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21B1 - 유압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21B1
KR102590021B1 KR1020230048736A KR20230048736A KR102590021B1 KR 102590021 B1 KR102590021 B1 KR 102590021B1 KR 1020230048736 A KR1020230048736 A KR 1020230048736A KR 20230048736 A KR20230048736 A KR 20230048736A KR 102590021 B1 KR102590021 B1 KR 10259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ousing
peripheral surface
fixing material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to KR102023004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2Hydraulic equipment, e.g. pistons, valves, rotary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resilient metallic rings or sleeves
    • B23B31/1178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resilient metallic rings or sleeves using fluid-pressure means to actuate the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유압 장치의 바디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향상된 유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압 장치는,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슬리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공구를 파지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소정의 유압을 가지는 유압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챔버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 챔버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조절부는 일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부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장치{HYDRAULIC DEVICE}
본 발명은 유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 가능한 유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 확장식 척(hydraulic expansion chuck)의 경우, 본체의 일단에는 공작기계의 장착샤프트에 끼워지는 테이퍼진 장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구(예: 드릴 등)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공은 본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체결 슬리브의 중공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의 일측에는 피스톤이 구비된 유압챔버가 형성되어 조정볼트로 유압을 가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압챔버에는 오일통로가 연통되고, 오일통로는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을 홈가공하여 본체와 체결 슬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작동실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장입부 내부에는 절삭유 유입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일측에는 오일통로 또는 유압작동실과 연통되며 볼트에 의해서 개폐되는 에어벤트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압 확장식 척에 공구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체결 슬리브의 체결공에 공구를 삽입한 후, 조정볼트를 조이면 유압챔버의 유압이 오일통로를 거쳐 유압작동실로 전달되어 체결 슬리브의 내경을 수축시켜서 공구를 체결하게 된다. 한편, 공구를 분리하는 경우, 조절볼트를 풀어서 유압작동실의 유압을 낮춤으로써 체결 슬리브의 내경을 재확장시켜 공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 확장식 척의 경우,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볼트를 지지하는 구성의 유압챔버에 대한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조정볼트를 통한 오일의 유압 조절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클램핑 볼트)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유압 장치의 바디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향상된 유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압 장치는,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슬리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공구를 파지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소정의 유압을 가지는 유압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챔버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 챔버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조절부는 일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부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유압 조절부를 수용하는 상기 바디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각각 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상기 피스톤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의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재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실링부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함입홈보다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멀게 배치된 실링부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가 모따기되어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부에는 상기 고정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측 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나사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은 상기 바디의 반경 방향 및 상기 바디의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는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고정재가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경사 방향을 따라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마주보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 측에 위치한 단부 및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된 한 쌍의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차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재를 주입하기 위한 고정재 주입 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된 단차부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상기 고정재 주입 공간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재는 금속 소재의 페이스트를 포함하고, 용융점 이상의 특정 온도에서 가열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의 유압 장치의 바디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유압 매체의 유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압 장치의 바디 내에 구비된 슬리브에 의한 공구의 파지 및 분리가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장치에서, 유압 챔버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장치에서, 유압 조절부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압 장치에서, 유압 조절부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압 장치(10)에서, 유압 챔버(200)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압 장치(10)에서, 유압 조절부(300)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유압 장치(10)에서, 유압 조절부(300)가 구비된 영역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방향은 후술되는 유압 장치(10)의 반경 방향, Z축 방향은 수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된 유압 장치(10)의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는, 바디(100), 유압 챔버(200) 및 유압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유압 장치(10)는, 유압 확장식 척(hydraulic expansion chuck)의 일종일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공구(C, 도 1 참조)를 파지하기 위한 슬리브(S)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공구(C)는, 드릴, 엔드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공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100)는, 공작기계의 장착샤프트(미도시)에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장착샤프트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슬리브(S)에 의해 파지된 공구(C)에 전달하여 공구(C)가 구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챔버(200)는, 바디(100)에 구비되고, 슬리브(S)가 공구(C)를 파지하도록 슬리브(S)에 소정의 유압을 가지는 유압 매체(미도시, 예: 오일)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슬리브(S)는, 바디(100)의 반경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볼 때, 유압 챔버(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챔버(200)는, 바디(100)의 축 방향(Z축 방향)에서 볼 때, 슬리브(S)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조절부(300)는, 바디(100)에 구비되고, 유압 챔버(200) 내로 유입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유압 조절부(300)는, 바디(100)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은,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을 통해 유압 챔버(200)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조절부(300)는, 클램핑부(310), 하우징(320) 및 피스톤(330), 