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985B1 - 도로안전 유도등 - Google Patents

도로안전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985B1
KR102589985B1 KR1020230067463A KR20230067463A KR102589985B1 KR 102589985 B1 KR102589985 B1 KR 102589985B1 KR 1020230067463 A KR1020230067463 A KR 1020230067463A KR 20230067463 A KR20230067463 A KR 20230067463A KR 102589985 B1 KR102589985 B1 KR 10258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light
unit
fo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영
Original Assignee
(주)피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엘티 filed Critical (주)피엘티
Priority to KR102023006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op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대한 발명으로서, 안개발생 등에 의해 점멸되는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등에 있어서, 상황에 대응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둘 이상의 색이 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고도의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등몸체(100); 상기 유도등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와,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에 형성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LED모듈(220)을 포함하는 신호정보생성부(200);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부(300);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로안전 유도등{Road Safety Guide Light}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대한 발명으로서, 안개발생 등에 의해 점멸되는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등에 있어서, 상황에 대응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둘 이상의 색이 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고도의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는 발명이며,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안개발생에 따른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교량, 해안가, 산림지역의 도로에 설치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생성되는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 안개의 농도에 따라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다양한 색을 조합시켜 운전자에게 고도의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KR 10-2015-0117892 A (공개일자 2015년10월21일) KR 10-2023-0024124 A (공개일자 2023년02월20일) KR 10-2010-0094226 A (공개일자 2010년08월26일) KR 20-0277135 Y1 (등록일자 2002년05월21일)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대한 발명으로서, 안개발생 등에 의해 점멸되는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등에 있어서, 상황에 대응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둘 이상의 색이 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고도의 주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등몸체(100); 상기 유도등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와,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에 형성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LED모듈(220)을 포함하는 신호정보생성부(200);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부(300);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LED모듈(220)은 파장을 제어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는 양자점(quantum-dot)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수신부(410)와, 안개정보 및 동작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수단(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안개정보를 측정하는 안개정보센서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동물의 통행을 방지하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수단, 동물로 빛을 조사하는 빛발생수단,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수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로드킬방지수단(4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어 도로로 빛을 조사하는 도로조명부(5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가 이탈 시 알람하는 배터리도난방지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개의 농도 등 선택되는 상황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둘 이상의 색을 조합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고도의 주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을 확인할 수 있어 안개가 발생하였을 때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상청으로부터 안개정보를 획득하여 동작하거나, 센서를 통해 현장의 안개정보를 획득하여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상청의 안개정보 및 현장의 안개정보를 취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도로안전 유도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로안전 유도등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신호정보생성부의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신호정보생성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신호정보생성부의 다른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신호정보생성부의 또 다른 동작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어부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 제어부의 다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 제어부의 또 다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 도로조명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에너지공급부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인용번호는 지정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번호를 인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의 하위개념은 직접기재 하지 않아도 내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등몸체(100); 상기 유도등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와,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에 형성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LED모듈(220)을 포함하는 신호정보생성부(200);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부(300);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몸체(100)는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가 결합되는 전면몸체(110)와, 상기 전면몸체(120)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몸체(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는 힌지결합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몸체(100)는 알루미늄합금 재질, 플라스틱수지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상기 LED모듈(220)을 외부와 차단하는 보호커버(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30)는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차양막(240)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교량, 해안, 습도가 높은 산림지역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신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도로의 운행에 있어 주의 및 안내를 제공하는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유도등몸체(100), 신호정보생성부(200), 에너지공급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도등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유도등몸체(100)는 선택되는 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에 고정되어 도로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수월한 신호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유도등몸체(100)는 신호정보생성부(200)가 결합되는 전면몸체(110)와, 전면몸체(110)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몸체(120)를 포함한다.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간의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의 일측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회동동작을 통해 접촉하여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유지보수를 위해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유도등몸체(100)는 알루미늄합금 재질, 플라스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이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교량, 해안가 등 습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되는 만큼, 염분을 포함하는 바람 등에 의한 부식, 수분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등몸체(100)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도등몸체(100)를 이루는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는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전면몸체(110)와 후면몸체(120)가 결합되는 영역은 실링을 위한 실링수단의 구비를 위해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전면몸체(110)에 결합되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와,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에 형성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LED모듈(220)을 포함한다.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전면몸체(110)에 형성되어 마주하여 다가오는 운전자에게 신호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안개의 발생에 따라 시야가 흐려지는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함과 함께, 도로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지속적으로 신호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기 위해 점멸에 의한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안개의 따른 가시거리, 도로의 형상을 포함하는 고려되는 사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는 전면몸체(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다수의 LED모듈(220)이 형성되는 기본몸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는 LED모듈(2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선택되는 방향 제어를 위한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정보생성부(200)는 LED모듈(220)의 보호를 위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230)를 포함한다.
