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65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650A
KR20230068650A KR1020210154659A KR20210154659A KR20230068650A KR 20230068650 A KR20230068650 A KR 20230068650A KR 1020210154659 A KR1020210154659 A KR 1020210154659A KR 20210154659 A KR20210154659 A KR 20210154659A KR 20230068650 A KR20230068650 A KR 2023006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ver
chassis
interference
top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건
김병중
조성도
최병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650A/ko
Priority to PCT/KR2022/013960 priority patent/WO2023085585A1/ko
Priority to EP22893008.7A priority patent/EP4375973A1/en
Publication of KR2023006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내측에 마그넷 고정부가 마련되는 탑 섀시(chassis), 탑 섀시의 외측에 장착되어 탑 섀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커버, 마그넷 고정부에 배치되어 섀시 커버가 탑 섀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및 마그넷을 마그넷 고정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 브라켓으로서, 마그넷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와, 마그넷 고정부에 간섭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섀시 커버를 장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해상도 및 대형화되고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탑 섀시 및 바텀 섀시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두께도 점점 얇아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의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자의 영상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이 배치된 부분을 커버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섀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섀시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마그넷을 케이스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내측에 마그넷 고정부가 마련되는 탑 섀시(chassis), 상기 탑 섀시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탑 섀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커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섀시 커버가 상기 탑 섀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 브라켓으로서, 상기 마그넷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간섭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탑 측면의 내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간섭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간섭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홈에 삽입됨에 따라 오므려지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섭 홈을 형성하는 간섭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홈에 삽입될 때 상기 간섭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가이드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의 일면을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마그넷에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을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탑 섀시의 반대 측에 위치한 상기 마그넷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2 커버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이 안착되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브라켓은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체결홈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탑 섀시(chassis)와 바텀 섀시를 포함하고, 내측에 마그넷 고정부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커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섀시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간섭되는 간섭부 및 상기 마그넷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섀시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탑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탑 측면의 내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내측에 제1 자성체가 마련되는 탑 섀시(chassis), 상기 제1 자성체와의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탑 섀시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섀시 커버 및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간섭되며, 상기 제1 자성체를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케이스 내측에 마련되는 마그넷 고정부에 마그넷이 마련되어 섀시 커버를 케이스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마그넷 고정부 및 마그넷에 간섭되는 탄성 브라켓이 마련되어 마그넷을 케이스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섀시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섀시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섀시와 섀시 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X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마그넷, 탄성 브라켓 및 탑 섀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탄성 브라켓을 일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B-B'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이 간섭 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B-B'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C-C'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의 체결부가 마그넷 고정부의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인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구성은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구성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arge Format Display, 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과,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섀시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편평한 형태이나,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굽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00)는 평평한 판 형상이나, 케이스(1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진 판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케이스(100)와 지지장치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0)는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바텀 섀시(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도록 바텀 섀시(120)의 전방에 마련되는 탑 섀시(110)와, 탑 섀시(110)와 바텀 섀시(120)의 사이에 결합되는 미들 몰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바텀 섀시(1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어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가변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패널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10)은 OLED 패널이거나, 마이크로 LED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측에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과,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DI)(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측으로 광을 비춰줄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모듈(미도시) 및 광원 모듈이 실장된 PCB(미도시,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광원 장치(미도시)와, 광원 모듈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광학 부재들은 광원 모듈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을 확산시키거나 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들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확산시키도록 마련되는 도광판(40), 도광판(40)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30) 및 광을 확산시키도록 마련되는 광 확산 시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40)의 측면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PCB과 도광판(40)의 일 측면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원 모듈과 도광판(40)의 상기 일 측면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 모듈에서 방출된 광은 도광판(40)의 상기 일 측면을 통해 도광판(40)으로 입사될 수 있고, 도광판(40)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40)의 전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도광판(40)을 거치면서, 광원 모듈로부터 방출된 점광이 면광으로 바뀔 수 있다.
광학 시트(30)는 도광판(4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학 시트(30)는 미들 몰드(130)의 도광판(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30)는 도광판(4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특성을 개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 확산 시트(20)는 탑 섀시(110)와 미들 몰드(13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광 확산 시트(20)는 광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광판(4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120)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된다. 바텀 섀시(120)는 대략 테두리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120)와 탑 섀시(110)의 사이에 백라이트 유닛이 수용될 수 있다.
