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66B1 -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66B1
KR101681866B1 KR1020160041758A KR20160041758A KR101681866B1 KR 101681866 B1 KR101681866 B1 KR 101681866B1 KR 1020160041758 A KR1020160041758 A KR 1020160041758A KR 20160041758 A KR20160041758 A KR 20160041758A KR 101681866 B1 KR101681866 B1 KR 10168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utting
cutting portion
tree
slip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철
Original Assignee
송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철 filed Critical 송진철
Priority to KR102016004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작업중 나무가지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나무가지의 절단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1미끄럼방지홈(12)이 다수 형성된 제1절삭부(1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전지가위의 절단 범위를 벗어난 나무가지 또는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을 갖는 제1손잡이부(15)가 구비되는 제1몸체(10); 일단부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에 대응되는 제2미끄럼방지홈(22)이 다수 형성된 제2절삭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2손잡이부(25)가 구비되는 제2몸체(20); 상기 제1절삭부(11) 및 제2절삭부(21)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재(30);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핀(42)에 걸림되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4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나무가지의 절단을 위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상기 양 내측면 중 타측면에 탄성 밀착되면서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충격완화부재(5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끝단측의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나무가지(2)가 밀려 들어가 내측 공간에 걸림되게하므로써 전지가위를 작업자의 작업반경 가까이 있는 나무가지(2)에 걸 수 있는 고무재의 탄성걸이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Pruning shears}
본 발명은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작업중 나무가지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가위는 가지, 줄기 등의 나무가지를 자르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나무가지의 균일한 생산 및 조절을 위해 가지치기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지가위는 가지가위, 나무가위, 다듬가위, 전정가위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지가위의 일예로서 제안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053호에서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고, 판면에 복수의 통과공(111a)이 마련되며, 절단날부(111) 와 손잡이부(112)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위편(100); 상기 가위편(100)의 손잡이부(112)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날부(111)의 가장자리 연부까지 피복성형되어 가위편(100)을 지지하는 가위편지지부재(150); 및 상기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절단날부(111) 외측 단부로부터 외향연장되어 원예작물의 줄기를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부(151)를 포함하는 줄기를 집어 줄기에 존재하는 가시, 잎 및 잔가지를 제거하는 전지가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지가위의 구조를 보면 받침날의 날면이 오목한 곡면이고 절단날의 날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사이에 투입되는 절단을 목적으로 하는 나무가지 또는 줄기가 효과적으로 절단하도록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게다가, 이러한 종래 받침날과 절단날의 사용으로 인해 절단하고자 하는 나무가지 또는 줄기의 굵기가 굵은 경우, 한쪽에서 지렛대 형태로 균일하게 절단하려는 힘이 한쪽으로 치우쳐 발생하게 되면 외부로 이탈하여 원활한 절단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이러한 받침날과 절단날이 사용으로 무디어지면 그 사이에 투입된 나무가지가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려는 현상으로 인해 때문에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뿐만 아니라, 종래 전지가위는 가지를 자르는 기능만 있어서 상품화하기 위하여 절화되는 원예작물의 줄기 손질 시 별도의 줄기손질장비를 사용해야 하며,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시에도 펜치 등과 같은 별도의 절곡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시, 잎 및 잔가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절삭날을 잡고 사용해야 하므로, 부주의한 경우 사용자가 절삭날에 의해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557609호를 개시한 바 있으며, 위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전지가위를 더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작업중 나무가지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나무가지의 절단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1미끄럼방지홈(12)이 다수 형성된 제1절삭부(1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전지가위의 절단 범위를 벗어난 나무가지 또는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을 갖는 제1손잡이부(15)가 구비되는 제1몸체(10); 일단부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에 대응되는 제2미끄럼방지홈(22)이 다수 형성된 제2절삭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2손잡이부(25)가 구비되는 제2몸체(20); 상기 제1절삭부(11) 및 제2절삭부(21)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재(30);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핀(42)에 걸림되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4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나무가지의 절단을 