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224B1 -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24B1
KR102586224B1 KR1020180080976A KR20180080976A KR102586224B1 KR 102586224 B1 KR102586224 B1 KR 102586224B1 KR 1020180080976 A KR1020180080976 A KR 1020180080976A KR 20180080976 A KR20180080976 A KR 20180080976A KR 102586224 B1 KR102586224 B1 KR 10258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lines
display panel
sca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170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센싱 모드에서 화면 전면이 블랙으로 표시되지 않고, 화면의 일부가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제 1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스캔 라인과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표시패널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 구동부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복수의 스캔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복수의 스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복수의 센싱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표시장치(LED: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소자(light emitting element)로서 유기발광층을 이용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발광소자로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이며, 시야각이 우수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특성이 있다.
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화소들 각각을 구동하기 위해 스캔 구동회로로부터 스캔 신호들을 공급받고, 데이터 구동회로로부터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또한, 표시패널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복수의 전원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보상을 통해 발광 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만, 외부 보상을 하는 센싱 모드에서 화면 전면이 블랙으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센싱 모드에서 화면 전면이 블랙으로 표시되지 않고, 화면의 일부가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제 1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스캔 라인과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표시패널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 구동부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복수의 스캔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복수의 스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복수의 센싱 라인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화면의 일부는 표시 모드로, 화면의 일부는 센싱 모드로 구동할 수 있어, 외부 보상을 하는 과정에서 화면 전면이 블랙으로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수의 화소 중 인접한 4개의 화소를 상세히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에서 캐소드 전극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데이터 구동부(200), 연성필름(220), 스캔 구동부(300), 소스 회로보드(400), 제 1 연성 케이블(500), 제어 회로보드(600), 타이밍 제어부(610), 메모리(620), 전압 공급부(630), 제 2 연성 케이블(700), 시스템 회로보드(800), 시스템 온 칩(81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11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기판(150)은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AA)은 복수의 화소(P)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패널(100)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 m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 p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복수의 스캔 라인(S1~Sn, S1'~Sn', 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및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이 마련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과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은 복수의 스캔 라인(S1~Sn, S1'~Sn')과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과 교차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1~Sn, S1'~Sn')과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은 제 1 방향(X)으로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과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으로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1~Sn, S1'~Sn')은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 및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을 포함한다.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은 제 2 방향(Y)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RL)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은 제 2 방향(Y)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RL)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중앙 라인(RL)은 표시패널(100)의 정중앙에서 표시패널(100)을 제 2 방향(Y)으로 등분하는 라인에 해당한다.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은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및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을 포함한다.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은 제 2 방향(Y)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RL)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은 제 2 방향(Y)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RL)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 중 어느 하나,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 중 어느 하나, 복수의 스캔 라인(S1~Sn, S1’~Sn’)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도 3과 같이 발광소자(OLED)와 발광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복수의 화소(P) 각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데이터 구동부(200)와 스캔 구동부(300)는 표시패널 구동부로 칭해질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을 통해 복수의 화소(P)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SD)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 SE1’~SEn’)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으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S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도 2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데이터 구동부(200)가 8 개의 집적 회로(21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집적 회로(2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집적 회로(210)는 각 연성필름(22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각 연성필름(22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 각 연성필름(220)은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각 연성필름(220)은 하부기판(110)과 소스 회로보드(400)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연성필름(22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하부기판(110)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집적 회로(210)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집적 회로(210)는 도 2와 같이 데이터전압 공급부(211),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칭함, 212), 및 스위칭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는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는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입력받는다. 디지털 데이터는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는 표시 모드에서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를 입력받고,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에 따라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를 발광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한다. 표시 모드는 복수의 화소(P)가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발광 데이터전압은 복수의 화소(P)의 발광소자(OLED)를 소정의 휘도로 발광하기 위한 전압이다.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는 문턱전압 센싱 모드에서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를 입력받고,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에 따라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를 센싱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문턱전압 센싱 모드는 복수의 화소(P)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을 보상하기 위해 센싱 데이터 전압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 모드이다.
