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89B1 -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89B1
KR102589389B1 KR1020210085564A KR20210085564A KR102589389B1 KR 102589389 B1 KR102589389 B1 KR 102589389B1 KR 1020210085564 A KR1020210085564 A KR 1020210085564A KR 20210085564 A KR20210085564 A KR 20210085564A KR 102589389 B1 KR102589389 B1 KR 10258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evaporator
guide
defrost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918A (ko
Inventor
정창설
Original Assignee
정창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설 filed Critical 정창설
Priority to KR102021008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1/00Controlling arrangements with features specially adapted f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제상시에 제상 히터의 동작에 의해 증발기의 방열핀의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포집부의 블로어를 통해 수증기 가이드의 가이드 공간내로 가이드 하여 포집한 후에 수증기 포집 본체 내의 접촉 금속체를 통해 자유 낙하하면서 수증기를 자연스럽게 접촉시켜 물방울로 변환하여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상시 발생하여 천장에 모여지는 수증기(습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에 의해 냉동고 또는 냉장고 내의 제품이 젖는 등의 제품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Water vapor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제상시에 제상 히터의 동작에 의해 증발기의 방열핀의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포집부의 블로어를 통해 수증기 가이드의 가이드 공간내로 가이드 하여 포집한 후에 수증기 포집 본체 내의 접촉 금속체를 통해 자유 낙하하면서 수증기를 자연스럽게 접촉시켜 물방울로 변환하여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상시 발생하여 천장에 모여지는 수증기(습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에 의해 냉동고 또는 냉장고 내의 제품이 젖는 등의 제품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온창고나 냉동창고 등에 시설되는 냉방장치는,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구비한다.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열을 발열하고, 응축된 냉매는 증발기에 의해 증발하면서 흡열하는 폐회로를 순환한다.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관과, 냉매관에 고정되며 냉매의 증발열에 의해 냉각되는 다수의 열교환핀을 포함한다. 냉방장치의 경우 상기 열교환핀의 측부에 송풍팬이 구비되는데, 송풍팬은 주변의 공기를 열교환핀 측으로 유도하여 공기가 열교환핀에 의해 차가워진 상태로 공기중으로 퍼지게 한다.
한편, 냉방장치의 작동 중,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공기가 증발기의 열교환핀을 통과하는 동안 응결된 후 얼어붙어 서리가 된다. 열교환핀의 표면에 자리 잡은 서리는 점차 크기가 커져 마침내 열교환핀 사이의 공기통로를 완전히 막아 차단하기도 한다. 공기통로가 차단되는 경우 냉동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전력소모가 심해짐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유로 냉방장치의 증발기에는, 서리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장치가 설치되기 마련이다. 제상장치를 이용한 제상작업은 증발기에 부착되는 서리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제상장치에는 다이오드 적외선 감지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서리를 감지한 후 제상 히터를 통하여 서리를 녹여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상 히터는 전력 공급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발열선의 형태로 설치되어 발열하여 주변의 서리를 녹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서리가 녹으면서 수증기(습기)가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수증기가 모이게 되고 이 수증기는 저온 저장실인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천장에 응결되어 천장 전체에 걸쳐 시간이 지나면서 물방울이 발생되고 천장 전체에 발생된 물방울은 낙하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제품을 젖게 하는 등 제품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제상시에 제상 히터의 동작에 의해 증발기의 방열핀의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포집부의 블로어를 통해 수증기 가이드의 가이드 공간내로 가이드 하여 포집한 후에 수증기 포집 본체 내의 접촉 금속체를 통해 자유 낙하하면서 수증기를 자연스럽게 접촉시켜 액상으로 변한 물방울을 하측의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상시 발생하여 천장에 모여지는 수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이 하부로 떨어져서 냉동고 또는 냉장고 내의 제품이 젖는 등의 제품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는, 저온저장실의 자동 제상 장치를 통한 증발기의 제상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로서, 상기 증발기의 제상시에 발생되어 천장으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유도하도록 증발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유도 가이드;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로 유도된 수증기를 포집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를 구비하는 수증기 포집부; 및 상기 수증기 포집부와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블로어를 통해 포집된 수증기가 낙하하면서 접촉되어 수분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접촉 금속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접촉 금속체를 통해 변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인 드레인이 구비되는 수증기 포집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로어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의 제상시에 상기 블로어를 동작시켜 상기 수증기 포집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는 증발기의 폭 방향과 대응하는 형태로 증발기 상측의 천장 하부에 "ㄱ"자 형의 절곡된 판형상으로 설치되어 "ㄱ"자 형태의 절곡부 내측으로 "ㄱ"자 형태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승하는 수증기가 상기 "ㄱ"자 형태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내로 모이면서 상기 블로어의 구동을 통해 상기 수증기 포집부가 형성된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측으로 흡인력에 의해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증기 포집부는, 일측으로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단에서 상기 수증기 가이드 공간과 연통되고, 내측에는 상기 