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65B1 -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565B1
KR102588565B1 KR1020210103070A KR20210103070A KR102588565B1 KR 102588565 B1 KR102588565 B1 KR 102588565B1 KR 1020210103070 A KR1020210103070 A KR 1020210103070A KR 20210103070 A KR20210103070 A KR 20210103070A KR 102588565 B1 KR102588565 B1 KR 10258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inlet pipe
pipe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327A (ko
Inventor
권오환
Original Assignee
에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주) filed Critical 에스알(주)
Priority to KR102021010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5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유입관을 세척함으로써 제1유입관의 오염으로 인한 수질 측정 오류를 해소하여 수질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검사대상수가 통과하는 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내부에 일정수위로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의 일단 상에 연결되는 제1밸브; 상기 제1유입관의 타단 상에 연결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 상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상기 제2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검사대상수를 측정수조에 저장하여 상기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수단;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량계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유량계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는 퇴수관; 상기 퇴수관 상에 연결되는 제3밸브; 상기 퇴수관의 단부 상에 연결되는 펌프; 상기 제2유입관 상에 연결되는 제4밸브; 상기 수질측정수단과 상기 퇴수관을 연결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연결되는 제5밸브; 및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5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로 상기 제1유입관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Water quality inspection apparatus having a pipe wash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급관을 따라 통과하는 용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처리장에서 깨끗하게 처리된 용수는 상수도관을 따라 흐르면서 수요처가 되는 아파트, 주택, 상가, 공장 등으로 분배 및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용수에 폐수 등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사람들이 그대로 사용하면 신체 및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사용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용수가 하천과 강 및 바다로까지 유입되면 생태계와 환경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관 등의 용수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용수에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에 대응되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수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용수에 대한 수질 검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용수의 수질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용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수질을 그 사용 용도에 따른 측정 항목에 맞는 수질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수질검사장치에서 측정 항목에 맞게 측정된 측정값을 데이터화하고 저장 및 관리하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함에 따라 용수의 수질을 자동화 방식으로 편리하게 관리하고 있다.
즉, 용수공급관의 일측에 유입관을 연결하고 유입관의 단부에 수질측정수단을 연결한 상태에서 용수공급관을 통과하는 용수의 일부가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되면서 수질측정수단을 통해 용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장기간 용수의 수질을 측정하다 보면 유입관의 내부에 각종 이물질이 발생하면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되는 용수가 정상적인 수질 측정을 위한 충분한 용량으로 저수되지 않아 용수에 대한 수질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질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수에 대한 수질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용수가 유입관으로 유입되면서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될 때 수질 측정에 필요한 충분한 용량으로 저수될 수 있도록 유입관의 세척이 가능한 수질 검사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199호, 2013.08.14.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1449호, 2016.05.17.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검사대상수의 수질 측정 정확도를 높여 수질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하여용수가 유입관을 통해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될 때 수질 측정에 필요한 충분한 용량으로 저수되도록 유입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로 인한 검사대상수의 유량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는 검사대상수가 통과하는 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내부에 일정수위로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의 일단 상에 연결되는 제1밸브; 상기 제1유입관의 타단 상에 연결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 상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상기 제2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검사대상수를 측정수조에 저장하여 상기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수단;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량계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유량계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는 퇴수관; 상기 퇴수관 상에 연결되는 제3밸브; 상기 퇴수관의 단부 상에 연결되는 펌프; 상기 제2유입관 상에 연결되는 제4밸브; 상기 수질측정수단과 상기 퇴수관을 연결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연결되는 제5밸브; 및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5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로 상기 제1유입관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5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동작 이전에 상기 측정수조에 저수된 상기 