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14B1 -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14B1
KR102585814B1 KR1020180164345A KR20180164345A KR102585814B1 KR 102585814 B1 KR102585814 B1 KR 102585814B1 KR 1020180164345 A KR1020180164345 A KR 1020180164345A KR 20180164345 A KR20180164345 A KR 20180164345A KR 102585814 B1 KR102585814 B1 KR 10258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display panel
display
support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549A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14B1/ko
Priority to US16/717,382 priority patent/US11335219B2/en
Priority to CN201911311550.4A priority patent/CN111336167B/zh
Publication of KR2020007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bayonet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커버에 결합되는 표시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탈착되게 체결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과,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DISPLAY MODULE CONNECTING APPARATUS AND MULTI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타일 형태로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운집한 공공장소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 상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나,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치 하나의 화면에서 영상이 구동되는 것처럼 구동되므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타일형태로 배열시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공간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설치되는 경우에,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공간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가 되어야 하므로 공공장소 또는 공공시설에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면 설치에 필요한 작업공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는, 백커버에 결합되는 표시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탈착되게 체결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 및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백커버의 측면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몸체; 상기 밀착부에서 상기 백커버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 몸체를 위치 고정하는 지지돌기; 및 일측단은 상기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백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는, 상기 백커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백커버의 측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지지홈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계속 가압되면 상기 밀착부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백커버의 측면 측에서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가이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백커버에 상기 표시패널을 삽입 후 가압하면 복수의 상기 밀착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고, 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돌기가 복수의 상기 지지홈을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체결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표시패널이 계속 가압되어 상기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밀착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단부에서 상기 밀착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상측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지지면이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하측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가이드면이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 몸체의 고정부에서 상기 백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단이 체결 고정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백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이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어 마련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부에 의해 체결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탈착되게 체결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는,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 및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더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자석으로 마련되어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는 상기 백커버의 측면 외측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이웃하는 표시패널과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되게 이웃하는 백커버의 측면과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얼라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어 멀티디스플레이의 후방 작업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어 좁은 공간에도 멀티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X, Y, Z축 방향의 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갭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Z축 방향으로 체결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체결 해제되어 표시패널이 백커버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에서 지지홈이 형성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와 얼라인부재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백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백커버에 표시패널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체결되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Z축 방향으로 얼라인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Z축 방향으로 체결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가 체결 해제되어 표시패널이 백커버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백커버(31)에 결합되는 표시패널(32)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탈착되게 체결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프레임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백커버(31)와, 상기 백커버(31)에 삽입 체결되는 표시패널(32)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패널(32)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패널(32)은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들의 각각은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32)은 상기 다수의 화소들 각각의 유기발광층으로부터 표시방향(Z축 방향)으로 출력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물론, 상기 표시패널(32)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백커버(31)는 상기 표시패널(32)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표시패널(32)의 강성을 보완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백커버(31)는 강성 보강을 위해 철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31)가 철판과 같이 자력에 반응하는 플레이트로 마련되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프레임 또는 벽체에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또는 벽체에 상기 백커버(31)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의 다양한 체결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상기 표시패널(32)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삽입 시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 표시패널(32)을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의 내측으로 더 들어가면서 단계적으로 고정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32)의 Z축 방향의 체결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31)에서 상기 표시패널(32)을 탈락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32)을 더 가압하여 상기 백커버(31)의 바닥면 인근까지 가압 후 가압력을 제거하면 내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32)을 분리할 수 있다. 