ADC(212)는 센싱 모드에서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으로부터 센싱되는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인 센싱 데이터(SD)로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한다. ADC(212)는 센싱 모드에서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으로부터 센싱되는 전압을 제 1 센싱 데이터(SD1)로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한다.
스위칭부(213)는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과 전압 공급부(630) 사이의 접속을 스위칭하고, 기준전압 라인들(R1~Rp)과 ADC(212) 사이의 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캔 구동부(300)는 제 1 스캔 구동부(300A)와 제 2 스캔 구동부(300B)를 포함한다.
제 1 스캔 구동부(300A)는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310A)와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320A)를 포함한다.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310A)는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310A)는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입력되는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SCS)에 따라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에 인가한다.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320A)는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에 접속되어 센싱 신호를 인가한다.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320A)는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SENCS)에 따라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에 인가한다.
제 2 스캔 구동부(300B)는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310B)와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320B)를 포함한다.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310B)는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310B)는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입력되는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SCS)에 따라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S1'~Sn')에 인가한다.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320B)는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에 접속되어 센싱 신호를 인가한다.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320B)는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SENCS)에 따라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SE1'~SEn')에 인가한다.
스캔 신호 출력부(310)와 센싱 신호 출력부(320)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NA)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310A)와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320A)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고,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310B)와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320B)는 표시패널(100)의 우측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캔 신호 출력부(310)와 센싱 신호 출력부(320)는 구동 칩(chip)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패널(100)의 하부기판(110)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필름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신호 출력부(310)와 센싱 신호 출력부(3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와 같이 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310A)와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320A)는 하부기판(110)의 좌측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필름 상에 실장될 수 있고,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310B)와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320B)는 하부기판(110)의 우측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필름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소스 회로보드(400)는 제 1 연성 케이블(5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1 커넥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회로보드(400)는 제 1 커넥터(510)를 통해 제 1 연성 케이블(500)에 연결될 수 있다. 소스 회로보드(400)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어 회로보드(600)는 제 1 연성 케이블(5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보드(600)는 제 2 커넥터(520)를 통해 제 1 연성 케이블(500)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시스템 온 칩(810)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 sig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데이터전압 공급부(211), 스캔 신호 출력부(310), 및 센싱 신호 출력부(3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제어신호들은 데이터전압 공급부(211)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스캔신호 출력부(3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SCS), 및 센싱신호 출력부(3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SENCS)를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발광 표시장치를 표시 모드,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표시 모드는 복수의 화소(P)에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에 따른 발광 데이터전압들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화소(P)를 발광시키는 모드이다.
센싱 모드는 복수의 화소(P)에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에 따른 센싱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R1~Rp)을 통해 복수의 화소(P)의 소정의 전압들을 센싱하는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센싱 모드는 복수의 화소(P)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보상하기 위해 센싱 데이터 전압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을 센싱 데이터(SD)로 센싱하는 모드이다. 센싱 모드는 발광 표시장치가 턴-오프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표시 모드에서 메모리(620)에 저장된 보상 데이터(CDATA)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를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로 변환한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표시 모드에서 보상 비디오 데이터(CVDATA)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로 출력하고,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SCS)를 스캔 신호 출력부(310)로 출력하며,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SENCS)를 센싱 신호 출력부(320)로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센싱 모드에서 메모리(620)에 저장된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로 출력하고,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SCS)를 스캔 신호 출력부(310)로 출력하며,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SENCS)를 센싱 신호 출력부(320)로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센싱 모드에서 ADC(212)로부터 센싱 데이터(SD)를 입력받으며, 센싱 데이터(SD)에 따라 새로운 보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하여 메모리(620)에 저장한다. 즉, 타이밍 제어부(610)는 센싱 모드에서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SD)를 반영하여 메모리(620)에 저장된 보상 데이터(CDATA)를 업데이트 한다. 센싱 데이터(SD)는 복수의 화소(P)에서 센싱 데이터전압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을 ADC(212)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데이터이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610)는 시스템 온 칩(810)으로부터 표시장치의 턴-온 여부를 지시하는 표시장치의 턴-온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센싱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구동 종료 신호를 시스템 온 칩(810)으로 출력한다.