보호커버(230)는 LED모듈(220)과 이격되어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모듈(220)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한다. 이때 보호커버(230)는 LED모듈(220)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간섭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 또는 빛의 투과가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커버(230)는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커버(230)가 파손될 경우, 유지보수가 진행될 때까지의 시점까지의 LED모듈(220)의 보호를 위해 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차양막(240)을 포함한다.
차양막(240)은 LED모듈(22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가 햇빛을 포함하는 외부의 빛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호정보를 운전자에게 수월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양막(240)은 확산판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운전자에게 좀 더 집중적인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에너지공급부(300)는 동작을 위한 에너지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에너지공급부(300)는 옥외배선으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포함하여 태양광, 풍력, 압전기 등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공급부(300)의 배터리는 외부로부터의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수분, 온도의 변화에 따른 성능저하를 방지하도록 유도등몸체(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0)는 에너지공급부(300)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작과, 신호정보생성부(200)에서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400)는 신호정보생성부(200)에서의 동작과 점멸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분 및 이물질 등에 의해 오작동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도등몸체(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220)은 파장을 제어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는 양자점(quantum-dot)층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색으로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색을 조합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신호정보생성부(200)의 LED모듈(220)은 파장을 제어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는 양자점(quantum0dot)층을 포함한다. 즉 LED모듈(220)은 다수의 LED로부터 나오는 빛의 파장을 제어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선택되는 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의 (a)와 같이, 파장의 제어를 통해 기존의 황색(yellow), 적색(red), 짙은 적색(deep red)으로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낮은 농도의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기존의 황색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며, 안개의 농도가 짙어져 가시거리가 줄어드는 경우에는 적색 또는 짙은 적색의 신호정보를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기존의 황색에 비해 좀 더 강한 주의를 요구하도록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b)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낮은 농도의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기존의 황색의 신호정보를 생성하고, 안개의 농도가 짙어져 가시거리가 줄어드는 경우에는 황색과 더불어 적색, 짙은 적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신호정보를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좀 더 강한 주의를 요구하도록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상술된 일 예외에 다양한 색을 가지는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양한 색의 조합으로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색으로 조합될 경우 서로 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하거나, 다른 색을 가지는 빛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차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 실시예 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220)은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형상시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4,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원형 형상의 신호정보뿐만 아니라,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을 가지는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진행하는 도로의 좌, 우 방향으로의 형상을 일부 파악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유도등은 도로를 따라 배열되므로, 직면하는 유도등의 다음 유도등에서 생성된 신호정보 위치를 파악하여 도로의 형상을 유추할 수 있는데, 농도의 안개가 짙어져 다음 유도등의 신호정보가 파악이 되질 않을 경우, 급작스러운 도로의 좌우 방향으로의 진행에 대비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신호정보생성부(200)가 선택되는 방향 즉, 좌, 우 방향으로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지시하는 삼각형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지시하는 꺽인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진행하는 도로가 직선일 경우에는 좌, 우 방향이 아닌 삼각형의 꼭짓점, 꺽인 형상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진행하는 도로가 직선임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신호정보생성부(200)는 LED모듈(220)이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형상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된 구성 외에 좌, 우 방향으로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 및 수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으로 유도등몸체(10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신호정보생성부(200)는 다른 장소에 배치될 시, 진행하는 도로의 형상에 대응하여 별도로 형성할 필요 없이, 신호정보생성부(200)를 진행되는 도로에 대응하여 좌, 우, 상(직진) 방향을 안내하도록 