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495B1 -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495B1
KR102588495B1 KR1020180126470A KR20180126470A KR102588495B1 KR 102588495 B1 KR102588495 B1 KR 102588495B1 KR 1020180126470 A KR1020180126470 A KR 1020180126470A KR 20180126470 A KR20180126470 A KR 20180126470A KR 102588495 B1 KR102588495 B1 KR 10258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lectronic device
key cap
actua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662A (ko
Inventor
강유진
손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495B1/ko
Priority to PCT/KR2019/013890 priority patent/WO2020085762A1/ko
Priority to US17/287,649 priority patent/US11764005B2/en
Publication of KR2020004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66Operating part bringable in an inoperative position by an electrical dr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5Tactile feedback electromechanical
    • H01H2215/052Tactile feedback electromechanical piezo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2Part of keyboard not oper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8Actuators having a not operable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H10N30/2048Membrane type having non-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행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조립체는 키 캡,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키 캡을 지지하되, 상기 키 캡의 누름 동작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상기 지지 구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결된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에 연결되어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키 캡을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WITH KEY ASSEMBL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게임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영상 재생 서비스 및 음악 재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를 위한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은 키보드에 포함된 다수의 키들 중, 미리 지정된 일부 키의 입력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정해진 키 이외의 다른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방해하는 동작들이 실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미리 지정된 키에 대하여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미리 지정된 키와 다른 키의 높이가 구분되도록 키 캡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미리 지정된 키가 고정되도록 키 캡 하부로 지지 부재를 상향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행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조립체는 키 캡,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키 캡을 지지하되, 상기 키 캡의 누름 동작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상기 지지 구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결된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에 연결되어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키 캡을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행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조립체는 키 캡, 인쇄회로기판, 상기 키 캡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상기 키 캡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눌러진 키 캡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체,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결된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에 연결되어서, 활성화 여부에 따라 변형되어서, 상기 연결 로드를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키와 다른 키의 높이가 구분되도록 키 캡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미리 지정된 키가 고정되도록 키 캡 하부로 지지 부재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모드나 특정 키만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 원하지 않는 키가 눌리는 에러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모드 중, 필요한 키만 누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에서 비활성화 키를 지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립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류가 인가되어 활성화된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가된 전류가 단속되어 비활성화된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어 키 캡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바활성화되어 키 캡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어 정상적인 키 입력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비활성화되어 연결 로드에 의해 정상적인 키 입력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키 조립체에 적용되는 복원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키 조립체에 적용되는 복원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비활성화 키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2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00)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210)에서 비활성화 키를 지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210), 예를 들어, 키보드의 일부 구성요소는 전자 장치(220)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10)는 프로세서(212), 메모리(214), 통신 인터페이스(2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210)는 액추에이터(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10)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통합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메모리(214), 액추에이터(216), 통신 인터페이스(218)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마이컴(mico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입력 장치(210)에 포함된 다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비활성화 키로 지정할 수 있다. 비활성화 키는 전자 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키 또는 미리 지정된 키 조합의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프로세서(212)는 전자 장치(101)로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의해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입력(예: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등)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활성화 키 혹은 비활성화 키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키 설정 화면이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설정 화면(250)은, 입력 장치(210)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 설정 화면(250)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활성 키 또는 비화성화 키로 지정할 것인지 선택하는 메뉴(예: 체크 박스 등)(2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전자 장치(101)에 의해 실행된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키와 관련된 정보는 입력 장치(210)의 각각의 키에 부여된 고유한 값, 예를 들어, 키보드 스캔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입력 장치(210)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정의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된 통신 방식은 SABI(Samsung Advanced BIOS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프로세서(212)는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를 비활성화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미리 지정된 키 또는 미리 지정된 키 조합의 입력이 감지된 이후, 소정의 시간동안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비활성화 키로 지정할 수도 있다. 