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329B1 -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329B1
KR102586329B1 KR1020180141679A KR20180141679A KR102586329B1 KR 102586329 B1 KR102586329 B1 KR 102586329B1 KR 1020180141679 A KR1020180141679 A KR 1020180141679A KR 20180141679 A KR20180141679 A KR 20180141679A KR 102586329 B1 KR102586329 B1 KR 10258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olt
hole
mount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375A (ko
Inventor
신재홍
김의현
염중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3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03Machines for moun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15Automated devices, e.g. mountin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63Tools interacting with the tyre and moved in relation to the tyre during operation
    • B60C25/059Conjoint tool operations, i.e. at least two tools cooperating simultaneously

Abstract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설정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차체의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휠 장착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기 휠이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휠 로딩 유닛,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휠 로딩 유닛에 대응하여 차체 이송 방향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의 볼트홀과 휠의 관통홀 사이의 위치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며,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을 매칭시킨 상태로, 장착된 볼트로 상기 휠 허브에 휠을 체결하는 볼트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WHEEL MONU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휠 허브의 볼트홀에 대하여 휠의 관통홀을 매칭시킨 후, 볼트 체결할 수 있어 작업공정의 성력화가 가능한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한대의 완성차를 생산하기 위하여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제품양산까지 여러 가지 공정라인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들은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맞추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여러 가지 공정 중, 의장공정에 포함되는 차체에 장착될 휠은 외주면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고, 휠 로딩장치를 통해 차체의 휠 허브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상기 휠 허브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휠과 휠 허브의 연결 상태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휠 허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휠 허브에 다수의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휠에는 상기 볼트 삽입홀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가 볼트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 삽입홀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작업자는 휠의 볼트 관통홀과 휠 허브의 볼트 삽입홀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적당히 휠을 회전시켜 볼트를 가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휠을 돌려가면서 휠 허브에 휠을 가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휠에 가려 상기 휠 허브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종종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휠 허브의 볼트홀과 휠의 관통홀을 상호 매칭시킨 상태로,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휠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컨베이어를 통해 설정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차체의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휠 장착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기 휠이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휠 로딩 유닛,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휠 로딩 유닛에 대응하여 차체 이송 방향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의 볼트홀과 휠의 관통홀 사이의 위치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며,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을 매칭시킨 상태로, 장착된 볼트로 상기 휠 허브에 휠을 체결하는 볼트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을 통해 상기 휠의 관통홀을 감지하며, 상기 휠 허브 측으로 이동하여 볼트홀을 감지한 후, 상기 관통홀과 볼트홀의 위치차이에 따른 회전량만큼 상기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휠을 휠 허브 측으로 이동시켜 매칭된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에 대하여 볼트 체결하는 제어로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휠 로딩 유닛이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홈부을 통해 차폭 방향과 차체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이 설치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로딩 유닛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 롤러 브라켓을 통해 상기 휠의 곡률에 따라 복수개의 구동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상면에 가이드 라인을 통해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휠 허브 및 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홀이 형성되는 툴 브라켓, 및 상기 툴 브라켓의 설치홀을 통해 장착되어 볼트가 로딩되는 툴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몸체는 상기 설치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롯판으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고정판과 슬롯판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판을 통해 상기 볼트가 로딩되는 너트 런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의 위치차이만큼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슬롯판이 회전하여 측정한 회전량을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시 센서부는 회전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엔코터(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판에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상기 슬롯판 및 장착판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고정판과 슬롯판을 동기화시키는 센서 스위치, 및 상기 너트 런너를 회전 작동 시키는 체결 스위치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센서부를 통해 휠 허브의 볼트홀에 대응하여 휠의 관통홀이 매칭되도록 상기 휠을 회전 구동 시킨 후, 볼트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휠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휠 로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 체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 체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휠 로딩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 체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 체결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는 차량의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서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 및 작동방법에 적용되는 방법은 휠 허브에 휠을 정위치 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 및 작동방법은 작업자가 휠 허브의 볼트홀에 대응하여 휠의 관통홀을 매칭시키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볼트홀에 체결되도록 볼트를 조립하는 수작업을 성력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가 이동되는 방향을 차체 이송 방향으로 정의하는데, 당 업계에서는 차체 이송 방향을 T 방향,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LTH 방향을 각각 차체 이송 방향, 차폭 방향 및 차고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는 컨베이어(1)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휠 로딩 유닛(40)과 볼트 체결 유닛(50)을 포함한다.