바텀 섀시(120)는 광원 모듈(110) 등의 발열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텀 섀시(120)는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섀시(110)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제공되도록 개구를 갖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몰드(130)는 탑 섀시(110)와 바텀 섀시(12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몰드(130)는 개구를 갖는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섀시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섀시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섀시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커버(200)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장착되어 케이스(100)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섀시 커버(200)는 탑 섀시(110)의 외측에 장착되어 탑 섀시(11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섀시(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111) 및 베젤(1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섀시 커버(200)는 베젤(111) 및 탑 측면(112)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섀시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장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섀시 커버(200)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장착되어 케이스(100)의 다양한 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섀시 커버(200)는 바텀 섀시(120) 또는 리어 커버(14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섀시 커버(2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커버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210)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바디(2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커버 바디(210)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바디(21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2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바디(210)는 4개의 커버 바디(210a, 210b, 210c, 210d)로 마련될 수 있다(도 1 참조). 4개의 커버 바디(210a, 210b, 210c, 210d)는 각각 탑 섀시(110)의 네 변 중 어느 한 변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커버 바디(210a, 210b, 210c, 210d)는 각각 탑 섀시(110)의 네 변 중 어느 한 변씩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커버 바디(210a, 210b, 210c, 210d)를 각각 용이하게 케이스(100) 상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섀시 커버(200)는 다양한 개수의 커버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바디(210)는 2개 또는 3개이거나,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커버 바디(210)는 단수로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커버 바디(210)는 케이스(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섀시 커버 결합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섀시 커버 결합홈(212)은 각각의 커버 바디(210)의 단부에 마련되며, 서로 인접하게 장착되는 커버 바디(210)는 서로 인접한 단부 상에 형성되는 섀시 커버 결합홈(212)이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섀시 커버(200)는 섀시 커버 결합부재(230)를 포함하며, 섀시 커버 결합부재(230)는 섀시 커버 결합홈(21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 커버 결합홈(212)은 섀시 커버(200)가 케이스(100)에 장착될 때 케이스(1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섀시 커버 결합부재(230)는 케이스(100)의 후방에서 섀시 커버 결합홈(212)에 체결되어 복수의 커버 바디(21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커버 바디(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커버 바디(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커버 바디(210)는 상호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섀시 커버(200)는 케이스(100)에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2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섀시 커버(200)는 커버 바디(210) 상에 지지 리브(211)를 포함하여,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섀시 커버(200)가 케이스(100)에 장착되었을 때, 지지 리브(21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측에 위치하며 베젤(111)의 일단을 감싸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지지 리브(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지 리브(21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 측에 위치하며 탑 측면(112)의 후면 및 바텀 섀시(120) 또는 리어 커버(140)의 후면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후방 지지 리브(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섀시 커버(200)는 안정적으로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섀시 커버(200)는 케이스(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섀시 커버 결합홈(212)은 후방 지지 리브(211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섀시 커버(200)는 커버 바디(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탈 시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섀시 커버(200)는 후술하는 마그넷(300)과의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메탈 시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300)은 다른 표현으로 제1 자성체(300), 메탈 시트(220)는 다른 표현으로 제2 자성체(220)라고 지칭할 수 있다.