지정된 비활성화 키에 대한 정보는 입력 장치(예: 메모리(214))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정보(예: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활성화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12)는 입력 장치(21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고, 구분된 사용자와 관련된 비활성화 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인증 정보(예: 비밀번호,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등)도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는 정보(예: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활성화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12)는 입력 장치를 이용 중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고, 구분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비활성화 키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동작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비활성화 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이벤트는, 입력 장치(210)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작 이벤트는 입력 장치(210)에 구비된 전원 키의 입력이 감지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비활성화 키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212)는 액추에이터(21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216)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216)는,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비활성 키에 대응되는 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통신 방식은 SAB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의 높이가 다른 키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액추에이터(216)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16)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미리 지정된 높이만큼 낮아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12)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키가 물리적으로 눌리지 않도록 액추에이터(216)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16)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액추에이터(216)에 연결된 연결 로드(예: 샤프트)가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키는 하부에 위치한 연결 로드에 의해 고정되어 물리적으로 눌려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218)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키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이 전자 장치(101)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비활성화 키로 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노트북, 인터펫 패드,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는 데이터 입력 장치가 실장되거나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입력 장치는 키보드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 장치(300)(예;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150))는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의 키 입력 장치로 실장될 수 있고, 본체에 연결되어서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 장치(300)는 키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제1방향(①)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310a)와, 제1방향(①)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제2방향(②)으로 향하는 제2플레이트(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310a)는 하우징(310)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플레이트(310b)는 하우징의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은 제1플레이트(310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개의 키들(312)이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키들(312)은 QWERTY 키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a)에 배치된 키들(312)은 키 캡(51)일 수 있다. 이러한 키들(312) 배열에 따라서, 사용자는 키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면에는 키보드 장치의 복수 개의 키 캡(51)들만이 보여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보드 장치(300)에서, 게임 모드나 특정 키만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 액츄에이터(예; 도 2에 도시된 액츄에이터(216))의 동작에 의해 원하지 않는 키가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키만 누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키보드 장치(300)에서, 원하는 키는 눌러지지 않게 하거나, 필요한 키가 눌러지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액츄에이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립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류가 인가되어 활성화된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가된 전류가 단속되어 비활성화된 상태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41)는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서 탄성 변형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액츄에이터(41)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서, 전류 인가 여부나 특정 신호 인가 여부에 따라서 탄성변형을 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압전 세라믹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41)는 제1신호가 인가되면, 제1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어서, 액츄에이터(41)에 고정된 로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41)에 제2신호가 인가되면, 제2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어서, 액츄에이터(41)에 고정된 로드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키 보드 장치의 하우징에 배치된 키 조립체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어 키 캡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바활성화되어 키 캡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500)는 하우징(51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조립체(500)는 키 캡(51)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로서, 특정 모드에서 특정 키의 누름 동작이 안되게 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조립체(500)는 키 캡(51)과, 지지 구조(52), 접점부, 유동부(54) 및 액츄에이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6)을 기준으로, 인쇄회로기판(56)의 제1방향(①)으로 키 캡(51)과 접점부 및 지지 구조(5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9510)의 제2방향(②)으로 유동부(54) 및 액츄에이터(55)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52)는 키 캡(51)을 기판(57)으로부터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런져(522,524)와, 눌러진 키 캡(5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체(521)와, 키 캡(5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런져는 제1,2플런져(522,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플런져(522,524)는 키 캡(51)의 상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제1,2플런져(522,524)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각각 시소 같은 동작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복원체(521)는 키 캡(51)과 기판(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원체(521)는 탄성 재질, 예컨대 러버 재질로 구성되어서, 눌러진 키 캡(5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체(521)는 키 캡(51) 누름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누름 제거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 복원체(521)는 내부에 접점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520)는 일단이 키 캡(51)과 연결되고, 타단이 유동부(54)와 연결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20)는 기판(57)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20)는 액츄에이터(55)의 작동 힘을 키 캡(51)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54)는 지지 구조(52)의 지지 부재(520)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동부(54)는 액츄에이터(55)에서 제공하는 힘을 지지 구조(52)에 전달할 수 있다. 유동부(54)는 피스톤 구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모드이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인 경우, 액츄에이터(55)에 전류가 인가(예; 활성화)되어서, 액츄에이터(55)가 제2방향(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면, 유동부(54)는 제2방향(②)으로 당겨져셔, 키 캡(51)은 하강할 수 있다. 