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890B1 -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 Google Patents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90B1
KR102588890B1 KR1020210176477A KR20210176477A KR102588890B1 KR 102588890 B1 KR102588890 B1 KR 102588890B1 KR 1020210176477 A KR1020210176477 A KR 1020210176477A KR 20210176477 A KR20210176477 A KR 20210176477A KR 102588890 B1 KR102588890 B1 KR 10258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double injection
attachment guide
voice coil
coil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866A (ko
Inventor
유현식
정흥우
남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1017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8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커에 구비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이중 사출 진동판에 있어서, 센터 진동판; 중앙이 천공된 링 형상이며, 센터 진동판의 외주에 부착되는 내주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외주부 및 내주부와 외주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위치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부를 구비하는 사이드 진동판; 및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의 내주부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를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는, 보이스 코일과의 부착 면에 복수 개의 통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DOUBLE INJECTION MOLDING DIAPHRAGM FOR MICROSPEAKER HAVING COIL ATTACHMENT GUIDE WITH INNER AIRPASS HOLE}
본 발명은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에는 마이크로스피커가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알림음이나 컨텐츠 음향을 재생한다. 모바일 장치들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활 방수 기능을 갖춘 모바일 장치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 장착되는 마이크로스피커 자체도 방수 기능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이드 진동판을 LSR이나 고무 재질로 사출하면서 센터 진동판 및 프레임과 접합하여 방수 기능을 부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는 요크(21), 센터 마그넷(22), 센터 마그넷(22)과 에어갭(26)을 두고 설치되는 아우터 마그넷(23), 센터 탑 플레이트(24) 및 아우터 탑 플레이트(25)가 설치된다. 이너 마그넷(22)과 아우터 마그넷(23) 사이의 에어 갭(26)에는 보이스 코일(30)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0)은 진동판(41, 42)의 하면에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30)의 진동 시에 진동판(41, 42)이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케 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30)을 부착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가 진동판(41, 42)의 하부에 부착되고,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의 하측에 보이스 코일(30)이 부착된다. 진동판(41, 42)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링 형상이며 단면은 돔 형태인 사이드 진동판(42)과, 사이드 진동판(42)의 중앙에 부착되는 센터 진동판(41)을 포함한다.
아우터 마그넷(23)의 상부이면서 아우터 탑 플레이트(25)의 외주에는 프레임(10)이 결합되며, 프레임(10) 상부에 사이드 진동판(42)과 결합된 측벽부(44)가 결합한다.
사이드 진동판(4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출물로 이루어지는데,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와 측벽부(44)를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그런데, 최근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 경량화 추세를 좇아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 역시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스피커의 사이즈는 작아지되 고성능이 요구됨에 따라 마그넷 사이의 에어갭이나 마그넷과 진동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마이크로스피커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 경우, 에어 임피던스의 상승, 스피커의 온도 상승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마이크로스피커 내의 공기 순환을 원활히 하여 에어 임피던스와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89315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커 내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히할 수 있는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커에 구비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이중 사출 진동판에 있어서, 센터 진동판; 중앙이 천공된 링 형상이며, 센터 진동판의 외주에 부착되는 내주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외주부 및 내주부와 외주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위치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부를 구비하는 사이드 진동판; 및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의 내주부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를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는, 보이스 코일과의 부착 면에 복수 개의 통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사이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의 이중 사출 성형 시에, 센터 진동판을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사이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의 이중 사출 성형 시에,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와 같은 소재로 센터 진동판을 이중 사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와 같은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은,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사이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에 통기홀을 형성함으로써, 에어 임피던스를 낮추고 온도 상승을 저감하여 분할 진동을 감소시키고 THD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의 이중 사출 파트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중 사출 진동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의 구조는 종래 기술과 거의 동일하다.
이중 사출 진동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는 요크(210), 센터 마그넷(220), 센터 마그넷(220)과 에어갭(260)을 두고 설치되는 아우터 마그넷(230), 센터 탑 플레이트(240) 및 아우터 탑 플레이트(250)를 구비하는 자기 회로를 포함한다. 아우터 탑 플레이트(250)의 외주에는 프레임(100)이 결합된다. 센터 마그넷(220)과 아우터 마그넷(230) 사이의 에어 갭(260)에는 보이스 코일(300)의 하단이 위치하며, 보이스 코일(30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자계가 유도되어 자기 회로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며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300)은 진동판(400)의 하면에 부착되며,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 시에 진동판(400)이 함께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케 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300)을 부착하기 위해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가 진동판(400)의 하부에 부착되고,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의 하측에 보이스 코일(300)이 부착된다. 진동판(40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링 형상이며 단면은 돔 형태인 사이드 진동판(420)과, 사이드 진동판(420)의 중앙에 부착되는 센터 진동판(410)을 포함한다. 또한 사이드 진동판(420)의 외주에는 강성을 가지는 사출물로 제조되는 측벽부(440)가 부착된다. 탄성을 가지는 물렁한 재질로 제조되는 사이드 진동판(420)이 프레임(100)에 설치될 때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측벽부(440)는 사이드 진동판(420)의 외주에 결합된다.
아우터 마그넷(230)의 상부이면서 아우터 탑 플레이트(250)의 외주에는 프레임(100)이 결합되며, 프레임(100) 상부에 사이드 진동판(420)과 결합된 측벽부(440)가 결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의 이중 사출 파트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은,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가 사이드 진동판(420)과 결합되고,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의 상부에 센터 진동판(410)이 부착된다. 이때, 사이드 진동판(420)은 LSR,이나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사출재로 사출형성되는데, 사출 형성 시에,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와 측벽부(440)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사이드 진동판(420)은, 센터 진동판(410) 및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와 부착되는 내주부(422), 측벽부(440)에 부착되는 외주부(424), 내주부(422)와 외주부(424)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센터 진동판(410)과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돔부(42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진동판(420)의 사출 시에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와 측벽부(440)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는, 보이스 코일(300)과의 부착면에 통기홀(434)을 구비한다. 통기홀(434)은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4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432)의 하면에 보이스 코일(300)이 부착되고 나면, 돌기(432)들 사이의 간격부가 통기홀(434)로 작용하게 된다.
돌기(432) 대신 하방으로 연장된 벽체를 구비하고 벽체를 관통하는 통기홀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통기홀(434)의 크기를 극대화하고 마이크로스피커를 슬림화하기에는 돌기(432)와 간격부로 통기홀(434)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와 측벽부(440)를 동일한 재질로 하면서 둘을 함께 사출하여 사이드 진동판(420)과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측벽부(440)는 별도로 제조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는 사이드 진동판(420a)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a)만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화된다. 사이드 진동판(420a)의 내주부(422a)와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가 이중사출되며, 프레임(미도시)는 별도로 제조된 다음 이중 사출 파트에 부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는 사이드 진동판(420b)의 사출 성형 시에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 측벽부(440) 및 센터 진동판(410)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 측벽부(440)는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420b)의 내주부(422b) 및 외주부(424)와 접합하여 일체화되고, 센터 진동판(410)은 별도로 제조되어 인서트되어 내주부(422b)와 접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센터 진동판(410)이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 및 측벽부(440)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 형성되어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420b)의 내주부(422b)와 접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의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출 진동판의 이중 사출 파트는 사이드 진동판(420c)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c) 및 센터 진동판(410)이 일체로 형성되며, 프레임(미도시)는 별도로 제조된 다음 이중 사출 파트에 부착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는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420c)의 내주부(422c)와 접합하여 일체화되고, 센터 진동판(410)은 별도로 제조되어 인서트되어 내주부(422c)와 접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센터 진동판(410)이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430)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 형성되어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420c)의 내주부(422c)와 접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은,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사이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에 통기홀을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기 순환 통로를 확보하여 에어 임피던스를 낮추고 온도 상승을 저감하여 분할 진동을 감소시키고 THD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4)

