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707B1 -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707B1
KR102589707B1 KR1020210082753A KR20210082753A KR102589707B1 KR 102589707 B1 KR102589707 B1 KR 102589707B1 KR 1020210082753 A KR1020210082753 A KR 1020210082753A KR 20210082753 A KR20210082753 A KR 20210082753A KR 102589707 B1 KR102589707 B1 KR 10258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hain
suspension
coupled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024A (ko
Inventor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08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7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차고를 조절하는 장치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의 일단이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축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타단이 후륜 차축의 서스펜션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가 신장함에 따라 체인이 상기 서스펜션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함과 서스펜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어 상하차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Truck height Adjuster}
본 발명은 트럭의 차고를 조절하는 장치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의 일단이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축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타단이 후륜 차축의 서스펜션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가 신장함에 따라 체인이 상기 서스펜션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함과 서스펜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어 상하차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변화 되고 있는 현대의 산업구조에 따라 특장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게 늘어가고 있다. 예컨대, 특수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갖가지 특수 장비를 장착한 자동차는 특장차(Special equipment car)라고 한다. 특장차는 양산차의 기본적인 구조를 용도에 맞게 개조하며, 특정 용도에 맞도록 운전석 뒷부분을 개조하는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종류의 특장차 중, 물건, 농기계, 중장비 등을 운송하기 위한 특장차의 경우에는 적재함에 편리하게 싣기 위해서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가 형성되는 로더가 형성된다.
그 이유로서, 트럭의 적재함은 운전석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륜 차축의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재함은 하부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서스펜션과, 파워트레인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후륜 차축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장치,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들로 인하여 적재함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밖에 없으므로 적재함에 화물 등 운송대상물을 상하차할 시에는 적재함의 후단에 경사로를 가지는 로더를 구비하여 적재함과 지면 사이를 이어주어서 보다 편리한 상하차를 돕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20-0252678에서 제시된 운송차용 로딩 램프에서는 적재함 후단에 로더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중장비 등이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로더가 펼쳐져 적재함과 지면 사이의 경사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로더가 지면과 적재함 사이의 경사로를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경사로가 가파르게 형성되면 중장비 등의 적재물이 허용하는 접근각 및 이탈각을 벗어나게 되면 무리한 상하차로 인하여 적재물에 흠집이 생겨 상품가치가 훼손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하차가 불가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경사도로 인하여 중력에 의한 미끄럼이 발생하여 적재물을 상차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한다.
일례로서, 도로 포장시에 평탄화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롤러의 경우에는 전면에 자체 하중으로 포장도로를 가압하여 굴곡을 제거하며 평탄화시키는 회전롤러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타이어가 구비되지 않으며, 조향을 담당하는 뒷바퀴에서만 고무 재질의 타이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마찰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접지력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한다. 이러한 롤러 중장비를 적재함에 상하차 한다고 하더라도 타이어로 형성되는 뒷바퀴가 자체 하중을 버틸만한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상하차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서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20-0252678에서는 랜딩 기어를 차량 전방부에 더 구비하여 차량 앞단을 랜딩기어를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므로 적재함 트럭 후단의 차고를 낮추어 로더의 경사도를 낮추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랜딩기어의 경우에는 차량 전방부를 들어올려야 하기에 상당히 강한 힘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크기가 커져 적재 가능한 공간에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무게 또한 상당히 고중량으로 형성되므로 탑재함의 허용적재중량 역시 큰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부를 들어올려 적재함 후단의 차고를 낮추는 랜딩기어의 구성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무게가 가벼워 적재중량의 손실이 나지 않으며, 그 부피 또한 최소한으로 형성되어 적재함의 공간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적재함 후단의 차고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20-0252678 (Y1) 2001.10.19. KR 10-2011-0108457 (A) 2011.10.