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26B1 -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 Google Patents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26B1
KR102585426B1 KR1020220037687A KR20220037687A KR102585426B1 KR 102585426 B1 KR102585426 B1 KR 102585426B1 KR 1020220037687 A KR1020220037687 A KR 1020220037687A KR 20220037687 A KR20220037687 A KR 20220037687A KR 102585426 B1 KR102585426 B1 KR 10258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sewage
tank
senso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39265A (en
Inventor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주)태성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기술 filed Critical (주)태성기술
Priority to KR102022003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26B1/en
Publication of KR2023013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9Fluid level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청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수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오수 탱크의 잔량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청수 센서와 오수 탱크 밸브 개방 확인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오수 탱크의 잔량 중 하나를 오수 탱크의 실제 잔량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중인 오수 탱크의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 시스템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은, 청수량감지장치, 제어패널, 신호처리장치,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 및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im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ased on the amount of fresh water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or uses one of the remaining amounts of the sewage tank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and a sewage tank valve opening confirmation sensor to determine the amount of fresh water used in the sewage tank. We propose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prevent overflow of a sewage tank in use by determining the actual remaining amount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a control panel, a signal processing device, a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and a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Description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본 발명은 캠핑카의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수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오수 탱크의 잔량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청수 센서와 오수 탱크 밸브 개방 확인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오수 탱크의 잔량 중 하나를 오수 탱크의 실제 잔량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중인 오수 탱크의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 시스템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simulating a sewage gauge of a camping car, and in particular, sim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based on the amount of fresh water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or by using a fresh water sensor and a sewage tank valve opening confirmation sensor. It relates to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prevent overflow of a sewage tank in use by determining one of the remaining amounts of each measured sewage tank as the actual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

최근 레저 행위 중 하나인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캠핑 도구와 함께 캠핑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캠핑카는 전통적인 캠핑 도구인 텐트, 취사 및 조리 도구 등을 장착한 특수 차량으로, 캠핑카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는 제어패널을 통해 수동으로 제어된다. 복수의 설비로는 설비를 동작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일러, 청수탱크, 오수탱크, 조명장치, 냉장고, 보일러, 환풍기 및 TV 등을 포함한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people enjoying camping,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has increased, the use of camping cars along with traditional camping tools is also increasing. A camping car is a special vehicle equipped with traditional camping tools such as a tent, cooking and cooking utensils, etc., and multipl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camping car are manually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panel. Multiple facilities include batteries, boilers, fresh water tanks, wastewater tanks, lighting devices, refrigerators, boilers, ventilators, and TVs used to operate the facilities.

종래의 캠핑카 또는 카라반의 청수 탱크 또는 오수 탱크에는 뜨게(Float) 방식의 센서를 사용하여 청수 탱크 및 오수 탱크의 잔량을 확인한다. A float-type sensor is used in the fresh water tank or waste water tank of a conventional camping car or caravan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fresh water tank and waste water tank.

도 1은 종래의 뜨개 방식의 센서 및 게이지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sensor and gauge of a conventional knitting method.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뜨개 방식은 오수의 부력을 이용하여 봉(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뜨개(20)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게이지는 뜨개(20)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눈금으로 바(30)를 회전시켜 탱크의 잔량을 상대적으로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ure 1a, the conventional knitting method uses a sensor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20,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d 10 using the buoyancy of sewage. Referring to FIG. 1B, the gauge relatively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ank by rotating the bar 30 with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a sensor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20.

청수 탱크에 저장되는 물은 이물질이 거의 없으므로, 뜨개 방식의 센서의 출력 저항값이 상당히 정확하므로 이에 따른 게이지의 값도 정확하다. 그러나 오수 탱크에 저장되는 오수는 기름기 및 이물질이 포함되기 때문에 뜨개(20)와 봉(10) 사이의 기름기 및 이물질이 뜨개(20)가 봉(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에 제약을 가하며, 뜨개(20)가 봉(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최악의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당수의 캠핑카는 청수 게이지를 장착하여 사용하지만 오수 게이지는 장착하지 않는다. Since the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tank contains almost no foreign substances, the output resistance value of the floating sensor is quite accurate, and the corresponding gauge value is also accurate. However, since the sewage stored in the sewage tank contains grease and foreign substances, the grease and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knitting 20 and the rod 10 restrict the knitting 20 from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rod 10, The worst case scenario occurs in which the knitting 20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rod 10. For this reason, many camping cars are equipped with a fresh water gauge but do not have a sewage gauge.