블로어가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와 상기 수증기 포집 본체를 연결하여 수증기를 안내하는 하향 절곡 형태인 덕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금속체는 금속 그릴 판이 상하로 가로 또는 세로로 겹겹이 형성되어 수증기가 낙하 경유하면서 접촉되며, 각 금속 그릴 판은, 금속으로 된 금속 그릴과, 상기 금속 그릴의 일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하여 부착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는, 상기 증발기에 설치되어 서리 유무를 감지하는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에 의해 서리 감지에 따른 제상 모드시에 증발기에 생성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에 의해 서리 감지시에 상기 제상 히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에 따르면, 증발기의 제상시에 제상 히터의 동작에 의해 증발기의 방열핀의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포집부의 블로어를 통해 수증기 가이드의 가이드 공간내로 가이드 하여 포집한 후에 수증기 포집 본체 내의 접촉 금속체를 통해 자유 낙하하면서 수증기를 접촉시켜 자연스럽게 액화된 물방울로 변환시켜 하부의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상시 발생하여 천장에 모여지는 수증기(습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에 의해 냉동고 또는 냉장고 내의 제품이 젖는 등의 제품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수증기 포집 장치의 수증기 포집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가 구비된 제상 냉동고 또는 냉장고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 방향에서 본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를 동작하도록 된 제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수증기 포집 장치의 수증기 포집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가 구비된 제상 냉동고 또는 냉장고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 방향에서 본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를 동작하도록 된 제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100)는, 저온저장실인 냉동고 또는 냉장고의 제상용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1)를 통한 제상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증기 포집 장치로서, 제상시 발생되는 수증기(습기)를 유도하도록 하는 증발기(2)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유도 가이드(10);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로 수증기를 강제 유도하여 포집하도록 하는 블로어(21)가 형성되는 수증기 포집부(20); 및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와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의 상기 블로어(21)를 통해 포집된 수증기가 낙하 경유하면서 접촉하도록 하여 수증기가 액상으로 변화도록 하는 접촉 금속체(3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접촉 금속체(31)를 경유하여 액화된 수분(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인 드레인(32)이 구비되는 수증기 포집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블로어(21)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증발기(2)의 제상시에 블로어(21)를 동작시켜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는 수증기 포집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는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의 서리 두께 감지에 따라 일정 두께 이상의 서리 감지시에 제상 히터(60)를 동작하여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1)는,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에 설치되어 서리 유무를 감지하는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에 의해 서리 감지에 따른 제상 모드시에 증발기에 생성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히터(60); 및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에 의해 서리 감지시에 상기 제상 히터(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는,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에 설치되어 서리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 실제로 저온저장실인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2)에 장착되며, 증발기(2)의 방열핀(2b) 사이에 서리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한다. 물론, 전력 공급부(6)를 통해 동작시에는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2)는,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와 더불어 하나의 냉각장치를 구성하며, 적절한 고정용 프레임을 통해 저온저장실(1) 내부 벽에 고정된다. 당연히 증발기(2)의 전방에는 송풍팬(2a)이 설치된다. 송풍팬(2a)은 증발기(2) 후방의 공기를 당겨 증발기(2) 앞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상 히터(60)는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70)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작(예를 들면, 1시간에 대략 5분 동안)되는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에 의해 서리 감지에 따른 제상 모드시에 증발기(2)에 생성된 서리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70)에 설정된 온오프 시간에 따라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의 온 동작시에, 설정 두께 이상의 서리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에 전력 공급부를 통해 즉각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70)를 자동으로 재 시작하도록 하여 센서 동작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포집 장치(100)도 상기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70)와 연동하여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70)는 제어부(30)와 함께 저온 저장실(1) 외부에 패널의 형태로 설치되어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상 히터(20)는 전력 공급부(6)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발열선의 형태로 설치되어 발열하여 주변의 서리를 녹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서리가 녹으면서 수증기(습기)가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에 수증기가 모이게 되고 이 수증기는 저온저장실인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천장에 응결되어 천장 전체에 걸쳐 시간이 지나면서 물방울이 발생되고 천장 전체에 발생된 물방울은 낙하하여 제품을 젖게 하는 등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2)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100)가 필요해지는 것이다.