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럭 후륜의 서스펜션 장치인 판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적재함 사이의 거리를 가깝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적재함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로더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적재물의 상하차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의 일단이 트럭의 후륜 서스펜션과 결합되며 타단이 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체인이 이동하며 후륜의 서스펜션을 적재함쪽으로 잡아당겨져 적재함의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별도의 장비없이 트럭의 차고를 조정할 수 있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실린더가 실린더결합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실린더의 신축 이동에 따라 적재함의 경사방향이 변화 시에 실린더 또한 실린더결합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실린더 및 브라켓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상부에 배치되는 기어가 체인과 치합되어 결합되므로 정확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서스펜션 상부에 배치되는 도르래는 체인과의 미끄럼을 허용하며 접촉되므로 체인의 전체에서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럭의 차체프레임(65)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판스프링(61); 상기 판스프링(61)의 하부에 위치하여 트럭의 후륜을 구동하는 차축(64); 상기 판스프링(61)의 상부에 놓이는 결합덮개(63);를 포함하는 서스펜션(60)과 결합되어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서스펜션(60)과 결합되며, 상기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체인(20); 상기 체인(20)이 결합되는 체인결합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신축에 의하여 상기 체인(20)이 이동하는 실린더(10); 상기 차체프레임(65)과 결합되며,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10)가 결합되는 브라켓(50); 상기 실린더(1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치합되는 기어(30); 및 상기 서스펜션(6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접촉하는 도르래(4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시에 상기 도르래(40)와 상기 서스펜션(60)이 근접하며 차고가 낮아지고, 상기 실린더(10)의 수축시에 상기 도르래(40)와 상기 서스펜션(60)이 멀어지며 차고가 높아지며; 상기 실린더(10)는 상기 브라켓(50)에 구비되는 실린더결합핀(52)과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을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실린더(10)의 중간 부분이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해 브라켓(50)과 핀결합되며;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시에 체인(20)의 장력을 받아 상기 체인결합부(11)의 반대편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브라켓(50)은 상부에 상기 기어(30)가, 상기 기어(30)의 하부에 실린더(10)가, 상기 실린더(10)의 하부에 상기 판스프링(61)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체인(20)은 치합된 기어(30)에 의해 미끄럼없이 가이드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방향이 변환되는 도르래(40)에서 미끄러져 기어(30)와 도르래(40)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20)의 길이가 가변되고 체인(20)의 장력이 전체 영역에서 균등하게 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르래(40)는 상기 체인(20)의 이동방향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10)의 신축방향과 상기 서스펜션(60)의 이동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어(30) 및 도르래(40)는 상부면에서 상기 체인(20)과 접촉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는 트럭 후륜의 서스펜션 장치인 판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적재함 사이의 거리를 가깝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적재함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로더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적재물의 상하차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의 일단이 트럭의 후륜 서스펜션과 결합되며 타단이 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체인이 이동하며 후륜의 서스펜션을 적재함쪽으로 잡아당겨져 적재함의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별도의 장비없이 트럭의 차고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실린더가 실린더결합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실린더의 신축 이동에 따라 적재함의 경사방향이 변화 시에 실린더 또한 실린더결합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실린더 및 브라켓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 상부에 배치되는 기어가 체인과 치합되어 결합되므로 정확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서스펜션 상부에 배치되는 도르래는 체인과의 미끄럼을 허용하며 접촉되므로 체인의 전체에서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가 장착된 트럭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서 종래의 서스펜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 전의 측면도, (b)는 작동 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가 장착된 트럭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작동 전의 측면도, (b)는 작동 후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는 트럭의 적재함(70) 하부에 설치되어 트럭의 후륜을 지지하는 서스펜션(60)에 힘을 가하여 적재함(70)의 차고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트럭의 차체프레임(65)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판스프링(61); 상기 판스프링(61)의 하부에 위치하여 트럭의 후륜을 구동하는 차축(64); 상기 판스프링(61)의 상부에 놓이는 결합덮개(63);를 포함하는 서스펜션(60)과 결합되어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서스펜션(60)과 결합되며, 상기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체인(20);
상기 체인(20)이 결합되는 체인결합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신축에 의하여 상기 체인(20)이 이동하는 실린더(10);
상기 차체프레임(65)과 결합되며,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10)가 결합되는 브라켓(50);
상기 실린더(1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치합되는 기어(30); 및
상기 서스펜션(6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접촉하는 도르래(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는 체인(20)을 이용하여 후륜 차축(64)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적재함(70)과 후륜 차축(64) 사이 간 거리를 줄여 적재함(70)의 높이를 낮추는 장치이다.
체인(20)의 일단이 서스펜션(6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실린더(10)의 체인결합부(11)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의 신축 이동에 따라서 체인(20)의 타단이 이동된다.
상기 체인(20)은 신축되지 않고 길이가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10)에 의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서스펜션(60)을 들어올린다.
그러나 트럭의 자체하중에 의하여 서스펜션(60)의 차축(64)이 지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므로 적재함(70)이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지면과의 거리가 줄어들어 차고를 조절하는 것이다.