특히, 센서가 설치된 경우라도, 오수탱크는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유로 센서의 탈거가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오염된 센서를 세척하거나 정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어렵다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이 오수 게이지를 장착하지 않는 근거에 추가된다. In particular, even when a sensor is installed,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sensor because the sewage tank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it is generally impossible or difficult to clean or maintain a contaminated sensor. This disadvantage is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sewage gauge. This is added to the grounds for not doing so.

오수 게이지를 사용하지 않는 캠핑카는 청수의 사용에 따른 오수 탱크의 잔량 확인이 어렵고, 오수 탱크의 용량이 청수 탱크의 용량에 비해 적기 때문에 오수 탱크의 오버플로(overflow)가 발생하는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In camping cars that do not use a sewage gaug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sewage tank according to the use of fresh water, and because the capacity of the sewage tank is less than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the difficult problem of overflow of the sewage tank occurs. This is a common cas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81153호(2021년 7월 1일)Republic of Korea published patent: No. 10-2021-0081153 (July 1,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수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오수 탱크의 잔량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청수 센서 및 오수 탱크 밸브 개방 확인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오수 탱크의 잔량 중 하나를 오수 탱크의 실제 잔량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중인 오수 탱크의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using the amount of fresh water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or to sim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and a sewage tank valve opening confirmation sensor, respectively. The goal is to provide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can prevent overflow of the sewage tank in use by determining one of the actual remaining amounts in the sewage tan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sewage tank using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one aspect) 따른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은, 청수량감지장치, 제어패널, 신호처리장치,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 및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를 포함한다.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a control panel, a signal processing device, a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and a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Includes.

청수 탱크에 설치한 청수 센서의 출력전압을 수신하는 청수량감지장치; 사용자가 상기 청수 센서의 저항값 및 청수 탱크와 오수 탱크의 용량을 설정하고, 오수 탱크량을 초기화하는 수단인 제어패널; 상기 청수량감지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청수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상기 청수 탱크의 청수량에 대응하는 저항값(청수센서 저항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청수 탱크에서 줄어든 청수량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수 탱크에서 유출된 청수를 오수 탱크로 유입된 오수의 양에 대응하는 저항값(오수센서 저항값)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장치;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청수센서 저항값을 청수 게이지의 바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청수 게이지를 구동하는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오수센서 저항값을 오수 게이지의 바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오수 게이지를 구동하는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a fresh water sensor installed in the fresh water tank; A control panel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resh water sensor and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waste water tank and initialize the waste water tank amount; The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sh water sensor received from the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is converted into a resistance valu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sh water quant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a weight is applied to the reduced fresh water quantity in the fresh water tank.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converts the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fresh water tank into a resistance valu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ank; A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that converts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of the fresh water gauge and drives the fresh water gauge; And a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that converts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of the sewage gauge and drives the sewage gauge.

상기 가중치는,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의 생산자가 초기값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eight is set to an initial value by the producer of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or is set arbitrarily by the user using the control panel.

상기 오수센서 저항값은, 상기 청수센서 저항값에 상기 가중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by the weight.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청수 센서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청수센서의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저항을 이용하여 청수 탱크의 청수량을 리터로 환산하는 단계; 환산된 상기 청수 탱크의 청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청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청수탱크의 잔여량을 이용하여 청수감소량을 오수의 증가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수의 증가량을 누적하는 단계 및 누적한 상기 오수의 증가량을 이용하여 상기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ing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calculating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using the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Converting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into liters using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resh water tank using the converted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Setting the decrease in fresh water as the increase in sewage using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the fresh water tank;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accumulating the increased amount of sewage and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using the accumulated increased amount of sewage.

