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62B1 -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062B1
KR102589062B1 KR1020210159469A KR20210159469A KR102589062B1 KR 102589062 B1 KR102589062 B1 KR 102589062B1 KR 1020210159469 A KR1020210159469 A KR 1020210159469A KR 20210159469 A KR20210159469 A KR 20210159469A KR 102589062 B1 KR102589062 B1 KR 10258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eedback
contact
ste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836A (ko
Inventor
김기철
김종임
김혜영
손용민
Original Assignee
발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소정거리의 스트로크로 이동되는 스템부; 상기 스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스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스템부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전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스템부의 직선 이동을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제어부와 피드백부 간의 거리/높이 변환 비율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데이터 교정이 보다 원활하여 제어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FEEDBACK DEVICE OF GUIDE VANE ACTUATOR}
본 발명은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의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유량을 조절하는 가이드베인을 제어하도록 선형으로 왕복 운동되는 스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터보 컴프레셔에서는 압축공기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고 사양의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를 요구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는 직선형 또는 회전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직선형의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는 선형으로 왕복 운동되는 스템(Ste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는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 또는 P/P포지셔너(Pneumatic-Pneumatic positioner) 등의 제어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공압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P포지셔너는 제어신호인 전류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공압으로 전환하여 상기 공압구동기를 제어하는 장치로, 상기 공압구동기의 움직임을 피드백하여 감지함에 따라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이 수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피드백 장치는,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 10), 가이드베인과 연결되어 소정 스트로크(Stroke) 내에서 왕복 이동되는 스템부(20), 상기 스템부(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피드백 바 웨이(Feedback Bar Way, 30), 상기 E/P포지셔너(10)와 스템부(20) 사이를 연결하는 피드백 레버(Feedback Lever, 11) 및 피드백 바(Feedback Bar, 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피드백 장치는 상기 스템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체인 하우징(21)과, 상기 스템부(20)의 단부를 밀폐하는 커버부(4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스템부(20)는 설정된 길이의 스트로크(Stroke)를 가지며, 상기 스템부(20)에 이동에 따라 상기 피드백 레버(11) 또는 피드백 바(12)의 높이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템부(20)의 이동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1
)과 피드백 레버(11) 또는 피드백 바(12)의 높이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2
)은 소정 비율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장치 내 상기 E/P포지셔너(10)와 스템부(20) 간의 배치 관계에 의해서 아래의 관계식 1의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계식 1]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3
즉, 상기 스템부(20)가 20 mm 내지 30 mm를 이동하여도 상기 피드백 레버(11) 또는 상기 피드백 바(12)는 1 mm를 이동하게 되므로, E/P포지셔너(10)에서는 보다 높은 분해능 성능을 가진 장치가 포함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피드백 장치는 아주 작은 컨트롤 시그날의 변동이 많은 스크로크의 변화량에 매칭되기 때문에 정밀도나 안정성이 다소 낮은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아울러 위 관계식 1의 비율을 낮추기 위해 상기 스템부(20)의 지름을 확장시키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상기 스템부(20)의 강도와 주변 치수와의 균형상 최대 18 이하로 낮추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10-2005-0008958 A (2005.01.24.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에 따른 이동량에 대한 감지부의 변환 비율을 보다 낮추어 보다 안정적으로 정밀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소정거리의 스트로크로 이동되는 스템부; 상기 스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스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스템부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피드백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스템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양측의 중심부에 높이가 가변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경사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보조회전축과 상기 보조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접촉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상기 접촉부재의 회전반경이 40° 내지 60°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상기 전달부재의 양측 방향으로의 이동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4
)와 상기 접촉부재의 높이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5
)이 아래의 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6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달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접촉식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비접촉식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제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돌출부의 직선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돌출부는 사이에 마그넷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는, 스트로크와 감지부의 변환 비율을 최소로 낮출 수 있음에 따라 정밀한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는, 스템부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피드백부에 대한 검출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검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피드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를, 도 3은 제어부를 도시한 정면도를, 도 4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5는 전달부재를 도시한 정면도를, 도 6은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도 2의 정면도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들의 내부를 함께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하우징(100), 스템부(200), 제어부(300), 피드백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설비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스템부(200)가 소정 스트로크(Stroke) 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제어와 피드백제어가 가능하도록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 또는 P/P포지셔너(Pneumatic-Pneumatic