체인(20)이 트럭의 후륜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적재함(70)의 후단은 지면과 가까워지고, 상기 적재함(70)과 지면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인 로더(80)는 낮아진 적재함(70) 후단으로 인하여 완만한 경사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완만한 경사도로 인하여 로더(80)를 통하여 상하차되는 중장비 등의 적재물은 대폭 완화된 접근각과 이탈각으로 인하여 안전하게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재물의 흠집과 훼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가파른 경사도로 인한 미끄럼 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 적은 접지력으로도 미끄럼 현상의 발생없이 적재물을 상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트럭의 후륜 차축(64)에 설치되는 서스펜션(60)을 살펴보면, 파워트레인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트럭의 뒷바퀴를 구동시키는 차축(64)과, 상기 차축(64)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 개가 다단으로 포개지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휨에 의하여 흡수하는 판스프링(61)과, 상기 판스프링(61) 상부면 중앙부에 놓여지는 결합덮개(63)와, 상기 차축(64)과 판스프링(61)과 결합덮개(63)를 하나로 결합시키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볼트(62)로 구성된다.
상기 서스펜션(60)은 적재함(70)을 지지하는 차체프레임(65)에 고정되는데, 상기 판스프링(61)의 양단이 별도의 브라켓(50)의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결합부(53)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50)의 상단은 차체프레임(65)에 고정된다.
차축(64)은 판스프링(61)의 하부면에서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며 'U'자 형상의 결합볼트(62)에 의하여 감싸지면서 판스프링(61)의 하부면과 강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합볼트(62)는 오목한 내측면으로 차축(64)과 판스프링(61)을 감싸게 되며 상단은 상기 결합덮개(63)를 관통하면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후 볼트에 의하여 결합덮개(63)에 고정되므로 상기 결합덮개(63)와 결합볼트(62) 사이에는 차축(64)과 판스프링(61)이 위치한다.
따라서 차축(64)은 상기 결합볼트(62)에 의하여 판스프링(61)에 결합되어 있어, 노면의 요철로 인한 차축(64)의 흔들림을 만곡 형상의 판스프링(61)이 휘어지며 회복하면서 적절히 흡수하여 적재함(70)으로 전해지는 흔들림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20)은 신축되지 않으며 고정된 길이로 구비된다. 상기 체인(20)의 일단이 상기 서스펜션(60)과 결합된다. 상기 서스펜션(60)에서, 상기 체인(20)은 결합볼트(62)의 상단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결합덮개(63)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60)과 체인(20)과의 결합관계는 상기 기재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서스펜션(60)의 어느 구성과도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체인(20)의 인장력에 의하여 차축(64)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상기 서스펜션(60)과 체인(20)과의 결합관계에 포함된다.
상기 체인(20)이 서스펜션(60)과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인 타단에는 실린더(10)에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10)가 신축 이동함에 따라 체인(20)도 상기 실린더(10)의 신축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실린더(10)에서 체인(20)이 결합되는 부분을 체인결합부(11)로 지칭한다.
상기 체인(20)의 이동방향은 후술할 도르래(40)에 의하여 크게 변하게 되는데, 상기 체인결합부(11)와 도르래(40) 사이에 있는 체인(20)은 상기 실린더(10)의 신축에 따라 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도르래(40)와 서스펜션(60) 사이에 있는 체인(20)은 상기 실린더(10)의 신축에 따라 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르래(40)는 체인(20)의 이동방향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체인(20)의 일단이 서스펜션(60)과 결합되므로 실린더(10)가 신장하면 체인(20)은 서스펜션(6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서스펜션(60)과 도르래(40) 사이의 체인(20)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며, 체인(20)은 상기 도르래(4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실린더(10)와 도르래(40) 사이의 체인(20)은 실린더(10)가 신장되는 방향의 수평으로 이동한다.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시에는 체인(20)은 전체적으로 장력이 발생하고 그 장력으로 상기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체인(20)에 걸리는 장력은 전체 부분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실린더(10)의 신장력이 제거되면 체인(20)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판스프링(61)이 탄성력을 방출하여 적재함(70)과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체인(20)도 상기 판스프링(6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트럭 후륜의 차축(64)은 좌,우측에 2개의 서스펜션(60)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인(20)은 양측의 서스펜션(6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체인(20)도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10)는 차량 전방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차량 전방부를 향하여 신장되는 부분의 끝단에는 상기 체인(20)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20)을 이동시키는 체인결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에 따라 체인(20)도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10)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실린더가 바람직하며, 다른 형태의 실린더도 가능하다.