상기 오수탱크의 잔여량은, 누적한 상기 오수의 증가량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is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 to the increased amount of accumulated sewag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청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수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오수 탱크의 잔량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청수 센서와 오수 탱크 밸브 개방 확인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오수 탱크의 잔량 중 하나를 오수 탱크의 실제 잔량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중인 오수 탱크의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수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캠핑카에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ased on the amount of fresh water measured using a fresh water sensor or a fresh water sensor. By determining one of the remaining amounts of the sewage tank measured using the sewage tank valve opening confirmation sensor as the actual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overflow of the sewage tank in use can be prevented, so it can be used in camping cars that do not have a sewage sensor installed.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its effect when appli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종래의 뜨개 방식의 센서 및 게이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청수 및 오수 탱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패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청수/오수를 설정하는 제어패널의 설정화면의 일 실시 예이다.
도 5는 청수/오수를 설정하는 제어패널의 설정 화면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도 6은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간략화한 신호흐름도이다.
Figure 1 shows a sensor and gauge of a conventional knitting method.
Figure 2 is an example of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creen of a control panel where a user displays information about fresh water and waste water tanks.
Figure 4 is an example of a settings screen of a control panel for setting fresh water/sewage water.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a settings screen of a control panel for setting fresh water/sewage water.
Figure 6 explain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by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Figure 7 is a simplified signal flow diagram of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by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2 is an example of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200)은, 청수량감지장치(210), 제어패널(220), 신호처리장치(230),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240) 및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210, a control panel 220, a signal processing device 230, and a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40. ) and a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50.

청수량감지장치(210)는 청수 탱크(미도시)에 설치한 청수 센서(201)의 출력전압을 수신한다. The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210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201 installed in the fresh water tank (not shown).

제어패널(220)은 LCD 또는 키패드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청수센서(201)를 설정하고, 청수탱크 및 오수탱크(미도시)의 용량을 설정하며, 오수탱크를 비운 후 오수게이지(203)를 초기화하기 위한 '게이지 초기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panel 220 sets the fresh water sensor 201 through an interface device such as an LCD or keypad, sets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sewage tank (not shown), and uses the sewage gauge 203 after emptying the sewage tank. Perform the ‘gauge initialization’ function to initialize.

사용자가 청수 센서(201)의 저항값 및 청수 탱크와 오수 탱크의 용량을 설정하고, 오수 탱크량을 초기화하는 창구가 된다. This is a window through which the user set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resh water sensor 201 and the capacities of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waste water tank, and initializes the waste water tank amount.

신호처리장치(230)는 청수센서 또는 오수센서를 이용하여 청수탱크의 청수량과 오수탱크의 오수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따라 오수량을 간접 측정하고,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240) 및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외부의 정수 게이지(202) 및 오수 게이지(203)를 구동한다. 여기서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230 directly measures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amount of sewage water in the sewage tank using a fresh water sensor or a sewage sensor, or indirectly measures the amount of sewage water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to calc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 the operation of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40 and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50 is controlled to drive the external water purification gauge 202 and the sewage gauge 203. Her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will be described later.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240)는 신호처리장치(230)에서 수신한 청수센서 저항값을 청수 게이지(202)의 바(30)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청수 게이지(202)에 전달한다.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40 converts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230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30 of the fresh water gauge 202 and transmits it to the fresh water gauge 202.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250)는 신호처리장치(230)에서 수신한 오수센서 저항값을 오수게이지(203)의 바(30)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오수 게이지(203)에 전달한다.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50 converts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230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30 of the sewage gauge 203 and transmits it to the sewage gauge 203.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240) 및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250)에서 주로 사용되는 저항 범위는 최대 330Ω(Ohm)으로, 0~350Ω의 저항을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가변저항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istance range mainly used in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40 and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50 is a maximum of 330Ω (Ohm), and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digital variable resistance circuit capable of outputting a resistance of 0 to 350Ω. do.

