램프들(68, 70)은 80 mm 내지 180 mm의 길이를 포함하는 동일한 치수들을 갖고, 대략 건조 캐비티의 길이에 대해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헤어 클램프들은 5 mm 내지 15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 몸체 내의 모터에 의해 생성된 고압 기류는 제 1 및 제 2 플리넘들(40, 42)로 지향된다. 제 1 및 제 2 플리넘들은 일반적으로 형태가 대칭이고 볼륨이 동일하다. 제 1 및 제 2 플리넘들(40, 42)은 각각 제 1 및 제 2 아암의 쉘에 대해 정적이거나 유동적(mobile)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의 플리넘(40, 42)이 각각 제 1 및 제 2 아암(12, 14)의 쉘(77, 78)과 유동적 및 탄성적 관계로 유지될 수 있는 2 개의 대안적인 방법들을 나타낸다. 코일 스프링들(82)(도 8a에 도시됨) 또는 실리콘 비드들(84)(도 8b에 도시됨)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들과 같은 1 이상의 편향 수단이 플리넘(40, 42)의 외표면과 각각의 쉘(77, 78)의 인접한 내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편향 수단은 플리넘 표면 또는 쉘 표면 또는 둘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헤어 클램프 헤드는 플리넘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헤어 클램프 헤드(71) 및 캐비티 벽(56)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77)과 유동적 및 탄성적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통합된 구성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상기 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예에서, 플리넘(40, 42)은 각각의 아암(12, 14)의 쉘(77, 78)에 대해 정적이고, 헤어 클램프(68, 70)는 도 8d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암의 쉘에 대해 스프링이 장착된다.
쉘은 액정 폴리머(LCP) 재료 또는 강화 나일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쉘은 플라스틱 재료로 오버몰딩(over mould)되는 강성 금속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의 아암들(12, 14) 사이 및 모발 처리 섹션(22)의 사전설정된 구역 내에 모발 다발(80)을 코랄링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모든 모발 가닥들이 개구부들(46, 48)과 근접하게 유지되어 균일하게 처리되고 "날리는(fly away)" 모발을 감소시킬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코랄링 수단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 9a 내지 도 9d에 개시되어 있으며, 평면도로 예시되어 있다. 모발 처리 섹션(22)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제 1 아암(12)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제 1 돌출부(86) 및 모발 처리 섹션(22)의 힌지 단부를 향해 있는 제 2 아암(14)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제 2 돌출부(88)가 도 9a에 예시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돌출부(86, 88)의 높이는 모발 처리 섹션 내에 모발 다발(80)을 효과적으로 속박하기 위해 유사하여야 한다. 돌출부의 높이는 3 mm 내지 20 mm, 및 바람직하게는 8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코랄링 수단은 제 1 아암(12) 상의 제 1 곡선형 헤어 클램프(90) 및 제 2 아암(14) 상의 제 2 곡선형 헤어 클램프(9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아암들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및 제 2 헤어 클램프 헤드들(90, 92)은 함께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형상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 1 헤어 클램프(94) 및 제 2 헤어 클램프(96)는 도 9c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있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는 모발 처리 섹션의 중간을 향해 변형에 대한 더 낮은 저항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모발 가닥들은 모발 처리 섹션의 중간에서의 최소 저항 영역을 향해 몰린다.
도 9d는 모발 처리 섹션(22)의 적어도 최상부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셔터들(98, 100)을 포함하는 스프링 셔터(sprung shutter)들의 일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셔터(98, 100)는 헤어 클램프 구성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곡선 에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셔터(98, 100)는 아암 쉘(77, 78)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의 아암(12, 14)에 [1 이상의 스프링(102)에 의해] 탄성적으로 부착된다. 각각의 셔터(98, 100)는 연장된 위치를 향해 편향되므로, 모발 처리 섹션(22)의 평면도에서 볼 때 헤어 클램프(68, 70)를 실질적으로 덮는다. 한 쌍의 셔터들(98, 10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한 쌍의 셔터들 사이의 타원형 공간이 최소화된다. 사용 시, 아암들(12, 14)은 초기에 개방된 위치에 있고, 셔터들(98, 100)은 연장된 위치에 있으며, 모발의 다발(80)은 모발 처리 섹션(22)에 끼워진다. 그 후, 아암들(12, 14)은 폐쇄된 위치로 이동되고, 모발 다발(80)은 셔터들(98, 100)과 접촉하게 되어 이들을 회수된 위치를 향하게 한다. 한 쌍의 셔터들(98, 100) 사이의 타원형 공간은 모발 다발(80)이 한 쌍의 셔터들을 밀어낼 때 증가된다. 각각의 셔터의 곡선 에지의 결과로서, 모발 가닥들이 모발 처리 섹션(22)의 중간을 향해 코랄링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코랄링 수단이 모발 처리 섹션 밖으로 떨어지는 개별 가닥들을 최소화한다.