  1. 마이크로스피커에 구비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이중 사출 진동판에 있어서,
    센터 진동판; 및
    중앙이 천공된 링 형상이며, 센터 진동판의 외주에 부착되는 내주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외주부 및 내주부와 외주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위치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돔부를 구비하는 사이드 진동판; 및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의 내주부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를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는, 보이스 코일과의 부착 면에 복수 개의 통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2.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의 이중 사출 성형 시에, 센터 진동판을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의 이중 사출 성형 시에,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와 같은 소재로 센터 진동판을 이중 사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 부착 가이드와 같은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이중 사출에 의해 사이드 진동판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KR1020210176477A 2021-12-10 2021-12-10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KR10258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77A KR102588890B1 (ko) 2021-12-10 2021-12-10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77A KR102588890B1 (ko) 2021-12-10 2021-12-10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66A KR20230087866A (ko) 2023-06-19
KR102588890B1 true KR102588890B1 (ko) 2023-10-17

Family

ID=8698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77A KR102588890B1 (ko) 2021-12-10 2021-12-10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646Y1 (ko) 2004-10-11 2005-01-03 (주)삼화디지텍 보이스코일 삽입부가 진동판에 마련된 스피커
KR101626865B1 (ko) 2015-03-11 2016-06-03 주식회사 이엠텍 보이스 코일 부착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2151222B1 (ko) 2018-09-13 2020-09-02 임성진 보이스 코일판의 센터 가이드를 구현한 평판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26B1 (ko) * 2006-07-20 2008-05-07 나혜연 소형 스피커용 진동판
KR20150016722A (ko) *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이엠텍 확장된 센터 진동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103856874B (zh) 2014-03-05 2018-09-18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振动系统
KR20210098034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이엠텍 다공성 입자가 충진되는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용 마이크로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646Y1 (ko) 2004-10-11 2005-01-03 (주)삼화디지텍 보이스코일 삽입부가 진동판에 마련된 스피커
KR101626865B1 (ko) 2015-03-11 2016-06-03 주식회사 이엠텍 보이스 코일 부착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2151222B1 (ko) 2018-09-13 2020-09-02 임성진 보이스 코일판의 센터 가이드를 구현한 평판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66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4685A1 (en) Micro Speaker Module
WO2016095618A1 (zh) 微型扬声器
US10341780B2 (en) Miniature speaker
CN108282723B (zh) 扬声器箱
CN211531294U (zh) 发声器件
US20190182586A1 (en) Micro speaker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US10869136B2 (en) Speaker
CN109218937B (zh) 发声器件
CN108271107A (zh) 扬声器箱
CN208638686U (zh) 扬声器模组
KR102588890B1 (ko) 코일 부착 가이드에 내부 통기홀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사출 진동판
KR101605703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WO2009093777A1 (en) Flate speaker
US20200213744A1 (en) Speaker
KR101895754B1 (ko) 고성능 슬림 스피커
CN214481249U (zh) 扬声器
KR102647551B1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진동판
KR100622566B1 (ko) 두 개의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0695725B1 (ko) 내외자형 고출력 스피커
KR200371619Y1 (ko) 댐퍼가 설치된 박형 스피커
KR102647799B1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사출 진동판
KR20240064186A (ko) 방수용 마이크로스피커
US7285236B2 (en) Injection method of inserting spring into multifunctional actuator
US20240056741A1 (en) Sounding Device
CN112492457B (zh) 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