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791B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791B1
KR102585791B1 KR1020180086742A KR20180086742A KR102585791B1 KR 102585791 B1 KR102585791 B1 KR 102585791B1 KR 1020180086742 A KR1020180086742 A KR 1020180086742A KR 20180086742 A KR20180086742 A KR 20180086742A KR 102585791 B1 KR102585791 B1 KR 102585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electronic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806A (ko
Inventor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791B1/ko
Priority to US17/257,373 priority patent/US11751319B2/en
Priority to PCT/KR2019/003302 priority patent/WO2020022607A1/ko
Publication of KR2020001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2Spacers not being card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05K9/0033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disposed on both PCB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02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305Solder used for other purposes than connections between PCB or components, e.g. for filling vias or for programmable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606Permanent holder for component or auxiliary PCB mounted on a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36Permanent spacer or stand-off in a printed circuit or printed circuit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관통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된 홀더, 및 홀더의 일 영역을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합시키는 솔더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인쇄회로기판에 홀더가 실장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을 제조하면서 제1 부재의 상부에 제2 부재를 고정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격시키거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서 도광판과 확산판을 일정한 광학 거리로 이격 배치되도록 도광판과 확산판 사이에는 확산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쉴드 커버와 내측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에도 홀더를 사용할 수 있다.
홀더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는 인쇄회로기판의 관통홀에 수삽(Manual Insert)으로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인쇄회로기판에 홀더를 고정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에 홀더를 자삽(자동삽입, auto-insert)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홀더를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일 영역을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합시키는 솔더층;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자동삽입(auto-insert)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솔더층과 접합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단홀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단홀더; 및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상단홀더와 상기 하단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솔더층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에 형성된 솔더층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에 대응되는 커버영역과, 상기 커버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부를 덮는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연장영역의 하단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원반 형상이고, 상기 하단홀더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단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하단홀더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확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실장된 전자부품의 전자파 차폐를 위해 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커버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상단홀더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하단홀더와 접촉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솔더층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솔더층은, 전도성 에폭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에지형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개시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인쇄 회로 기판(110)과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표면에 자동삽입(자삽, auto-insert)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0)에는 각종 전자 소자가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소자들은 인쇄 회로 기판(110)의 양면에 탑재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를 실장하고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를 향하는 제2 면(110b)과, 제2 면(110b)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를 실장하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를 향하는 제1 면(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관통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3)은 인쇄 회로 기판(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0) 상에 복수의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3)은 인쇄 회로 기판(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3)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홀더(130)는 관통홀(113)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30)는 하단홀더(131), 상단홀더(135) 및 연결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홀더(131)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홀더(130)가 인쇄 회로 기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단홀더(131)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하부인 제2 면(110b)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135)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인 제1 면(110a)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상단홀더(135)와 하단홀더(131)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홀더(131)는 연결부재(138)의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의 직경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의 상부에 결합되며, 인쇄 회로 기판(110)의 제1 면(110a)에 접하여 하단홀더(131)가 관통된 관통홀(113)의 주변부를 커버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과 마주하는 영역인 커버영역(138a)과, 커버영역(138a)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인 연장영역(138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영역(138a)은 관통홀(113)의 상부에 위치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영역(138a)은 관통홀(113)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113)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영역(138a)은 하단홀더(131)와 상단홀더(135)를 연결할 수 있다.
연장영역(138b)은 인쇄 회로 기판(110)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영역(138b)은 솔더층(15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영역(138b)은 관통홀(113)의 주변부로 연장 형성되며, 솔더층(150)과 접합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영역(138b)의 하면과 인쇄 회로 기판(110)의 제1 면(110a) 사이에 솔더층(150)이 개재될 수 있다. 연장영역(138b)의 인쇄 회로 기판(110)과 마주하는 영역은 솔더층(150)과 접합되도록 인쇄 회로 기판(110)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130)를 구성하는 하단홀더(131), 상단홀더(135) 및 연결부재(13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홀더(131), 상단홀더(135) 및 연결부재(138)는 플라스틱 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수지 재질,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130)의 재질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30)가 한번 고정되면 다시 분해가 필요 없는 부재를 지지하는 경우 홀더(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홀더(130)가 진동 등을 흡수하는 부재를 지지하거나 공차가 있는 부위에 고정되는 부재를 지지하는 경우 홀더(13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홀더(130)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홀더(130)는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홀더(130) 및 인쇄 회로 기판(110) 사이에 개재되어 홀더(130)와 인쇄 회로 기판(110)을 결합시키는 솔더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솔더층(150)은 홀더(130)의 일 영역을 인쇄 회로 기판(110)의 일면에 접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더층(150)은 홀더(130)의 연결부재(138)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 주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솔더층(150)은 인쇄 회로 기판(110)의 연결부재(138)와 마주하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재(138)의 하단에 접할 수 있다.