검사대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5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질측정수단은 수질 검사 항목에 따라 복수 개의 수질측정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질측정기기는 상기 제1유입관의 타단에서 각각 상기 측정수단과 대응되는 개수로 각각 분기되는 분기관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유입관의 타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방법은 검사대상수가 통과하는 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검사대상수가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와 연결되는 제1유입관, 제1유입관 상에 연결되는 유량계, 상기 제1유입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수질측정수단,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는 퇴수관, 상기 퇴수관의 단부 상에 연결되는 펌프 및 상기 수질측정수단과 상기 퇴수관을 연결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상기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질측정수단에 저수하여 상기 유량계와 상기 수질측정수단을 통해 검사대상수의 유량과 수질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량값이 상기 임계유량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상기 제2유입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제1유입관을 세척한 후 상기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상기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질측정수단에 다시 저수하는 단계; 상기 수질측정수단에 다시 저수된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수질 측정값을 출력하여 수질 검사를 완료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질측정수단에 다시 저수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질측정수단에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배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및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수조로부터 제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조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제1유입관과 연결되는 제2유입관으로 유입시켜 제1유입관을 세척한 후 제1유입관으로 검사대상수를 유입시켜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한 다음 수질측정수단을 통해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함으로써 제1유입관의 오염으로 인한 검사대상수의 수질 검사 정확도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로부터 제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유입관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유입관을 세척하기 전에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이미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를 완전히 비움으로써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다시 저수되는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의 검사대상수 배출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의 제1유입관 세척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공급관을 통과하여 수요처로 공급되는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및 방법은 검사대상수가 수질측정수단의 측정수조에 저수될 때 수질 측정에 충분한 용량으로 저수되도록 유입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로 인한 검사대상수의 유량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공급관(P)을 통과하여 사용처로 공급되는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원격에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검새대상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 제1유입관(20), 제1밸브(30), 제2밸브(40), 유량계(50), 수질측정수단(60), 제2유입관(70), 퇴수관(80), 펌프(90), 제3밸브(100), 제4밸브(110), 배출관(120), 제5밸브(130), 제어부(140) 및 출력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조(10)는 용수공급관(P)에 연결되어 용수공급관(P)을 통과하는 검사대상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제1유입관(20)은 수조(10)의 하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조(10)에 담긴 검사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1밸브(30)는 제1유입관(20)의 일단 상에 접속되어 수조(10)에서 제1유입관(2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유입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밸브(30)는 제어부(140)의 제2출력포트(OUT2)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2출력포트(OUT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2밸브(40)는 제1유입관(20)의 타단 상에 접속되어 제1유입관(20)으로 유입되어 통과되는 검사대상수를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40)는 제어부(140)의 제7출력포트(OUT7)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7출력포트(OUT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유량계(50)는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의 사이에서 제1유입관(20) 상에 접속되고 수조(10)에서 제1유입관(2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계(50)는 제어부(140)의 제1입력포트(IN1)와 연결되어 유량계(50)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제1입력포트(IN1)를 통해 제어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수질측정수단(60)은 제2밸브(40)의 후단에서 제1유입관(20) 상에 접속되어 제1유입관(20)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질측정수단(60)은 검사대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기(61)와, 검사대상수의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염소측정기(6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는 제1유입관(20)의 타단에 각각 제1분기관(21)과 제2분기관(22)을 통해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에는 검사대상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저수하는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가 각각 구비되고,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는 탁도센서(612)와 염소센서(62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탁도센서(612)의 제1측정수조(611)는 빛을 이용한 탁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탁도센서(612)는 제1측정수조(611)의 외부 하면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612a)와, 