positioner) 등의 포지셔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E/P포지셔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부(400)는 일단이 상기 스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스템부(200)와 함께 소정 스트로크 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피드백부(400)의 위치에 따라 자세가 변화되는 감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부(400)는 상기 스템부(2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와 연결되되 상기 스템부(200)의 스트로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되 상기 스템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스템부(200)의 스트로크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5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부(400)의 전달부재(420)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상기 피드백부(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60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복수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6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도 2의 구조를 기반으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의 감지부(310)는 회전축(311)과 상기 회전축(31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312)의 타단은 상술한 피드백부(400)의 전달부재(42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소정 각도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거하면 상기 접촉부재의 회전 반경은 40° 내지 60° 사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부(400)의 스트로크 방향으로의 이동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7
)과 상기 접촉부재(312)의 높이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8
)은 아래 관계식 2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관계식 2]
Figure 112021133273488-pat00009
상술한 스템부(200) 및 피드백부(400)는 장치 규모에 따라 스트로크 길이가 변화될 수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서는 상기 제어부(300)가 변화된 스트로크에 대응되도록 제1길이(L1) 및 제2길이(L2)를 가진 접촉부재(312)를 포함하는 것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여기서,
Figure 112021133273488-pat00010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는 상기 접촉부재(312)의 단부를 상기 피드백부(400)로 가압하도록 보조회전축(313)과 상기 보조회전축(313) 및 접촉부재(31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410)와 전달부재(420)는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10)가 상기 전달부재(4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템부(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10)는 상기 스템부(200)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411), 상기 전달부재(420)와 결합되는 제2결합몸체(412) 및 상기 제1결합몸체(411) 및 제2결합몸체(412)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재(413)는 평단면이 직사각형인 형상으로 구성되되, 인접한 모서리에 상기 제1결합몸체(411) 및 제2결합몸체(4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몸체(411)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몸체(412)는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몸체(411) 및 제2결합몸체(412)는 각각 제1결합수단(411-1) 및 제2결합수단(412-1)을 포함하여 상기 스템부(200) 및 전달부재(4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수단(411-1) 또는 제2결합수단(412-1)은 용접, 나사결합, 접착 등 주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 중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달부재(420)는 상술한 고정부재(410)에 결합되는 연결몸체(421)와, 상기 연결몸체(421)로부터 스트로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선형부재(422), 경사부재(423) 및 제2선형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선형부재(422)와 제2선형부재(424)는 서로 다른 높이를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재(423)가 양측의 높이가 달라져 상기 감지부(310)에 배치되는 측의 면이 기울어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재(423)의 경사면은 소정의 경사각도(θ)로 양측으로 일정 경사길이(S)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경사길이(S)는 스트로크의 길이(S1)와 같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몸체(421)에는 상술한 제2결합몸체(412)와 연결되도록 고정수단(421-1)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수단(421-1)은 용접, 나사결합, 접착 등 주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 중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420)는 접촉식 측정부(425) 및 비접촉식 측정부(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식 측정부(425)에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접촉식 측정부(426)에는 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접촉/비접촉 방식으로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실에 전기신호를 보내주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식 측정부(425) 및 비접촉식 측정부(426)가 상기 제1선형부재(422) 및 제2선형부재(424)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 및 도 6-(b)에서 각각 도시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10)는 위치가 고정되는 가이드몸체(511)와 상기 가이드몸체(511)에 형성되는 관통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512)은 상술한 전달부재(420)의 제1선형부재(422) 또는 제2선형부재(424)의 높이와 같거나 큰 높이방향의 소정너비(w)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선형부재(422) 또는 제2선형부재(424)의 두께와 대응되는 소정두께(t)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전달부재(420)가 스트로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510)의 안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직선운동됨에 따라 데이터 측정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장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10)는 체결수단(513)을 포함하여 고정된 다른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7은 피드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를, 도 8은 제어부를 도시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장치는, 하우징(100), 스템부(200), 제어부(300), 피드백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설비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스템부(200)가 소정 스트로크(Stroke) 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제어와 피드백제어가 가능하도록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 또는 P/P포지셔너(Pneumatic-Pneumatic positioner) 등의 포지셔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E/P포지셔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부(400)는 일단이 상기 스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스템부(200)와 함께 소정 스트로크 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피드백부(400)의 위치에 따라 자세가 변화되는 감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부(400)는 상기 스템부(2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와 연결되되 상기 스템부(200)의 스트로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부(400)는 상기 전달부재(430)외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로 