솔더층(150)은 솔더 파우더 또는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솔더층(150)은 솔더시트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솔더층(150)은 전도성 에폭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솔더층(150)을 형성하는 재질은 예를 들어 주석, 납 및 이들의 혼합 금속 등일 수 있다.
솔더층(150)은 솔더를 홀더(130)의 연결부재(138)와 인쇄 회로 기판(110) 사이에 개재한 후, 솔더를 순차적으로 용융 및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솔더층(150)에 의해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에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홀더(1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에 표면 실장하기 위해 연결부재(138)의 하부로 돌출된 하단홀더(131)를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하단홀더(131)를 관통홀(11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은 자삽(자동삽입, auto-insert)으로 수행할 수 있다.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홀더(130)의 연결부재(138)를 인쇄 회로 기판(110)의 제1 면(110a)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표면에 자삽으로 간단히 고정될 수 있고, 표면실장기술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더(1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홀더(13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단홀더(131)는 인쇄 회로 기판(11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하단홀더(131)는 삽입돌기(132)와 복수의 끼움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132)는 연결부재(138)의 하부에 결합되어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에 삽입 결합된다.
삽입돌기(1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끼움 부재(133)가 삽입돌기(1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끼움 부재(133)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단홀더(131)가 인쇄 회로 기판(11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타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로부터 하단홀더(1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에 결합된 지지돌기(136)와 지지돌기(136)에 결합된 아치형의 완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36)는 연결부재(138)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36)의 상단에는 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평평하게 형성된 지지면(136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홀더(131) 및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하단홀더(131)와 상단홀더(1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제1 면(110a)에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113)의 주변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인쇄 회로 기판(110)과 평행한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원반의 형상일 수 있다.
홀더(130)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홀더(130)의 형상은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홀더(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인쇄 회로 기판(110)과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30)는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표면에 자동삽입(자삽, auto-insert)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홀더(230)는 하단홀더(231), 상단홀더(235) 및 연결부재(238)를 포함한다.
다만, 하단홀더(231)와 상단홀더(23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홀더(131)와 상단홀더(135)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단홀더(235)의 위치 및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단홀더(231)는 연결부재(238)로부터 관통홀(11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235)는 연결부재(238)로부터 하단홀더(231)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하단홀더(23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238)가 원반 형상일 경우, 상단홀더(235)와 하단홀더(231)는 연결부재(238)의 중심으로부터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단홀더(235)는 상단홀더(235)가 지지하는 부재의 지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235)가 하단홀더(231)로부터 이격 배치됨에 따라 홀더(230)는 다양한 지지 위치를 갖는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238)는 상단홀더(235)와 솔더층(15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38)의 연장영역(238b)은 인쇄 회로 기판(110)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영역(238b)은 솔더층(15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영역(238b)은 관통홀(113)의 주변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상단홀더(2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38)는 하단홀더(231)의 반대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평평한 면(238c)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30)가 자삽으로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홀더(2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는 평평한 면(238c)을 흡착하여 상기 홀더(2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로 이송할 수 있다. 평평한 면(238c)은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 홀더(23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홀더(230)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도광판의 측면으로 광을 조사하고 도광판에 입사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균일하게 가이드 하는 에지형(Edge-lit type)과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는 직하형(Direct-lit type) 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에지형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확산판(20), 도광판(115), 반사 시트(40), 케이스(50), 광원(60) 및 도광판(115)에 결합되어 확산판(2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으로는 확산판(20), 도광판(115), 반사 시트(40) 및 케이스(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광원(60)은 도광판(115)의 측면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도광판(115)의 일 측면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광원(60)은 도광판(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인쇄회로기판(PCB, 62) 및 인쇄회로기판(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발광소자(6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발광소자(61)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L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115)은 광원(6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광원(6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광량이 균일한 면 광(surface light)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도광판(115) 사이에는 확산판(20)이 배치된다.
확산판(20)은 도광판(115)의 출광면(3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으며, 도광판(115)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전체적인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한다.