제1측정수조(61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발광부(612a)에서 발광하여 제1측정수조(611)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612b)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탁도센서(612)는 발광부(612a)의 발광량과 수광부(612b)의 수광량의 차이에 따라 검사대상수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탁도센서(612)는 제어부(140)의 제2입력포트(IN2)와 연결되어 탁도센서(612)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이 제2입력포트(IN2)를 통해 제어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염소센서(622)는 제어부(140)의 제3입력포트(IN3)와 연결되어 염소센서(622)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잔류염소값이 제3입력포트(IN3)를 통해 제어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탁도센서(612)가 발광부(612a) 및 수광부(612b)로 이루어지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탁도센서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유입관(70)은 수조(10)의 하부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유량계(50)와 제2밸브(40)의 사이에서 제1유입관(20)에 연결되어 수조(10)에 담긴 검사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퇴수관(80)은 제1유입관(20)에 유입되는 검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1밸브(30)와 유량계(50)의 사이에서 제1유입관(20)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90)는 제1유입관(2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가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퇴수관(80)의 단부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90)는 제어부(140)의 제5출력포트(OUT5)에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5출력포트(OUT5)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3밸브(100)는 퇴수관(80) 상에 접속되어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검사대상수를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밸브(100)는 제어부(140)의 제3출력포트(OUT3)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3출력포트(OUT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4밸브(110)는 제2유입관(70) 상에 접속되어 수조(10)에서 제2유입관(7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를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밸브(110)는 제어부(140)의 제1출력포트(OUT1)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1출력포트(OUT1)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배출관(120)은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를 퇴수관(80)과 연결하여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펌프(90)의 구동에 따라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단, 배출관(120)은 펌프(90)의 전단과 제3밸브(100)의 후단의 사이에서 퇴수관(8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밸브(130)는 배출관(110) 상에 접속되어 배출관(110)을 통과하는 검사대상수를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밸브(130)는 제어부(140)의 제6출력포트(OUT6)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6출력포트(OUT6)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탁도측정기(61)에서 측정된 탁도값과 염소측정기(62)에서 측정된 잔류염소값 및 유량계(50)에서 측정된 유량값에 따라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에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배출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수조(10)에 저수된 검사대상수로 제1유입관(20)을 세척하도록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 및 펌프(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시점에서 제1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가 개방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2밸브(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조(10)에서 제1유입관(2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제1입력포트(I141)를 통해 유량계(5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유입관(20)을 통과하여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저수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제2입력포트(I142)와 제3입력포트(I143)를 통해 각각 탁도센서(612)와 염소센서(622)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40)는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와 비교하고 유량계(50)로부터 입력받은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하여 수질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이면서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큰 경우 수질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40)는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이더라도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작은 경우 제1유입관(20)의 내부가 이물질로 오염되어 수질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 및 펌프(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를 비우고 제1유입관(20)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가 아닌 경우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에서 측정 오류 등이 발생하여 수질 검사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질 검사를 중단하고 측정오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측정범위는 검사대상수의 오염 정도에 관계없이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 각각에서 측정값으로 출력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벗어난 경우 검사대상수가 제1유입관(20)의 이물질로 인해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충분히 저수되지 않거나 기기오류로 인해 측정값에 이상이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임계유량값은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보다 작은 경우 검사대상수가 제1유입관(20)의 이물질로 인해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충분히 저수되지 않아 수질 검사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점에서 제1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에서 제2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를 폐쇄하고 제5밸브(130)를 개방하고 