도 3은 사용자가 청수 및 오수 탱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패널의 화면을 나타낸다. Figure 3 shows a screen of a control panel where a user displays information about fresh water and waste water tanks.

도 3을 참조하면, 청수탱크에 남아 있는 청수의 양은 청수탱크 용량의 63%이고 오수탱크에 채워진 오수의 양은 오수탱크 용량의 37%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fresh water remaining in the fresh water tank is 63% of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amount of sewage filled in the sewage tank is 37% of the capacity of the sewage tank.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패널(220)이 캠핑카의 전체 공조를 담당하는 패널로 사용되는 것을 가정할 때, 제어패널(220)에는 태양광과 관련된 정보, 조명의 밝기 등에 대한 정보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control panel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anel responsible for the overall air conditioning of the camping car, the control panel 220 can also display information about sunlight, brightness of lighting, etc.

도 4는 청수/오수를 설정하는 제어패널의 설정화면의 일 실시 예이다. Figure 4 is an example of a settings screen of a control panel for setting fresh water/sewage water.

도 4의 우측 오수탱크설정 메뉴에서는 사용자가 오수탱크에 설치된 오수센서를 이용하여 오수탱크의 오수량을 측정하는 직접 측정 방식 및 청수탱크의 청수 사용량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오수탱크의 오수량을 측정하는 간접 측정 방식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In the sewage tank setting menu on the right side of Figure 4, a direct measurement method in which the user measures the amount of sewage water in the sewage tank using a sewage sensor installed in the sewage tank, and an indirect measurement method in which the user measures the amount of sewage water in the sewage tank by applying a weight to the amount of fresh water used in the fresh water tank.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methods.

일반적으로 오수탱크에 오수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직접 측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오수탱크에 오수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물론 오수탱크에 오수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간접 측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간접 측정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후술하는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수탱크의 오수량을 측정하여 제어패널(220) 및 오수 게이지(203)에 표시하도록 한다. In general, when a sewage sensor is installed in a sewage tank, a direct measurement method can be selec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rect measurement method is used not only when a sewage sensor is not installed in the sewage tank, but also even when a sewage sensor is installed in the sewage tank. Allows you to select . If the user selects the indirect measurement method, the amount of sewage water in the sewage tank is measured us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220 and the sewage gauge 203. .

도 5는 청수/오수를 설정하는 제어패널의 설정 화면의 다른 일 실시 예이다.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a settings screen of a control panel for setting fresh water/sewage water.

도 5는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제어패널의 설정화면을 통해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 즉 간접 측정 방식을 선택한 경우 활성화되는 화면으로, 도 5의 우측 하단의 노란색 점선 사각형에 도시된 '게이지 초기화' 버튼이 활성화되며, 게이지 초기화 버튼은 오수탱크를 비운 후 오수탱크 수위를 0%로 초기화하기 위한 리셋 버튼이다. Figure 5 is a screen that is activ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indirect measurement method, that i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through the settings screen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ure 4, the yellow dotted line at the bottom right of Figure 5 The 'Gauge Reset' button shown in the square is activated, and the Gauge Reset button is a reset button to reset the sewage tank water level to 0% after emptying the sewage tank.

도 6은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Figure 6 explain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by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600)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오수탱크를 비운 후, 오수 게이지 초기화 버튼(도 5 참조)를 눌러 오수탱크 수위를 0%로 초기화하여야 한다. Before performing the method 600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first empty the sewage tank and then press the sewage gauge initialization button (see FIG. 5) to empty the sewage tank. The water level must be reset to 0%.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600)은 도 2에 도시된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청수 센서를 구동하는 단계(610), 청수센서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620), 청수센서의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630), 청수탱크의 청수량을 리터로 환산하는 단계(640), 청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650), 청수감소량을 오수의 증가량으로 설정하는 단계(660)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5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ethod 600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using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200 shown in FIG. 2, and the fresh water sensor A step of driving (610), a step of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620), a step of calculating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630), a step of converting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into liters (640), It includes a step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650), a step of setting the decrease in fresh water to an increase in sewage (660),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580).

