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269B1 -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69B1
KR102590269B1 KR1020210140738A KR20210140738A KR102590269B1 KR 102590269 B1 KR102590269 B1 KR 102590269B1 KR 1020210140738 A KR1020210140738 A KR 1020210140738A KR 20210140738 A KR20210140738 A KR 20210140738A KR 102590269 B1 KR102590269 B1 KR 10259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ograph
bus bar
inverted
tram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269B9 (ko
KR20230057502A (ko
Inventor
최경준
전희균
박성원
황현철
곽재호
고상필
백지현
하성호
이승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69B1/ko
Publication of KR10259026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69B9/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60Y2200/912Electric vehicles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vehicle, e.g. trolley buses or t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전 시작전에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여 테스트 과정을 추가 수행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바와 역판토그라프의 문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직관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영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BLE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누설 전류로 인한 통신선 이용 불가 상태가 초래하였을 때 트램으로 문제 상황을 전송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트램의 손상 및 인명 사고를 예방하는데에도 유용한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Inverted pantograph and busbar contact status check system and method for tram autonomous charging}
본 발명은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의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불량과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과정을 추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가선트램은 전용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노면전차로서, 매연이 없고 도시미관의 개선에 유리한 운송 수단이다.
무가선 트램은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며,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여 운행한다.
무가선트램의 노선은 특성에 따라 가선구간과 무가선 구간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가선/무가선 또는 무가선/가선 전이 구간에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트램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되어 전력을 트램(2)으로 전달하는 역판토그라프(10)와, 상기 역판토그라프(10)를 통해 전력을 트램(2)의 배터리로 전달하도록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스바(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트램(2)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충전 시퀀스는 트램(2)의 정차, 판토그라프(10) 및 버스바(20) 연결, 배터리 충전 순으로 진행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차는 운전자가 충전 위치에 트램(2)의 정차를 실시하는 과정이며, 판토그라프(10) 및 버스바(20) 연결은 역판토그라프(10)가 차량 상부에 위치한 버스바(20)로 내려와 접촉되며 연결하는 과정이며, 배터리 충전은 고속 충전을 실시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현재 트램(2) 충전 시 운전자가 트램(2)을 충전 위치에 정위치 정차하여 충전하고 있는 상황으로 육안으로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되는데, 충전을 위한 정위치 정차도 중요한 문제지만 또한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도 중요함에도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는 차량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트램(2)의 충전을 위한 정위치 정차도 중요한 문제지만, 또한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접촉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도 중요함에도 현재 이러한 접촉상태의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전무하다. 따라서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접촉 상태가 불량하거나 이물질이 있을 때 트램(1)의 충전을 시작하게 되면 해당 부품이 훼손되거나, 스파크 및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 트램의 손상 및 인명사고를 야기하여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트램(2)의 충전 시스템의 경우 정위치 정차가 대부분이며, 정위치에 정차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접촉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더라도 역판토그라프(10)나 버스바(20)의 이물질이나 표면의 부식으로 인한 문제는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참고로 이러한 트램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선행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21-0072175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21-0084792호(참고문헌 2) 등이 제된 바 있다.
참고문헌 1: 공개특허 10-2021-0072175호 참고문헌 2: 공개특허 제10-2021-008479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과정을 추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램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불량 상태와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는지를 정확한 판단을 통해 트램의 안전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는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의 충전기에 구비되는 역판토그라프에 설치되어 역판토그라프에 전송하는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와, 트램의 상부에 구비되는 버스바에 전송하는 상기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와,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 및 버스바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과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교판단부는 지상의 충전기에 구비되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로부터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입력받아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며, 상기 버스바 감지부의 버스바 감지시그널은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 또는 버스바 감지부의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 또는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이하이면 역판토그라프 또는 버스바의 접촉불량 또는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하여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감지부는 버스바용 전류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가 접촉된 상태에서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과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버스바 감지시그널 또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크면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접촉 불량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감지부는 버스바용 전류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전 시작전에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여 테스트 과정을 추가 수행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여 버스바에서 전류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접촉 상태 불량 또는 누설 전류 발생을 판단할 수 있고, 역판토그라프에서 전류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접촉 상태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어 구성별로 신속하고도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와 역판토그라프의 문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직관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영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LE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누설 전류로 인한 통신선 이용 불가 상태가 초래하였을 때 트램으로 문제 상황을 전송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트램의 손상 및 인명 사고를 예방하는데에도 유용하다.