즉, 표시패널(32)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패널(32)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손쉽게 상기 표시패널(32)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상기 체결부(200)가 상기 표시패널(3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홈(310)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32)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체결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표시패널(32)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체결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느 일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에 대하여만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310)과, 상기 표시패널(32)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의 Z축 방향의 체결 높이를 설정하는 체결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홈(310)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서 상기 표시패널(32)의 삽입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32)에 구비된 체결부(200)의 지지돌기(220)가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32)을 더 가압하면 상기 체결부(200)의 지지돌기(220)가 다른 지지홈(310)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패널(32)의 Z축 방향의 체결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표시패널(32)에 체결되는 고정부(211)와 상기 고정부(211)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12)를 포함하는 체결부 몸체(210)와, 상기 밀착부(212)에서 상기 백커버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홈(310)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 몸체(210)를 위치 고정하는 지지돌기(220), 그리고 일측단은 상기 고정부(211)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백커버(31)에 밀착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 몸체(210)는 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부(211)와 상기 밀착부(212)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11)는 상기 표시패널(32)의 뒷면에 체결되고,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표시패널(32)의 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표시패널(32)에 상기 체결부 몸체(21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21)에 삽입하면 상기 밀착부(212)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220)는 상기 밀착부(212)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착부(212)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220) 또한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밀착 가압되어 상기 지지돌기(220)가 상기 지지홈(3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220)는 상기 밀착부(212)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표시패널(32)과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면(221)과, 상기 지지면(221)의 단부에서 상기 밀착부(212)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222)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220)가 상기 지지홈(310)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서 분리되는 Z축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지지돌기(220)의 지지면(221)이 상기 지지홈(310)의 상측부(311)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32)을 더 가압하면 상기 지지돌기(220)의 가이드면(22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홈(310)의 하측부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지돌기(220)가 상기 지지홈(310)에서 이탈된 후 하측에 위치한 지지홈(310)으로 삽입된다. 이때, 가압력을 제거하면 다시 지지면(221)이 상기 지지홈(310)의 상측부(311)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을 다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체결부 몸체(210)의 고정부(211)에서 상기 백커버(31) 방향으로 체결돌기(21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측단이 체결 고정되고, 상기 백커버(31)에서 상기 체결돌기(213)에 대향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3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측단이 삽입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측단이 상기 체결돌기(213)에 체결 고정되어 있어 상기 표시패널(32)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측단이 상기 가이드돌기(330)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230)가 압축되는 경우 타측단이 미끌어지면서 압축되지 않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백커버(31)에 상기 표시패널(32)을 삽입하면 상기 체결부 몸체(210)의 밀착부(212)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밀착 삽입되고, 상기 밀착부(212)에 형성된 지지돌기(220)가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 중에서 Z축 방향의 최외측에 위치한 지지홈에 1차적으로 삽입된다. 이후 상기 표시패널(32)을 더 가압하게 되면 상기 지지돌기(220)가 단계적으로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을 이동하면서 지지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가압력을 제거하여 원하는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상기 백커버(31)에서 상기 표시패널(32)을 쉽게 분리시키도록 상기 백커버(31)의 바닥면에 가이드 리브(320)를 더 구비하였다.
상기 가이드 리브(320)는 상기 백커버(31)의 바닥면에서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지지홈(31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32)이 계속 가압되면 상기 밀착부(212)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212)는 상기 백커버(31)의 측면 측에서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2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320)의 단부(321)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14)이 상기 가이드 리브(320)의 단부(321)에 가이드되어 상기 밀착부(212)가 내측으로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가이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절곡된 상기 밀착부(212)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밀착부(212)에 형성된 지지돌기(220)가 상기 지지홈(310)에 삽입되지 않아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에서 지지홈이 형성된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홈(310)은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310)의 상측부(311)는 상기 지지돌기(220)의 지지면(221)이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면(221)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310)의 