유도등몸체(10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제조 비용 및 유지를 위한 별도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수신부(410)와, 안개정보 및 동작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수단(42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기상청으로부터 안개정보를 획득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부(4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수신부(410) 및 외부로부터 안개정보 및 동작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수단(420)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400)는 GPS수신부(410)를 통해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통신수단(420)을 통해 안개의 발생여부정보, 안개의 농도정보를 포함하는 안개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정보생성부(200)가 생성하는 동작의 제어, 신호정보의 색 제어, 신호정보의 휘도 제어, 신호정보의 점멸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신수단(420)은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안개정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위치하는 장소에서의 안개의 발생여부정보 및 안개의 농도정보를 제어부(400)로 제공함으로써, 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한 예로서, 선택되는 수의 도로안전 유도등을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하고, 그 중 선택되는 하나의 유도등에서는 GPS수신수(410)와 통신수단(420)을 통해 안개정보를 획득하되, 나머지 유도등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도등에서만의 제어를 통해 나머지 유도등 또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안개정보를 측정하는 안개정보센서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 실시예 5-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수단(420)을 통해 획득되는 안개정보와, 상기 안개정보센서부(430)로부터 획득되는 안개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400)는 안개정보를 측정하는 안개정보센서부(430)를 포함한다.
안개정보센서부(430)는 안개의 발생여부정보 및 안개의 농도정보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400)로 제공하고, 제어부(400)는 이의 안개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정보생성부(200)가 생성하는 동작의 제어, 신호정보의 색 제어, 신호정보의 휘도 제어, 신호정보의 점멸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안개정보센서부(430)는 가시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등 안개의 발생여부 및 안개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개정보를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안개정보센서부(430)는 이미지센서 외에 안개의 발생여부 및 안개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통신수단(420)을 통해 안개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안개정보센서부(430)를 통해 안개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수단(420)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안개정보센서부(430)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안개정보센서부(430)가 고장 및 파손될 경우에는 통신수단(420)을 통해 획득된 안개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통신수단(420)을 통해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는 안개정보와 안개정보센서부(43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획득되는 안개정보를 종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400)는 보다 정확한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동물의 통행을 방지하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수단, 동물로 빛을 조사하는 빛발생수단,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수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로드킬방지수단(44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로드킬방지수단(440)은 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수단(441)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동물감지수단(441)은 이미지센서, 초음파모션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제어부(400)는 동물의 통행을 방지하는 로드킬방지수단(440)을 포함한다.
로드킬방지수단(440)은 초음파, 빛, 소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물의 통행을 방지함으로써, 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로드킬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로드킬방지수단(440)은 동물이 싫어하는 영역의 극초음파를 발생시켜 동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초음파발생수단, 점멸되는 빛을 조사하여 동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빛발생수단, 동물이 싫어하거나 천적의 소리를 발생시켜 동물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리발생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동물이 도로로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개의 농도가 높을 경우 운전자에게 있어 급작스러운 동물과의 충돌은 치명적인 2차 사고가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위해 로드킬방지수단(440)을 통해 운전자와 동물과의 충돌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로드킬방지수단(440)은 근접하는 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수단(441)을 포함한다.
동물감지수단(441)은 이미지센서, 초음파모션센서 등 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로 형성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초음파, 빛 및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동물이 이동이 감지될 시 로드킬방지수단(440)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동작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어 도로로 빛을 조사하는 도로조명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도로조명부(500)는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도로조명부(500)는 도로의 가장자리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어 도로로 빛을 조사하는 도로조명부(500)를 포함한다.
