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235B1 - 다목적 집게 - Google Patents

다목적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35B1
KR102586235B1 KR1020200173383A KR20200173383A KR102586235B1 KR 102586235 B1 KR102586235 B1 KR 102586235B1 KR 1020200173383 A KR1020200173383 A KR 1020200173383A KR 20200173383 A KR20200173383 A KR 20200173383A KR 102586235 B1 KR102586235 B1 KR 10258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switch
cutting
bla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288A (ko
Inventor
최인찬
이상규
곽강수
이재수
김태현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2003/02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with means for grasping or collecting the cut obj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목적 집게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절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집게{MULTI-PURPOSE TONGS}
본 발명은 다목적 집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물의 줄기 및 가지를 집고 절단하는 다목적 집게에 관한 것이다.
박과작물은 덩굴성 작물로, 줄기를 땅 위로 유인하는데, 보통 1 내지 3줄기를 키운다. 박과작물은 마디마다 측지(곁가지)가 발생하는데 실제로 수확까지 기르는 줄기는 2 또는 3줄기로 나머지 줄기는 모두 제거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박의 경우 과실 1개를 키우기 위해서 60장 정도의 잎이 있으면 되는데, 이 경우 측지 제거 작업을 60번을 해야 한다. 이러한 측지 제거를 위해서 무릎을 구부리고, 허리를 숙여서 가위로 제거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근골계의 통증을 호소한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546호(2016.11.02.) 특허문헌 2: 중국특허공개공보 110383997(2019.10.29.)
본 발명에서는, 일정거릴 두고 물체를 집는 것과 절단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는, 막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절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집게 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절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칼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게부는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부는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된 제1 집게부 및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집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단부는, 상기 제1 집게부에 삽입된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삽입되고,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회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는 상기 집게스위치와 제1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칼날 스위치와 제2 연결줄을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연결줄을 통해 상기 제2 집게부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집게부에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집게부와 상기 제1 집게부가 접촉하는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날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연결줄을 통해 상기 제2 절단부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절단부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줄 및 상기 제2 연결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줄 및 상기 제2 연결줄은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따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가 접촉하는 표면은, 올록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집게부의 표면은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집게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집게부의 표면은 상기 다수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축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 시킬 경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가 자동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는, 칼날 스위치 및 집게 스위치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집게부, 상기 제1 집게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집게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집게부와 대응하는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절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물체를 절단 및/또는 집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다목적 집게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서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허리 및 무릎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목적 집게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내부 형상을 포함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부의 내부 모습을 포함한 확대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2 집게부가 제1 집게부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칼날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2 절단부가 제1 절단부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 스위치와 칼날 스위치를 모두 조작하여, 제2 집게부 및 제2 절단부가 제1 집게부 및 제1 절단부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손잡이부와 집게 스위치, 칼날 스위치, 제2 집게부 및 제2 절단부가 각각 축결합된 축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내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목적형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를 집어 들고, 절단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 가능할 뿐 아니라 개별적인 동작을 가지는 다용도 장치이다. 이는, 기존의 물체를 집는 집게와 물체를 절단하는 칼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별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했던 점을 개선한 발명이다. 예를 들면, 집게와 칼날이 한가지 동작에 의해 함께 이루어지고, 물체를 집는 위치에 따라 절삭과 집어 올리는 행위가 구분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물체를 집어 올리는 집게의 위치와 절삭하는 칼날의 위치가 동일하여, 물체의 컷팅 및 집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체를 집어 올리는 동작과 절삭하는 동작을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집게의 길이를 가위보다 길게 형성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자의 허리 및 무릎의 통증 등 근골계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작물의 측지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박과작물의 줄기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물체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목적 집게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목적 집게는 몸체부(130), 집게부(150), 절단부(170), 손잡이부(190)를 포함한다.
몸체부(130)는 집게부(150)와 손잡이부(190)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0)는 사용되는 용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에 위치한 작물의 측지를 집거나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 작업자가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서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1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키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작물을 대상으로 작업할 경우에도, 팔을 높게 들거나, 키를 높여주는 도구 등의 사용 없이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육체의 피로감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몸체부(130)는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30)는 금속 재질 중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져, 장시간 사용에도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집게부(150)는 몸체부(130)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집게부(150)가 서로 접촉하여 물체를 그립함으로써, 물체를 집어 올릴 수 있다.