키 캡(51)의 하강에 따라서, 복원체(521)도 같이 하강하여 압축된 상태가 되고, 제1,2플런져(522,524)도 하강한 상태가 된다. 액츄에이터(55)에 의해 키 캡(51)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키 캡(51)이 하강한 상태라서, 원하지 않는 키가 눌러지는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요한 키만 누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55)는 유동부(54)의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55)에 전류가 인가(예; 활성화)되거나 제1신호가 인가되면, 액츄에이터(55)는 제2방향(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유동부(54)는 제2방향(②)으로 이동하며, 키 캡(51)은 제2방향(②)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액츄에이터(5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55)에 전류가 인가가 단속(예; 비활성화)되거나 제2신호가 인가되면, 액츄에이터(55)는 제1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유동부(54)는 제1방향(①)으로 이동하여, 키 캡(51)은 제1방향(①)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키 캡(51)이 정상적으로 누름 동작으로 입력 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어 정상적인 키 입력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액츄에이터가 비활성화되어 연결 로드에 의해 정상적인 키 입력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600)는 도 5a, 도 5b에 도시된 키 조립체(500)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은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고, 차이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도 5b에 도시된 지지 구조는 도면에서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600)는 액츄에이터(55)와, 액츄에이터(55)에 연결된 연결 로드(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로드(58)는 액츄에이터(55)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2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된 경우, 키 캡(51)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잇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로드(58)에 가해진 전류를 단속하면, 액츄에이터(55)는 제1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고, 연결 로드(58)는 복원체(521)의 개구 속으로 삽입되어서, 키 캡(51)의 누름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키 캡(51)의 누름의 정상적인 입력 동작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참조번호, 570는 기판(57)에 형성된 관통 개구이고, 560은 연성 회로기판(56)(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형성된 관통 개구일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키 조립체에 적용되는 복원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원체(521)는 기판(예; 도 5a에 도시된 기판(57))과 키 캡(예; 도 5a에 도시된 키 캡(51)) 사이에 배치되어, 눌러진 키 캡(51)을 원위치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로서, 몸체(5210)와, 러버 재질의 돔 부분(5211)과, 접점 돌출부(5212) 및 접점부(5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체(521)는 탄성 재질, 예컨대 러버 재질로서,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원체(521)는 키 캡(51)의 눌러짐에 따라 눌러질 수 있고, 눌러진 힘의 제거에 따라서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체(521)는 몸체(5210)와, 몸체(5210)에서 제2방향쪽으로 연장된 돔 부분(5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돔 부분(5211)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서, 접점 돌출부(5212)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5210)는 제2방향(②)으로 돌출된 접점 돌출부를 포함하고, 접점 돌출부(5212)는 접점부(5213), 예컨대 탄소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부(5213)는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예; 도 5a이 인쇄회로기판(56))의 접점부(미도시)에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5210)는 단부에 받침 부분(5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키 조립체에 적용되는 복원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원체(523)는 도 7a에 도시된 복원체(521)의 구조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원체(523)는 연결 로드(예; 도 6a에 도시된 연결 로드(58))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52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개구(5215)는 몸체(52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 로드(58)의 형성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개구(5215)는 원통형의 공간일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비활성화 키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의 입력 장치는 도 2의 입력 장치(210)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10)(예: 도 2의 프로세서(212))는, 동작 810에서, 동작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이벤트는, 입력 장치(210)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 입력 장치(210)에 구비된 전원 키의 입력이 감지되는 상황 또는 입력 장치(210)가 전자 장치(10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동작 820에서, 비활성 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활성화 키는 입력 장치(210)에 구비된 다수의 키 중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 발생을 억제하도록 미리 지정된 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2)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가 없다면 비활성화된 키로 지정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키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에 대한 명령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키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동작 830에서, 비활성 키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216)(예; 도 5a에 도시된 액츄에이터(5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215)는 비활성 키에 대응되는 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의 높이가 다른 키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액추에이터(2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16)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키가 물리적으로 눌리지 않도록 키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의 하부에 샤프트가 위치하도록 액추에이터(2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9의 동작들은, 도 8의 동작 8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의 입력 장치는 도 2의 입력 장치(210)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10)(예: 도 2의 프로세서(212))는, 동작 910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910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동작 920에서, 입력이 감지된 키가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화 키로 지정된 키의 입력으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동작 930에서,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전자 장치(101)로 제공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화 키로 지정되지 않은 키의 입력으로 판단되면, 입력 장치(210)(예: 프로세서(212))는 동작 940에서,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조립체는
    키 캡;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키 캡을 지지하되, 상기 키 캡의 누름 동작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상기 지지 구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접점부;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결된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에 연결되어서,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키 캡을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압전 세라믹 재질인 탄성 물질을 포함하며, 비활성화되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경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전류 인가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변형되거나, 상기 제2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변형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키 캡을 상기 제2방향으로 하강시킨 후, 상기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키 캡에 연결되고, 상기 키 캡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속시키는 지지 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키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눌러진 키 캡을 상기 제1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복원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키 캡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키 캡의 상하 이동 동작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런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체는 러버 재질의 돔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피스톤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조립체는