메탈 시트(220)는 철, 니켈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그넷(300)과의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될 수 있다면 메탈 시트(220)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탈 시트(220)는 영구 자석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섀시 커버(200)를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메탈 시트(220)는 커버 바디(21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메탈 시트(220)는 커버 바디(210)의 내면에서, 케이스(100) 내측의 마그넷(30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탈 시트(220)는 마그넷(3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메탈 시트(220)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탈 시트(220)는 커버 바디(210)의 내면에서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섀시와 섀시 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X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마그넷, 탄성 브라켓 및 탑 섀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탄성 브라켓을 일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B-B'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이 간섭 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B-B'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C-C'선을 절개하여, 탄성 브라켓의 체결부가 마그넷 고정부의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섀시 커버(200)는 탑 섀시(11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탑 섀시(11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섀시(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며, 내측에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마그넷 고정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섀시 커버(200)는 커버 바디(210) 및 커버 바디(210)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메탈 시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탈 시트(220)는 탑 섀시(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마그넷(300)과의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섀시 커버(200)는 탑 섀시(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탑 섀시(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111) 및 베젤(1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111)은 탑 측면(112)에 비해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탑 섀시(110)는 탑 측면(112)이 없이 베젤(111)만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은 바텀 섀시(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마그넷(300)은 탑 측면(112)의 내면(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측면(112)이 베젤(111)에 비해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경우, 마그넷(300)이 탑 측면(112)의 내면(113) 상에 배치됨에 따라 베젤(111)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마그넷(300)을 보다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섀시 커버(200)가 탑 섀시(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그넷(300)은 탑 섀시(110)를 포함한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300)은 베젤(111)의 내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탑 섀시(110)가 탑 측면(112)을 포함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바텀 섀시(120)가 지지하는 경우, 마그넷(300)은 바텀 섀시(120)의 내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마그넷(300)은 탑 섀시(110)의 내면(113) 상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탑 섀시(110)의 내측에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마그넷 고정부(114)가 마련되며, 마그넷(300)은 탑 섀시(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브라켓(400)에 의해 마그넷 고정부(114)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탑 섀시(110)의 내면에 간섭되며,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탄성이 있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을 구성하는 금속 소재는 자성체일 필요는 없으나, 강자성체 내지는 상자성체에 해당하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더욱 용이하게 마그넷 고정부(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탄성 브라켓(400)은 영구 자석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탄성 브라켓(400)은 탄성이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 고정부(114)에 간섭되는 간섭부(410) 및 마그넷(300)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 고정부(114) 및 마그넷(300)에 간섭되어, 마그넷(300)을 마그넷 고정부(114)에 고정시키며, 궁극적으로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그넷 고정부(114)는 간섭 홈(114b)를 포함하며, 탄성 브라켓(400)의 간섭부(410)는 간섭 홈(114b)에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마그넷 고정부(114)에 간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고정부(114)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의 사이에 간섭 홈(114b)을 형성하는 간섭 가이드(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간섭부(410)는 간섭 가이드(114a)에 의해 가이드되며 간섭 홈(114b)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그넷 고정부(114)는 간섭 가이드(114a)가 없더라도 다양한 형태로 간섭 홈(114b)를 형성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4a)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4a)는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간섭 가이드(114a)는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위치와 무관하게 탑 섀시(110)의 내면(113)을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4a)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 섀시(110)가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사출 형성되는 경우, 간섭 가이드(114a) 또한 탑 섀시(110)의 베젤(111) 및 탑 측면(112) 등과 함께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간섭 가이드(114a)는 별도로 형성되어 이후 탑 섀시(110)에 결합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4a)는 탄성 브라켓(40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114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 가이드(114a)는 탄성 브라켓(400)의 체결부(430)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홈(114c)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의 체결부(430)는 체결홈(114c)에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체결홈(114c)은 간섭 가이드(114a)를 관통하는 구조가 아니며, 체결부(114c)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홈(114c)이 형성되는 간섭 가이드(114a)를 사출 형성하기 용이할 수 있으며, 금형 상에서 습합의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3 내지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브라켓(500, 600)의 체결부(530, 630)는 간섭 가이드(1114a)를 관통하는 체결홀(1114c)에 체결되도록 마련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체결홈(114c)은 간섭 가이드(114a) 상에서, 간섭 홈(114b)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체결홈(114c)은 간섭 가이드(114a)의 간섭 홈(114b)과 반대되는 일면으로부터 간섭 홈(114b)이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으로, 체결홈(114c)은 간섭 가이드(114a)의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브라켓(400)의 체결부(430)는 간섭 홈(114b)의 반대 측에 위치한 간섭 가이드(114a)의 일면을 감싸면서 체결홈(114c)에 체결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의 체결부(430)는 후술할 브라켓 바디(420)의 제1 커버부(421)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는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후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430)는 제1 커버부(421)로부터 체결홈(114c)을 향하여 연장되며, 체결부(430)의 단부는 체결부(430)가 제1 커버부(421)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체결홈(114c)에 후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부(430)는 체결홈(114c)에 체결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한 쌍의 체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14c)는 이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 고정부(114)에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부(430) 및 체결홈(114c)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430) 및 체결홈(114c)의 개수는 단수이거나, 3개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체결부(430) 및 체결홈(114c)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체결부(430)의 개수보다 체결홈(114c)의 개수가 많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43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간섭부(410)는 한 쌍의 체결부(4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마그넷 고정부(114)의 체결홈(114c)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체결홈(114c)의 사이에 간섭부(410)가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간섭부(410)는 체결부(430) 및 체결홈(114c)에 대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넷 고정부(114)에 별도의 간섭 가이드(114a)가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체결홈(114c)은 탄성 브라켓(400)의 체결부(430)가 마그넷 고정부(114)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41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간섭 홈(114b)에 삽입됨에 따라 오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410)는 간섭 홈(114b)에 삽입될 때, 간섭 가이드(114a) 및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의해 가압되며 오므려질 수 있다.