절단부(170)는 한 쌍의 집게부(150)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절단부(170)가 서로 대응하여 교차 또는 접촉 함으로써, 물체를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위와 같은 형상으로, 하나의 절단부가 다른 하나의 절단부와 대응하여 물체를 절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손톱깎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나의 절단부가 다른 하나의 절단부와 접촉하여 물체를 절삭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손잡이부(190)는 몸체부(130)의 타단부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쥘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90)는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내부 형상을 포함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3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한 쌍의 집게부(15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연결줄(131)과 한 쌍의 절단부(17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133)이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3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한 쌍의 집게부(15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연결줄(131)과, 한 쌍의 절단부(17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133)이 몸체부(130)의 표면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90)는 제1 연결줄(131)과 연결된 집게 스위치(191)와 제2 연결줄(133)과 연결된 칼날 스위치(193)를 포함한다.
즉, 제1 연결줄(131)을 통해 한 쌍의 집게부(150) 중 적어도 하나와 집게 스위치(191)가 연결되고, 제2 연결줄(133)을 통해 한 쌍의 절단부(170) 중 적어도 하나와 칼날 스위치(193)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집게 스위치(191)의 동작에 기초하여, 한 쌍의 집게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통제되며, 칼날 스위치(193)의 동작에 기초하여, 한 쌍의 절단부(170)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통제될 수 있다.
집게부(150)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부(150)의 내부 모습을 포함한 확대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부(150)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150)는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를 포함한다.
제1 집게부(151)는 몸체부(130)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집게부(153)는 몸체부(130)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집게부(153)는 몸체부(13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집게부(153)는 회동하여 제1 집게부(151)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집게부(151)와 접촉하는 제2 집게부(153)의 표면은, 올록볼록한 돌출부(153_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집게부(153)와 접촉하는 제1 집게부(151)의 표면은, 돌출부(153_1)에 대응하는 홈(151_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물의 줄기 따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잡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170)는, 제1 절단부(171)와 제2 절단부(173)를 포함한다.
제1 절단부(171)는 제1 집게부(15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절단부(173)는 제2 집게부(15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집게부(153)와 같이 몸체부(130)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절단부(173)는 제2 집게부(153)와 같이 몸체부(13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절단부(173)는 회동하여 제1 절단부(171)와 대응할 수 있다.
제2 집게부(153)의 일측은 몸체부(130)의 제1 연결줄(131)과 연결되고, 제2 절단부(173)의 일측은 제2 연결줄(13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줄(131)이 당겨지면, 제1 연결줄(131)과 연결된 제2 집게부(153)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2 집게부(153)는 제1 집게부(151)와 접촉하게 된다.
제2 연결줄(132)이 당겨지면, 제2 연결줄(132)과 연결된 제2 절단부(173)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2 절단부(173)는 제1 절단부(171)와 대응하게 된다.
집게부(150)와 절단부(170)의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 스위치(191)를 조작하여 제2 집게부(153)가 제1 집게부(151)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격된 상태의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는, 집게 스위치(191)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집게부(153)의 회동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게 스위치(191)는 손잡이부(190)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집게 스위치(191)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제1 연결줄(131)이 집게 스위치(191)에 의해 당겨지고, 제1 연결줄(131)과 연결된 제2 집게부(153)가 회동하여, 제2 집게부(153)는 제1 집게부(151)와 접촉할 수 있다.
집게 스위치(191)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면, 당겨졌던 제1 연결줄(131)이 당겨지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에 따라 제2 집게부(153)가 회동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집게 스위치(191)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집게부(153)가 왕복 회동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집게 스위치(191)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힘 및/또는 거리에 따라,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가 접촉하는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게 스위치(191)만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경우, 칼날 스위치(193)는 이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2 연결줄(133) 및 제2 연결줄과 연결된 제2 절단부(173)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칼날 스위치(193)를 조작하여 제2 절단부(173)가 제1 절단부(171)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격된 상태의 제1 절단부(171) 및 제2 절단부(173)는, 칼날 스위치(193)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절단부(173)의 회동에 의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칼날 스위치(193)는 손잡이부(190)의 타측에 축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제2 연결줄(133)이 칼날 스위치(193)에 의해 당겨지고, 제2 연결줄(133)과 연결된 제2 절단부(173)가 회동하여, 제2 절단부(173)는 제1 절단부(171)와 접촉할 수 있다.