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293A -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 Google Patents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293A
KR20220073293A KR1020200161222A KR20200161222A KR20220073293A KR 20220073293 A KR20220073293 A KR 20220073293A KR 1020200161222 A KR1020200161222 A KR 1020200161222A KR 20200161222 A KR20200161222 A KR 20200161222A KR 20220073293 A KR20220073293 A KR 20220073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tyler
air
generating member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569B1 (ko
Inventor
백경의
Original Assignee
백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의 filed Critical 백경의
Priority to KR102020016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569B1/ko
Priority to PCT/KR2021/016561 priority patent/WO2022114628A1/ko
Priority to US18/038,678 priority patent/US20240090641A1/en
Publication of KR2022007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06Devices for pneumatic waving in form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를 말아서 볼륨을 주는 뿌리볼륨 스타일러로서, 일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그립감을 제공하는 스타일러 본체;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스타일러 본체에서 상기 손잡이의 반대 편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열원을 제공하는 상기 발열부재가 형성되어 뿌리볼륨 작업 시 헤어에 볼륨을 제공하는 봉형상의 볼륨생성부재; 상기 볼륨생성부재 하부의 일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볼륨생성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두피를 보호하는 열차단부재; 및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볼륨생성부재를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Root Volume Styler That Provides Air To The Scalp}
본 발명은 두피를 보호하는 뿌리볼륨 스타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의 화상을 방지하고 에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볼륨형성이 가능한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데기는 모발을 웨이브 내지는 스트레이트로 연출할 때, 사용되는 집게형태의 미용도구이다.
이러한 고데기는 열판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을 집은 상태에서 고데기를 회전시키면서 당기면 웨이브가 연출되고, 직선으로 당기면 스트레이트로의 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고데기는 모발을 집은 상태에서 고데기를 당길 때, 두 개의 열판 사이에 놓인 모발이 서로 엉켜 있어서 정리가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고데기를 당기는 도중 모발이 흐트러져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전기 고데기는, 전기적 발열체를 이용하여 사람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기 고데기는, 곱슬머리 및 인공적인 컬링 퍼머를 직모로 성형하는 스트레이트 퍼머를 하거나, 반대로 직모를 곱슬머리 형태로 만드는 컬링 퍼머를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고데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서로 맞닿도록 된 집게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는 열판 부재를 구비하는데, 열판 부재는 머리카락과 직접 접촉하는 평판형 부재로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양 열판 부재 사이에 머리카락을 끼우고 헤어스타일을 연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고데기는 한 쌍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일직선 형태의 바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열판 부재가 평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전기 고데기를 쥔 손목을 위아래로 돌리거나 꺾는 등의 숙달된 손 기술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미용에 미숙한 사용자에게도 용이하게 스타일 연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전기 고데기 구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탈모의 뿌리 볼륨을 주는 머리 모양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커지고 있는데, 두상의 화상 위험과 작업공간이 시각적으로 확보되지 않은 부분으로 인해 뿌리 볼륨의 제품은 블루오션인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87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상의 위험과 시각적으로 작업상황을 보지 않아도 완성도 있게 작업이 가능하며 신속한 헤어 세팅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헤어를 말아서 볼륨을 주는 뿌리볼륨 스타일러로서, 일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그립감을 제공하는 스타일러 본체;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스타일러 본체에서 상기 손잡이의 반대 편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열원을 제공하는 상기 발열부재가 형성되어 뿌리볼륨 작업 시 헤어에 볼륨을 제공하는 봉형상의 볼륨생성부재; 및 상기 볼륨생성부재 하부의 일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볼륨생성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두피를 보호하는 열차단부재; 및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볼륨생성부재를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재는,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어 에어를 제공하는 송풍 팬; 및 상기 볼륨생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말단부에 에어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송풍 팬에서 생성되는 에어의 유동을 