간섭부(410)는 간섭 가이드(114a)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411) 및 제1 접촉부(411)로부터 연장되어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411) 및 제2 접촉부(412)는 각각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간섭부(410)가 간섭 홈(114b)에 삽입될 때, 제1 접촉부(411)는 간섭 가이드(114a)에 의해 가압되고 제2 접촉부(412)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가압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접촉부(411) 및 제2 접촉부(412)는 각각 간섭 가이드(114a) 및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간섭될 수 있다. 간섭부(410)가 간섭 홈(114b)에 삽입될 경우, 간섭부(410)가 탄성 소재를 포함함에 따라 제1 접촉부(411) 및 제2 접촉부(412)는 상호 가까워지도록 오므려질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간섭부(410)가 간섭 홈(114b)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제1 접촉부(411) 및 제2 접촉부(412)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간섭부(410) 가 간섭 홈(114b)에 삽입된 후에는 그 사이의 각도가 삽입 전의 소정의 각도보다 작아질 수 있다.
간섭부(410)가 간섭 홈(114b)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접촉부(411)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나란하게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부(412)는 제1 접촉부(4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룸에 따라, 탑 섀시(110)의 내면(113) 내지 간섭 가이드(114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접촉부(411) 및 제2 접촉부(412)는 각각 간섭 가이드(114a) 및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접촉되어 간섭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410)는 제1 접촉부(411)로부터 연장되어 마그넷(300)의 일면을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413)는 제1 접촉부(411) 및 브라켓 바디(4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지지부(413)는 제1 접촉부(411) 및 후술할 브라켓 바디(420)의 제1 커버부(421)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마그넷 지지부(413)는 제1 접촉부(411)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제1 커버부(42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접촉부(411) 및 제1 커버부(421)를 연결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413)의 일면은 마그넷(300)의 일면을 지지하며, 마그넷 지지부(413)의 타면은 간섭 가이드(114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413)는 제1 접촉부(4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그넷 지지부(413)는 브라켓 바디(4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지지부(413)는 브라켓 바디(420)의 제1 커버부(42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413)는 마그넷(300)이 밀착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300)이 탑 섀시(110)의 탑 측면(112) 상에 배치되는 경우, 마그넷 지지부(413)는 탑 측면(112)과는 직교하며, 베젤(111)과는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그넷 지지부(413)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410)가 마그넷 지지부(413)에 의해 브라켓 바디(420)와 연결됨에 따라, 간섭부(410)가 마그넷 고정부(114)에 간섭되면서 받는 복원력이 브라켓 바디(4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섭부(410)가 마그넷 지지부(413)를 포함함에 따라,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3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간섭부(410)는 마그넷(300)의 일면을 지지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그넷(300)에 접촉하는 탄성 브라켓(400)의 구성은 브라켓 바디(420)일 수 있다.