이때, 실린더(10)가 신장하는 힘은 판스프링(61)의 탄성력보다 충분히 강하도록 형성된다. 체인(20)을 통하여 실린더(10)가 상기 판스프링(61)을 상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므로 상기 실린더(10)는 충분히 강한 힘으로 판스프링(61)을 압축시키며, 상기 서스펜션(60)과 적재함(70) 사이의 거리가 일정 수준까지 가까워지도록 실린더(10)는 신장한다.
상기 적재함(70)과 서스펜션(60) 사이의 수직 거리는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스펜션(6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10)가 서스펜션(60)의 이동방향에 맞추어 수직으로 배치되면 적재함(70)과 서스펜션(60) 사이의 제한된 거리 때문에 배치가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체인(20)을 통해 힘의 작용방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실린더(10)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됨으로 강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도 적재함(70)과 서스펜션(60) 사이에 배치할 수 있어 수평으로 넓게 형성된 적재함(70) 하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린더(10)는 수평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서스펜션(60)은 체인(2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실린더(10)와 서스펜션(60)의 이동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0)는 후술할 브라켓(50)에 의하여 트럭의 차체프레임(65)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브라켓(50)은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10)와 브라켓(50)이 핀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10)는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으로 인하여 체인(20)이 실린더(10)의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면 적재함(70)과 서스펜션(6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때, 상기 실린더(10)가 실린더결합핀(52)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체인결합부(11)의 반대편이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체인(20)에 장력이 걸리므로 상기 체인은(20) 실린더(10)의 체인결합부(11)를 잡아 당기게 되어 상기 실린더(10)에 토크가 걸리기 때문에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0)가 회전하도록 허용됨으로써, 브라켓(50)이 실린더(10)를 고정시키는 부하가 감소하게 되며 브라켓(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적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린더(10)를 지지하는 브라켓(50)은 상기 실린더(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0)가 트럭의 차체프레임(65)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양측에 실린더(10)가 2개로 구비되므로 상기 브라켓(50)은 총 4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상부에 트럭의 차체프레임(65)과 결합되되 기어(30)가 더 결합된다. 하부에는 판스프링(61)의 일단과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부(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50)의 상단과 스프링결합부(53) 사이에 형성되는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하여 브라켓(50)과 실린더(10)가 핀결합된다.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은 실린더(10)의 중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기어(30)가, 상기 기어(30)의 하부에는 실린더(10)가, 상기 실린더(10)의 하부에는 상기 판스프링(61)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은 1개로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0)가 신축 작용에 따라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을 축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실린더(10)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실린더(10)가 후단이 하방으로 경사진다.
상기 브라켓(50)의 상단에는 상기 체인(20)과 치합되는 기어(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30)는 실린더(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50)의 상단에서 트럭의 차체프레임(65)과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10)의 체인결합부(11)의 후방에서 기어(30)가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고, 상기 체인결합부(11) 후단에 위치하는 기어(30)에서 체인(20)은 상기 기어(30)의 상부면에서 치합된다.
상기 기어(30)는 체인(20)과 치결합되므로 실린더(10)의 신축 이동에 따라 미끄럼 없이 정확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린더(10)의 신장에 따라 상기 체인(20)은 기어(30)를 하방으로 하중을 가한다. 상기 기어(30)는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체프레임(65) 또한 하방으로 향하는 하중을 받게 되고 서스펜션(60)과 가까워지는 것이다.
상기 기어(30)의 후단에 위치하는 도르래(40)는 상기 체인(20)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20)의 이동방향이 상기 도르래(40)를 기점으로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화된다.
상기 도르래(40)는 상기 트럭의 후륜 서스펜션(60)의 상부에 위치하며, 트럭의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된다. 상기 체인(20)은 서스펜션(60)에서부터 도르래(40)까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도르래(40)의 측부면과 상부면에서 접촉된후 도르래(40)에서부터 실린더(10)까지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체인(20)은 기어(30)의 상부면과 도르래(40)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것이다.
상기 도르래(40)는 이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체인(20)과 치합되지 않으며 요철이 없는 외주연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연이 체인(20)과 접촉된다. 따라서 체인(20)이 상기 도르래(40)의 외주연에서 약간의 미끄럼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어(30)와 도르래(40)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2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도르래(40)에서 체인(20)의 미끄럼을 허용하므로 도르래(40)와 실린더(10) 사이에 위치한 체인(20)과 도르래(40)와 서스펜션(60) 사이에 위치한 체인(20)에 작용하는 장력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분에 대하여 균등한 장력을 가지게 된다.