도광판(115)은 홀더(130)가 접합되는 도 1의 인쇄 회로 기판(11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홀더(130)는 도광판(115)을 관통하여 도광판(115)의 일면에 솔더층(150)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도광판(115)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115)과 확산판(20) 사이에는 확산판(2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30)를 통해, 도광판(115)과 확산판(20)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도광판(115)과 확산판(20)은 일정한 광학 거리(DL)로 이격될 수 있다.
홀더(130)는 플라스틱, 실리톰 또는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판(20)은 도광판(115)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의 상단홀더(1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115)은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13)은 도광판(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홀더(130)는 복수의 관통홀(113)에 각각 자삽으로 결합됨으로써 도광판(11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홀더(130)가 도광판(115)의 표면 상에 접합되어 도광판(115)에 결합함으로써, 확산판(20)은 복수의 홀더(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확산판(20)은 그 면적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는바, 도광판(115)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홀더(130)에 지지됨으로써 쳐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2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홀더(130)를 자삽으로 도광판(115)에 결합하여 도광판(115)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단홀더(131)의 삽입돌기(132)는 도광판(115)에 형성된 관통홀(113)에 삽입되어 도광판(11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하단홀더(131)의 끼움 부재(133)는 후술하는 케이스(5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부에는 케이스(50)가 결합된다.
케이스(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부 외관 및 측면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케이스(50)는 복수의 끼움 부재(133)를 포함하는 하단홀더(13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홀더(131)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 부재(133)는 케이스(50)의 체결홀(5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에지형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는 디스플레이 패널(10), 광학 시트(13), 확산판(20), 인쇄 회로 기판(116), 인쇄 회로 기판(116)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64) 및 인쇄 회로 기판(116)에 결합되어 확산판(2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은 인쇄 회로 기판(116)과 복수의 발광소자(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발광소자(64)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으로는 광학 시트(13), 확산판(20), 인쇄 회로 기판(116)및 케이스(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사이에는 확산판(20)이 배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116)과 확산판(20) 사이에는 확산판(2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30)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16)과 확산판(20)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과 확산판(20)은 일정한 광학 거리(DL)로 이격될 수 있다.
확산판(20)은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130)의 상단홀더(1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116)이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하단홀더(131)가 인쇄 회로 기판(116), 반사 시트(40) 및 케이스(50)에 삽입 결합되고, 솔더층(150)에 의해 연결부재(138)가 인쇄 회로 기판(116)의 일면에 접합됨으로써, 홀더(130)는 인쇄 회로 기판(116)에 고정된 상태에서 확산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로부터 확산판(20)을 향해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확산판(20)과 접하는 지지돌기(136) 및 지지돌기(136)에 결합된 아치형의 완충부(137)를 포함한다.
확산판(20)은 지지돌기(136)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면(136a)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일정한 광학 거리(DL)로 이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완충부(137)는 아치의 형상으고, 완충부(137)의 중앙에는 지지돌기(136)가 확산판(20)을 향해 돌출된다. 이를 통해 상단홀더(135)는 확산판(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확산판(20)을 지지하는 상단홀더(135)는 연결부재(1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재(138)는 인쇄 회로 기판(116)에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113)의 주변부를 덮도록 관통홀(113)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결부재(138)는 관통홀(113) 및 관통홀(113)의 주변부를 통해 확산판(20) 측으로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홀더(130)가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의 표면 상에 접합되어 인쇄 회로 기판(116)에 결합함으로써, 확산판(20)은 복수의 홀더(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확산판(20)은 그 면적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는바,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홀더(130)에 지지됨으로써 쳐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2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홀더(130)를 자삽으로 광원의 인쇄 회로 기판(116)에 결합하여 광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부에는 케이스(50)가 결합된다.
케이스(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부 외관 및 측면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케이스(50)는 복수의 끼움 부재(133)를 포함하는 하단홀더(13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홀더(131)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 부재(133)는 케이스(50)의 체결홀(5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연결부재(138)의 하단에 구비되는 금속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연결부재(138)의 인쇄 회로 기판(116)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층은 연결부재(138) 상에 도전체가 도금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층은 솔더층(150)에 접합될 수 있다.