유도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단부재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열차단부재에 접촉되는 피부를 감지하는 피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재, 에어공급부재 및 피부감지센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재, 에어공급부재 및 피부감지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륨생성부재는, 하부 방향을 향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륨생성부재는, 앞부분이 라운드지거나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작은 봉고데기형 볼륨생성부재를 붙여 놓은 형태로 한꺼번에 작업할 수 있으며 뿌리 볼륨 전용으로 단시간에 헤어스타일의 완성을 돕고, 실제로도 미용실에서 펌 등 헤어작업 후 머리카락이 자람과 동시에 뿌리 쪽 볼륨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 뿌리볼륨 스타일러를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고 빠르게 완성도 높은 볼륨을 완성할 수 있고, 드라이와 비교하면 작업시간이 짧지만 그래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4개의 볼륨생성부재를 두피각 100°로 붙여 1번 작업으로 4단 볼륨 넣기가 신속하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뿌리볼륨 스타일러 사용 시 두피 화상 사례가 빈번하므로, 볼륨생성부재의 이동을 270°로 제한하여 설계하고 안전판인 열차단부재를 부착하여 볼륨생성부재에 설치된 발열부재가 두피가 닿지 않아 부피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스타일러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여 좌, 우, 뒤통수 볼륨 작업이 자유롭고 작업이 간단하고, 셀프작업 또한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의 내부에 송풍 팬을 설치하고 에어덕트를 통해서 찬공기를 배출하여 헤어에 볼륨형성 후 신속한 세팅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뿌리볼륨 스타일러의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를 말아서 볼륨을 주는 뿌리볼륨 스타일러로서, 본 발명은 스타일러 본체(100), 발열부재(200), 볼륨생성부재(300), 열차단부재(400) 및 에어공급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 본체(100)는 일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발열부재(200)는 스타일러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부재(200)는 볼륨생성부재(3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뿌리볼륨 작업 시 필요한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볼륨생성부재(300)는 봉형상으로 제작되어 스타일러 본체(100)에서 손잡이(50)의 반대 편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200)가 형성되어 뿌리볼륨 작업 시 헤어에 볼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생성부재(300)는 4개 정도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붙여 한 번의 작업으로 4단 볼륨 넣기가 가능하다.
볼륨생성부재(300)는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며 스타일러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타일러 본체(100)에 볼륨생성부재(3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결합돌기와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적어도 하나가 볼륨생성부재(3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탄성력이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볼륨생성부재(300) 내로의 내삽이 가능하다. 결합홀은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스타일러 본체(10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면서 볼륨생성부재(300)를 스타일러 본체(100)의 결합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볼륨생성부재(300)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하여 이용자의 성향이나 연출환경에 따라 볼륨생성부재(300)의 사이즈를 바꿔가면서 헤어의 볼륨을 크거나 작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륨생성부재(300)는 회전각을 설정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생성부재(300)는 회전각을 대략 270° 각도로 제한되도록 설계하고 안전판인 열차단부재(400)를 하부의 일부분에 부착하여 불˜생성부재(300)에 설치된 발열부재(200)가 두피가 직접 닿지 않도록하여 두피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볼륨생성부재(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발열부재(200)가 볼륨생성부재(300)의 외주면을 모두 감싸는 것(360° )이 아닌,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경우이다. 즉 발열부재(200)가 볼륨생성부재(300)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므로, 뿌리볼륨 작업 시 볼륨생성부재(300)의 발열부재(200)가 볼륨 작업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각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회전각 조절은 별도의 회전각 조절 레버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에 적절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볼륨생성부재(300)는 이용자의 두상에 대응하여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 본체(100)에 구비된 손잡이(50)를 이용하여 볼륨생성부재(300)를 원터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두상의 형상에 따라 좌, 우, 뒷머리의 작업이 자유롭고 자가 작업 또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손잡이(50)로 스타일러 본체(100)를 좌우로 설정된 길이를 벌려서 볼륨생성부재(300)들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 본체(100)는 각각의 볼륨생성부재(300)들 사이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제작되어 각각의 볼륨생성부재(300)들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즉, 스타일러 본체(100)를 여러 개의 다단식 접철식 구조로 제작하여 손잡이(50)를 돌리거나 당기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좌우로의 폭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아랫단 볼륨이 윗단의 지지역할을 해주어 볼륨이 어설퍼 보이지 않고 지속력 또한 높여줄 수 있다.