상기의 설명에서 오수탱크의 잔여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누적된 청수 감소량에 가중치를 곱한 값이다. 여기서 가중치는, 청수탱크의 청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될 때, 사용자의 사용 태양에 따라 외부로 유출된 청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오수탱크로 유입되게 될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청수 사용 태양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품의 생산자는 외부로 유출되는 모든 청수가 오수탱크로 유입된다고 가정하여 가중치를 1로 설정한 후 판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태양에 따라 0.9 즉 유출된 청수의 10%는 오수탱크로 유입되지 않고 90%만 유입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ccumulated fresh water reduction amount by a weight, as described above. Here, the weight is that when fresh water from the fresh water tank flows out to the outside and is used, all or part of the fresh water that flows out to the outside will flow into the sewage tank depending on the user's usage mod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fresh water usage mode Weight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producer of the product will be able to sell it after setting the weight to 1, assuming that all fresh water flowing out to the outside flows into the sewage tank. Depending on the user's usage, the user who purchased the product can set it to 0.9, that is, 10% of the leaked fresh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ewage tank, but only 90% flows into the sewage tank.

청수센서(201)는 청수탱크의 청수의 수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센서이며, 이 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면 오옴의 법칙에 따라 센서 양단에 전압이 강하된다. The fresh water sensor 201 is a sensor whose resist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level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is sensor, the voltage across the sensor drops according to Ohm's law.

예를 들면, 청수센서(201)에 10mA(milliampere)의 전류를 공급하였을 때 청수센서(201)의 저항이 100Ω이라면, 센서 양단의 전압은 1V(=0.01A×100Ω)일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current of 10mA (milliampere)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ensor 201, if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201 is 100Ω, the voltage across the sensor will be 1V (=0.01A×100Ω).

신호처리부(230)에서는 청수센서(201)에 공급하는 정전류의 양을 알고 있으므로, 청수센서(201)로부터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저항으로 청수가 청수탱크에서 몇 % 정도 채워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 Sinc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30 knows the amount of constant current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ensor 201, the resistance valu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voltage measured from the fresh water sensor 201, and the calculated resistance allows fresh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fresh water tank. You can see how much it is filled.

예를 들면, 청수센서 동작 저항이 0~250Ω, 청수센서에 공급되는 전류가 10mA, 청수센서 양단의 전압이 1V이라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청수탱크의 청수의 잔여량을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operating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is 0~250Ω,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ensor is 10mA, and the voltage across the fresh water sensor is 1V, the remaining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below.

먼저, 측정된 청수센서의 양단자의 전압(1V)을 전류(10mA)로 나누어 100Ω의 저항값을 산출한다. 청수센서의 최대 저항값이 250Ω이므로 산출된 저항값이 100Ω이라는 것은 청수탱크에 잔류하는 청수의 양이 40%(=(100/250)×100)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수탱크의 용량을 200리터라고 가정하면, 잔류 청수의 양은 80리터가 된다. First, the measured voltage (1V) of both terminals of the fresh water sensor is divided by the current (10mA) to calculate a resistance value of 100Ω. Since the maximum resistance value of the fresh water sensor is 250Ω, the calculated resistance value of 100Ω means that the amount of fresh water remaining in the fresh water tank is 40% (=(100/250)×100). Assuming that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is 200 liters, the amount of residual fresh water is 80 liters.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잔류하는 청수의 양을 측정하여, 청수탱크에서 줄어드는 청수의 양을 그대로 또는 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오수탱크에 투입되는 오수의 양으로 결정하여 제어패널(220) 및 오수 게이지(203)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y measuring the amount of remaining fresh water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 amount of fresh water reduced in the fresh water tank is determined as the amount of sewage introduced into the sewage tank as is or by applying a certain weight to the control panel 220 and the sewage gauge 203. ) can be displayed.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청수탱크의 청수 감소량에 미리 정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를 오수탱크에 유입되는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 오수탱크에 채워진 오수의 양 또는 오수탱크의 여유량을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으므로, 오수탱크에 직접 오수센서를 적용하지 않는 캠핑카도 오수탱크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다. By applying the technology shown in Figures 2 and 5, a predetermined weight is applied to the amount of fresh water reduced in the fresh water tank and set as the amount flowing into the sewage tank, thereby indirectly determining the amount of sewage currently filled in the sewage tank or the amount of free water in the sewage tank. Since it can be calculated, even camping cars that do not apply a sewage sensor directly to the sewage tank can indirectly monitor the status of the sewage tank.