위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상기 양 내측면 중 타측면에 탄성 밀착되면서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충격완화부재(5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끝단측의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나무가지(2)가 밀려 들어가 내측 공간에 걸림되게하므로써 전지가위를 작업자의 작업반경 가까이 있는 나무가지(2)에 걸 수 있는 고무재의 탄성걸이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은, 상기 제1손잡이부(15)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 수납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82) 내에서 톱(81)이 슬라이딩되도록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가이드레일(85)이 형성되며, 상기 톱(81)의 일단부측에는 수납홈(82)에 형성된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수용상태를 유지하는 수용결합공(87)이 형성되고, 상기 톱(81)의 타단부측에는 톱(81)이 슬라이딩 이탈된 다음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이탈상태를 유지하는 이탈결합공(8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84)은 수용결합공(87)에 수직방향으로 전후방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져, 상기 톱(81)의 미사용시에는 수납홈(82) 내에 위치되고, 사용시 톱(81)의 수용결합공(87)에 걸림 단속된 고정핀(84)을 단속 해제하여 톱(81)이 가이드레일(8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손잡이부(15) 상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톱(81)의 이탈결합공(83)에 고정핀(84)을 걸림하여 단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은, 상기 제1손잡이부(15)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톱(81)의 이동로(91)가 형성되며, 이동로(91)의 일측면에는 다수 톱니 형태의 걸림부(9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9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푸시손잡이(93)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푸시손잡이(93)에 인근한 톱(81) 상에는 통공(8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89)에 푸시손잡이(93)의 결합돌부(94)가 삽입되어 상호간에 결합되어져, 상기 톱(81)의 미사용시에는 이동로(91)가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고, 사용시 푸시손잡이(93)를 이동로(91)를 따라 작동시켜 톱(81)이 제1손잡이부(15) 상에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삭부(11)에 걸림턱(14)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절삭부(21)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턱(14)에 걸림되는 개폐레버(60)를 더 구비하여,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회동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 및 제2미끄럼방지홈(22)은 상호 접근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탄성걸이편(56)은 충격완화부재(50) 및 충격완화부재(50)가 구비된 어느 하나의 손잡이부(15,2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지가위의 절삭부가 오래되고 무뎌 지더라도 절삭부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홈에 의해 나무가지를 쉽게 절단할 수 있고, 나무가지 또는 줄기의 굵기가 굵더라도 미끄럼방지홈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원활한 절단작업을 할 수 있으며, 종래 전지가위는 가지를 자르는 기능에서 벗어나 톱을 수납하여 필요한 작업에서 전지가위 내부에 수납된 톱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다시 수납하여 쉽고 간편하게 추가적인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다른 제품과의 상품화에 우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중 사다리를 옆으로 옮기거나 다른작업을 할 시 전지가위를 걸어두기 위해 작업자는 가위주머니가 있는 벨트를 구비하여야 하나, 전지가위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걸이편을 이용하여 나무가지에 걸어두면 되므로 작업성이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지가위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개폐레버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의 탄성걸이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작업중 나무가지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제1몸체(10), 제2몸체(20), 힌지부재(30), 스프링(40), 충격완화부재(50) 및 탄성걸이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단부에 나무가지의 절단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1미끄럼방지홈(12)이 다수 형성된 제1절삭부(1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전지가위의 절단 범위를 벗어난 나무가지 또는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을 갖는 제1손잡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손잡이부(15)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손잡이부(15)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 수납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82) 내에서 톱(81)이 슬라이딩되도록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가이드레일(85)이 형성되며, 상기 톱(81)의 일단부측에는 수납홈(82)에 형성된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수용상태를 유지하는 수용결합공(87)이 형성되고, 상기 톱(81)의 타단부측에는 톱(81)이 슬라이딩 이탈된 다음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이탈상태를 유지하는 이탈결합공(8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톱(81)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수납홈(82) 내에 위치된다. 