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950B1 -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 Google Patents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950B1
KR100367950B1 KR10-2000-0041953A KR20000041953A KR100367950B1 KR 100367950 B1 KR100367950 B1 KR 100367950B1 KR 20000041953 A KR20000041953 A KR 20000041953A KR 100367950 B1 KR100367950 B1 KR 10036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troller
sender
voltage
war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8308A (en
Inventor
최창열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950B1/en
Publication of KR2002000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9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은 입력부, 제어기, 연료 표시수단, 연료 경고수단 및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는 연료탱크내에 장착된 연료센더로부터 출력된 저항값의 센더 신호를 주신호선으로 전달한다. 제어기는 입력부의 주신호선으로부터 전달받은 센더 신호를 정형화하여 주유를 위해 시동이 꺼졌다가 다시 켜질 때 수초동안 빠른 응답성으로 온 신호를 출력하다가 느린 응답성으로 온 신호를 출력한다. 연료 표시수단은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연료 게이지(18)의 포인터(20)를 이동시킨다. 연료 경고수단은 제어기수단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주유 경고등(40)을 점등시킨다. 전원 공급수단은 시동장치의 온 작동에 의해 전원은 제 1연료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공급되고, 제 2연료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유 경고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기에 의해 연료 시스템의 연료 게이지의 지시 각도와 주유 경고등의 점등 시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The fuel system of the motor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a controller, a fuel indicating means, a fuel warning means and a power supply means. The input unit transmits the sender signal of the resistance value output from the fuel sender mounted in the fuel tank to the main signal line. The controller formalizes the sender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signal line of the input unit, and outputs the on-response with a fast response for a few seconds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and then on again for oiling. The fuel display mean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and moves the pointer 20 of the fuel gauge 18. The fuel warning mean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means and turns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The power supply means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fuel signal line by the on operation of the starter, and supplies power to the fueling warning light through the second fuel signal line. The controller can simultaneously control the indicated angle of the fuel gauge of the fuel system and the timing of turning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Description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Fuel system for automobile with controller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본 발명은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 게이지와 주유 경고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yste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system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controller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a fuel gauge and a fueling warning light.

종래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연료탱크(110), 연료 표시수단 및 연료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uel system of a conventional vehicle includes a fuel tank 110, a fuel indicating means and a fuel warning means as shown in FIG.

연료탱크(110)의 내부에는 연료가 채워져 보관된다.The fuel is filled in the fuel tank 110 and stored.

연료 표시수단은 플로트(112), 연료센더(114), 제 1연료 신호선(116) 및 연료 게이지(118)를 포함한다. 플로트(112)는 연료탱크(110)내에 장착되어 연료의 수위에 따라 움직인다. 연료센더(114)는 플로트(112)의 이동 변위에 따라 저항값으로 변환 출력한다. 제 1연료 신호선(116)은 연료센더(114)의 저항값을 이동통로가 되도록 연료센더(114)의 일단으로 접속된다. 연료 게이지(118)는 연료센더(114)의 저항 신호를 입력 받아 운전자에게 연료량을 알려주도록 제 1연료 신호선(116)의 타단에 접속된다. 연료 게이지(118)는 문자판(120), 포인터축(122), 포인터(124) 및 보빈(126)이 포함된다. 문자판(120)의 일측 표면에는 연료량이 표시된다. 포인터축(122)은 문자판(120)으로 관통된다. 포인터(124)는 포인터축(122)의 상측단부에 축결합된다. 보빈(126)은 포인터축(122)의 하단을 수용한다. 보빈(126)내의 포인터축(122)에는 코일(128)과 자석(130)이 설치된다. 자석(130)은 고점도의 댐퍼 오일(132)로 둘러 쌓여 있다.The fuel indicating means includes a float 112, a fuel sender 114, a first fuel signal line 116 and a fuel gauge 118. The float 112 is mounted in the fuel tank 110 and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fuel. The fuel sender 114 converts and outputs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float 112. The first fuel signal line 11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uel sender 114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uel sender 114 becomes a moving passage. The fuel gauge 118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uel signal line 116 to receive the resistance signal of the fuel sender 114 and inform the driver of the amount of fuel. The fuel gauge 118 includes a dial 120, a pointer shaft 122, a pointer 124, and a bobbin 126. The amount of fuel is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dial 120. The pointer shaft 122 penetrates into the dial 120. The pointer 124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inter shaft 122. The bobbin 126 accommodates the lower end of the pointer shaft 122. The coil 128 and the magnet 130 are provided on the pointer shaft 122 in the bobbin 126. The magnet 130 is surrounded by a high viscosity damper oil 132.