펌프(90)를 구동하여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저수된 검사대상수가 배출관(120)과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점에서 제2시간이 경과한 제3시점에 제3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를 개방하며 펌프(90)를 구동하여 수조(10)에서 제2유입관(70)으로 유입되는 검사대상수로 제1유입관(20)을 세척하고 제1유입관(20)을 세척한 검사대상수를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저수되어 수질 측정이 불가한 검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1유입관(20)을 세척하여 수질 측정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다시 저수되는 검사대상수의 수질을 정확도 있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40)는 제3시점에서 제3시간이 경과한 제4시점 후 제4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를 개방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여 수조(10)에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제1유입관(20)을 통해 제1측정수조(611)와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다시 저수하여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에 의해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입력포트들(IN1~IN3)로부터의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내부적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내장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유량계(50)로부터의 센싱신호로부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1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탁도센서(612)로부터의 센싱신호 및 염소센서(622)로부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2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40)의 제4출력포트(OUT4)에 연결되어 제어부(140)로부터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에 의해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입력받아 수질 검사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측정오류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방법(S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계(S10), 판단단계(S20), 오류정보출력단계(S30), 배출단계(S40), 세척단계(S50), 검사단계(S60) 및 출력단계(S70)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단계(S10)에서는 제1시점에 제1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를 개방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여 수조(10)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저수되도록 제1유입관(20)으로 유입시키면서 유량계(50)를 통해 검사대상수의 유량과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를 통해 검사대상수의 탁도와 잔류염소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판단단계(S20)에서는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과 비교하는 단계(S21)와,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하는 단계(S22)로 구성되어 검사대상수의 수질 검사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정상측정범위이면서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크면 검사대상수에 대한 수질 검사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단계(S70)를 바로 수행하여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정상측정범위임에도 불구하고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작으면 제1유입관(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로 인해 검사대상수에 대한 수질 측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어 제1유입관(20)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배출단계(S40)와 세척단계(S50)와 검사단계(S60) 및 출력단계(S70)를 차례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이 기설정된 임계유량값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가 아닌 경우 탁도측정기(61)와 염소측정기(62)에서 수질 측정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오류정보출력단계(S30)와 출력단계(S70)를 차례대로 수행하고 수질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오류정보출력단계(S30)에서 측정오류정보를 출력한 후 출력단계(S70)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배출단계(S40)에서는 제1시점에서 제1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에 제2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를 폐쇄하고 제5밸브(130)를 개방하며 펌프(90)를 구동하여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에 각각 저수된 검사대상수를 배출관(120)과 퇴수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세척단계(S50)에서는 제2시점에서 제2시간이 경과한 제3시점에 제3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를 개방하며 펌프(90)를 구동하여 수조(10)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제2유입관(70)으로 유입시켜 제1유입관(20)을 세척할 수 있다.
검사단계(S60)에서는 제3시점에서 제3시간이 경과한 제4시점에 제4시간 동안 제1밸브(30)와 제2밸브(40)를 개방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여 수조(10)에 담긴 검사대상수를 제1유입관(20)으로 유입시켜 탁도측정기(61)의 제1측정수조(611)와 염소측정기(62)의 제2측정수조(621)에 다시 저수하여 검사대상수의 탁도와 잔류염소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출력단계(S70)에서는 제4시점에서 제4시간이 경과한 후 제1밸브(30)와 제2밸브(40)를 개방하고 제3밸브(100)와 제4밸브(110)와 제5밸브(130)를 폐쇄하여 검사단계(S50)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 혹은 판단단계(S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검사대상수의 탁도값과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출력하여 수질 검사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수조
20: 제1유입관
21: 제1분기관
22: 제2분기관
30: 제1밸브
40: 제2밸브
50: 유량계
60: 수질측정수단
61: 탁도측정기
611: 제1측정수조
612: 탁도센서
612a: 발광부
612b: 수광부
62: 염소측정기
621: 제2측정수조
622: 염소센서
70: 제2유입관
80: 퇴수관
90: 펌프
100: 제3밸브
110: 제4밸브
120: 배출관
130: 제5밸브
140: 제어부
IN1: 제1입력포트
IN2: 제2입력포트
IN3: 제3입력포트
OUT1: 제1출력포트
OUT2: 제2출력포트
OUT3: 제3출력포트
OUT4: 제4출력포트
OUT5: 제5출력포트
OUT6: 제6출력포트
OUT7: 제7출력포트
150: 출력부
P: 공급관

Claims (7)

  1. 검사대상수가 통과하는 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내부에 일정수위로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의 일단 상에 연결되는 제1밸브;