홀더(130)의 일 영역을 인쇄 회로 기판(116)의 상부 표면 상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홀더(130)와 인쇄 회로 기판(116) 사이에 개재된 솔더층(150)은 용융된 금속층과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특히, 홀더(13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금속층과 솔더층(150)은 홀더(130)가 인쇄 회로 기판(116)에 안정적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인쇄 회로 기판(110)과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홀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30)는 솔더층(150)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표면에 자동삽입(자삽, auto-insert)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홀더(330)는 하단홀더(331), 상단홀더(335) 및 연결부재(338)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홀더(331) 및 상단홀더(335)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단홀더(331)는 연결부재(338)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하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홀더(331)의 최하단에는 타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제1 접촉면(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면(332)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110)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335)는 연결부재(338)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좁하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335)의 최상단에는 타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제2 접촉면(3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면(336)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110)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홀더(331)와 상단홀더(335)는 연결부재(338)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하부 및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홀더(331)와 상단홀더(335)는 연결부재(338)를 중심으로 대칭인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인쇄 회로 기판(110)과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홀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30)는 솔더층(150)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10)의 상부 표면에 자동삽입(자삽, auto-insert)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홀더(430)는 하단홀더(431), 상단홀더(435) 및 연결부재(438)를 포함한다.
다만, 하단홀더(431)와 상단홀더(435)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홀더(331)와 상단홀더(335)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단홀더(435)의 위치 및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단홀더(431)는 연결부재(438)로부터 관통홀(11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435)는 하단홀더(43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438)가 원반 형상일 경우, 상단홀더(435)와 하단홀더(431)는 연결부재(438)의 중심으로부터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단홀더(435)는 상단홀더(435)가 접촉하는 부재의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홀더(435)가 하단홀더(431)로부터 이격 배치됨에 따라 홀더(430)는 다양한 접촉 위치를 갖는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438)는 상단홀더(435)와 솔더층(15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38)는 하단홀더(431)의 반대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평평한 면(438c)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430)가 자삽으로 인쇄 회로 기판(1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홀더(4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는 평평한 면(438c)을 흡착하여 상기 홀더(430)를 인쇄 회로 기판(110)의 관통홀(113)로 이송할 수 있다. 평평한 면(438c)은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된 홀더(43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제1, 2 면(117a, 117b)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80a, 80b)를 전자기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 구조(3)를 구비할 수 있다.
차폐 구조(3)는 쉴드 커버(70) 및 홀더(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 커버(70)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71), 인쇄 회로 기판(117)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커버(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71)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제1 면(117a)에 장착된 전자 소자(80a)들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73)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제2 면(117b)에 장착된 전자 소자(80b)들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71)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제1 면(117a)과 제1 커버(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커버(73)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제2 면(117b)과 제2 커버(7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구조(3)를 형성하는 쉴드 커버(70)는 인쇄 회로 기판(117)에 실장될 수 있다. 쉴드 커버(70)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버(71) 및 제2 커버(73)는 인쇄 회로 기판(117)에 솔더링되는 SUS,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330)는 인쇄 회로 기판(117)에 실장되며, 상단홀더(335)는 제1 커버(71)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하단홀더(331)는 제2 커버(73)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홀더(330)는 제1 커버(71)와 제2 커버(7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차폐 영역은 홀더(330)와 쉴드 커버(7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홀더(330)와 쉴드 커버(70)는 차폐 영역들의 외곽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7)은 접지 패드(117c)가 패터닝될 수 있다. 접지 패드(117c)는 인쇄 회로 기판(117)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지 패드(117c)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인쇄 회로 기판(117)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 패드(117c)는 복수의 회로 소자(80a, 80b)의 접지 또는 신호 전달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더(330)는 인쇄 회로 기판(117) 상에 홀더(330)의 배치 경로 경로를 따라 또는 홀더(330)의 배치 경로의 일부에 형성된 접지 패드(117c)에 전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접지가 이루질 수 있다.