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면, 당겨졌던 제2 연결줄(133)이 당겨지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에 따라 제2 절단부(173)가 회동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칼날 스위치(193)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절단부(173)가 왕복 회동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 스위치(193)만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경우, 집게 스위치(193)는 이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연결줄(131) 및 제1 연결줄(131)과 연결된 제2 집게부(153)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의 집게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를 모두 조작하여, 제2 집게부(153) 및 제2 절단부(173)가 제1 집게부(151) 및 제1 절단부(171)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게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를 동시에 동작하여, 제2 집게부(153)와 제2 절단부(173)가 제1 집게부(151)와 제1 절단부(171)에 동시에 대응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게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제1 연결줄(131) 및 제2 연결줄(133)이 각각 집게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에 의해 당겨지고, 제1 연결줄(131) 및 제2 연결줄(133)과 연결된 제2 집게부(153)와 제2 절단부(173)가 회동하여 각각 제1 집게부(151) 및 제1 절단부(171)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하여 측지, 줄기 등을 집어 올리는 작업과 컷팅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 가고, 집게 스위치(191)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된다면, 당겨졌던 제2 연결줄(133)이 당겨지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에 따라, 제2 절단부(173)가 회동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반면에, 당겨졌던 제1 연결줄(131)은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제2 집게부(153)는 제1 집게부(151)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작업자가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하면, 제2 집게부(153)가 제1 집게부(151) 방향으로 회동 및 접촉하여 물체를 집어 올릴 수 있다. 이 때,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면, 물체를 집어 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경우,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가 이격되어, 집었던 물체가 떨어지게 된다.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 시킨 후 작업자는 물체가 집어 올려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물체를 절단하기 위해 칼날 스위치(193)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절단부(173)가 제1 절단부(171) 방향으로 회동 및 접촉하여 물체를 절단하고, 절단 후 칼날 스위치(193)만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물체를 집은 상태로 절단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손잡이부(190)와 집게 스위치(191) 칼날 스위치(193), 제2 집게부(153) 및 제2 절단부(173)가 각각 축결합된 축에 스파이럴 스프링(210)이 내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집게 스위치(191)와 손잡이부(190)가 결합된 축(191_1) 및 칼날 스위치(193)와 손잡이부(190)가 결합된 축(193_1)에 스파이럴 스프링(210)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게 스위치(191) 및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스파이럴 스프링(210)의 장력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작물의 측지를 잡아 올리기 위해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할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집게 스위치(191)가 자동으로 제1 방향(D1)으로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할 경우, 제2 집게부(153)가 제1 집게부(151)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집게부(151)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집게 스위치(191)가 자동으로 제1 방향(D1)으로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인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했던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가 접촉되기 이전의 이격된 상태로 자동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때, 작업자가 집게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제1 집게부(151)와 제2 집게부(153)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칼날 스위치(193)를 작동하는 경우에도, 집게 스위치(191)를 작동했을 경우와 동일하게,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칼날 스위치(193)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할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칼날 스위치(193)가 자동으로 제1 방향(D1)으로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칼날 스위치(191)를 제1 방향(D1)으로 작동할 경우, 제2 절단부(173)가 제1 절단부(171)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절단부(171)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집게 스위치(191)가 자동으로 제1 방향(D1)으로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인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했던 제1 절단부(171)와 제2 절단부(173)가 접촉되기 이전의 이격된 상태로 자동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때, 작업자가 칼날 스위치(193)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제1 절단부(171)와 제2 절단부(173)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손잡이부(190)는 절단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의 제1 방향(D1)에 대응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 스위치(191) 및 칼날 스위치(19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절단 스위치(191) 및 칼날 스위치(193)가 자동으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절단 스위치(191)와 칼날 스위치(193)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에 압력을 가한 상태가 절단 스위치(191) 및 칼날 스위치(193)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상태와 대응될 수 있고, 버튼에 압력을 해제한 상태가 절단 스위치(191) 및 칼날 스위치(193)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기 이전의 상태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집게부(153)와 제2 절단부(173)가 결합된 축(153_1)에 스파이럴 스프링(210)이 내장될 수 있다.