이하, 냉동고 또는 냉장고의 제상용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1)를 통한 제상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증발기(2)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100)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는 제상 히터(50)를 통한 제상시 발생되는 수증기(습기)를 포집하도록 다양한 폭 방향을 갖는 증발기의 대응하는 형태의 사이즈로 증발기 상측인 천장 부분에 증발기의 폭방향으로 길게 유도판 형태로 설치되어 제상시 발생되어 상승되는 수증기를 일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는 제상시 증발기(2)의 제상 히터(60)의 동작에 의해 방열핀(2b)에서 발생되어 증발기(2)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커버하면서 일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증발기의 상측에서 폭 방향으로 길게 대략 "ㄱ"자 형의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는 증발기 상측인 천장의 하부에 대략 "ㄱ"자 형의 절곡된 판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천장으로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ㄱ"자 형태의 절곡부 내측으로 "ㄱ"자 형태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11)을 형성하도록 모이면서 후술하는 블로어(21)의 구동을 통해 수증기 포집부(20)가 형성된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일측으로 수증기가 흡인력에 의해 가이드되어 진다.
여기서, "ㄱ"자 형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11)의 하측부는 증발기(2) 또는 저온저장실인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천장에 부착수단(미도시)을 통해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부착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증기 포집부(20)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일단에서 "ㄱ"자 형의 절곡부 내측인 "ㄱ"자 형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11)과 연통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형성된 블로어(21)를 통해 수증기 가이드 공간에 모여진 수증기를 그 내부로 강제 유도하여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수증기 포집부(20)는 일정 형상(예를 들면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일측으로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일단에서 수증기 가이드 공간(11)과 연통되고, 내측에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11) 내로 수증기를 강제 유도하여 강제 포집하도록 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포집부(20)의 타단에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와 상기 수증기 포집 본체(30)를 연결하며 강제 포집되는 수증기의 경로가 되어 수증기를 안내하는 하향 절곡 형태인 덕트(2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향의 수직 절곡 형태의 덕트(22)에 의해 자연스럽게 포집된 수증기가 하방의 수증기 포집 본체(30)로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증기 포집 본체(3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향의 수직 절곡 형태의 덕트(22)를 통해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와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의 상기 블로어(21)를 통해 포집된 수증기가 낙하 경유하면서 접촉하도록 하여 수증기가 액화되어 수분(물방울)으로 변화도록 하는 접촉 금속체(3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접촉 금속체(31)를 경유하여 액화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인 드레인(32)이 구비되는 수증기 포집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 금속체(31)는 금속 그릴 판(311)이 상하로 가로 또는 세로로 겹겹이 다수개 형성되어 그릴을 접촉 및 통과하면서 수증기가 낙하 경유하여 자연스럽게 수증기 포집 본체(30)의 하측에는 물방울(수분)이 모여져 드레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금속 그릴 판(311)은 금속으로 된 금속 그릴(312)과, 상기 금속 그릴(312)의 일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하여 부착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313)로 이루어져, 수증기 포집 본체(30) 내에서 다수개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부착되어 진다.
상기 드레인(32)은 상기 수증기 포집 본체(30)의 최하단에 수분 배출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분 배출 덕트(321)를 통해 외부로 액상의 물방울(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블로어(21)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증발기(2)의 제상시에 블로어(21)를 동작시켜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50)의 서리 두께 감지에 따라 설정 두께 이상의 서리 감지시에 제상 히터(60)를 동작하여 서리 제거를 위한 제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20)의 블로어(21)를 동작하여 수증기 포집 장치(100)의 수증기 포집 동작이 수행하도록 한다.
즉, 증발기(2)의 방열핀(2b)의 서리 감지에 따른 제상 모드시에 동시에 수증기 포집부(20)의 블로어(21)를 동작하여, 제상시 증발기(2)의 제상 히터(60)의 동작에 의해 증발기의 방열핀의 서리가 녹으면서 발생되어 증발기의 상측인 천장으로 상승되는 수증기가 수증기 유도 가이드(10)의 "ㄱ"자 형의 절곡부 내측인 "ㄱ"자 형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11) 내로 모여지고 수증기 포집부(20)의 블로어(21)의 동작에 따라 수증기 포집부(20) 내로 포집되어 하향의 수직 절곡 형태의 덕트(22)를 통해 수증기 포집 본체(30) 내로 안내 되어지고 다수의 접촉 금속체(31)를 통해 자유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수증기가 액상으로 변한 물방울은 수분 배출구인 드레인(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증기 포집 장치(100)의 수증기 포집 동작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1: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
2: 증발기
2a: 송풍팬 2b: 방열핀
3: 압축기 4: 응축기
5: 팽창밸브 6: 전력 공급부
10: 수증기 유도 가이드
11: "ㄱ"자 형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
20: 수증기 포집부
21: 블로어 22: 덕트
30: 수증기 포집 본체
31: 접촉 금속체 311: 금속 그릴 판
312: 금속 그릴 313: 다수의 지지대
32: 드레인 321: 수분 배출 덕트
40: 제어부
50: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
60: 제상 히터
70: 센서 동작 온오프 타이머

Claims (6)

  1. 저온저장실의 자동 제상 장치를 통한 증발기의 제상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로서,