연료 경고수단은 서미스터(134), 제 2연료 신호선(136) 및 주유 경고등(138)을 포함한다. 서미스터(134)는 연료센더(1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항값을 출력한다. 제 2연료 신호선(136)은 서미스터(134)와 일단이 접속되어 저항값을 전달한다. 주유 경고등(138)은 서미스터(134)에 의해 출력된 저항값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 작동되도록 제 2연료 신호선(136)의 타단과 접속된다. 여기서, 연료 게이지(118)와 주유 경고등(138)에는 시동장치(140)의 전원이 공급된다.The fuel warning means includes a thermistor 134, a second fuel signal line 136 and a fueling warning light 138. The thermistor 134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uel sender 114 to output a resistance value. One end of the second fuel signal line 136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134 to transmit a resistance value. The fueling warning light 138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uel signal line 136 to b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resistance value output by the thermistor 134. Here, the fuel gauge 118 and the fueling warning light 138 are supplied with power to the starter 14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차 코일형 계기를 사용한 자동차 연료 시스템의 대략적인 작동 과정을 개시한다. 플로트(112)는 연료의 사용량에 따라 연료탱크(110)내에서 뜨고 가라 앉으면서 연료센더(114)에 다른 저항값을 표시한다. 연료센더(114)는 변화된 저항값을 제 1연료 신호선(116)에 의해 연료 게이지(118)로 출력한다. 연료 게이지(118)내에서는 저항값이 코일(128)로 전달되어 자화된다. 이에 자석(130)은 포인터축(122)과 함께 포인터(124)를 회전시켜 문자판(120)에 현재 연료 잔량을 표시한다. 이때, 자석(130)은 고점도(접착제 수준)의 댐퍼 오일(132)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쉽게 회전되지 않는다. 댐퍼 오일(132)은 소정 시간동안 연료센더(114)의 저항값이 유지되어야만 자석(130), 즉 포인터(124)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general operating procedure of an automotive fuel system using a conventional cross coil type instru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The float 112 displays different resistance values in the fuel sender 114 while floating and sinking in the fuel tank 1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fuel used. The fuel sender 114 outputs the changed resistance value to the fuel gauge 118 by the first fuel signal line 116. In the fuel gauge 118, the resista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il 128 to be magnetized. The magnet 130 rotates the pointer 124 together with the pointer shaft 122 to display the current fuel remaining amount on the dial 120. At this time, the magnet 130 is not easily rotated because it is surrounded by a high viscosity (adhesive level) damper oil 132. The damper oil 132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agnet 130, that is, the pointer 124, to be moved only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uel sender 114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게이지(118)의 보빈(126)내에는 고점도의 댐퍼 오일(132)을 주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such a conventional fuel system, a high viscosity damper oil 132 is injected into the bobbin 126 of the fuel gauge 118 to us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연료 게이지(118)의 보빈(126)내에는 고점도의 댐퍼 오일(132)의 주입 공정에서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했었다.First, the bobbin 126 of the fuel gauge 118 required expensive equipment in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high viscosity damper oil 132.

둘째, 연료게이지(118)는 댐퍼 오일(132)로 인해 연료 재주유 후에도 동일한 응답성으로 연료계가 동작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연료주유 상태를 확인하는데 수분의 시간이 소용되었다.Second, since the fuel gauge 118 operates the fuel gauge with the same responsiveness after the fuel refilling due to the damper oil 132, the driver spends several minutes checking the fuel oiling state.

셋째, 자동차의 시동을 오프시켰을 때, 최종 위치에 연료 게이지(118)의 포인터(124)가 위치하는 지침식으로, 이러한 기능을 정상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포인터(124)의 균형과 자석(130)의 균형, 동심도 및 기타 변수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했다.Thir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ointer 124 of the fuel gauge 118 is positioned at the final pos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function normally, the balance of the pointer 124 and the balance of the magnet 130 are realized. , Thorough management of concentricity and other variables was required.

넷째, 연료표시수단과 연료 경고수단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연료 게이지(118)의 지시와 주유 경고등(138)의 점등 시점이 불일치되어 운전자의 혼란이 야기되는 경우가 있었다.Fourth, since the fuel indicator means and the fuel warning means are controlled in different ways, there is a case where the instruction of the fuel gauge 118 and the lighting timing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138 are inconsistent, causing confusion of the driver.

다섯째, 주유 경고등(138)은 그 점등 시점을 변경하기 위해 연료 탱크(110)내에 장착된 연료 센더(114)를 조정해 주어야 했었다.Fifth, the fueling warning light 138 had to adjust the fuel sender 114 mounted in the fuel tank 110 to change its lighti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동이 정지했을 때 연료 게이지의 포인터가 영점으로 복귀할 수 있고, 또한 주유 이후 재시동시 수초 이내에 재주유 된 연료량의 신속한 확인이 가능한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 연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inter of the fuel gauge can return to the zero point when the start is stopped, and also the rapid confirmation of the refueling amount within a few seconds when restarting after refueling It is to provide a vehicle fuel system equipped with a possibl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료의 센더 신호를 입력받아 연료 게이지의 지시 각도와 주유 경고등의 점등 시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 연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a controller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sender signal of a fuel and controlling an indication angle of a fuel gauge and a lighting timing of a fueling warning l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유 경고등의 기준 전압값만을 변경하여 연료 주유등의 점등 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syste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ler capable of changing the lighting timing of the fuel oil lamp by changing only the reference voltage value of the fuel oil warning lamp.