실린더(10)가 신장하면서 상기 체인(20)은 서스펜션(6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며 상기 도르래(40)는 장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즉, 도르래(4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서스펜션(60)을 향한다. 상기 도르래(40)는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체프레임(65)이 서스펜션(60)을 향하여 거리가 가까워진다.
따라서 후륜 차축(64)과 적재함(70)의 사이 높이가 낮아져 적재함(70) 후단과 지면 사이를 이어주는 로더(80)가 펼쳐졌을 시에 상기 로더(80)가 이루는 경사도가 완만하여지므로 적재물을 상하차 작업이 편리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체인(20)의 일단이 실린더(10)의 체인결합부(11)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후륜의 서스펜션(60)에 결합된다. 체인(20)은 체인결합부(11)에서 후방으로 기어(30)와 도르래(40)에 걸려있으며 상기 도르래(40)에서 체인(20)의 이동방향이 변화된다.
상기 실린더(10)가 신장하여 체인(20)을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기어(30)와 도르래(40)까지의 체인(20)은 전방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도르래(40)와 서스펜션(60) 사이의 체인(20)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서스펜션(60)을 잡아당기는 상기 체인(20)에 의하여 판스프링(61)이 압축되면서 적재함(70)과 차축(6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트럭 적재함(70)의 후단이 지면과 가까워지면서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50)의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해 핀결합된 실린더(10)는 상기 체인(20)의 장력을 받아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을 축으로 회전하여 하방으로 기울게 된다.
상기 적재함(70) 후단의 높이가 낮아져 적재함(70)과 지면 사이를 이어주는 로더(80)의 경사도는 완만해진다.
도 4(a)에 도시된 적재함과 지면 사이의 거리(a)는 작동 전 높이를 의미하며, 도 4(b)에 도시된 적재함과 지면 사이의 거리(b)는 작동 후 높이를 의미한다. 작동 후 높이(b)는 작동 전 높이(a)보다 더 낮다.
상기 실린더(10)에서 신장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판스프링(61)이 탄성력을 방출하면서 적재함(7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인(20)은 이 탄성력에 의하여 이끌려 상기 실린더(1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체인결합부(11)와 도르래(40) 사이의 체인(20)은 트럭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르래(40)와 서스펜션(60) 사이의 체인(20)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는 실린더(10)의 신축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20)이 서스펜션(60)을 적재함(70)쪽으로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므로 지면과 적재함(70) 사이의 높이가 낮아져 적재함(70)과 지면 사이를 이어주는 로더(80)의 경사도가 완만해지므로 보다 편리하게 적재물을 상하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인(20)의 이동방향이 도르래(40)를 기점으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바뀌어, 체인(20)에 의해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실린더(10)를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수직공간이 작고 수평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적재함(70) 하부의 특성상 강한 힘을 발생시키는 실린더(10)도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브라켓(50)과 실린더(10)를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해 핀결합되므로 상기 실린더(10)가 체인(20)의 장력을 받아 기울어져 경사도를 가지게 되므로 핀결합된 부분에서 걸리는 부하가 적으며 브라켓(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실린더 11:체인결합부 20:체인 30:기어 40:도르래
50:브라켓 52:실린더결합핀 53:스프링결합부
60:서스펜션 61:판스프링 62:결합볼트 63:결합덮개 64:차축
65:차체프레임 70:적재함 80:로더

Claims (6)

  1. 트럭의 차체프레임(65)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판스프링(61); 상기 판스프링(61)의 하부에 위치하여 트럭의 후륜을 구동하는 차축(64); 상기 판스프링(61)의 상부에 놓이는 결합덮개(63);를 포함하는 서스펜션(60)과 결합되어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서스펜션(60)과 결합되며, 상기 서스펜션(6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체인(20);
    상기 체인(20)이 결합되는 체인결합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신축에 의하여 상기 체인(20)이 이동하는 실린더(10);
    상기 차체프레임(65)과 결합되며,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10)가 결합되는 브라켓(50);
    상기 실린더(1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치합되는 기어(30); 및
    상기 서스펜션(60)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프레임(65)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20)과 접촉하는 도르래(4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시에 상기 도르래(40)와 상기 서스펜션(60)이 근접하며 차고가 낮아지고, 상기 실린더(10)의 수축시에 상기 도르래(40)와 상기 서스펜션(60)이 멀어지며 차고가 높아지며;
    상기 실린더(10)는 상기 브라켓(50)에 구비되는 실린더결합핀(52)과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결합핀(52)을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실린더(10)의 중간 부분이 실린더결합핀(52)에 의해 브라켓(50)과 핀결합되며;