먼저, 차량은 컨베이어(1)를 통해 설정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컨베이어(1)의 양측에는 각각 프레임(3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측에 장착된 프레임(30)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상기 프레임(30)은 컨베이어(1)의 각각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은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컨베이어(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3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31)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에 레일(33)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31)는 차체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에는 상기 레일(3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메인 플레이트(35)가 장착된다.
즉, 상기 메인 플레이트(25)는 상기 지지대(31)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33)과 측면의 홈부(H)를 통해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메인 플레이트(25)는 상부에 상기 휠 로딩 유닛(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35)의 측면의 홈부(H)를 통해 차폭 방향과 차체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보조 플레이트(37)가 장착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37)의 상부에는 볼트 체결 유닛(50)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30)을 통해 장착되는 휠 로딩 유닛(40)과 볼트 체결 유닛(50)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휠 로딩 유닛(40)은 상기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1)를 따라 차체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35)를 따라 차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휠 로딩 유닛(40)은 휠 허브(10)에 대하여 장착되는 휠(20)이 복수개의 구동롤러(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로딩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휠 로딩 유닛(40)은 롤러 브라켓(41)을 통해 상기 휠(20)의 곡률을 따라 복수개의 구동롤러(43)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롤러 브라켓(41)은 상기 휠(20)의 진행방향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휠(20)이 설정위치에 로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휠(20)은 하측에 구성된 구동롤러(43)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롤러 브라켓(41)의 상부에 로딩된다.
더불어, 상기 구동롤러(43)는 상기 휠(2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43)가 상기 휠(20)을 기준으로 측면에 설치될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80)가 설치되는 설치대(81)를 통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은 상기 프레임(30)에서 상기 휠 로딩 유닛(40)에 대응하여 차체 이송 방향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37)에 장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은 상기 휠 허브(10)의 볼트홀(11)과 휠(20)의 관통홀(21) 사이의 위치차이를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은 상기 볼트홀(11)과 관통홀(21)을 매칭시킨 상태로, 장착된 볼트(B)를 통해 상기 휠 허브(10)에 휠(20)을 체결한다.
이러한 볼트 체결 유닛(50)은 툴 브라켓(51)과 툴 몸체(60)를 포함한다.
상기 툴 브라켓(51)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37)의 상면에 가이드 라인(53)을 통해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 라인(53)의 선단에는 스토퍼(54)가 형성되어 상기 툴 브라켓(51)의 진행을 제어한다.
상기 툴 브라켓(51)은 상기 휠 허브(10) 및 휠(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환형의 설치홀(55)이 형성된다.
상기 툴 브라켓(51)은 두개의 다리부(57)가 상기 가이드 라인(53)에 지지되고, 상기 다리부(57)와 일체로 환형의 설치홀(55)이 형성된다.
상기 툴 브라켓(51)은 상기 다리부(57)가 두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툴 몸체(60)는 상기 툴 브라켓(51)의 설치홀(55)에 장착된다.
상기 툴 몸체(60)는 상기 툴 브라켓(51)을 통해 설치되는 센서부(61)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61)는 상기 툴 브라켓(51)의 설치홀(55)에 고정되는 고정판(63)과, 상기 고정판(6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롯판(6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61)는 볼트홀(11)과 관통홀(21)의 위치차이만큼 상기 고정판(63)에 대하여 슬롯판(65)이 회전하여 측정한 회전량을 제어부(8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80)는 메인 플레이트(35) 상에 설치되는 설치대(8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을 통해 상기 휠(20)의 관통홀(21)을 감지하며, 상기 휠 허브(10) 측으로 이동하여 볼트홀(11)을 감지한 후, 상기 관통홀(21)과 볼트홀(11)의 위치차이에 따른 회전량만큼 상기 휠(20)을 회전시키고, 상기 휠(20)을 휠 허브(10) 측으로 이동시켜 매칭된 상기 볼트홀(11)과 관통홀(21)에 대하여 볼트체결하는 제어로직을 가진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센서부(61)에서 측정한 관통홀(21)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판단하며, 상기 볼트홀(11)의 위치를 측정위치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센서부(61)로부터 도출된 상기 초기위치 대비 측정위치의 위치차이에 대한 회전량에 따른 디지털 값을 송신받아 상기 휠(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센서부(61)는 상기 고정판(63)에 대하여 슬롯판(65)이 회전하면서 도출된 디지털 값을 상기 제어부(8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61)는 회전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엔코더(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롯판(65)에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67)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67)는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슬롯판(6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67)에는 상기 고정판(63)과 슬롯판(65)을 동기화시키는 센서 스위치(69a)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 스위치(69a)는 사용자에 의해 온(on)/오프(off)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센서부(61)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67)에는 이하의 너트 런너(71)를 회전 작동 시키는 체결 스위치(69b)가 장착된다.