메모리(620)는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 및 보상 데이터(CDATA)를 저장한다. 타이밍 제어부(610)는 메모리(620)로부터 센싱 디지털 데이터(PDATA), 및 보상 데이터(CDATA)를 읽고(read), 센싱 데이터(SD)를 이용하여 연산하여 산출된 새로운 보상 데이터(CDATA)를 쓰기(write)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휘발성 메모리들과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DR 메모리이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전압 공급부(630)는 시스템 회로보드(800)의 메인 전원 공급부(820)로부터 인가되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200)의 집적 회로(210)들에 공급한다. 그 외에, 전원 공급부(630)는 메인 전원(MV)으로부터 고전위 전압에 해당하는 제 1 전원전압(EVDD)과 저전위 전압에 해당하는 제 2 전원전압(EVSS)을 생성하여 표시패널(1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구동 전압들을 집적 회로(210), 스캔 신호 출력부(310), 센싱 신호 출력부(320), 타이밍 제어부(610), 및 메모리(62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10), 메모리(620), 및 전압 공급부(630)는 제어 회로보드(6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부(610)와 전압 공급부(630)는 집적회로와 같이 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보드(600)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시스템 온 칩(8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CVDATA)를 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810)은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CVDATA)의 해상도 변환뿐만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CVDATA)에 다양한 화질 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온 칩(810)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CVDATA)와 함께 표시장치의 턴-온 여부를 지시하는 턴-온 신호를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810)은 타이밍 제어부(610)로부터 구동 종료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시스템 온 칩(810)은 메인 전원 공급부(820)가 메인 전원(MV)을 출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200)과 메인 전원 공급부(230)는 시스템 회로보드(2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온 칩(200)과 메인 전원 공급부(230)는 집적회로와 같이 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회로보드(210)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제어 회로보드(600)는 제 2 연성 케이블(7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3 커넥터(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보드(600)는 제 3 커넥터(710)를 통해 제 2 연성 케이블(700)에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 회로보드(800)은 제 2 연성 케이블(7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4 커넥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회로보드(800)는 제 4 커넥터(720)를 통해 제 2 연성 케이블(7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복수의 화소 중 인접한 4개의 화소를 상세히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j(j는 959≤j≤962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데이터라인(Dj), 제u(u는 280≤u≤281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기준전압 라인(Ru), 제 1 스캔 라인(S1, S1'), 및 제 1 센싱 라인(SE1, SE1')에 접속된 화소(P), 데이터전압 공급부(211)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화소(P)는 발광소자(OLED), 구동 트랜지스터(DT),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ST1),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ST2),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발광소자(OLED)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소자(OLED)가 유기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경우, 발광소자(OLEDL)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EL)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소자(OLEDL)의 애노드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제 2 전원전압(EVSS)이 공급되는 제 2 전원 라인(VSL)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압 차에 따라 제 1 전원전압(EVDD)이 공급되는 제 1 전원 라인(EVL)으로부터 발광소자(OLED)로 흐르는 전류를 조정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ST1)의 제 1 전극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발광소자(OLEDL)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 1 전원 라인(EVL)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ST1)는 제 1 스캔 라인(S1, S1')의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j 데이터 라인(Dj)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시킨다.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ST1)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스캔 라인(S1, S1')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며, 제 2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될 수 있다.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ST2)는 제 1 센싱 라인(SE1, SE1')의 센싱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u 기준전압 라인(Ru)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시킨다.