한 쌍의 셔터들(98, 100)이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한 쌍의 셔터들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상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예에서, 단일 셔터가 상기 장치(10)의 최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하한의 개시된 구성에서, 셔터는 직선 에지 또는 오목한 곡선 에지, 또는 직선 및 곡선 에지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모발 처리 섹션(22)을 따라 균일한 건조 및 스타일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공기 유출구(46, 48)를 빠져나가는 기류는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속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플리넘(40, 42)의 횡단면 영역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모발 처리 섹션(22)의 길이를 따라 원위 단부를 향해 크기가 감소한다. 이러한 단면적의 점진적인 감소는 (모터로부터의 증가하는 거리에 결과적인) 기압의 점진적인 감소를 보상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넘(40)의 단면적이 원위 단부를 향해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아암 내에 캐비티(104)가 형성된다. 캐비티(104)는 가열기로부터 아암의 외표면으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쿨월 캐비티(coolwall cavity)로서 기능하여, 사용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티(104)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의 음향 볼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캐비티의 1 이상의 표면에 펠트 또는 유사한 재료 층을 적용하는 것이 모발 처리 섹션(22)을 통과하는 고압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음향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기능한다. 대안적으로, 캐비티(104)는 음향 펠트 또는 다른 절연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안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4a의 치수(p)는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 채널의 일부를 나타낸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부의 채널은 p 부분에서 좁아지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사한 초기 간격의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 채널과 비교하여, 유출구 기류 속도가 증가될 것이다.
도 5a에 나타낸 일련의 베인들은 개구부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전설정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한 간격은 필요한 기류 패턴을 달성하거나, 예를 들어 비틀림 힘 또는 더 큰 열 에너지 축적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들에서 향상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향 수단은 대안적으로 플리넘의 외표면과 쉘의 내표면 사이에 부착되는 리프 스프링일 수 있다. 리프 스프링은 쉘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향 수단은 플리넘의 외표면 또는 쉘의 내표면 상의 복수의 개별 고무 돌출부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헤어 클램프 헤드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넘의 구조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플리넘(40, 42)이 각각의 아암 쉘(77, 78)에 대해 유동적이고 편향될 때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어 클램프 헤드(72)의 표면은 모발 접촉 표면을 유지하지만, 연계된 편향 수단은 스프링 섀시(74) 대신에 플리넘에 부착된다.
도 11은 플리넘(40, 42)으로부터 모발 건조 캐비티로의 공기 유출구의 대안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플리넘(40, 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슬롯 개구부들(106, 108) 형태의 복수의 공기 유출구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들은 1 이상의 열(row)의 개별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개구부들은 여하한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횡단면에서의 개구부 프로파일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 기울어진 유출구 채널을 가져야 한다. 각각의 구성에서, 공기 유출구들은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비대칭 구성은 캐비티(44) 내의 난기류를 증가시키고, 이는 축축한 모발 다발의 기류 침투를 도울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플리넘에서 빠져나오는 기류의 최대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플리넘으로부터의 단일 공기 유출구가 바람직하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헤어 스타일링 장치(10)에 필요한 기류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모터들 및 가열기들의 다양한 구성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들은,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12, 14)의 공기 유출구와 유체 연결되어 중심 몸체(16)에서 직렬로 단일 모터(30) 및 단일 가열기(33)를 포함한다. 도 12b에서, 중심 몸체(16) 및 제 2 아암(14)은 단일 개체로 통합된다. 모터(30)가 중심 몸체(16)에 위치되고, 중심 몸체는 제 1 및 제 2 아암(12, 14) 모두와 유체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제 2 아암(14)만이 가열기(34)를 포함한다.