제1 접촉부(411), 제2 접촉부(412) 및 마그넷 지지부(4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부(411), 제2 접촉부(412) 및 마그넷 지지부(413)는 프레스(press) 공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300)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마그넷(300)에 간섭되어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키며 마그넷 고정부(114)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며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간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420)는 탑 섀시(110)의 반대 측에 위치한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4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브라켓 바디(420)는 제1 커버부(421)를 포함하여,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되는 마그넷(300)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버부(421)는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421)는 마그넷(300)을 마그넷(300)이 밀착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마그넷(300)이 탑 측면(112)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제1 커버부(421)는 마그넷(300)을 탑 측면(112)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제1 커버부(421)로부터 연장되어 제1 커버부(421)가 커버하는 마그넷(300)의 외면과는 다른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브라켓 바디(420)는 제1 커버부(421) 및 제2 커버부(422)를 포함함에 따라, 제1 커버부(421)는 탑 섀시(110)의 반대 측에 위치한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고,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마그넷(300)이 밀착되는 탑 섀시(110)의 면과 인접한 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이 탑 측면(112)이라면,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베젤(111)과 대향되는 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제1 커버부(421)에 의해 가압되는 마그넷(300)의 외면과 인접한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부(422)는 간섭부(410)와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마그넷(300)을 간섭부(4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을 마그넷(300)이 밀착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수직하는 면이 있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마그넷(300)이 탑 측면(112)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을 베젤(111)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으로,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을 간섭 가이드(114a)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커버부(421) 및 제2 커버부(422)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마그넷(30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커버부(422)는 제1 커버부(421)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버부(421)는 제2 커버부(422)에 가까워짐에 따라 마그넷(300)이 안착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421)는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 측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커버부(422) 또한 마그넷(300)의 외면에 더욱 밀착되어 마그넷(300)을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커버부(421)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탑 섀시(110) 반대 측에 위치한 마그넷(300)의 외면을 탑 섀시(110) 측으로 가압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커버부(421)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마그넷(300)의 외면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 측으로 가압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2 커버부(422)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 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부(422)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그넷(300)의 외면을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20)는 마그넷(3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커버부(421) 및 제2 커버부(422)는 마그넷(30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마그넷 지지부(413) 또한 제1 커버부(421) 및 제2 커버부(422)와 함께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300)이 탑 섀시(110)의 내면(113) 또는 이에 수직한 면 측으로 가압되는 마그넷(300)의 외면 이외에,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지지하여 마그넷(3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40)는 브라켓 바디(420)의 제1 커버부(421) 또는 제2 커버부(422)에 의해 커버되는 마그넷(300)의 외면과는 다른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마그넷(3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440)는 제1 커버부(422)로부터 연장되되, 제2 커버부(422)와는 다른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44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44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 커버부(421), 제2 커버부(422) 등과 함께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이탈방지부(440)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탈방지부(440)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44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탈방지부(44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마그넷(300)에 간섭됨에 따라 마그넷(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440)는 브라켓 바디(420)의 제2 커버부(422)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브라켓(400)은 마그넷(300)을 보다 효율적으로 탑 섀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탄성 브라켓(400)을 이용하여 케이스(100)의 내측에 마련된 마그넷 고정부(114)에 마그넷(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마그넷(300)과의 인력에 의해 케이스(10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섀시 커버(200)를 포함하여, 케이스(100)의 외관을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탄성 브라켓(500)을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탄성 브라켓(500)에 의해 마그넷(300)을 마그넷 고정부(1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 브라켓(500)은 마그넷 고정부(1114)에 간섭되는 간섭부(510) 및 마그넷(300)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510)는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수 있다. 