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ST2)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센싱 라인(SE1, SE1')에 접속되고, 제 1 전극은 제u 기준전압 라인(Ru)에 접속되며, 제 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T1, ST2) 각각의 제 1 전극은 소스 전극이고, 제 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T1, ST2) 각각의 제 1 전극은 드레인 전극이고, 제 2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압과 소스 전압의 차전압을 저장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제 1 스캔 라인(S1) 및 좌측 제 1 센싱 라인(SE1)은 제 959 및 960 데이터 라인(D959, D960)이 연결된 화소(P)와 연결되고, 우측 제 1 스캔 라인(S1') 및 우측 제 1 센싱 라인(SE1')은 제 961 및 962 데이터 라인(D961, D962)이 연결된 화소(P)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 960 및 제 961 데이터 라인(D960, D961)은 일 예로 전체 1920개의 데이터 라인을 이등분하는 기준 데이터 라인임을 보이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라인의 전체 개수를 이등분하는 기준 데이터 라인이면 되고, 960번째 및 961번째 데이터 라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제 1 센싱 라인(SE1)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면, 제 280 기준전압 라인(R280)에 의해 화소(P)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SD)로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하는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우측 제 1 스캔 라인(S1')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면 제 961 및 962 데이터 라인(D961, D962)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어 화소(P)가 발광하는 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센싱 모드는 화소가 발광하지 않아 화면이 블랙으로 표시되므로, 이와 같이 표시패널(100)의 좌측에서 센싱 모드가 구동되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에서 표시 모드가 구동되는 경우, 표시패널(100)의 좌측에서는 블랙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에서는 블랙 화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된다.
반대로 우측 제 1 센싱 라인(SE1')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면, 제 281 기준전압 라인(R281)에 의해 화소(P)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SD)로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610)로 출력하는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좌측 제 1 스캔 라인(S1)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면 제 959 및 960 데이터 라인(D959, D960)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어 화소(P)가 발광하는 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패널(100)의 우측에서 센싱 모드가 구동되고, 표시패널(100)의 좌측에서 표시 모드가 구동되는 경우, 표시패널(100)의 우측에서는 블랙 화면이 표시되고, 표시패널(100)의 좌측에서는 블랙 화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된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센싱 모드 또는 표시 모드를 구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전면에서 센싱 모드가 구동되는 경우 표시패널(100)의 전면이 블랙으로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없었다. 다만, 표시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센싱 모드와 표시 모드를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센싱 모드에 따라 외부 보상이 진행되면서 표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의 좌측에서 센싱 모드가 구동되고 우측에서 표시 모드가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패널(100)의 우측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에서 센싱 모드가 구동되고 좌측에서 표시 모드가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패널(100)의 좌측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모드에 따른 외부 보상이 종료된 경우 표시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 모두 표시 모드로 구동하여 표시패널(100)의 전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모드 또는 센싱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A는 발광 표시장치가 표시 모드로만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 및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어 복수의 화소(P)가 발광하는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B 및 도 4C는 발광 표시장치가 표시 모드 및 센싱 모드로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여 표시패널(100)의 좌측은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은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C는,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여 표시패널(100)의 우측은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표시패널(100)의 좌측은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도 4B에서 도 4C 순서로 센싱 모드를 구동하여 표시패널(100)의 전면에서 센싱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고, 도 4C에서 도 4B 순서로 센싱 모드를 구동하여 표시패널(100)의 전면에서 센싱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에서 캐소드 전극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6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하부기판(110), 버퍼층(120), 화소 구동 회로층, 평탄화층(PAC), 애노드 전극(AND), 발광층(EL), 캐소드 전극(CAT), 배리어층(130), 봉지층(140)을 포함한다.