도 12c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에서, 중심 몸체(16) 및 제 2 아암(14)은 단일 개체로 통합된다. 모터(30)가 중심 몸체(16)에 위치되고, 중심 몸체는 제 2 아암(14)과만 유체 연결된다. 제 2 아암만이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기(34)를 포함한다. 제 1 아암은 헤어 클램프 헤드를 포함하고, 모발 다발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제 1 아암(12)은 건조 캐비티 벽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건조 캐비티(44)를 형성하도록 기능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아암들(12, 14) 각각은 핸들 섹션(20) 내의 모터(30, 31) 및 모발 처리 섹션(22) 내의 가열기(32, 34)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아암들(12, 14) 각각은 모발 처리 섹션(22)에 유출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는 중심 몸체가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서로 평행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모발 처리 섹션 내에서 아암들 사이에 건조 캐비티가 형성된다. 헤어 클램핑 구성은 제 1 및 제 2 아암들에 대해 이동가능한 2 개의 헤어 클램프 헤드들을 갖는다. 각각의 세장형 헤어 클램프 헤드는 인접한 건조 캐비티 벽과 거의 정렬되는 회수된 위치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헤어 클램프 헤드는 다른 헤어 클램프 헤드에 근접해 있는 연장된 위치를 갖는다. 사용 시, 모발 다발이 아암들 사이에 삽입되어 건조 캐비티를 통과한다. 헤어 클램프 헤드들은 회수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이동되어, 이들 사이에 모발 다발을 부드럽게 클램핑한다. 연장된 위치에서, 헤어 클램프 헤드들은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모발 다발 아래로 끌어당길 때, 모발 다발이 헤어 클램프 헤드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탄성 및 탄력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헤어 클램프들은 자동 또는 수동 액추에이터를 통해 회수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예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헤어 스타일링 장치로서:
    제 1 단부에서 함께 결합되는 제 1 아암(arm) 및 제 2 아암 -상기 제 1 아암의 내벽은 상기 제 2 아암의 내벽을 향해 있고,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은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내에 모발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플리넘(plenum)을 포함하고, 상기 플리넘은 상기 캐비티 내의 모발을 향해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 유출구를 포함함- ; 및
    그 사이의 모발을 붙잡는 한 쌍의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한 헤어 클램프(hair clamp)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내벽에 의해 지지됨-
    를 포함하고, 공기 유출구는 배기구를 향하여 기류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연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와 회수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지지되는 아암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동은 상기 연장된 위치를 향해 편향(bias)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모발과 접촉하는 클램핑 면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위치에서, 한 쌍의 클램핑 면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아암의 내벽과 상기 제 2 아암의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헤어 스타일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각각의 아암의 내벽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바아(elongate bar)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상기 아암과 평행한 정렬로 위치되고, 상기 아암의 상부 에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은 상기 아암의 내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홈 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탄성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탄성 수단 상에 위치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인,
    헤어 스타일링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지지체인,
    헤어 스타일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직선의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갖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부재는 오목한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갖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은 힌지(hinge)를 통해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아암의 내벽 및 상기 제 2 아암의 내벽이 서로 평행한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KR1020217034219A 2019-03-22 2020-02-25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590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3959.3 2019-03-22
GB1903959.3A GB2582559C (en) 2019-03-22 2019-03-22 A hair styling appliance
PCT/GB2020/050444 WO2020193940A1 (en) 2019-03-22 2020-02-25 A hair styl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262A KR20210143262A (ko) 2021-11-26
KR102590962B1 true KR102590962B1 (ko) 2023-10-19

Family

ID=6638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219A KR102590962B1 (ko) 2019-03-22 2020-02-25 헤어 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60092A1 (ko)
EP (1) EP3941307B1 (ko)
JP (1) JP7194843B2 (ko)
KR (1) KR102590962B1 (ko)
CN (2) CN111713831A (ko)
GB (1) GB2582559C (ko)
SG (1) SG11202107727QA (ko)
WO (1) WO2020193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037B (en) * 2019-07-30 2023-08-23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GB2600474A (en) * 2020-11-02 2022-05-04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GB2608155B (en) * 2021-06-24 2024-01-10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608157B (en) * 2021-06-24 2023-12-13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608156B (en) * 2021-06-24 2024-01-10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608363B (en) * 2021-06-24 2024-01-10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613795A (en) * 2021-12-14 2023-06-21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614547A (en) * 2022-01-06 2023-07-12 Dyson Technology Ltd Hair styling accessory
WO2023131797A1 (en) * 2022-01-06 2023-07-13 Dyson Technology Limited Hair styling accessory
GB2617201A (en) * 2022-04-01 2023-10-04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drying or styling 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65B1 (ko) 2007-07-16 2008-10-29 (주) 케이.아이.씨.에이 송풍 팬이 내장된 헤어아이롱
DE202009001872U1 (de) * 2009-02-16 2010-07-15 Wik Far East Ltd. Haarformgerät
US20130247407A1 (en) * 2012-03-22 2013-09-26 David Richmond Hair styl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949B2 (ja) * 2004-04-19 2004-09-22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髪処理装置
US20060201527A1 (en) * 2005-01-18 2006-09-14 Sage Communications, Inc. Multifunction hair appliance
AP2317A (en) 2005-08-26 2011-11-04 Joseph Mourad Hairstyling device.