    키 캡;
    인쇄회로기판;
    상기 키 캡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상기 키 캡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진 키 캡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체;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연결된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에 연결되어서,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변형되어서, 상기 연결 로드를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압전 세라믹 재질인 탄성 물질을 포함하며, 비활성화되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경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전류 인가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키 캡의 하강 이동을 막음으로서, 상기 키 캡의 입력 동작이 불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변형되거나, 상기 제2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변형되는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체는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연결 로드를 상기 제1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상승 상태를 유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26470A 2018-10-23 2018-10-23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8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70A KR102588495B1 (ko) 2018-10-23 2018-10-23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CT/KR2019/013890 WO2020085762A1 (ko) 2018-10-23 2019-10-22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7/287,649 US11764005B2 (en) 2018-10-23 2019-10-22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70A KR102588495B1 (ko) 2018-10-23 2018-10-23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662A KR20200045662A (ko) 2020-05-06
KR102588495B1 true KR102588495B1 (ko) 2023-10-12

Family

ID=7033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470A KR102588495B1 (ko) 2018-10-23 2018-10-23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4005B2 (ko)
KR (1) KR102588495B1 (ko)
WO (1) WO2020085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477263A1 (en) * 2021-12-10 2024-05-02 Razer (Asia-Pacific) Pte. Ltd. Input key assembly and inpu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092A (en) * 1983-12-20 1987-12-08 Aaron J. Gellman Parallel encoded piezoelectric keyboard switch and array
JP2015069645A (ja) 2013-09-28 2015-04-13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デバイス用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908A (en) * 1987-05-14 1989-02-21 As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backlighted keyboard
JPH07146741A (ja) 1993-11-19 1995-06-06 Pfu Ltd 薄型キーボード
JPH0917271A (ja) * 1995-06-29 1997-01-17 Brother Ind Ltd キースイッチ装置
TW281743B (en) 1995-08-11 1996-07-21 Fujitoru Takamisawa Parts Co Ltd Keyswitch having a reduced height and a keyboard using such a keyswitch
JPH09190267A (ja) 1995-08-23 1997-07-22 Toshiba Corp 外部イベントに基づきキーボード割当を動的に構成し直す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10035991A (ko) 1999-10-05 2001-05-07 구자홍 키보드용 키
KR20010047483A (ko) 1999-11-20 2001-06-15 윤종용 컴퓨터에서의 터치 패드 기능 제어 방법
KR100463514B1 (ko) 2000-09-0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그인 수행을 위한 시스템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KR101034002B1 (ko) 2003-08-11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이보드
US20060012577A1 (en) 2004-07-16 2006-01-19 Nokia Corporatio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KR101092335B1 (ko) 2009-11-10 2011-12-09 아이프로스 아이앤씨 주식회사 컴퓨터용 키보드
KR101299051B1 (ko) 2011-09-07 2013-09-16 소프트캠프(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작업환경을 분리하는 정보 처리환경 조성장치와 방법
JP2015088158A (ja) 2013-09-26 2015-05-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092A (en) * 1983-12-20 1987-12-08 Aaron J. Gellman Parallel encoded piezoelectric keyboard switch and array
JP2015069645A (ja) 2013-09-28 2015-04-13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デバイス用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4005B2 (en) 2023-09-19
US20210358698A1 (en) 2021-11-18
WO2020085762A1 (ko) 2020-04-30
KR20200045662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644B1 (ko) 팝업 회전 카메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614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90004481A (ko) 틸팅 구조를 갖는 이미징 센서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033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elastic member for preventing/reduc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pressure sensor
KR20200036374A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13800A (ko)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US1114410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panding inner space of main body of the same
KR102588495B1 (ko) 키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CN112492163B (zh) 摄像头模组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电子设备
KR102514401B1 (ko) 액세서리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3548A (ko)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7042A (ko)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74210B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35337A (ko)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08762B1 (en) Apparatus for unlocking electronic device by us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US10403967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210074910A (ko) 누설 전류에 의한 진동 감소용 금속 하우징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상기 금속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
KR20210120378A (ko) 무선 충전을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4009817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bstrate fixing member
WO2023085577A1 (ko) 햅틱 반응을 지원하는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0946B1 (ko) 디지털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9609A (ko) 제어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가 제어 동작하는 방법
KR20220158520A (ko) Mems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062276A (ko) 폴더블 키보드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