만일, 청수탱크 250리터, 오수탱크 100리터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는 다음의 절차로 사용할 수 있다. If you assume that there is a 250 liter fresh water tank and a 100 liter waste water tank, the following procedure can be used.

a. 오수밸브를 개방하여 오수탱크를 완전히 비운 후 오수밸브를 닫고 "게이지 초기화"버튼을 눌러 오수잔여량을 0%로 초기화한다. a. After opening the sewage valve and completely emptying the sewage tank, close the sewage valve and press the “Gauge Reset” button to reset the remaining sewage amount to 0%.

b. 청수량이 줄어들면서 오수탱크가 100%에 가까워지면, 오수밸브를 개방하여 오수탱크를 완전히 비운 후 오수밸브를 닫고 "게이지 초기화" 버튼을 눌러 오수잔여량을 다시 0%로 초기화한다. b. When the amount of fresh water decreases and the sewage tank approaches 100%, open the sewage valve to completely empty the sewage tank, then close the sewage valve and press the "Reset Gauge" button to reset the remaining sewage amount to 0%.

c. 상기 b의 과정이 2번 반복되어 오수탱크를 퇴수한다면, 청수탱크에는 약 50리터의 청수가 남게 될 것이다. c. If the above process b is repeated twice to drain the sewage tank, about 50 liters of fresh water will remain in the fresh water tank.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간략화한 신호흐름도이다. Figure 7 is a simplified signal flow diagram of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by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청수센서를 구동하여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700)은 초기값을 입력하는 단계(710), 청수량을 감지하는 단계(720), 청수탱크 잔여량을 계산하는 단계(730) 및 오수탱크 잔여량을 계산하는 단계(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초기값은 청수탱크 및 오수탱크의 용량 및 가중치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method 700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by driving the fresh water sensor includes a step of inputting an initial value (710), a step of detecting the amount of fresh water (720),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resh water tank. (730) and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740). Here, the initial value includes the capacity and weight of the fresh water tank and waste water tank.

청수량 감지나 청수탱크 및 오수탱크의 잔여량의 계산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Detection of the amount of fresh water or calcul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fresh water tank and waste water tank have already been explained, so they are omitted her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program-recorded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SDD (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청수센서
202: 정수 게이지 203: 오수 게이지
210: 청수량감지장치
220: 제어패널
230: 신호처리장치
240: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
250: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
201: Fresh water sensor
202: Clean water gauge 203: Sewage gauge
210: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220: control panel
230: signal processing device
240: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250: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Claims (5)