US7445012B2 (en) * 2006-04-12 2008-11-04 Takashi Mukai Hair iron
CN2904744Y (zh) * 2006-06-15 2007-05-30 林大成 带风冷和喷香的头发电热烫拉直器
FR2916944B1 (fr) * 2007-06-11 2009-08-14 Seb Sa Appareil de coiffure
US20100089413A1 (en) 2008-09-15 2010-04-15 Clifford Wright Hair straightening and drying device
FR2961668B1 (fr) 2010-06-25 2013-02-22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 machoires
GB201016028D0 (en) * 2010-09-24 2010-11-10 Daletech Electronics Ltd Hair iron
GB2498516A (en) * 2012-01-10 2013-07-24 Jemella Ltd Hair styling apparatus comprising a curved cooling section
DE102012210275B4 (de) * 2012-06-19 2017-08-31 BSH Hausgeräte GmbH Haartrockner
GB2505171A (en) * 2012-08-20 2014-02-26 Jemella Ltd A hair styling apparatus with a resiliently flexible portion
FR3020930B1 (fr) * 2014-05-14 2016-06-24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 vapeur avec moyens de confinement de la vapeur
FR3023139B1 (fr) * 2014-07-02 2018-02-16 Seb Sa Appareil de coiffure pour former des boucles de tailles differentes
FR3026926B1 (fr) * 2014-10-13 2016-12-23 Seb Sa Accessoire de coiffure a poils et appareil de coiffure equipe d'un tel accessoire
GB2535504B (en) 2015-02-19 2021-01-06 Jemella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542207B (en) 2015-09-14 2021-06-16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GB2545233B (en) * 2015-12-09 2018-06-27 Dyson Technology Ltd Flexible heating plate for hair
US20180055178A1 (en) 2016-08-26 2018-03-01 Bianca Alberti Palm roller for dreadlock 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65B1 (ko) 2007-07-16 2008-10-29 (주) 케이.아이.씨.에이 송풍 팬이 내장된 헤어아이롱
DE202009001872U1 (de) * 2009-02-16 2010-07-15 Wik Far East Ltd. Haarformgerät
US20130247407A1 (en) * 2012-03-22 2013-09-26 David Richmond Hair sty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623A (ja) 2022-06-15
GB2582559C (en) 2024-03-13
CN213096653U (zh) 2021-05-04
SG11202107727QA (en) 2021-08-30
EP3941307A1 (en) 2022-01-26
KR20210143262A (ko) 2021-11-26
EP3941307B1 (en) 2022-12-28
WO2020193940A1 (en) 2020-10-01
GB2582559B (en) 2023-10-04
JP7194843B2 (ja) 2022-12-22
GB201903959D0 (en) 2019-05-08
GB2582559A (en) 2020-09-30
US20220160092A1 (en) 2022-05-26
CN111713831A (zh)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962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590944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기
US9516938B2 (en) Hair styler
KR100444821B1 (ko) 두발스타일링용품및스타일링방법
EP4072372B1 (en) Haircare unit
US8915256B2 (en) Combined device for treating hair
CN112716128A (zh) 一种用于理发的真空辅助系统和方法
US20170095050A1 (en) Multiple Purpose Hair Dryer
KR20210034839A (ko) 헤어 스타일러
KR20190080056A (ko) 헤어 스타일러
US20240090641A1 (en) Scalp-contact-type hair root volumizing styler
US20230025568A1 (en) Vibrating hair straightener with integrated hair care
JP2023001837A (ja) ブラシ付き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ヘアードライヤー
GB2532497A (en) A dividing hair roller
KR20220073293A (ko)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JP2002017430A (ja) クシ付きドライヤー
MX2008002679A (en) Hairsty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