이때 톱(81)의 수용결합공(87)이 고정핀(84)에 걸림되어 단속된 상태이며, 상기 고정핀(84)은 수용결합공(87)에 수직방향으로 전후방 작동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사용시 수용결합공(87)에 걸림 단속된 고정핀(84)을 단속 해제하게 되면 수납홈(82) 내에 위치되었던 톱(81)이 가이드레일(85)을 따라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손잡이부(15)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상태에서 톱(81)의 이탈결합공(83)에 고정핀(84)을 걸림하여 단속하게 되면 톱(81)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상기 톱(81)의 다른 사용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손잡이부(15)의 외부에서 톱(81)의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손잡이부(15)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톱(81)의 이동로(91)가 형성되고, 이동로(91)의 일측면에는 다수 톱니 형태의 걸림부(9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9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푸시손잡이(9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시손잡이(93)에 인근한 톱(81) 상에는 통공(8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89)에 푸시손잡이(93)의 결합돌부(94)가 삽입됨으로써 상호간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톱(81)은 도 5의 (a)에서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이동로(91)가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위치된다. 이때 톱(81)에 연결되어 제1손잡이부(15)의 외부에 노출된 푸시손잡이(93)는 도면상 제1손잡이부(15)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사용시 푸시손잡이(93)를 도면상 제1손잡이부(15)의 하단으로, 즉 이동로(91)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로(91) 내에 수납되어 있던 톱(81)이 제1손잡이부(15)의 하부측으로 서서히 노출되며, 그 노출된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설정하여 푸시손잡이(93)를 걸림부(92)에 걸림 정지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회전되는 제2몸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에 대응되는 제2미끄럼방지홈(22)이 다수 형성된 제2절삭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2손잡이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호간에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재(30)가 구비되며, 이때 힌지부재(30)는 일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볼트(31) 및 너트(32)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미끄럼방지홈(12) 및 제2미끄럼방지홈(22)은 홈(12,22) 끼리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면 나무가지의 절단 작동시 나무가지가 양 홈(12,22) 사이에 머물러 있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제1미끄럼방지홈(12) 및 제2미끄럼방지홈(22)은 상호 접근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지가위를 구성하는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의 사이에는 상호간에 탄성 작동을 위해 스프링(40)이 구비된다. 스프링(4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핀(42)에 걸림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나무가지의 절단을 위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상기 양 내측면 중 타측면에 탄성 밀착되면서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충격완화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40)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이는 손가락 일부분만 충격이 완화되므로 그 효과가 미약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충격완화부재(50)를 구비함으로써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시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시켜 손가락 전체의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50)는 탄성을 가진 고무, 특히 방진고무 등이 사용되고, 그 형성 개수는 무방하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내측면 전체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내측면 전체 길이의 1/4∼1/2 만큼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절삭부(11)에 걸림턱(14)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절삭부(21)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턱(14)에 걸림되는 개폐레버(60)를 더 구비하여,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함으로써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회동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레버(60)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였으며, 개폐레버(60)의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편(62)이 회전되면서 제1절삭부(11)에 형성된 걸림턱(14)에 걸림되므로서 회동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걸림편(62)을 걸림턱(14)에서 걸림해제하므로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가 스프링(40)에 의해 탄성회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위는 도 8에서와 같이 나무가지 걸이 기능을 갖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작업 중 사다리를 옆으로 옮기거나 다른작업을 할 때, 특히 나무가지 절단 후 소독약을 바를 때 등의 작업시 전지가위 걸이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작업자의 허리에 차고 있는 벨트에 걸어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작업자가 팔이나 몸을 자주 움직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빨리 누적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지가위를 작업자의 작업반경 가까이 있는 나무가지에 걸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끝단측의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나무가지(2)가 밀려 들어가 내측공간에 걸림되는 탄성걸이편(56)이 형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의 (a)에서와 같이 전지가위의 개폐레버(60)의 걸림작동에 의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한 회동정시 상태에서 나무가지(2)를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 사이에 진입시켜 탄성걸이편(56)에 맞닿이게 하고, 이때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전지가위의 탄성걸이편(56)을 나무가지(2) 방향으로 밀게 되면 나무가지(2)가 탄성걸이편(56)을 밀면서 탄성걸이편(56)은 힘의 방향으로 휘게 되고, 이에 도 8의 (c)에서와 같이 나무가지(2)가 탄성걸이편(56)의 내측공간에 진입하게 되어 탄성걸이편(56)이 나무가지(2)에 걸림된다.