하부기판(110)은 플랙서블한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기판(110)은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수지, 노르보르넨 유도체(Norbornene derivatives) 등의 COP(cyclo olefin polymer), COC(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수지,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PVA(polyvinyl alcohol),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I(polyimide), PSF(polysulfone), 또는 불소 수지(fluoride resin) 등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층(120)은 하부기판(110) 상에 마련된다. 버퍼층(120)은 화소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버퍼층(120)은 무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SiO2(silicon dioxide), SiNx(silicon nitride),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버퍼층(120) 상에 배치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액티브층(ACT),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전극(GE), 층간 절연막(ILD),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액티브층(ACT)은 하부기판(110) 상에 마련된다. 액티브층(ACT)은 게이트 전극(GE)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액티브층(ACT)은 소스 전극(SE) 측에 위치한 일단 영역, 드레인 전극(DE) 측에 위치한 타단 영역, 및 일단 영역과 타단 영역 사이에 위치한 중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 영역은 도펀트가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단 영역과 타단 영역은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액티브층(ACT) 상에 마련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액티브층(ACT)과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액티브층(ACT)을 덮도록 구비된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무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SiO2(silicon dioxide), SiNx(silicon nitride),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마련된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액티브층(ACT)의 중심 영역과 중첩된다. 게이트 전극(GE)은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E) 상에 마련된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E)과 소스 전극(SE) 또는 드레인 전극(DE)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절연막(GI)과 동일한 무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SiO2(silicon dioxide), SiNx(silicon nitride),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층간 절연막(ILD)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소스 전극(SE)은 액티브층(ACT)의 일단 영역과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DE)은 액티브층(ACT)의 타단 영역과 연결된다.
상술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평탄화층(PAC)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상에 마련된다. 평탄화층(PAC)은 구동 트랜지스터(DT)를 보호하고, 구동 트랜지스터(DT)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기판(110)의 상부를 평탄하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평탄화층(PAC)은 유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탄화층(PAC)와 구동 트랜지스터(DT) 사이에는 무기 절연막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무기 절연막은 구동 트랜지스터(DT)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무기 절연막은 게이트 절연막(GI)과 동일한 무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SiO2(silicon dioxide), SiNx(silicon nitride),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노드 전극(AND)은 평탄화층(PAC)에 마련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된다. 서로 인접한 애노드 전극(AND)들 사이에는 뱅크(B)가 마련되며, 이로 인해 서로 인접한 애노드 전극(AND)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뱅크(B)는 유기절연물질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아크릴계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뷰텐(BCB)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EL)은 애노드 전극(AND)상에 마련된다. 발광층(EL)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층(EL)에는 발광층의 발광 효율 및/또는 수명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층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CAT)은 발광층(EL)과 뱅크(B) 상에 마련된다. 애노드 전극(AND)과 캐소드 전극(CAT)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캐소드 전극(CAT1), 및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캐소드 전극(CAT2)을 포함한다.
배리어층(130)은 캐소드 전극(CAT)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리어층(130)은 제 1 캐소드 전극(CAT1)과 제 2 캐소드 전극(CAT2) 사이에 배치된다. 배리어층(130)은 캐소드 전극(CAT)의 증착 공정에서 캐소드 전극(CAT)을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캐소드 전극(CAT1)과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캐소드 전극(CAT2)으로 분할하여 증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배리어층(130)은 캐소드 전극(CAT)의 증착 공정 전 표시패널(100)의 중앙 라인(CL)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중앙 라인(CL)에 형성된 배리어층(130)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져 증착되므로, 제 1 캐소드 전극(CAT1) 및 제 2 캐소드 전극(CAT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층(130)은 캐소드 전극(CAT)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배리어층(130)보다 얇게 형성되므로, 제 1 캐소드 전극(CAT1)과 제 2 캐소드 전극(CAT2)은 그 사이에 배치된 배리어층(130)을 넘어갈 수 없고, 제 1 캐소드 전극(CAT1)과 제 2 캐소드 전극(CAT2) 사이에서 쇼트가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140) 캐소드 전극(CAT) 상에 마련된다. 봉지층(140)은 표시 영역(AA)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발광소자(OLED)를 보호한다. 