도로조명부(500)는 도로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개에 의해 시야가 흐려진 도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로조명부(500)는 도로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조명수단으로 형성 가능하나, 신호정보생성부(20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LE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로조명부(500)는 하부인 도로로 빛을 조사하므로, 신호정보생성부(200)가 생성하는 신호정보에 간섭되지 않도록 신호정보생성부(200)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도등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로조명부(500)는 도로의 가장자리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즉 안개가 발생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야가 흐려지게 되면 도로의 형상 파악이 어려우며, 특히 낙석지역, 교량 등에서 안개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에게 매우 위험하므로, 도로조명부(500)는 도로의 가장자리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형상 및 위험요소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가 이탈 시 알람하는 배터리도난방지부(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도난방지부(310)는 관제실로 배터리의 도난정보를 제공하거나, 소리로 알람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는 방열홀을 포함한다.
(실시예 8-5)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홀에 형성되는 방열팬을 포함한다.
(실시예 8-6) 본 발명은 도로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시켜 열교환시키는 열전도체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가 이탈 시 알람하는 배터리도난방지부(310)를 포함한다.
배터리도난방지부(310)는 배터리팩에 위치하는 배터리가 분리되거나, 이탈될 시 이를 감지하여 알람함으로써, 배터리의 도난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유지보수가 수행되도록 한다. 배터리도난방지부(310)는 위치센서, 연결선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위치가 이탈 시, 이를 관제실로 배터리의 도난정보를 제공하거나, 소리로 알람하도록 하여 신속한 배티러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수행되도록 한다.
아울러,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에너지공급부(300)의 배터리는 유도등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위치되므로, 도 1을 참고하면, 유도등몸체(100) 내부의 열을 방열하도록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는 방열홀을 포함한다. 이때 방열홀은 유도등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효율적인 방열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 등에 의한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는 차단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홀은 효율적인 열의 방열을 위해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팬은 내부의 온도가 선택되는 온도 이상일 시, 이를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일 예의 방열부로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시켜 열 교환시킴으로써, 열을 방열시키는 열전도체를 포함한다. 열전도체로는 히트파이프,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열전도체는 여름에 활용이 높으나, 겨울철에는 온도 하강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열전도체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유도등몸체
110 : 전면몸체 120 : 후면몸체
200 : 신호정보생성부
210 : 신호정보생성부몸체 220 : LED모듈
230 : 보호커버 240 : 차양막
300 : 에너지공급부 310 : 배터리도난방지부
400 : 제어부 410 : GPS수신부
420 : 통신수단 430 : 안개정보센서부
440 : 로드킬방지수단 441 : 동물감지수단
500 : 도로조명부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등몸체(100);
    상기 유도등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와, 상기 신호정보생성부몸체(210)에 형성되어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LED모듈(220)을 포함하는 신호정보생성부(200);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부(300);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가 이탈 시 알람하는 배터리도난방지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공급부(300)는 배터리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는 방열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수신부(410);
    안개정보 및 동작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수단(420);
    안개정보를 측정하는 안개정보센서부(430); 및
    동물의 통행을 방지하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수단으로 형성되는 로드킬방지수단(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수단(420)을 통해 획득되는 안개정보와, 상기 안개정보센서부(430)로부터 획득되는 안개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로드킬방지수단(440)은 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수단(441)을 포함하고,
    상기 동물감지수단(441)은 초음파 모션 센서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로 안전 유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220)은 파장을 제어하여 신호정보의 색을 변화시키는 양자점(quantum-dot)층을 포함하는 도로안전 유도등.
  3. 제 1항, 제 2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정보생성부(200)는 선택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도로안전 유도등.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몸체(100)에 형성되어 도로로 빛을 조사하는 도로조명부(500)를 더 포함하는 도로안전 유도등.