상기 탄성걸이편(56)을 사용하게 되면 나무가지(2)의 굵기에 상관 없이 어떠한 나무가지(2)에든 걸림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걸이편(56)은 탄성체로서, 상기 충격완화부재(50)와 동일 재질인 고무, 특히 방진고무 등이 사용되며, 제조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 9에서와 같이 탄성걸이편(56)은 충격완화부재(50) 및 충격완화부재(50)가 구비된 어느 하나의 손잡이부(15,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를 구성하게 되면, 조경수, 과수 등의 가지, 줄기들을 절단시 그 가지 또는 줄기 지름이 크거나 단단한 경우에 가지치기 시 발생되는 미끄럼 등을 최소화하면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굵은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고, 작업중 나무가지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게 된다.
2 : 나무가지 10 : 제1몸체
11 : 제1절삭부 12 : 제1미끄럼방지홈
15 : 제1손잡이부 20 : 제2몸체
21 : 제2절삭부 22 : 제2미끄럼방지홈
25 : 제2손잡이부 30 : 힌지부재
40 : 스프링 42 : 스프링걸림핀
50 : 충격완화부재 60 : 개폐레버

Claims (7)

  1. 일단부에 나무가지의 절단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1미끄럼방지홈(12)이 다수 형성된 제1절삭부(1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전지가위의 절단 범위를 벗어난 나무가지 또는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을 갖는 제1손잡이부(15)가 구비되는 제1몸체(10);
    일단부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에 대응되는 제2미끄럼방지홈(22)이 다수 형성된 제2절삭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2손잡이부(25)가 구비되는 제2몸체(20);
    상기 제1절삭부(11) 및 제2절삭부(21)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재(30);
    상기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핀(42)에 걸림되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4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나무가지의 절단을 위해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지 또는 줄기의 절단되는 순간 상기 양 내측면 중 타측면에 탄성 밀착되면서 작업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충격완화부재(50);
    상기 제1손잡이부(15) 및 제2손잡이부(25)의 사이 마주하는 끝단측의 양 내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나무가지(2)가 밀려 들어가 내측 공간에 걸림되게하므로써 전지가위를 작업자의 작업반경 가까이 있는 나무가지(2)에 걸 수 있는 고무재의 탄성걸이편(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은,
    상기 제1손잡이부(15)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 수납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82) 내에서 톱(81)이 슬라이딩되도록 각형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가이드레일(85)이 형성되며, 상기 톱(81)의 일단부측에는 수납홈(82)에 형성된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수용상태를 유지하는 수용결합공(87)이 형성되고, 상기 톱(81)의 타단부측에는 톱(81)이 슬라이딩 이탈된 다음 고정핀(84)에 결합되어 톱(81)의 이탈상태를 유지하는 이탈결합공(8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84)은 수용결합공(87)에 수직방향으로 전후방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져, 상기 톱(81)의 미사용시에는 수납홈(82) 내에 위치되고, 사용시 톱(81)의 수용결합공(87)에 걸림 단속된 고정핀(84)을 단속 해제하여 톱(81)이 가이드레일(8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손잡이부(15) 상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톱(81)의 이탈결합공(83)에 고정핀(84)을 걸림하여 단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용 톱 수납수단(80)은,
    상기 제1손잡이부(15)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톱(81)의 이동로(91)가 형성되며, 이동로(91)의 일측면에는 다수 톱니 형태의 걸림부(9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9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푸시손잡이(93)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푸시손잡이(93)에 인근한 톱(81) 상에는 통공(8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89)에 푸시손잡이(93)의 결합돌부(94)가 삽입되어 상호간에 결합되어져, 상기 톱(81)의 미사용시에는 이동로(91)가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고, 사용시 푸시손잡이(93)를 이동로(91)를 따라 작동시켜 톱(81)이 제1손잡이부(15) 상에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부(11)에 