간섭 홈(1114b)는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형성되며, 간섭부(510)가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때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간섭부(510)는 간섭 가이드(1114a)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511) 및 제1 접촉부(511)로부터 연장되며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11) 및 제2 접촉부(512)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510)가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때, 제1 접촉부(511) 및 제2 접촉부(512)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오므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510)는 제1 접촉부(511)로부터 연장되어 마그넷(300)의 일면을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513)에 의해 제1 접촉부(511) 및 브라켓 바디(520),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520)의 제1 커버부(521)가 연결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513)의 일면은 마그넷(300)을 지지하며, 반대되는 타면은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52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마그넷(300)에 간섭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52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520)는 탑 섀시(110)의 반대 측에 위치한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521) 및 제1 커버부(521)로부터 연장되어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521)는 마그넷(300)의 외면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부(5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제1 커버부(521)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다른 외면을 탑 섀시(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마그넷(300)이 탑 측면(112)에 배치될 경우, 제2 커버부(522)는 베젤(111) 측으로 마그넷(300)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커버부(521)는 제2 커버부(522)를 향함에 따라 마그넷(300)이 안착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521) 및 제2 커버부(522)는 마그넷(3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500)은 탄성 브라켓(500)은 마그넷 고정부(1114)에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고정부(1114)는 체결홀(1114c)을 포함하며, 체결부(530)는 체결홀(1114c)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홀(1114c)은 간섭 가이드(1114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14a)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는 경우, 체결홀(1114c) 또한 간섭 가이드(1114a)가 사출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홀(1114c)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30)는 간섭부(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530)는 제1 접촉부(511)으로부터 간섭 가이드(1114a)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체결홀(1114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30)는 제1 접촉부(51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530)는 단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부(53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530)는 탄성 브라켓(500) 상에서 프레스 공법에 의해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체결부(530)는 제1 접촉부(511)로부터 프레스 공법에 의해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탄성 브라켓이 마그넷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탄성 브라켓(600)을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탄성 브라켓(600)에 의해 마그넷(300)을 마그넷 고정부(1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 브라켓(500)은 마그넷 고정부(1114)에 간섭되는 간섭부(610) 및 마그넷(300)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62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610)는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수 있다. 간섭 홈(1114b)는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형성되며, 간섭부(610)가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때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간섭부(610)는 간섭 가이드(1114a)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611) 및 제1 접촉부(611)로부터 연장되며 탑 섀시(110)의 내면(113)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611) 및 제2 접촉부(612)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610)가 간섭 홈(1114b)에 삽입될 때, 제1 접촉부(611) 및 제2 접촉부(612)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오므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부(612)는 마그넷(300)의 일면을 커버하며, 마그넷(300)과 마그넷(300)이 배치되는 탑 섀시(110)의 내면(113) 사이에 위치되는 마그넷 안착부(65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620)은 마그넷 안착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안착부(650)는 간섭부(610) 및 브라켓 바디(62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 안착부(650)는 마그넷(300)이 안착되며, 탑 섀시(110)의 내면(113)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 안착부(650)는 마그넷(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62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62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마그넷(300)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을 향하여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620)는 탑 섀시(110)의 반대 측에 위치한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621) 및 제1 커버부(621)로부터 연장되어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부(622)는 마그넷 안착부(65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622)는 제1 커버부(621) 및 제2 커버부(622)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621)는 마그넷(300)의 외면을 탑 섀시(110)의 내면(113)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커버부(621)는 마그넷(300)의 외면을 마그넷 안착부(650) 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부(622)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제1 커버부(621)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다른 외면을 탑 섀시(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마그넷(300)이 탑 측면(112)에 배치될 경우, 제2 커버부(622)는 베젤(111) 측으로 마그넷(300)을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600)은 마그넷(300)의 일면을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623)는 마그넷 안착부(65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부(623)의 일면은 마그넷(300)의 외면을 지지하고, 반대되는 타면은 간섭 가이드(1114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600)은 마그넷(300)이 탑 섀시(110)의 내면(113) 또는 이에 수직한 면 측으로 가압되는 마그넷(300)의 외면 이외에,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지지하여 마그넷(3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640)는 브라켓 바디(420)의 제1 커버부(421), 제2 커버부(422) 또는 마그넷 안착부(650)에 의해 커버되는 마그넷(300)의 외면과는 다른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마그넷(3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640)는 마그넷 안착부(650)로부터 연장되되, 제1 커버부(621) 및 제2 커버부(622)와는 다른 마그넷(30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64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탈방지부(640)는 마그넷(3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마그넷(300)에 간섭됨에 따라 마그넷(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부(640)는 브라켓 바디(620)의 제2 커버부(622)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브라켓(600)은 마그넷(300)을 보다 효율적으로 탑 섀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 브라켓(600)은 마그넷 고정부(1114)에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고정부(1114)는 체결홀(1114c)을 포함하며, 