하측부(312)는 상기 지지돌기(220)의 가이드면(222)이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돌기(220)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310)의 하측부(312)와 상기 지지돌기(220)의 가이드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점 접촉되게 마련되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홈(310)의 상측부(311)와 상기 지지돌기(220)의 지지면(221)은 평행하게 면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백커버(31)에 상기 표시패널(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지지홈(310)의 하측부(312)와 상기 지지돌기(220)의 가이드면(222)은 상기 백커버(31)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표시패널(32)이 가압되어 상기 지지홈(310)의 하측부(312)에 상기 지지돌기(220)의 가이드면(222)이 접촉하면 상기 지지돌기(220)가 상기 지지홈(3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와 얼라인부재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백커버가 설치된 상태 및 상기 백커버에 표시패널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체결되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Z축 방향으로 얼라인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30)이 베이스 프레임(20)에 체결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결합부(33)에 의해 체결되는 백커버(31)와, 상기 백커버(31)에 결합되는 표시패널(32)과, 상기 표시패널(32)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32)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탈착되게 체결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표시패널(32)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310)과, 상기 표시패널(32)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32)을 더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310)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31)와, 상기 표시패널(32)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상기 백커버(31)를 우선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33)는 자석으로 마련되어 상기 백커버(3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31)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체결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31)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얼라인(align)을 위하여 상기 백커버(3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고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백커버(31)의 측면을 가볍게 두드려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33)가 자석으로 마련되는 것은 일 예이고, 볼트에 의한 나사 체결 등 종래의 다양한 체결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10)는 상기 백커버(31)의 측면 외측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표시패널(32)이 이웃하는 표시패널과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되게 이웃하는 백커버의 측면과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얼라인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32)의 X축 및 Y축 방향의 폭이 상기 백커버(3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32)을 상기 백커버(31)에 체결하면 상기 표시패널(32)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3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런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상기 백커버(31)를 체결 시 상기 표시패널(32)의 크기를 감안하여 체결하여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상기 백커버(31)를 부착하여 백커버 간의 간격을 정확히 설정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백커버 간의 간격이 목표 간격보다 좁게 위치된 경우 표시패널 설치 시 이웃하는 표시패널과 충돌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백커버(31)의 측면 둘레를 따라 얼라인부재(40)를 부착하여 백커버 간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얼라인부재(40)의 두께를 상기 표시패널(32)이 상기 백커버(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만큼 형성하여 상기 백커버(3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부착하면, 별도의 간격 조절없이 상기 얼라인부재(40)가 부착된 백커버(31)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밀착시켜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상기 얼라인부재(40)는 자석으로 마련되어 필요한 두께를 선택하여 상기 백커버(31)에 쉽게 탈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마련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10)의 체결 순서를 살펴보면, 백커버(31)의 둘레를 따라 얼라인부재(40)를 부착한 후 결합부(33)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에 타일 형태로 부착한다. 이때, 부착된 얼라인부재(40)에 의해 백커버(31)는 이웃하는 백커버(31)와 서로 밀착시켜 배치되고, 이를 통하여 X축 및 Y축 방향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백커버(31) 배치가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31)에 표시패널(32)을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100)를 통하여 표시패널(32)의 Z축 방향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즉,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표시패널을 삽입하여 원하는 높이로 설치(도면의 왼쪽)한 후 다른 표시패널(32)을 백커버(31)에 삽입하여,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표시패널과 높이가 동일하도록 체결할 수 있다.
만약, 표시패널의 높이를 다시 조절하여 재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재 설치가 필요한 표시패널(32)을 가압하여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백커버(31)에서 표시패널(32)을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4개의 백커버(31)가 2행 2열로만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행 3열, 3행 4열 등 설치 장소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멀티디스플레이 20 : 베이스 프레임
30 : 디스플레이 모듈 31 : 백커버
32 : 표시패널 33 : 결합부
40 : 얼라인부재
100 :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200 : 체결부 210 : 체결부 몸체
211 : 고정부 212 : 밀착부
213 : 체결돌기 214 : 경사면
220 : 지지돌기 230 : 탄성부재
310 : 지지홈 320 : 가이드 리브
330 : 가이드돌기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모듈의 백커버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표시패널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 및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지지홈을 지나 상기 백커버를 향해 더욱 가압되면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백커버의 측면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몸체;
    상기 밀착부에서 상기 백커버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 몸체를 위치 고정하는 지지돌기; 및