집게 스위치(191)와 손잡이부(190)가 결합된 축(191_1) 및 칼날 스위치(193)와 손잡이부(190)가 결합된 축(193_1)에 스파이럴 스프링(210)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집게부(153)와 제2 절단부(173)가 각각 제1 집게부(151)와 제1 절단부(171)에 접촉했을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210)에 의해 제2 집게부(153)와 제2 절단부(173)가 각각 제1 집게부(151)와 제1 전단부(171)에 접촉하기 이전의 상태로 자동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는, 평상시에 절단부(17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칼날에 베이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부(170)는 평상시 집게부(150)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으며, 칼날 스위치(193)를 작동할 경우에만, 튀어나와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컷팅 및 집게 역할을 동시에 수행 함으로서,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더불어, 작업자가 허리나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서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허리 및 무릎의 통증 등 근골계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물체의 컷팅 및 집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뿐 아니라, 컷팅 및 집게 역할의 개별적인 동작으로, 필요에 따라 집게 또는 절단기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집게는, 손잡이 부근에 스위치를 2개 설치하여 하나는 불필요한 줄기 절단용, 다른 하나는 절단된 줄기를 밖으로 꺼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30 : 몸체부
131 : 제1 연결줄
133 : 제2 연결줄
150 : 집게부
151 : 제1 집게부
153 : 제2 집게부
170 : 절단부
171 : 제1 절단부
173 : 제2 절단부
190 : 손잡이부
191 : 집게 스위치
193 : 칼날 스위치
210 : 스파이럴 스프링

Claims (16)

  1. 막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절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집게 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절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칼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게부는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부는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며,
    물체를 집어올리는 집게의 위치와 절삭하는 칼날의 위치가 동일한 다목적 집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된 제1 집게부; 및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집게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집게.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단부는,
    상기 제1 집게부에 삽입된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삽입되고,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집게.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부는 상기 집게스위치와 제1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절단부는 상기 칼날 스위치와 제2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는 다목적 집게.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연결줄을 통해 상기 제2 집게부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집게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집게부와 상기 제1 집게부가 접촉하는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스위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연결줄을 통해 상기 제2 절단부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절단부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줄 및 상기 제2 연결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줄 및 상기 제2 연결줄은 상기 몸체부의 표면을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가 접촉하는 표면은, 올록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집게부의 표면은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집게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집게부의 표면은 상기 다수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집게.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어,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다목적 집게.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축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 시킬 경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상기 집게 스위치 및 상기 칼날 스위치가 자동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다목적 집게.
  15. 칼날 스위치 및 집게 스위치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집게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집게부;
    상기 제2 집게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칼날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제2 절단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집게부를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집게부와 대응하는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절단부를 포함하며,
    물체를 집어올리는 집게의 위치와 절삭하는 칼날의 위치가 동일한 다목적 집게.
  16. 삭제
KR1020200173383A 2020-12-11 2020-12-11 다목적 집게 KR10258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83A KR102586235B1 (ko) 2020-12-11 2020-12-11 다목적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83A KR102586235B1 (ko) 2020-12-11 2020-12-11 다목적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88A KR20220083288A (ko) 2022-06-20
KR102586235B1 true KR102586235B1 (ko) 2023-10-10

Family

ID=8225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383A KR102586235B1 (ko) 2020-12-11 2020-12-11 다목적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2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68B1 (ko) 2013-03-28 2014-04-17 김순배 농작물 관리 보조기
CN110383997A (zh) * 2019-07-31 2019-10-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剪刀镊装置
CN111788936A (zh) 2019-04-08 2020-10-20 福建工程学院 一种钳剪同步采摘机械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265B1 (ko) * 2013-01-25 2014-09-02 김규석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160126546A (ko) 2015-04-24 2016-11-02 김규석 농업용 가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68B1 (ko) 2013-03-28 2014-04-17 김순배 농작물 관리 보조기
CN111788936A (zh) 2019-04-08 2020-10-20 福建工程学院 一种钳剪同步采摘机械手
CN110383997A (zh) * 2019-07-31 2019-10-29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剪刀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88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29B1 (ko) 2개의 샤프트를 갖는 기계화된 휴대용 전기 공구
KR101681866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US8910386B2 (en) Multiple cut zone blade assembly for a hand operated cutting tool
KR101681863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2586235B1 (ko) 다목적 집게
WO2017175991A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US9603310B2 (en) Lopping shears with offset blade
US2806733A (en) Weeding tool
US6019021A (en) Finger actuated hand tool
US5189794A (en) Pair of shears with tongs
CN210470336U (zh) 一种应用于丝瓜采摘的执行机构
CN204069785U (zh) 一种摘果指套
US1374768A (en) David rtjppeb
TWM450197U (zh) 農作物採取器結構
CN201323793Y (zh) 可延伸的多功能树用剪
CN112715189A (zh) 一种果树疏果辅助装置
CN211378843U (zh) 茶叶种植用茶叶修剪设备
CN111194613A (zh) 一种便携式辅助采摘工具
US1540392A (en) Fruit thinner
KR101711330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US1309712A (en) Frttit-picker
CN216314053U (zh) 花椒采摘器
CN213245803U (zh) 一种可调节开口大小的园艺剪
US3203094A (en) Pruning appliance
CN220755578U (zh) 一种手套式花椒采收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