볼륨생성부재(300)는 하부 방향을 향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볼륨생성부재(300)는 하부 방향을 향해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어 이용자의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타일러 본체(100)는 손잡이(50)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 본체(100)도 손잡이(5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의 곡률 반경이 형성되도록 하여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볼륨생성부재(300)는 앞부분이 라운드지거나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생성부재(300)는 앞부분이 라운드지거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헤어에 볼륨생성부재(300)가 수월하게 삽입되어 볼륨을 주기 위한 헤어 구획을 잘 나눌 수 있다.
볼륨생성부재(300)의 표면에는 설정된 모양의 무늬가 형성되어 있어 모발에 마찰력을 가하여 잡아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륨생성부재(300)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여 모발이 흐트러지지 않게 잡아줄 수 있는데, 볼륨생성부재(300)의 무늬는 머리 작업 방향에 맞게 가로 줄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고, 가로 줄무늬 대신 빗형상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열차단부재(400)는 볼륨생성부재(300) 하부의 일부분을, 더 상세하게는 볼륨생성부재(300)의 발열부재(200)의 하부를 에워싸면서 볼륨생성부재(3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뿌리볼륨 작업시 두피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차단부재(400)는 그 전해지는 외부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단열재는 열전도가 낮고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고강도 PV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Glass), 시멘트(Cement), 석고(Gypsum),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실리카(Silica), 지르코니아(Zirconia), 펄라이트(Pearlite), 규산질(Siliceous), 알루미나질(Allitic), 마그네시아질(Magneseous), 돌로마이트질(Dolomite), 탄소질(Carbonaceous)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공급부재(500)는 스타일러 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볼륨생성부재(300)를 통해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재(500)는 송풍 팬(510) 및 에어덕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510)은 스타일러 본체(100)의 손잡이(50) 부분에 설치되어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510)은 손잡이(50)에 별도로 구비된 온/오프 작동 스위치(20)에 연결되어 수동적으로 작동의 제어가 가능하다.
에어덕트(520)는 볼륨생성부재(300)의 내측에 구비되며 말단부에 에어 홀(30)이 형성되어 있어 송풍 팬(510)에서 생성되는 에어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는, 피부감지센서(530), 컨트롤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감지센서(530)는 열차단부재(4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열차단부재(400)에 접촉되는 피부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스타일러 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발열부재(200), 에어공급부재(500) 및 피부감지센서(530)에 각각 연결되어 발열부재(200), 에어공급부재(500) 및 피부감지센서(5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600)는 피부감지센서(530)로 감지된 피부의 비율이 열차단부재(400)에서 설정된 비율에 도달하는 경우, 즉, 볼륨이 생성된 헤어가 볼륨생성부재(300)를 벗어나고 피부가 대략 1/3 정도 드러났을 때 에어공급부재(500)를 작동시켜서 찬 공기를 분사하여 볼륨업된 헤어의 즉각적인 세팅이 가능하다. 또는, 수동적인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인위적인 에어공급부재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60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작은 봉고데기형 볼륨생성부재(300)를 붙여 놓은 형태로 한꺼번에 작업할 수 있으며 뿌리 볼륨 전용으로 단시간에 헤어스타일의 완성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뿌리볼륨 스타일러(10)를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고 빠르게 완성도 높은 볼륨을 작업할 수 있고, 드라이와 비교하면 작업시간이 짧지만 그래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4개의 볼륨생성부재(300)를 두피각 100°로 붙여 1번 작업으로 4단 볼륨 넣기가 신속하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뿌리볼륨 스타일러(10) 사용 시 두피 화상 사례가 빈번하므로, 볼륨생성부재(300)의 이동을 270°로 제한하여 설계하고 안전판인 열차단부재(400)를 부착하여 볼륨생성부재(300)에 설치된 발열부재(200)가 두피가 닿지 않아 부피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0)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스타일러 본체(100)의 이동이 가능하여 좌, 우, 뒤통수 볼륨 작업이 자유롭고 작업이 간단하고, 셀프작업 또한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50)의 내부에 송풍 팬(51)을 설치하고 에어덕트(520)를 통해서 찬공기를 배출하여 헤어에 볼륨형성 후 신속한 세팅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뿌리볼륨 스타일러
20 : 작동스위치
30 : 에어 홀
50 : 손잡이
100 : 스타일러 본체
200 : 발열부재
300 : 볼륨생성부재
400 : 열차단부재
500 : 에어공급부재
510 : 송풍 팬
520 : 에어덕트
530 : 피부감지센서
600 : 컨트롤러

Claims (6)

  1. 헤어를 말아서 볼륨을 주는 뿌리볼륨 스타일러로서,
    일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그립감을 제공하는 스타일러 본체;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스타일러 본체에서 상기 손잡이의 반대 편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열원을 제공하는 상기 발열부재가 형성되어 뿌리볼륨 작업 시 헤어에 볼륨을 제공하는 봉형상의 볼륨생성부재;