도 1은 종래 트램의 배터리 충전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트램의 배터리 충전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 취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을 위한 이벤트 시그널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은 트램의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지상 충전기(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판토그라프(10)와, 트램(2)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스바(20)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와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 등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트램(2)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안전한 충전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되는 역판토그라프(10)에 설치되어 역판토그라프(10)에 전송하는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감지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와, 트램(2)의 상부에 구비되는 버스바(20)에 전송하는 상기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200)와,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및 버스바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과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은 지상의 충전기(1)로부터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되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로부터 직접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입력받아 임계치(Threshold)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며,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의 버스바 감지시그널은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임계치(Threshold)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또는 버스바 감지부(200)의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 또는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 이하이면 역판토그라프(10) 또는 버스바(20)의 접촉 불량이거나 이물질 및 표면 부식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되는 역판토그라프(10)는 트램(2)의 정차시에 버스바(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충전기(1)에서 공급되는 충전전류는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를 거쳐 트램(2)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충전된다.
이와 같은 트램(2)의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고전류인 충전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류에 해당하는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에 공급하게 되며, 이를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및 버스바 감지부(200)에서 검지하게 된다.
이러한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및 버스바 감지부(200)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와 버스바용 전류계(21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는 상기 역판토그라프(10)로 전송되는 저전류에 해당하는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감지하고, 상기 버스바용 전류계(210)는 상기 역판토그라프(10)를 통해 버스바(20)로 전송되는 저전류에 해당하는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감지한다. 이러한 이벤트 시그널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10) 또는 버스바(20)의 접촉 불량이거나 이물질 및 표면 부식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및 버스바 감지부(200)의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 및 버스바 감지시그널을 입력받아 임계치(Threshold) 미만인지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판단부(300)는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트램(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를 접촉한 후 고전류인 충전전류를 전송하기 전, 저전류인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전송하여 매 충전마다 접촉 상태를 확인한다.
이에 비교판단부(300)는 송신된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의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치(Threshold) 값을 정하고,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와 버스바용 전류계(210)에서 수신된 전류측정값인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과 버스바 감지시그널의 크기를 임계치(Threshold)를 비교 판단하여 접촉상태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의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 역판토그라프(10)의 접촉 불량이거나 이물질 및 표면 부식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버스바용 전류계(210)의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 버스바(20)의 접촉 불량이거나 이물질 및 표면 부식이 발생되었거나 누설전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지상의 충전기(1)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로부터 직접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입력받으며,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로부터는 무선으로 버스바 감지시그널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제1 무선통신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트램(2)에는 제2 무선통신부(4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400,410)는 블루투스(BLE)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블루투스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접촉 불량 또는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400,410)를 통해 트램(2)으로 전송하여 해당 부품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빠르고 정확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과정을 설명한다.
트램(2)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를 접촉하고, 고전류인 충전전류를 전송하기 전, 우선 저전류인 이벤트 시그널(event signal)을 전송하여 매 충전마다 접촉 상태를 확인한다.(S1)
이에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 및 버스바 감지부(200)를 구성하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 및 버스바용 전류계(210)에서 수신된 전류측정값인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 및 버스바 감지시그널의 크기를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한다.(S2,S3)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을 임계치(Threshold)와 비교(S2)하여,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또는 미만) 버스바(20)에서 전류 손실이 발생한 것을 판단하고 이후 단계(S3)에서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임계치(Threshold)와 비교(S3)하여,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또는 미만)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에서 접촉 불량 발생으로 판단(S4)하고,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크면(또는 이상) 누설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S5)한다.