고정재(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310)는,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일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클램핑부(310)는, 외부의 조절 공구(미도시)와 내주면이 나사 결합되어 조절 공구의 회전에 따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일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램핑 볼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310)가 구동되는 일 방향은, 바디(100)의 반경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중심축과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평행축에서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0)은, 클램핑부(310)를 내부에 수용하고, 바디(1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20)은, 바디(100)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320)은, 그 내주면에 클램핑부(310)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 가능한 내측 나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램핑부(310)는 조절 공구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3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나사부(미도시)와 맞물리면서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일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30)은, 단부가 하우징(3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30)은, 클램핑부(310)에 연결되어 클램핑부(310)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330)의 단부는, 클램핑부(310)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330)이 클램핑부(310)의 구동에 따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 측으로 이동되거나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압 챔버(200) 내로 유입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 매체는,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피스톤(330)이 수용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하우징(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330)이 클램핑부(310)의 구동에 따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피스톤(330)이 유압 매체를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 측으로 가압하면서 유압 챔버(200) 내로 유입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S)의 외면에 유압 매체의 유압이 가해지면서 슬리브(S)가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S)가 공구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330)이 클램핑부(310)의 구동에 따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유압 매체 공급 채널(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유압 챔버(200) 내의 유압 매체의 유압이 낮아지면서 슬리브(S)가 원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S)로부터 공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슬리브(S)는, 외면에 가해지는 유압 매체의 유압에 따라 수축되거나 원상복귀가 용이하도록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하우징(320)을 바디(100)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고정재(P)는, 구리(copper) 소재, 은(silver) 소재 등의 금속 소재의 페이스트(pas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도포된 후 진공 브레이징 공법이 수행되는 방식으로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브레이징 공법은, 특정 온도(예: 450℃ 이상)의 용융점을 가진 브레이징용 금속 소재(금속 소재의 페이스트)를 모재의 고상선 온도(고체 전체가 완전히 액체로 변하는 온도) 이하로 가열을 하여 브레이징용 금속 소재만 용융시킨 뒤에 접합하고자 하는 두 모재 사이에 삽입하여 두 모재를 접합하는 공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고정재(P)는, 용융점 이상의 특정 온도에서 가열된 상태로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바디(100) 사이에 삽입되어 하우징(320)을 바디(100)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고정재(P)를 이용한 하우징(320)과 바디(100) 사이의 결합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클램핑부(3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320)의 유압 장치(10)의 바디(100)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유압 매체의 유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압 장치(10)의 바디(100) 내에 구비된 슬리브(S)에 의한 공구의 파지 및 분리가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바디(100)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클램핑부(3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320)을 바디(10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부(310)가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서 일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 및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과 각각 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하우징(320)과 바디(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0)는, 함입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입홈(112)은, 피스톤(330)이 배치된 하우징(320)의 외주면의 영역과 마주하는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입홈(112)은, 피스톤(330)의 단부가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320)의 외주면의 영역과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함입홈(112)은, 클램핑부(310)와 연결되는 피스톤(330)의 부분에 대응되는 바디(10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입홈(112)에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재(P)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함입홈(112)으로 유입된 고정재(P)의 일부는, 함입홈(112) 전체를 채우면서 함입홈(112)의 내면 및 함입홈(112)과 마주하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의 영역과 각각 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핑부(310)와 피스톤(330)의 연결 부분에 대응되는 바디(100)의 영역(함입홈(112))에 고정재(P)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클램핑부(3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한 영역(클램핑부(310)와 피스톤(330)의 연결 부분))에서의 하우징(320)의 바디(100)에 대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유압 조절부(300)는, 실링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40)는, 피스톤(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링부(340)는, 피스톤(330)의 단부와 하우징(320) 사이의 틈 및 하우징(320)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는, 실링부 수용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 수용홈(114)은, 실링부(340)를 수용하고,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함입홈(112)보다 클램핑부(310)로부터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실링부(340)를 통해 하우징(320)의 내부 및 하우징(320)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사이의 틈으로 유압 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30)이 배치된 하우징(320)의 외주면의 영역과 마주하는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112)에 고정재(P)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320)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사이의 틈으로 유압 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1)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장치(11)에서, 하우징(320)은, 모따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부(322)는, 하우징(320)에서 피스톤(330)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하우징(320)의 외측 단부)가 모따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따기부(322)에는, 고정재(P)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재(P)는, 모따기부(322)의 둘레 방향 측면에 대략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모따기부(322)에 구비된 고정재(P)는, 전술한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사이에 구비된 고정재(P)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모따기부(322)에 구비된 고정재(P)는, 모따기부(322)의 둘레 방향 측면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부(3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한 영역(하우징(320)의 외측 단부)에서의 하우징(320)의 바디(100)에 대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2)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장치(12)에서, 하우징(320)은 복수의 외측 나사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측 나사부(323)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에도, 외측 나사부(323)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외측 나사부(323) 사이의 공간에는, 고정재(P)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재(P)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으로부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외측 