    상기 볼륨생성부재 하부의 일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볼륨생성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여 두피를 보호하는 열차단부재; 및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볼륨생성부재를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재는,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어 에어를 제공하는 송풍 팬; 및
    상기 볼륨생성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말단부에 에어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송풍 팬에서 생성되는 에어의 유동을 유도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열차단부재에 접촉되는 피부를 감지하는 피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 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재, 에어공급부재 및 피부감지센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재, 에어공급부재 및 피부감지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생성부재는,
    하부 방향을 향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두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생성부재는, 앞부분이 라운드지거나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KR1020200161222A 2020-11-24 2020-11-26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KR10243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22A KR102438569B1 (ko) 2020-11-26 2020-11-26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PCT/KR2021/016561 WO2022114628A1 (ko) 2020-11-24 2021-11-12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US18/038,678 US20240090641A1 (en) 2020-11-24 2021-11-12 Scalp-contact-type hair root volumizing sty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22A KR102438569B1 (ko) 2020-11-26 2020-11-26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93A true KR20220073293A (ko) 2022-06-03
KR102438569B1 KR102438569B1 (ko) 2022-09-01

Family

ID=8198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22A KR102438569B1 (ko) 2020-11-24 2020-11-26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6734B1 (ko) * 2022-11-09 2024-11-29 백경의 두피 밀착 및 화상 방지형 뿌리볼륨 헤어 스타일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3061A (en) * 1930-07-18 1931-02-17 Cocroft Susanna Hair-waving device
KR200472103Y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비투와이 모발의 뿌리부 세팅용 헤어 아이론
KR200474370Y1 (ko) * 2013-05-14 2014-09-12 가부시기 가이샤 구레이쓰 헤어드라이어용 분사 노즐
KR101785569B1 (ko) 2016-08-29 2017-10-16 박신애 전기 고데기
KR101788727B1 (ko) 2015-08-13 2017-10-20 이근태 헤어 고데기
KR20200097843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치료용 헤어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3061A (en) * 1930-07-18 1931-02-17 Cocroft Susanna Hair-waving device
KR200474370Y1 (ko) * 2013-05-14 2014-09-12 가부시기 가이샤 구레이쓰 헤어드라이어용 분사 노즐
KR200472103Y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비투와이 모발의 뿌리부 세팅용 헤어 아이론
KR101788727B1 (ko) 2015-08-13 2017-10-20 이근태 헤어 고데기
KR101785569B1 (ko) 2016-08-29 2017-10-16 박신애 전기 고데기
KR20200097843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치료용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569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962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기
ES2479091T3 (es) Tenacilla de cabello
KR101263801B1 (ko) 고데기
US20060150996A1 (en) Hair styling appliance
US20250009102A1 (en) Hair styling appliance
ES2605746T3 (es) Dispositivo de peinado de cabello
US6895975B2 (en) Hot air hair styling device attachment
EP2496110B1 (en) Hair styling apparatus
KR102438569B1 (ko) 에어를 제공하는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CN104544881A (zh) 卷发造型装置
KR102438567B1 (ko)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JP2004230180A (ja) ヘアーアイロン
US20240090641A1 (en) Scalp-contact-type hair root volumizing styler
KR102557868B1 (ko)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KR100959792B1 (ko) 모발 미용기구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CN204541144U (zh) 卷发造型装置
KR101528054B1 (ko) 구조가 개선된 고데기
KR102736734B1 (ko) 두피 밀착 및 화상 방지형 뿌리볼륨 헤어 스타일러
JP2004160247A (ja) ヘアーアイロン
KR101534374B1 (ko) 브러시가 구비된 고데기
CN202603925U (zh) 卷发器
KR101506150B1 (ko) 전열식 헤어 아이론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CN100396208C (zh) 发型定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