    일측단은 상기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백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백커버의 측면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지지홈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계속 가압되면 상기 밀착부의 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백커버의 측면 측에서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에 상기 표시패널을 삽입 후 가압하면 복수의 상기 밀착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고, 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돌기가 복수의 상기 지지홈을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체결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표시패널이 계속 가압되어 상기 지지홈에서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밀착부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단부에서 상기 밀착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상측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지지면이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하측부는 상기 지지돌기의 가이드면이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몸체의 고정부에서 상기 백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단이 체결 고정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백커버에서 상기 체결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이 삽입되는 가이드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10.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부에 의해 체결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탈착되게 체결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는,
    상기 백커버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홈; 및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 단계별로 삽입 체결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가압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백커버에서 분리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지지홈을 지나 상기 백커버를 향해 더욱 가압되면 상기 지지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멀티디스플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석으로 마련되어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백커버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측면 외측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표시패널이 이웃하는 표시패널과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되게 이웃하는 백커버의 측면과 간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얼라인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0180164345A 2018-12-18 2018-12-18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58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45A KR102585814B1 (ko) 2018-12-18 2018-12-18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US16/717,382 US11335219B2 (en) 2018-12-18 2019-12-17 Display module fastening assembly and multi-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1311550.4A CN111336167B (zh) 2018-12-18 2019-12-18 显示模块紧固组件以及包括其的多显示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45A KR102585814B1 (ko) 2018-12-18 2018-12-18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49A KR20200075549A (ko) 2020-06-26
KR102585814B1 true KR102585814B1 (ko) 2023-10-10

Family

ID=7107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45A KR102585814B1 (ko) 2018-12-18 2018-12-18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5219B2 (ko)
KR (1) KR102585814B1 (ko)
CN (1) CN1113361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8492B2 (ja) * 2017-05-22 2020-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群、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4730535A (zh) * 2019-11-20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82049B1 (ko) 2020-05-29 2022-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4490B1 (ko) * 2020-08-31 202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6623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15861143U (zh) * 2021-08-03 2022-02-18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锁及显示屏
KR20230068650A (ko) * 2021-11-11 2023-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55Y1 (ko) * 2000-11-08 2001-06-15 조건진 엘.씨.디 장치의 멀티비전화를 위한 고정 구조
JP2001309276A (ja) * 2000-04-20 2001-11-02 Fujitsu General Ltd 映像表示装置の設置構造
JP6378104B2 (ja) * 2015-01-30 2018-08-22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213A (en) * 1989-07-07 1991-11-26 Cover-Pools, Inc. Swimming pool anchor and removal tool
KR101340603B1 (ko) * 2007-11-15 2013-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JP5286166B2 (ja) * 2009-06-17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解除構造
JP2014048609A (ja) * 2012-09-04 2014-03-17 Sony Corp 固定部材及び表示装置
US20160146239A1 (en) * 2014-11-21 2016-05-26 Nic Products Inc. Security Lock Bolt Assembly
CN106678519B (zh) * 2015-11-06 2019-06-28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底座及显示器
KR20180014297A (ko) * 2016-07-28 2018-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66266B (zh) * 2018-07-21 2020-06-26 福建省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及其模组弹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276A (ja) * 2000-04-20 2001-11-02 Fujitsu General Ltd 映像表示装置の設置構造
KR200226755Y1 (ko) * 2000-11-08 2001-06-15 조건진 엘.씨.디 장치의 멀티비전화를 위한 고정 구조
JP6378104B2 (ja) * 2015-01-30 2018-08-22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36167A (zh) 2020-06-26
KR20200075549A (ko) 2020-06-26
US20200193877A1 (en) 2020-06-18
CN111336167B (zh) 2022-01-25
US11335219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81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N111336353B (zh)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KR102189234B1 (ko) 멀티 비전
KR20080020814A (ko)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US9220174B2 (en) Pedestal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10816022B2 (en) Gap regulator of multi display and multi display having the same
CN104956426B (zh) 显示装置的安装适配器
EP3161549B1 (en) Display apparatus
KR100967794B1 (ko)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102274380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2866741A (zh) 触摸屏框架组件及触摸屏
KR20100095793A (ko) 전광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
CN111312089A (zh) 一种便于前维护的快速锁紧结构及led显示屏
KR1013755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205316158U (zh) 光学膜片、背光模组和显示面板
KR102505560B1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8890B1 (ko) 멀티비전의 거치구조
CN109923602B (zh) 框架组件及显示设备
KR102601441B1 (ko) 전광판용 기능성 프레임 조립체
KR101808243B1 (ko) 빛샘 현상을 차단한 비디오월
KR20170072399A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JP2011064798A (ja) スタンド及び表示装置
KR102221769B1 (ko) 패널 인입출 멀티비전 시스템
KR101628136B1 (ko) 멀티비전고정프레임
KR101935354B1 (ko) 광센서의 직진성 및 정밀도가 개선된 착탈식 터치 패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