    상기 증발기의 제상시에 발생되어 천장으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유도하도록 증발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유도 가이드;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로 유도된 수증기를 포집하도록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를 구비하는 수증기 포집부; 및
    상기 수증기 포집부와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블로어를 통해 포집된 수증기가 낙하하면서 접촉되어 수분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접촉 금속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접촉 금속체를 통해 변화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인 드레인이 구비되는 수증기 포집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는, 상기 증발기 상측의 천장 하부에 "ㄱ"자 형의 절곡된 판형상으로 설치되어 "ㄱ"자 형태의 절곡부 내측으로 "ㄱ"자 형태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승하는 수증기가 상기 "ㄱ"자 형태의 수증기 가이드 공간내로 모이면서 상기 블로어의 구동을 통해 상기 수증기 포집부가 형성된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측으로 흡인력에 의해 포집되고,
    상기 수증기 포집부는, 일측으로는 상기 수증기 유도 가이드의 일단에서 상기 수증기 가이드 공간과 연통되고, 내측에는 상기 블로어가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수증기 포집부와 상기 수증기 포집 본체를 연결하여 수증기를 안내하는 하향 절곡 형태인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수증기 포집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의 제상시에 상기 블로어를 동작시켜 상기 수증기 포집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금속체는 금속 그릴 판이 상하로 가로 또는 세로로 겹겹이 형성되어 수증기가 낙하 경유하면서 접촉되며,
    각 금속 그릴 판은, 금속으로 된 금속 그릴과, 상기 금속 그릴의 일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하여 부착되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는:
    상기 증발기에 설치되어 서리 유무를 감지하는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에 의해 서리 감지에 따른 제상 모드시에 증발기에 생성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 제상용 센서부에 의해 서리 감지시에 상기 제상 히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KR1020210085564A 2021-06-30 2021-06-30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KR10258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64A KR102589389B1 (ko) 2021-06-30 2021-06-30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64A KR102589389B1 (ko) 2021-06-30 2021-06-30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18A KR20230003918A (ko) 2023-01-06
KR102589389B1 true KR102589389B1 (ko) 2023-10-13

Family

ID=8492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64A KR102589389B1 (ko) 2021-06-30 2021-06-30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673A (ja) 2003-08-06 2005-03-17 Gac Corp 冷却ユニットおよび冷却システム
JP6706146B2 (ja) 2016-06-01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20091046A (ja) 2018-12-03 2020-06-11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JP2020153532A (ja) * 2019-03-18 2020-09-24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880U (ko) * 1987-09-01 1989-03-13
JPH0814456B2 (ja) * 1990-06-29 1996-02-1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結露水捕捉装置
US6167716B1 (en) * 1999-07-29 2001-01-02 Fredrick Family Trust Condensate evaporator apparatus
KR20110008770U (ko) * 2010-03-09 2011-09-16 (주)중원냉열 덕트 내 결빙방지를 위한 댐퍼를 갖는 수직형 유니트쿨러
KR101908198B1 (ko) * 2016-11-22 201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673A (ja) 2003-08-06 2005-03-17 Gac Corp 冷却ユニットおよび冷却システム
JP6706146B2 (ja) 2016-06-01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20091046A (ja) 2018-12-03 2020-06-11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JP2020153532A (ja) * 2019-03-18 2020-09-24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18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868B1 (en) Refrigerator
EP2505929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78970B1 (en) Refrigerator
CN100552341C (zh) 冰箱的除霜装置
JPH0835757A (ja) 冷蔵庫
KR102589389B1 (ko)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JPH11248335A (ja) 冷却貯蔵庫
KR100886168B1 (ko) 저장고 제어방법
CN215597871U (zh) 冷藏冷冻装置
KR101788095B1 (ko)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KR101456456B1 (ko)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 제거 장치
KR100208334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65213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배수 결빙 방지 장치
KR20130008990A (ko) 냉장고 제상장치
KR102386973B1 (ko)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KR102386981B1 (ko)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JP4666956B2 (ja) 冷却貯蔵庫
KR0165659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JP2607298B2 (ja) 空気冷却装置
WO2011100011A1 (en) Refrigerated case defrost water evaporation
KR100657803B1 (ko) 제상장치를 구비한 실외열교환기
CN219531347U (zh) 一种快速蒸发化霜水的冷柜
KR101525530B1 (ko) 응축 폐열 제상 과냉각 냉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38005A (ko) 증발기의 전열핀
KR20000014728A (ko) 증발기 과착상 방지장치 및 그 제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