본 발명은 연료 게이지 및 연료 경고등을 갖는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연료 게이지로 전압 정류의 전원을 높이기 위한 재주유 지연회로와,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연료 게이지로 상기 전압 정류의 전원을 낮추기 위한 일반 지연회로와, 상기 일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초기동작 타이머로 이루어져 센더 신호에 대응한 연료 게이지의 지침 동작에 따른 응답성을 가변시키기 위한 지연 회로부; 상기 지연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연료 게이지로 전송하고, 상기 연료 게이지의 전압 변화를 피드백시켜 추종하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및 상기 전압 팔로워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연료 경고등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연료 경고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비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ystem of an automobile having a fuel gauge and a fuel warning lamp, comprising: a relubrication delay circuit for increasing power of voltage rectification to the fuel gauge for a predetermined time; A general delay circuit for lowering power and an initial operation tim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delay circuit for varying the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peration of the fuel gauge corresponding to the sender signal; A voltage follower (VOLTAGE FOLLOWER) which transmi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elay circuit unit to the fuel gauge and feeds back the voltage change of the fuel gauge. And a comparis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fuel warning lamp by compar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follower with a reference voltage of the fuel warning lamp.

본 발명은, 상기 지연 회로부는 재주유시 전원이 단전되었다가 다시 인가되었을 때 수초가 동작되도록 셋팅되는 초기동작 타이머; 상기 초기동작 타이머의 셋팅 시간동안 빠른 응답성으로 상기 연료 게이지를 동작시키는 재주유 지연회로; 및 상기 초기동작 타이머의 셋팅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재주유 지연회로는 비활성화되고, 느린 응답성으로 상기 연료 게이지를 동작시키는 일반 지연회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lay circuit unit comprising: an initial operation timer set to operate a few seconds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n applied again when refueling; A relubrication delay circuit configured to operate the fuel gauge with a fast response during the setting time of the initial operation timer; And a general delay circuit for deactivating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when the setting time of the initial operation timer elapses and operating the fuel gauge with a slow response.

본 발명은, 상기 비교기에는 히스테리시스를 주어 상기 연료센더의 센더 신호가 상기 주유 경고등의 점등 시점에서 변동이 되풀이 되더라도 상기 주유 경고등의 깜빡거림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arator is provided with hysteresis to prevent flickering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even if the sender signal of the fuel sender is fluctuated at the time of turning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을 보인 보인 계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uel system of a vehicle of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서 교차 코일식 연료계의 요부확대 단면도;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cross coil type fuel gauge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의 계통도; 및3 is a system diagram of a fuel system of a 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도 3에서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W : 입력부 C : 제어부W: input unit C: control unit

10 : 연료탱크 12 : 플로트10: fuel tank 12: float

14 : 연료센더 16 : 주신호선14: fuel sender 16: main signal line

18 : 연료 게이지 20 : 포인터18: fuel gauge 20: pointer

22 : 제 1연료 신호선 24 : 제 2연료 신호선22: first fuel signal line 24: second fuel signal line

26 : 지연 회로부 28 : 초기동작 타이머26: delay circuit 28: initial operation timer

30 : 재주유 지연회로 32 : 일반 지연회로30: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2: general delay circuit

34 :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36 : 비교부 38 : 경고등 신호선40 : 주유 경고등 42 : 시동장치44 : 제 1공급선 46 : 제 2공급선34: voltage follower 36: comparison unit 38: warning light signal line 40: fueling warning light 42: starting device 44: first supply line 46: second supply li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3 is a system diagram of a fuel syste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 FIG. 3.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은 입력부(W), 제어기(C), 연료 표시수단, 연료 경고수단 및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fuel system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W, a controller C, a fuel indicator, a fuel warning means, and a power supply means.

입력부(W)는 연료탱크(10)내의 연료 수위에 따라 플로트(12)가 함께 변동되고, 연료센더(14)는 플로트(12)의 변동에 따른 저항값의 센더 신호를 주신호선(16)으로 출력한다.The input unit W is changed with the float 12 according to the fuel level in the fuel tank 10, and the fuel sender 14 sends the sender signal of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float 12 to the main signal line 16. Output

제어기(C)는 상기 입력부(W)의 상기 주신호선(16)으로부터 전달받은 센더 신호를 정형화하여 주유를 위해 시동이 꺼졌다가 다시 켜질 때 수초동안 빠른 응답성으로 온 신호를 출력하다가 수초 이후에 느린 응답성으로 온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C standardizes the send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signal line 16 of the input unit W, outputs an on-response signal for a few seconds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and then on again, and then slows down after a few seconds. Outputs an on signal with responsiveness.