청수 탱크에 설치한 청수 센서의 출력전압을 수신하는 청수량감지장치;
사용자가 상기 청수 센서의 저항값 및 청수 탱크와 오수 탱크의 용량을 설정하고, 오수 탱크량을 초기화하는 수단인 제어패널;
상기 청수량감지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청수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상기 청수 탱크의 청수량에 대응하는 저항값(청수센서 저항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청수 탱크에서 줄어든 청수량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청수 탱크에서 유출된 청수를 오수 탱크로 유입된 오수의 양에 대응하는 저항값(오수센서 저항값)으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장치;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청수센서 저항값을 청수 게이지의 바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청수 게이지를 구동하는 청수센서 저항출력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오수센서 저항값을 오수 게이지의 바의 회전량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오수 게이지를 구동하는 오수센서 저항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
A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a fresh water sensor installed in the fresh water tank;
A control panel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resh water sensor and the capac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the waste water tank, and initialize the waste water tank amount;
The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esh water sensor received from the fresh water quantity detection device is converted into a resistance valu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sh water quantity of the fresh water tank, and a weight is applied to the reduced fresh water quantity in the fresh water tank.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converts the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fresh water tank into a resistance valu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sewage flowing into the sewage tank;
A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that converts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of the fresh water gauge and drives the fresh water gauge; and
A sewage sensor resistance output device that converts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receiv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to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bar of the sewage gauge and drives the sewage gaug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제1항에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의 생산자가 초기값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임의로 설정하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
In clause 1, the weight is: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that is set to the initial value by the producer of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or is arbitrarily set by the user using the control panel.
제1항에서, 상기 오수센서 저항값은,
상기 청수센서 저항값에 상기 가중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되는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
In claim 1, the sewage sensor resistance value is,
A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fresh water sensor resistance value by the weight.
제3항의 상기 캠핑카 오수게이지 시뮬레이션 신호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청수 센서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청수센서의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청수센서의 저항을 이용하여 청수 탱크의 청수량을 리터로 환산하는 단계;
환산된 상기 청수 탱크의 청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청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청수탱크의 잔여량을 이용하여 청수감소량을 오수의 증가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수의 증가량을 누적하는 단계 및
누적한 상기 오수의 증가량을 이용하여 상기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
By using the camping car sewage gau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of paragraph 3,
Driving a fresh water sensor;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calculating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using the voltage of the fresh water sensor;
Converting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into liters using the resistance of the fresh water sensor;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resh water tank using the converted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fresh water tank;
Setting the decrease in fresh water as the increase in sewage using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the fresh water tank;
Accumulating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ewage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including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using the increased amount of accumulated sewage.
제4항에서, 상기 오수탱크의 잔여량은,
누적한 상기 오수의 증가량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오수탱크의 잔여량을 산출하는 방법.
In clause 4,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wage tank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sewage tank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 to the accumulated increase in sewage.
KR1020220037687A 2022-03-25 2022-03-25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KR102585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687A KR102585426B1 (en) 2022-03-25 2022-03-25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687A KR102585426B1 (en) 2022-03-25 2022-03-25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65A KR20230139265A (en) 2023-10-05
KR102585426B1 true KR102585426B1 (en) 2023-10-06

Family

ID=8829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687A KR102585426B1 (en) 2022-03-25 2022-03-25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2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46U (en) * 1993-07-23 1995-02-16 이종순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level warning device
KR100367950B1 (en) * 2000-07-21 2003-01-14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KR102389118B1 (en) 2019-12-23 2022-04-21 주식회사 엘랩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of camping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65A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8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use condition for an appliance
US5574229A (en) Electronic water meter with corrections for flow rate
US20020020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obtain representative samples of oil well production
JP2005121662A (en) Leakage detection system of monitor fluid
KR101540247B1 (en) Equipment for testing water meters automatic method
CN106088267A (en) Domestic sewer pipe anti-blocking alarm device
CN204378854U (en) Electric cooker
KR102585426B1 (en)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CN105091973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 level in water tank
CN113143127B (en) Cleaning robot control method and device, cleaning robot and storage medium
EP0626566B1 (en) Signal correction circuit for a flow meter
Fontanazza et al. Effects of network pressure on water meter under-registration: an experimental analysis
CN106991895A (en) A kind of liquid Parametric Detection Internet of things system
US255943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contents of tanks
US335093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ankfuls and counting the same
De Marchis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local tank inflow model
WO2008023188A2 (en) Minimum observable flow monitor
KR100363835B1 (en) water meter
CN109597146A (en) Rainfall monitoring meter
CN209372972U (en) A kind of capacitance state detection device
CN104864940B (en) The floating ball detection device and its detection method of a kind of floating ball lever meter
JP74417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005304B2 (en) Drainage measurement method for advanced stand-by vertical pump
KR101751199B1 (en) Method for Detecting Collapse of the Block System in a Water Distribution Area
JP3175412B2 (en) Fuel me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