  8. 삭제
KR1020230067463A 2023-05-25 2023-05-25 도로안전 유도등 KR10258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463A KR102589985B1 (ko) 2023-05-25 2023-05-25 도로안전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463A KR102589985B1 (ko) 2023-05-25 2023-05-25 도로안전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985B1 true KR102589985B1 (ko) 2023-10-17

Family

ID=8855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463A KR102589985B1 (ko) 2023-05-25 2023-05-25 도로안전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98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018A (ja) * 1999-02-22 2000-09-05 Koito Ind Ltd 視線誘導装置
KR200277135Y1 (ko) 2002-03-04 2002-05-30 주식회사 토우그린 레이저 안개등
KR20090105203A (ko) * 2008-04-01 2009-10-07 홍정석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야간발광 시선유도구
KR20100094226A (ko) 2009-02-18 201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를 이용한 안개주의등 작동시스템
KR20120070710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광기술원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17892A (ko) 2014-04-11 2015-10-21 정종상 안개제거형 경보표시등
KR101783709B1 (ko) * 2017-06-01 2017-10-10 (주)피엘티 충전효율 및 시야각이 우수한 발광형 표지판
KR102148517B1 (ko) * 2020-03-23 2020-08-26 주식회사 산흥이지 도로정보 안내를 위한 도로표지 시스템
KR102463168B1 (ko) * 2022-04-25 2022-11-04 (주)피엘티 양자점층이 구비된 발광형 교통안전표지
KR20230024124A (ko) 2021-08-11 2023-02-20 (주)큐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안개등 및 도로등 점등 제어 스마트 차광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018A (ja) * 1999-02-22 2000-09-05 Koito Ind Ltd 視線誘導装置
KR200277135Y1 (ko) 2002-03-04 2002-05-30 주식회사 토우그린 레이저 안개등
KR20090105203A (ko) * 2008-04-01 2009-10-07 홍정석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야간발광 시선유도구
KR20100094226A (ko) 2009-02-18 201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를 이용한 안개주의등 작동시스템
KR20120070710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광기술원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17892A (ko) 2014-04-11 2015-10-21 정종상 안개제거형 경보표시등
KR101783709B1 (ko) * 2017-06-01 2017-10-10 (주)피엘티 충전효율 및 시야각이 우수한 발광형 표지판
KR102148517B1 (ko) * 2020-03-23 2020-08-26 주식회사 산흥이지 도로정보 안내를 위한 도로표지 시스템
KR20230024124A (ko) 2021-08-11 2023-02-20 (주)큐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안개등 및 도로등 점등 제어 스마트 차광막 시스템
KR102463168B1 (ko) * 2022-04-25 2022-11-04 (주)피엘티 양자점층이 구비된 발광형 교통안전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8413B1 (en) Signalling means
CA274804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a safety zone for a vehicle, a person or an animal
KR100959262B1 (ko) 이송장비의 경로라인표시장치
KR101852375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CA2928301C (en) A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102187372B1 (ko) 사고위험 구간 감지 및 사고예방을 위한 알림시스템
ES2768775T3 (es) Sistema de señalización autónomo extraíble para usuarios de vehículos sin cabina
KR102589985B1 (ko) 도로안전 유도등
KR102339582B1 (ko) 신호등 연계 횡단보도 차단 시스템
US20050237735A1 (en) Illuminating mount
JP3868193B2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20200072035A (ko) 태양열 발전 기능을 구비한 과속 방지턱
KR20200140486A (ko) 레이저빔 라인을 통한 도로상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WO2012021945A1 (en) A safety illumination device
AU2010100915A4 (en) A safety illumination device
JP3453725B2 (ja)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KR101556080B1 (ko) 솔라셀 전원공급형 감지 등화장치
KR102480501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전조등 조립체
CN220114743U (zh) 一种用于摩托车电动车的集成式防撞辅助预警反射装置
EP0981122A1 (en) Active marker
KR200433130Y1 (ko) 차량용 휀더램프
KR20230099495A (ko) 사람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KR10171887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용 가이드장치
KR101667872B1 (ko) 차선 표시를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는 델리네이터
WO2021009563A1 (en) A light-signaling device for navigation and a system comprising multiple light-signaling devices for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