상기 체결 스위치(69b)는 상기 볼트(B)를 상기 휠 허브(10)와 휠(20)에 대하여 체결 시, 상기 너트 런너(71)를 회전 작동 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툴 몸체(60)는 상기 고정판(63)과 슬롯판(65)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70)은 상기 슬롯판(65)과 함께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판(70)에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몸체(60)는 상기 장착판(70)을 통해 볼트(B)가 로딩되는 너트 런너(71)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단계로,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의 손잡이부(67)에 장착된 센서 스위치(69a)를 온(on)시킨다.
이때, 상기 센서부(69a)가 활성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휠 로딩 유닛(40)에 로딩된 휠(20)의 관통홀(21)에 볼트 체결 유닛(50)에 장착된 볼트(B)를 매칭시켜 초기위치를 측정한다.
제2 단계로,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을 휠 허브(10) 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휠 허브(10)의 볼트홀(11)에 상기 볼트(B)를 매칭시켜 측정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초기위치 대비 측정위치 사이의 회전된 회전량을 상기 센서부(61)를 통해 측정한다.
제3 단계로, 상기 센서부(61)를 통해 상기 휠 로딩 유닛(40)의 구동롤러(43)를 회전하여 상기 회전량만큼 상기 휠(20)을 회전시킨다.
그 후, 상기 센서 스위치(69a)를 오프(off)시켜 상기 센서부(61)의 작동을 비활성화 시킨다.
제4 단계로, 상기 휠 허브(10)의 볼트홀(11)과 휠(20)의 관통홀(21)을 매칭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B)를 관통홀(21)과 볼트홀(11)에 삽입하여 상기 휠 허브(10)에 휠(2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볼트 체결 유닛(50)의 체결 스위치(69b)를 통해 상기 볼트(B)를 볼트홀(11)과 관통홀(21)에 체결하여 상기 휠 허브(10)에 휠(20)을 장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은 센서부(61)를 통해 휠 허브(10)의 볼트홀(11)에 대응하여 휠(20)의 관통홀(21)이 매칭되도록 상기 휠(20)을 회전 구동 시킨 후, 볼트(B)를 조립함으로써,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컨베이어 10: 휠 허브
11: 볼트홀 20: 휠
21: 관통홀 30: 프레임
31: 지지대 33: 레일
35: 메인 플레이트 37: 보조 플레이트
40: 휠 로딩 유닛 41: 롤러 브라켓
43: 구동롤러 50: 볼트 체결 유닛
51: 툴 브라켓 53: 가이드 라인
54: 스토퍼 55: 설치홀
57: 다리부 60: 툴 몸체
61: 센서부 63: 고정판
65: 슬롯판 67: 손잡이부
69a: 센서 스위치 69b: 체결 스위치
70: 장착판 71: 너트 런너
80: 제어부 81: 설치대

Claims (15)

  1. 컨베이어를 통해 설정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차체의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휠 장착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기 휠이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로딩되는 휠 로딩 유닛;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휠 로딩 유닛에 대응하여 차체 이송 방향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의 볼트홀과 휠의 관통홀 사이의 위치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며,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을 매칭시킨 상태로, 장착된 볼트로 상기 휠 허브에 휠을 체결하는 볼트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체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휠 로딩 유닛이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홈부을 통해 차폭 방향과 차체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이 설치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을 통해 상기 휠의 관통홀을 감지하며, 상기 휠 허브 측으로 이동하여 볼트홀을 감지한 후, 상기 관통홀과 볼트홀의 위치차이에 따른 회전량만큼 상기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휠을 휠 허브 측으로 이동시켜 매칭된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에 대하여 볼트 체결하는 제어로직을 갖는 휠 장착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로딩 유닛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 롤러 브라켓을 통해 상기 휠의 곡률에 따라 복수개의 구동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휠 장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상면에 가이드 라인을 통해 차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휠 허브 및 휠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홀이 형성되는 툴 브라켓; 및
    상기 툴 브라켓의 설치홀을 통해 장착되어 볼트가 로딩되는 툴 몸체;
    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툴 몸체는
    상기 설치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롯판으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고정판과 슬롯판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판을 통해 상기 볼트가 로딩되는 너트 런너;
    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볼트홀과 관통홀의 위치차이만큼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슬롯판이 회전하여 측정한 회전량을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휠 장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시 센서부는
    회전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엔코터(encoder)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판에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슬롯판 및 장착판이 함께 회전되는 휠 장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고정판과 슬롯판을 동기화시키는 센서 스위치; 및
    상기 너트 런너를 회전 작동 시키는 체결 스위치;
    가 구성되는 휠 장착 장치.