봉지층(140)은 하부기판(110)의 내부로 수분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봉지층(140) 상에 상부기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150)은 접착층을 통해 봉지층(140) 상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트랜지스터(DT) 및 발광소자(OLED)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캐소드 전극(CAT)을 분할하여 증착하므로, 표시 모드 및 센싱 모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AT)이 분할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전면에 증착되는 경우 센싱 모드 및 구동 모드에서 캐소드 전극(CAT)을 통해 공급되는 제 2 전원전압(EVSS)의 값이 동일하므로, 센싱 모드에서 발광소자(OLED)가 턴-온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에 제 1 캐소드 전극(CAT1)을 배치하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에 제 2 캐소드 전극(CAT2)을 배치하므로, 제 1 캐소드 전극(CAT1) 및 제 2 캐소드 전극(CAT2) 각각에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의 좌측을 센싱 모드로 구동하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을 표시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제 1 캐소드 전극(CAT1)에 6.5V의 제 2 전원전압(EVSS)을 인가하고, 제 2 캐소드 전극(CAT2)에 0V의 제 2 전원전압(EVSS)을 인가하면, 좌측의 발광소자(OLED)는 애노드 전극(AND)과 제 1 캐소드 전극(CAT1) 사이에 걸리는 전압이 구동 전압을 넘지 못해 턴-온 되지 않고, 우측에 발광소자(OLED)는 애노드 전극(AND)과 제 2 캐소드 전극(CAT2) 사이에 걸리는 전압이 구동 전압을 넘어 턴-온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센싱 모드 또는 표시 모드를 구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센싱 모드와 표시 모드를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센싱 모드에 따라 외부 보상이 진행되면서 표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패널 110: 하부기판
150: 상부기판 200: 데이터 구동부
210: 집적 회로 220: 연성필름
300: 스캔 구동부 310: 스캔신호 출력부
320: 센싱신호 출력부 400: 소스 회로보드
500: 제 1 연성 케이블 600: 제어 회로보드
610: 타이밍 제어부 620: 전압 공급부
700: 제 2 연성 케이블 800: 시스템 회로보드
810: 시스템 온 칩 820: 메인 전원 공급부

Claims (10)

  1. 제 1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스캔 라인과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기준전압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로부터 센싱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 전압을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표시패널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 구동부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센싱 신호를 인가하거나, 상기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공급하는 센싱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신호 출력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스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스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 출력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센싱 신호 출력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센싱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발광 표시장치를 표시 모드 또는 센싱 모드로 제어하는, 발광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드는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를 선별하여 구동되는, 발광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상에 마련된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 상에 마련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마련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마련된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캐소드 전극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은,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 1 캐소드 전극과 상기 제 2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 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의 두께는 상기 캐소드 전극의 두께보다 두꺼운, 발광 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우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은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은 센싱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좌측 복수의 센싱 라인에 상기 센싱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우측 복수의 스캔 라인에 상기 스캔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은 상기 센싱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은 상기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발광 표시장치.















KR1020180080976A 2018-07-12 2018-07-12 발광 표시장치 KR10258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76A KR102586224B1 (ko) 2018-07-12 2018-07-12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76A KR102586224B1 (ko) 2018-07-12 2018-07-12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70A KR20200007170A (ko) 2020-01-22
KR102586224B1 true KR102586224B1 (ko) 2023-10-06

Family

ID=6936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976A KR102586224B1 (ko) 2018-07-12 2018-07-12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2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237B1 (ko) * 2016-05-31 2022-07-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70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621B2 (en) Display device having black matrix
KR102596956B1 (ko) 표시 장치
US103261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95842B2 (en) Foldable display
CN107785394B (zh) 显示装置
JP662571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601818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US2015018596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US993997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US11600676B2 (en) Display device containing multiple dams made of organic insulating layers
KR102632130B1 (ko) 표시 장치
US1085482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56468A (ko) 센싱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699726B1 (en) Display device
KR102586224B1 (ko) 발광 표시장치
KR102578350B1 (ko) 표시 장치
KR20210086338A (ko) 표시 장치
US11621311B2 (en) Display device
EP4207980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24013447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232676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206835A1 (en) Display apparatus
CN117939952A (zh) 显示设备
KR20240065509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20153162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