돌출되는 돌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40)는 상기 스템부(200), 고정부재(410) 및 전달부재(430)와 함께 소정 스트로크에서 왕복 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는 이동되는 상기 돌출부(440)를 1:1 변환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와 상기 돌출부(440) 사이에는 마그넷 센서부(Magnet Sensor, 44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달부재(430)는 상기 고정부재(410)에 결합되는 연결몸체(431)와, 상기 연결몸체(431)와 연결되어 스트로크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432)는 소정 높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와 인접한 상기 연장부재(432)의 일면에 상기 돌출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430)는, 상기 연장부재(432)에 배치되는 접촉식 측정부(433) 및 비접촉식 측정부(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식 측정부(433)에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접촉식 측정부(434)에는 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접촉/비접촉 방식으로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실에 전기신호를 보내주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식 측정부(433) 및 비접촉식 측정부(434)가 상기 연장부재(4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스템부
300 : 제어부 310 : 감지부
311 : 회전축 312 : 접촉부재
313 : 보조회전축 314 : 탄성부재
400 : 피드백부
410 : 고정부재
411 : 제1결합몸체 411-1 : 제1결합수단
412 : 제2결합몸체 412-1 : 제2결합수단
413 : 이음부재
420 : 전달부재
421 : 연결몸체 421-1 : 고정수단
422 : 제1선형부재 423 : 경사부재
424 : 제2선형부재 425 : 접촉식 측정부
426 : 비접촉식 측정부
430 : 전달부재
431 : 연결몸체 432 : 연장부재
433 : 접촉식 측정부 434 : 비접촉식 측정부
440 : 돌출부 441 : 마그넷 센서부
500 : 가이드부
510 : 가이드 플레이트
511 : 가이드몸체 512 : 관통홀
513 : 체결수단
600 : 리미트 스위치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소정거리의 스트로크로 이동되는 스템부;
    상기 스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스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스템부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피드백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스템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양측의 중심부에 높이가 가변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경사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조회전축과 상기 보조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접촉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소정거리의 스트로크로 이동되는 스템부;
    상기 스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스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스템부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하는 피드백부;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피드백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스템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도록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양측의 중심부에 높이가 가변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경사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회전반경이 40° 내지 6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양측 방향으로의 이동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11
    )와 상기 접촉부재의 높이 변화량(
    Figure 112021133273488-pat00012
    )이 아래의 식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Figure 112021133273488-pat00013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달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접촉식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접촉식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비접촉식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비접촉식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E/P포지셔너(Electric-Pneumatic Position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장치.
KR1020210159469A 2021-11-18 2021-11-18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KR10258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469A KR102589062B1 (ko) 2021-11-18 2021-11-18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469A KR102589062B1 (ko) 2021-11-18 2021-11-18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836A KR20230072836A (ko) 2023-05-25
KR102589062B1 true KR102589062B1 (ko) 2023-10-16

Family

ID=8654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469A KR102589062B1 (ko) 2021-11-18 2021-11-18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4383B2 (ja) * 1993-06-04 2002-06-24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制御用ポジショナ
JP2012219930A (ja) * 2011-04-11 2012-11-12 Tsubaki Emerson Co 直線作動機の位置検出機構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02A (ja) * 1994-02-21 1995-09-05 Ckd Corp シリンダ
KR20050008958A (ko) 2003-07-14 2005-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보일러의 댐퍼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2026U (ko) * 2012-09-28 2014-04-07 이형훈 실린더의 스트로크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4383B2 (ja) * 1993-06-04 2002-06-24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制御用ポジショナ
JP2012219930A (ja) * 2011-04-11 2012-11-12 Tsubaki Emerson Co 直線作動機の位置検出機構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836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43918A (ja) 角度測定器および角度測定器を備えているプレス装置
CN111015696B (zh) 一种用于工业机器人柔性作业的力控连接装置
CN100434729C (zh) 一种带有控制操作位移功能的驱动器
JP2020101213A (ja) 真空バルブおよびバルブ制御装置
KR101885874B1 (ko) 금속판재 절곡장치
KR102589062B1 (ko) 가이드베인 액추에이터의 피드백 장치
CN110614630B (zh) 机械手臂的工具校正装置
US10408364B2 (en) Valve drive with position sensor
US20090179445A1 (en) Rotating gripper assembly utilizing stepper motors
US11472639B2 (en) Mover for a longitudinal stator system
KR101935461B1 (ko) 조인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터조립체
CN102003928B (zh) 活塞桥部内壁二侧圆弧中心距的检测装置及使用方法
IT201800007698A1 (it) Raccordo a funzione
KR101604338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부하인가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03680641A (zh) 一种基于柔顺结构六自由度的精密定位平台
KR20150096254A (ko) 로터리 인코더를 이용한 형상측정기
CN113824351B (zh) 一种尺蠖型压电推杆电机及其迟滞特性补偿方法
CN110148436A (zh) 一种大行程、可转动的三自由度并联柔性微动平台
KR102349601B1 (ko) 회전 작동 리니어 액츄에이터
EP1150806A1 (en) Method for a robot
KR101567850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흡인력 측정 장치
CN109916289B (zh) 一种自变向电感式位移测量传感器
CN110285778A (zh) 曲面式移动平台的检测装置及工作方法、切割方法
CN109813508A (zh) 机电伺服机构刚度测试装置
CN209214581U (zh) 摆转动直驱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