홀더(330)는 인쇄 회로 기판(117)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홀더(330)는 서로 인접한 홀더(330)와 폐루프를 이루는 차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홀더(330)를 포함하는 차폐 구조는 쉴드 커버(70)에 의해 전체적으로 폐루프를 이루는 동시에 홀더(330)에 의해 2개 이상의 차폐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폐 영역(S1) 및 제2 차폐 영역(S2)은 제1 커버(71) 및 상단 홀더(330)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고, 제3 차폐 영역(S3) 및 제4 차폐 영역(S4)은 제2 커버(73) 및 하단 홀더(330)에 의해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330)에 의해 4개의 차폐 영역(S1, S2, S3, S4)을 구획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쉴드 커버를 적용하는 차폐 구조와 달리 각 쉴드 커버 사이의 간격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고, 재료비가 비싼 쉴드 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차폐 영역의 디자인 (예를 들면, 차폐영역의 아웃라인)이 상이한 경우에도 해당 차폐영역의 디자인에 대응하도록 홀더(330)의 배치 또는 홀더(33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2: 디스플레이 장치
100, 200, 300, 400: 전자 장치
110, 116, 117: 인쇄 회로 기판
130, 230, 330, 430: 홀더
150: 솔더층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일 영역을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합시키는 솔더층;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단홀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단홀더; 및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상단홀더와 상기 하단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홀더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확산판과 접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에 결합된 아치형의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완충부의 중앙에서 상기 확산판을 향해 돌출되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자동삽입(auto-insert)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솔더층과 접합하는 일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층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에 형성된 솔더층을 커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에 대응되는 커버영역과, 상기 커버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부를 덮는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솔더층은 상기 연장영역의 하단에 접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반 형상이고,
    상기 하단홀더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돌출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하단홀더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된 확산판을 지지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실장된 전자부품의 전자파 차폐를 위해 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커버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상단홀더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하단홀더와 접촉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층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층은,
    전도성 에폭시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80086742A 2018-07-25 2018-07-25 전자 장치 KR10258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42A KR102585791B1 (ko) 2018-07-25 2018-07-25 전자 장치
US17/257,373 US11751319B2 (en) 2018-07-25 2019-03-21 Electronic device
PCT/KR2019/003302 WO2020022607A1 (ko) 2018-07-25 2019-03-21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42A KR102585791B1 (ko) 2018-07-25 2018-07-25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06A KR20200011806A (ko) 2020-02-04
KR102585791B1 true KR102585791B1 (ko) 2023-10-10

Family

ID=6918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42A KR102585791B1 (ko) 2018-07-25 2018-07-25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51319B2 (ko)
KR (1) KR102585791B1 (ko)
WO (1) WO2020022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5247B (zh) * 2020-04-10 2022-02-08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pcb基板安装结构及电子元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91A1 (ko) * 2014-04-08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5581B1 (en) 1998-03-31 2001-07-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rface mount technology compatible EMI gasket and a method of installing an EMI gasket on a ground trace
KR20000009183U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회로기판 지지구조
KR20070113838A (ko) 2006-05-26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US20070284142A1 (en) 2006-06-08 2007-12-13 Dot Hill Systems Corporation Emi/rfi finger clip gasket
KR20090083095A (ko) 2008-01-29 2009-08-03 이재형 표면장착용 도전 가스켓
KR101658821B1 (ko) 2009-12-24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쉴드 캔
US9197019B2 (en) 2013-03-14 2015-11-24 Hubbell Incorporated Grounding clip for electrical components
US10001592B2 (en) 2013-11-22 2018-06-19 Lumens Co., Ltd. Backlight unit, double cone-shaped reflector, double cone-shaped reflector strip,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cone-shaped reflector
US10219382B2 (en) 2014-04-08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amp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07112664B (zh) 2014-09-16 2020-05-19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气密性密封的电连接器组件
JP6354055B2 (ja) * 2014-11-06 2018-07-11 北川工業株式会社 導電部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構造
CN105246316B (zh) * 2015-11-11 2018-09-14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遮罩夹与通信装置
KR101732518B1 (ko) * 2016-07-29 2017-05-04 (주)연호엠에스 보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91A1 (ko) * 2014-04-08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607A1 (ko) 2020-01-30
US11751319B2 (en) 2023-09-05
KR20200011806A (ko) 2020-02-04
US20210136910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76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EP262079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ED module thereof
EP2077464B1 (en) Backlight assemble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backlight assembly
CN101500373B (zh) 印刷电路板、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US83509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flexible cable connecting light source and circuit board
JP2008096950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20130040661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3728771B (zh) 液晶显示装置
KR102585791B1 (ko) 전자 장치
CN101737668B (zh) 背光单元及使用其的液晶显示器
KR2007007154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5316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17102A1 (en) Light emitting diodes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700163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US8279368B2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00277404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046294B1 (ko) 엘이디모듈 및 그 제조방법과 엘이디모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127549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40057712A (ko) 백라이트 유니트와 그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2007009908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2201591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61913B1 (ko) 엘씨디 백라이트 소켓 및 이의 설치방법
US20110279050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70061806A (ko)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 장치
JP2009245951A (ja) バックライト照明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