한편,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단계(S2)에서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크면(또는 이상) 정상으로 판단하여 충전을 시작(S7)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판단부(300)는 상기 단계(S4 또는 S5)와 같이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접촉 불량 또는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2)으로 전송한다.(S6)
이에 트램(2)에서는 해당 부품인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빠르고 정확한 편리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8)
위에서 설명한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10) 및 버스바(20)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을 정리하면, 트램(2)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 역판토그라프(10)와 버스바(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버스바(20)에 흐르는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과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버스바 감지시그널 또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2)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Threshold)보다 작으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크면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접촉 불량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100)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110)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감지부(200)는 버스바용 전류계(210)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충전기 2: 트램
10: 역판토그라프 20: 버스바
100: 역판토그라프 감지부 200: 버스바 감지부
300: 비교판단부 400: 제1 무선통신부
410: 제2 무선통신부

Claims (8)

  1. 트램의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불량과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의 충전기에 구비되는 역판토그라프에 설치되어 고전류인 충전전류를 전송하기 전 역판토그라프에 전송되는 저전류의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부와, 트램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전류인 충전전류를 전송하기 전 버스바에 전송되는 저전류의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와,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 및 버스바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과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교판단부는 송신된 이벤트 시그널의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치 값을 정하며,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의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 또는 버스바 감지부의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이하이면 역판토그라프 또는 버스바의 접촉불량 또는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하여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부는 지상의 충전기에 구비되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로부터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입력받아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며, 상기 버스바 감지부의 버스바 감지시그널은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감지부는 버스바용 전류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5. 트램의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의 접촉 불량과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트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 역판토그라프와 버스바가 접촉된 상태에서 저전류의 이벤트 시그널을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이벤트 시그널을 감지하는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과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버스바 감지시그널 또는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충전불가상황을 알리는 충전불가 정보를 생성하여 트램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송신된 이벤트 시그널의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치 값을 정하며, 상기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버스바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바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크면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역판토그라프 감지시그널이 임계치 보다 작으면 접촉 불량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판토그라프 감지부는 역판토그라프용 전류계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감지부는 버스바용 전류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방법.
KR1020210140738A 2021-10-21 2021-10-21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59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38A KR102590269B1 (ko) 2021-10-21 2021-10-21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38A KR102590269B1 (ko) 2021-10-21 2021-10-21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02A KR20230057502A (ko) 2023-05-02
KR102590269B1 true KR102590269B1 (ko) 2023-10-20
KR102590269B9 KR102590269B9 (ko) 2023-12-08

Family

ID=8638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738A KR102590269B1 (ko) 2021-10-21 2021-10-21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2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232A (ja) * 2004-03-05 2005-09-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パンタグラフ故障診断装置
JP2011166961A (ja) * 2010-02-10 2011-08-25 Toshiba Corp 交流電気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57B1 (ko) * 2012-09-27 2014-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로 접촉률 측정장치
KR102421278B1 (ko) 2019-12-06 2022-07-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배터리 구동형 교통수단의 지붕 충전 감시 장치
KR102403321B1 (ko) 2019-12-27 2022-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트램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232A (ja) * 2004-03-05 2005-09-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パンタグラフ故障診断装置
JP2011166961A (ja) * 2010-02-10 2011-08-25 Toshiba Corp 交流電気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269B9 (ko) 2023-12-08
KR20230057502A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0148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electrical storage system in a vehicle
US9758044B2 (en) Bus leakage resistance estimation for electrical isolation testing and diagnostics
US20230155401A1 (en) Power storage pack, electric moving body, charging device
WO2017208740A1 (ja) 管理装置および電源システム
WO2010113936A1 (ja) 充電システム、電動車両の充電方法、および電動車両
CN103108770A (zh) 电动汽车及其应急控制方法
CN103097177A (zh) 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EP3471991B1 (e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verifying the contact between a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EP3015307B1 (en) Evse shorted cable protection method
US109133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al insulation resistance in an electric system
JP6433710B2 (ja) 車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0113927A1 (ja) 電動車両用充電器および地絡検出方法
JP6356783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を充電する間の誤りを検出する方法及び構造
CN111994128B (zh) 城轨列车辅助逆变器并网控制方法及系统
CN205202752U (zh) 一种交流电力机车牵引系统
KR20220039089A (ko) 전력 제어 장치 및 그의 단선 고장 진단 방법
US20230095740A1 (en) Electricity storage pack, electric mobile body, and charging device
KR102590269B1 (ko) 트램의 자율 충전을 위한 역판토그라프 및 버스바의 접촉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4540704A (zh) 用于检测控制信号线的诊断装置
JP6767215B2 (ja) 鉄道車両の地絡検出システム
CN108749579B (zh) 一种高压系统的接地自检方法、装置、高压系统及汽车
US20160167520A1 (en) Battery control device
US202101410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faults along an energy supply chain for dc current systems
KR101735738B1 (ko) 과충전 방지 장치 및 이의 고장 진단 방법
JP6764732B2 (ja) 鉄道車両の地絡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