걸림턱(14)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절삭부(21)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턱(14)에 걸림되는 개폐레버(60)를 더 구비하여,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25)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회동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방지홈(12) 및 제2미끄럼방지홈(22)은 상호 접근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이편(56)은 충격완화부재(50) 및 충격완화부재(50)가 구비된 어느 하나의 손잡이부(15,2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20160041758A 2016-04-05 2016-04-05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68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8A KR101681866B1 (ko) 2016-04-05 2016-04-05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8A KR101681866B1 (ko) 2016-04-05 2016-04-05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66B1 true KR101681866B1 (ko) 2016-12-01

Family

ID=5757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58A KR101681866B1 (ko) 2016-04-05 2016-04-05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91A1 (ko) * 2016-04-05 2017-10-12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CN109380009A (zh) * 2018-10-19 2019-02-26 嘉善美源服饰水洗有限公司 一种用于园林树木的修剪装置
KR101975987B1 (ko) 2018-12-05 2019-05-07 송영순 화훼용 가위
CN111670706A (zh) * 2020-06-09 2020-09-18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疏果专用剪刀
CN113196975A (zh) * 2021-06-17 2021-08-03 青岛博雅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修剪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38U (ko) * 1990-07-07 1992-03-12
CN201797783U (zh) * 2010-09-09 2011-04-20 宁波江东轻舟机械科技有限公司 分级凹刃式防滑修枝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38U (ko) * 1990-07-07 1992-03-12
CN201797783U (zh) * 2010-09-09 2011-04-20 宁波江东轻舟机械科技有限公司 分级凹刃式防滑修枝剪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91A1 (ko) * 2016-04-05 2017-10-12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US10687475B2 (en) 2016-04-05 2020-06-23 Jinchul SONG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CN109380009A (zh) * 2018-10-19 2019-02-26 嘉善美源服饰水洗有限公司 一种用于园林树木的修剪装置
KR101975987B1 (ko) 2018-12-05 2019-05-07 송영순 화훼용 가위
CN111670706A (zh) * 2020-06-09 2020-09-18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疏果专用剪刀
CN113196975A (zh) * 2021-06-17 2021-08-03 青岛博雅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修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66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681863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681867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557609B1 (ko) 가지치기용 줄기 미끌림 방지 및 절단 기능을 구비한 전지가위
US10412899B2 (en) Loppers with detachable saw and pruner
US6625888B2 (en) Pruning device
US20160150737A1 (en) Handheld Pruning Tool
KR101711330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20100062018A (ko) 미끄럼 방지용 전지가위
CN211982761U (zh) 一种茶叶种植用茶叶修剪设备
US20120030951A1 (en) Lopper devices for pruning trees and brushes
JP2005058130A (ja)
CN220441384U (zh) 一种果树管理用修枝装置
KR101975987B1 (ko) 화훼용 가위
JP3218656U (ja) 刈込鋏
JPH0719242Y2 (ja) 掴持装置付鋏具
CN212936824U (zh) 一种嫁接剪刀
JP3067477U (ja) 剪定鋏
JP2013223477A (ja) 剪定鋏
US20160106265A1 (en) Spatula Knife Utensil
JP3122147U (ja) 鋸付き剪定鋏
KR200421004Y1 (ko) 전정가위
KR20230109415A (ko) 가위
KR20140133368A (ko) 작업용 가위
KR20230142283A (ko) 왼손 전지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