  11. 청구항 1 항에 따른 휠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휠 로딩 유닛에 로딩된 휠의 관통홀에 볼트 체결 유닛에 장착된 볼트를 매칭시켜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휠 허브의 볼트홀에 상기 볼트를 매칭시켜 측정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초기위치 대비 측정위치 사이의 위치차이를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의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센서부와 연결된 휠 로딩 유닛의 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량만큼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휠의 관통홀과 휠 허브의 볼트홀을 매칭시키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의 센서 스위치를 온(on)시킨 후,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인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초기위치와 측정위치 사이의 위치차이에 대한 회전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엔코더(encoder)를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의 손잡이에 위치한 센서 스위치를 오프(off)시킨 후, 상기 센서부의 활성화를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볼트 체결 유닛의 체결 스위치를 통해 상기 볼트를 관통홀과 볼트홀에 체결하여 상기 휠 허브에 휠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휠 장착 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80141679A 2018-11-16 2018-11-16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58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79A KR102586329B1 (ko) 2018-11-16 2018-11-16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79A KR102586329B1 (ko) 2018-11-16 2018-11-16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75A KR20200057375A (ko) 2020-05-26
KR102586329B1 true KR102586329B1 (ko) 2023-10-06

Family

ID=7091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79A KR102586329B1 (ko) 2018-11-16 2018-11-16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24B1 (ko) * 2021-01-26 2023-03-07 조영진 타이어 탈착용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65B1 (ko) * 2016-05-18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너트 체결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478A (ja) * 1986-09-10 1988-03-2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タイヤ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65B1 (ko) * 2016-05-18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휠너트 체결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75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097B1 (ko) 휠 자동 장착 그리퍼 장치
KR101776765B1 (ko) 휠너트 체결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US6581448B2 (en) Snug fitting apparatus for tir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ire assembly
KR102586329B1 (ko) 휠 장착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984303B1 (ko) 타이어 휠의 너트홀 또는 볼트홀 센터링장치
US4635339A (en) Automated wheel decking assembling
US20130146231A1 (en) Accessory for tyre-chang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the locking of wheel rims for vehicles
JPH04310838A (ja) タイヤの動バランス測定機
US9921043B2 (en) Measurement tool and method of measuring brake stroke
US4109387A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CN112571038A (zh) 用于制动盘的毂体的归正运送装置
KR100471274B1 (ko)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US20150068019A1 (en) Shaft rotation and position system
US7568279B2 (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n instrument panel
WO2006029041A2 (en) A valve stem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valve stem
KR20090100976A (ko) 볼트 장착장치
KR102440578B1 (ko) 타이어 자동장착을 위한 허브 정위치 장치 및 이의 정렬방법
US2572306A (en) Traction supply device
KR100572395B1 (ko) 차량의 범용 액슬 어셈블리 지그
US4953288A (en) Wheel presetting apparatus
CN220925429U (zh) 用于清洗车上清洗机组的柔性旋转平台
JPH0228081B2 (ko)
KR100200153B1 (ko) 자동차 디퍼렌셜 기어의 오조립 점검장치
JPS5948175B2 (ja) 自動車ドアガラスの取付け位置決め用具
JPH03123402A (ja) 可搬式軌道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