    상기 실린더(10)의 신장시에 체인(20)의 장력을 받아 상기 체인결합부(11)의 반대편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브라켓(50)은 상부에 상기 기어(30)가, 상기 기어(30)의 하부에 실린더(10)가, 상기 실린더(10)의 하부에 상기 판스프링(61)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체인(20)은 치합된 기어(30)에 의해 미끄럼없이 가이드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방향이 변환되는 도르래(40)에서 미끄러져 기어(30)와 도르래(40)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20)의 길이가 가변되고 체인(20)의 장력이 전체 영역에서 균등하게 되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40)는 상기 체인(20)의 이동방향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의 신축방향과 상기 서스펜션(60)의 이동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30) 및 도르래(40)는 상부면에서 상기 체인(20)과 접촉되는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6. 삭제
KR1020210082753A 2021-06-25 2021-06-25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KR10258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53A KR102589707B1 (ko) 2021-06-25 2021-06-25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53A KR102589707B1 (ko) 2021-06-25 2021-06-25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24A KR20230001024A (ko) 2023-01-04
KR102589707B1 true KR102589707B1 (ko) 2023-10-17

Family

ID=8492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53A KR102589707B1 (ko) 2021-06-25 2021-06-25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7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945A (en) 1993-11-23 1995-02-21 Paccar Inc. Low-speed maneuverability enhancement for long single-unit vehicles
CN2750943Y (zh) * 2004-11-30 2006-01-11 东风新疆汽车有限公司 弹簧钢板倾斜式承载桥液压提升装置
CN203318079U (zh) 2013-05-17 2013-12-04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汽车弹性悬架刚性锁止装置
US20150014951A1 (en) 2013-07-14 2015-01-15 Robert J McGuire Axle lift system
JP2016030464A (ja) * 2014-07-25 2016-03-07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車両の車軸リ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678Y1 (ko) 2001-08-06 2001-11-23 정철원 운송차용 로딩 램프
KR20110108457A (ko) 2010-03-29 2011-10-06 조병정 트럭용 프런트 서스펜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945A (en) 1993-11-23 1995-02-21 Paccar Inc. Low-speed maneuverability enhancement for long single-unit vehicles
CN2750943Y (zh) * 2004-11-30 2006-01-11 东风新疆汽车有限公司 弹簧钢板倾斜式承载桥液压提升装置
CN203318079U (zh) 2013-05-17 2013-12-04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汽车弹性悬架刚性锁止装置
US20150014951A1 (en) 2013-07-14 2015-01-15 Robert J McGuire Axle lift system
JP2016030464A (ja) * 2014-07-25 2016-03-07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車両の車軸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24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675B1 (en) Cargo carrier
US3771812A (en) Air suspension with improved axle lifting structure
US20160339823A1 (en) Suspension for a multiple height vehicle
US20200122624A1 (en) Pneumatic Platform Tow Truck with Hinge
US5536036A (en) Locking mechanism for air suspension
WO2015131232A1 (en) A repositionable load carrying tray assembly for a vehicle
US11358508B2 (en) Lift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argo on a vehicle
US9649967B2 (en) Vehicle lowering system
US9050920B2 (en) Lowerable trailer
CN106457951A (zh) 用于重载车辆的气动控制系统
AU782034B2 (en) Suspension assembly
JPH04502792A (ja) 車両、主に橋下部検分設備のシヤーシ
KR102589707B1 (ko) 트럭의 차고 조절 장치
US3623745A (en) Load leveler
WO2017033169A2 (en) Lifting system
US6098996A (en) Carrier leveling and stabilizing system
US20010028159A1 (en) Vehicular towing apparatus using air lift
KR101342394B1 (ko) 트랙터의 차체 승강 장치
CN214295446U (zh) 悬挂组件
US2786563A (en) Skid support
KR100579220B1 (ko) 후륜 2축식 상용차량의 후륜 슬립 저감장치
CN107364499B (zh) 一种三轮车车厢的安装机构
CN218703484U (zh) 一种底盘及作业机械
WO2023175944A1 (ja) 車両のシャフトロック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車両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