나사부(323)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00)와 하우징(320) 간의 나사 결합을 통해 하우징(320)에 대해 바디(100)를 보다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 형성된 하우징(320)의 외측 나사부(323) 사이의 공간에 고정재(P)를 도포하여 바디(100)에 대한 하우징(320)의 결합 면적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3)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3)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장치(13)에서, 바디(100)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은, 바디(100)의 반경 방향 및 바디(10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예: 10도 이상)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조절부(300)의 하우징(320)은, 상기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는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바디(100)의 함입홈(112)에는, 고정재(P)가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경사 방향을 따라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20)이 바디(100)의 반경 방향 및 바디(100)의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고 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함입홈(112) 내부로의 고정재(P)의 유입이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4)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장치(14)에서, 하우징(320)은, 복수의 돌기(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324)는, 하우징(3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과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재(P)는, 복수의 돌기(324) 사이의 공간 및 하우징(320)의 외주면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 내주면 사이의 공간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324) 사이의 공간에 고정재(P)를 도포하여 바디(100)에 대한 하우징(320)의 결합 면적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5)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5)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장치(15)에서, 하우징(320)은 한 쌍의 단차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차부(325)는, 하우징(320)에서 피스톤(330) 측에 위치한 단부 및 피스톤(330)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하우징(320)의 외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단차부(325) 사이에는, 고정재(P)를 주입하기 위한 고정재 주입 공간(325a)이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재(P)는, 하우징(320)에서 피스톤(330)과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된 단차부(325)에 형성된 주입홀(H)을 통해 고정재 주입 공간(325a) 내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주입홀(H)을 통해 고정재 주입 공간(325a) 내로 고정재(P)가 주입될 때, 주입되는 고정재(P)에 의해 주입홀(H) 또한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를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11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돌출시키고, 하우징(320)의 양측 단부 사이의 공간에 고정재(P)를 배치시킴으로써, 클램핑부(3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한 영역(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서의 하우징(320)의 바디(100)에 대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압 챔버(200) 내로 공급되는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11, 12, 13, 14, 15 : 유압 장치
100 : 바디
200 : 유압 챔버
300 : 유압 조절부
310 : 클램핑부
320 : 하우징
322 : 모따기부
323 : 외측 나사부
324 : 돌기
325 : 단차부
330 : 피스톤
340 : 실링부

Claims (11)

  1.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슬리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공구를 파지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소정의 유압을 가지는 유압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챔버;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 챔버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유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조절부는,
    일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클램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부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압 매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유압 조절부를 수용하는 상기 바디의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각각 면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피스톤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의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재의 일부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실링부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함입홈보다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멀게 배치된 실링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가 모따기되어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부에는,
    상기 고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측 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나사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은,
    상기 바디의 반경 방향 및 상기 바디의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는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함입홈에는, 상기 고정재가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경사 방향을 따라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마주보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 측에 위치한 단부 및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구비된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압 조절부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된 한 쌍의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차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재를 주입하기 위한 고정재 주입 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된 단차부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상기 고정재 주입 공간 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재는,
    금속 소재의 페이스트를 포함하고,
    용융점 이상의 특정 온도에서 가열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KR1020230048736A 2023-04-13 2023-04-13 유압 장치 KR10259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736A KR102590021B1 (ko) 2023-04-13 2023-04-13 유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736A KR102590021B1 (ko) 2023-04-13 2023-04-13 유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021B1 true KR102590021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736A KR102590021B1 (ko) 2023-04-13 2023-04-13 유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910A (ko) * 2007-04-06 2008-10-09 김기문 유압 척
KR20090093941A (ko) * 2006-11-04 2009-09-02 케나메탈 아이엔씨. 공구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941A (ko) * 2006-11-04 2009-09-02 케나메탈 아이엔씨. 공구 홀더
KR20080090910A (ko) * 2007-04-06 2008-10-09 김기문 유압 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451A (en) Clamping device for machine tools
US6595528B2 (en) Chuck for the clamping of tools by shrink fit
US5567093A (en) Seal for coolant-fed tools
US10293413B2 (en) Hydraulic expansion chuck
US10525560B2 (en) Tool holder
CN100441375C (zh) 带顶盖夹具及夹具用顶盖
RU2621091C2 (ru) Узел шпинделя станка
RU2438835C1 (ru) Втулка с горячей посадкой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оправки
JP6400481B2 (ja) 内部流体送出システムを備えた切削工具
US20020131819A1 (en) Connection point
US20020034427A1 (en) Tool holder and cooling apparatus therefor
JP2004148495A (ja) 精密加工工具の刃の位置を調整する装置
KR102590021B1 (ko) 유압 장치
KR20150031188A (ko) 플라즈마 절단 토치용 전극 구조부
CN100393459C (zh) 夹套
JP4589304B2 (ja) 工具受容要素およびその位置決めのためのアダプター
CN101578440A (zh) 筒体壁面的通孔制造方法及筒体结构
KR102593929B1 (ko) 유압 장치
US20050184472A1 (en) Hydraulically actuated holder
SE525778C2 (sv) Hydromekanisk fastspänningsanordning med expanderingsorgan med samverkande konytor
JP2698757B2 (ja) 工具ホルダ
JP2698760B2 (ja) 工具ホルダ
WO1995029029A1 (en) Hydraulic bushing with axially displaceable pressurizing means at the rear of the bushing
KR101924877B1 (ko) 연마휠 비간섭식 헤드 구조와 후방 주입식 유로 구조를 갖는 유압척
WO2021053810A1 (ja) ハイドロ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