    상기 제1유입관의 타단 상에 연결되는 제2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 상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상기 제2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각각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검사대상수를 각각의 측정수조에 저장하여 탁도측정기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수의 탁도를 측정하고 염소측정기를 통해 상기 검사대상수의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수단;
    상기 수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량계와 상기 제2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유량계의 사이에서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는 퇴수관;
    상기 퇴수관 상에 연결되는 제3밸브;
    상기 퇴수관의 단부 상에 연결되는 펌프;
    상기 제2유입관 상에 연결되는 제4밸브;
    상기 수질측정수단과 상기 퇴수관을 연결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연결되는 제5밸브; 및
    상기 탁도측정기에서 측정된 탁도값과 상기 염소측정기에서 측정된 잔류염소값 및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값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5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값과 상기 잔류염소값을 각각의 기설정된 정상측정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되는 상기 검사대상수의 유량값을 기설정된 임계유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탁도값과 상기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상기 정상측정범위에 만족하고 상기 유량값이 상기 임계유량값보다 크면 수질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탁도값과 상기 잔류염소값을 수질 검사 결과로 입력받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탁도값과 상기 잔류염소값이 각각의 상기 정상측정범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량값이 상기 임계유량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유입관의 내부가 이물질로 오염되어 수질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5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수조에 담긴 상기 검사대상수로 상기 제1유입관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제어동작 이전에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3밸브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5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측정수조에 저수된 상기 검사대상수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03070A 2021-08-05 2021-08-05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KR10258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70A KR102588565B1 (ko) 2021-08-05 2021-08-05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70A KR102588565B1 (ko) 2021-08-05 2021-08-05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27A KR20230021327A (ko) 2023-02-14
KR102588565B1 true KR102588565B1 (ko) 2023-10-12

Family

ID=8522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70A KR102588565B1 (ko) 2021-08-05 2021-08-05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5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733B1 (ko) * 2017-08-09 2018-09-10 (주)에스지아이시스템 세척수 관리 시스템 및 세척수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078A (ja) * 1994-06-02 1995-12-12 Kubota Corp 管内洗浄装置
JP2006071340A (ja) * 2004-08-31 2006-03-16 Kurita Water Ind Ltd 液体中の溶存気体濃度の測定方法、測定装置及び窒素ガス溶解水の製造装置
KR20080107926A (ko) * 2007-06-08 2008-12-11 (주)바이오니아 수질 측정장치
KR101296199B1 (ko) 2011-11-02 2013-08-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상하수관망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장치
KR101621449B1 (ko) 2015-08-28 2016-05-17 한삼코라 주식회사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733B1 (ko) * 2017-08-09 2018-09-10 (주)에스지아이시스템 세척수 관리 시스템 및 세척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27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237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juomien jakelulinjan pesemiseksi sekä järjestelmässä käytettävä tunnistinyksikkö
CA2730797A1 (en) Monitoring and recording device for clean-in-place system
JPWO2018179494A1 (ja) 水質測定装置
US20200049682A1 (en) Ballast water measurement apparatus, ship comprising ballast water measurement apparatus, and ballast water measurement method
US10875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particulate extraction from solid parts
KR102588565B1 (ko) 관세척 기능을 가진 수질 검사 장치
CN106872452A (zh) 一种游离氯在线分析仪和其使用方法
US201002664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nd analysing channels in instruments, particularly in endoscopes
JP6225522B2 (ja) 水質測定装置
CN209979615U (zh) 水质质控流路及质控仪
JP6493441B2 (ja) 水質測定方法
KR101108561B1 (ko)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pH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 측정방법
KR102011432B1 (ko)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101395637B1 (ko)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TW202115661A (zh) 水質測定用採水裝置
KR101582035B1 (ko) 누수탐지와 청소가 용이한 물탱크
US108768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performance of pumps and verifying accurate operation of flowmeters
AU729963B2 (en) Evaluation of particulate contaminants
KR20230037521A (ko) 튜브의 내부를 세척 및 건조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190264B (zh) 将液体注入容器的装置及其操作方法
JP4113105B2 (ja) 流水式魚類試験装置
JP3837350B2 (ja) 試料採取装置
JP5169812B2 (ja) 自動滴定装置及びそのpH校正方法
KR102509559B1 (ko) 다지점 수질 연속 측정 시스템
JP2006125930A (ja) 水質測定器および水質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