체결부(630)는 체결홀(1114c)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홀(1114c)은 간섭 가이드(1114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 가이드(1114a)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는 경우, 체결홀(1114c) 또한 간섭 가이드(1114a)가 사출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홀(1114c)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간섭부(6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630)는 제1 접촉부(611)으로부터 간섭 가이드(1114a)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체결홀(1114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제1 접촉부(61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630)는 단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부(63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630)는 탄성 브라켓(600) 상에서 프레스 공법에 의해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체결부(630)는 제1 접촉부(611)로부터 프레스 공법에 의해 돌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패널
100; 케이스 110; 탑 섀시
111; 베젤 112; 탑 측면
113; 탑 섀시의 내면 114, 1114; 마그넷 고정부
114a, 1114a; 간섭 가이드 114b, 1114b; 간섭 홈
114c; 체결홈 120; 바텀 섀시
130; 미들 몰드 140; 리어 커버
200; 섀시 커버 210; 커버 바디
211; 지지 리브 220; 메탈 시트
300; 마그넷 400, 500, 600; 탄성 브라켓
410,510, 610; 간섭부 411, 511, 611; 제1 접촉부
412, 512, 612; 제2 접촉부 413, 513, 623; 마그넷 지지부
420, 520, 620; 브라켓 바디 421, 521, 621; 제1 커버부
422, 522, 622; 제2 커버부 430, 530, 630; 체결부
440, 640; 이탈방지부 650; 마그넷 안착부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내측에 마그넷 고정부가 마련되는 탑 섀시(chassis);
    상기 탑 섀시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탑 섀시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커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섀시 커버가 상기 탑 섀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 브라켓으로서, 상기 마그넷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간섭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탑 측면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간섭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간섭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홈에 삽입됨에 따라 오므려지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섭 홈을 형성하는 간섭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홈에 삽입될 때 상기 간섭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 가이드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의 일면을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마그넷에 간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을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밀착시키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탑 섀시의 반대 측에 위치한 상기 마그넷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의 외면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2 커버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이 안착되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마그넷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브라켓은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체결홈에 후크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탑 섀시(chassis)와 바텀 섀시를 포함하고, 내측에 마그넷 고정부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섀시 커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섀시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간섭되는 간섭부 및 상기 마그넷이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는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탑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탑 측면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내측에 제1 자성체가 마련되는 탑 섀시(chassis);
    상기 제1 자성체와의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탑 섀시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섀시 커버; 및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간섭되며, 상기 제1 자성체를 상기 탑 섀시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54659A 2021-11-11 2021-11-11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68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59A KR20230068650A (ko) 2021-11-11 2021-11-11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13960 WO2023085585A1 (ko) 2021-11-11 2022-09-19 디스플레이 장치
EP22893008.7A EP4375973A1 (en) 2021-11-11 2022-09-1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59A KR20230068650A (ko) 2021-11-11 2021-11-1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650A true KR20230068650A (ko) 2023-05-18

Family

ID=8633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659A KR20230068650A (ko) 2021-11-11 2021-11-1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5973A1 (ko)
KR (1) KR20230068650A (ko)
WO (1) WO20230855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959B1 (ko) * 2009-03-20 2016-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8619B1 (ko) * 2014-02-28 2016-08-16 (주)뉴옵틱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5490B1 (ko) * 2015-07-31 202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5814B1 (ko) * 2018-12-18 2023-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20210083018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585A1 (ko) 2023-05-19
EP4375973A1 (en)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0011B2 (en) Flat type image display device
US10520666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apparatus
EP2339426B1 (en) Display apparatus
US10976770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8028990B (zh) 声音再现显示器
KR202300686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208448A1 (en) Display apparatus
JP6333905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230168712A1 (en) Display apparatus
JP5572571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US11153997B2 (en) Display apparatus
JP2019008050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18049810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CN117529688A (zh) 显示装置
JP2017009796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230124370A (ko) 장착 브라켓,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69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21541A (ja) 光源ホルダ、シャーシ、光源の保持構造、光源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JP2013050649A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