연료 표시수단은 포인터(20)가 구비된 연료 게이지(18)가 제공된다. 제어기(C)의 제어 신호는 연료 게이지(18)의 포인터(20)를 저항값의 변동에 따라 이동시킨다.The fuel indicator means is provided with a fuel gauge 18 equipped with a pointer 20.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C moves the pointer 20 of the fuel gauge 18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연료 게이지(18)는 포인터(20)을 제외한 나머지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별도의 도면으로 기재하지 않고, 종래의 도 2와 이에 개시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연료 게이지(18)는 문자판(120), 포인터축(122), 포인터(124) 및 보빈(126)이 포함된다. 문자판(120)의 일측 표면에는 연료량이 표시된다. 포인터축(122)은 문자판(120)으로 관통된다. 포인터(124)는 포인터축(122)의 상측 단부에 축결합된다. 보빈(126)은 포인터축(122)의 하단을 수용한다. 보빈(126)내의 포인터축(122)에는 코일(128)과 자석(130)이 설치된다. 자석(130)은 댐퍼 오일(132)로 둘러 쌓여 있다.The fuel gauge 18 i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t except for the pointer 20, and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isclosed in FIG. The fuel gauge 18 includes a dial 120, a pointer shaft 122, a pointer 124, and a bobbin 126. The amount of fuel is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dial 120. The pointer shaft 122 penetrates into the dial 120. The pointer 124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inter shaft 122. The bobbin 126 accommodates the lower end of the pointer shaft 122. The coil 128 and the magnet 130 are provided on the pointer shaft 122 in the bobbin 126. The magnet 130 is surrounded by a damper oil 132.

연료 경고수단은 제어기(C)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주유 경고등(40)을 점등시킨다.The fuel warning mean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C and turns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전원 공급수단은 시동장치(42)의 온 작동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출력된교류 전압은 직류 전압의 레벨을 바꾸어 일부는 제 1연료 신호선(22)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 2연료 신호선(24)을 통해 상기 주유 경고등(40)으로 공급된다When the power supply means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on operation of the starter 42, the output alternating voltage changes the level of the DC voltage, partly supplied to the controller via the first fuel signal line 22, and the other part Supplied to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through the second fuel signal line 24.

제어기(C)는 지연 회로부(26),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 34) 및 비교부(36)를 포함한다. 지연 회로부(26)는 재주유시 전원이 단전되었다가 다시 통전되었을 때 전압 정류의 전원을 인가받아 처음에는 빠른 응답성으로 연료 게이지(18)를 동작시키다가, 나중에는 느린 응답성으로 연료 게이지(18)를 동작시킨다.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 34)는 지연 회로부(26)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연료 게이지(18)로 전송하고, 연료 게이지(18)의 전압 변화를 피드백시켜 추종한다. 비교부(36)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 34)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주유 경고등(40)의 기준 전압보다 큰 전압이 입력될 경우 주유 경고등(40)을 점등시킨다. 비교부(36)에는 히스테리시스를 주어 상기 연료센더(14)의 센더 신호가 상기 주유 경고등(40)의 점등 시점에서 변동이 되풀이 되더라도 상기 주유 경고등(40)의 깜빡거림 현상이 없도록 한다.The controller C includes a delay circuit 26, a voltage follower 34, and a comparator 36. The delay circuit unit 26 operates the fuel gauge 18 with a fast response after being supplied with voltage rectification when the power is disconnected and then energized again, and later operates the fuel gauge 18 with a slow response. ). The voltage follower (VOLTAGE FOLLOWER) 34 transmi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elay circuit section 26 to the fuel gauge 18 and feeds back the voltage change of the fuel gauge 18. The comparator 36 turns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when a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follower 34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oltage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The comparator 36 is provided with hysteresis to prevent flickering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even when the sender signal of the fuel sender 14 is fluctuated at the time of turning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지연 회로부(26)는 초기동작 타이머(28), 재주유 지연회로(30) 및 일반 지연회로(32)를 포함한다. 초기동작 타이머(28)는 재주유시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단전되었다가 다시 인가되었을 때 수초간 동작되도록 셋팅된다. 재주유 지연회로(30)는 초기동작 타이머(28)의 셋팅 시간동안 빠른 응답성으로 상기 연료 게이지(18)를 동작시킨다. 일반 지연회로(32)는 초기동작 타이머(28)의 셋팅 시간이 경과했을 때 재주유 지연회로(30)는 비활성화되고, 느린 응답성으로 연료 게이지(18)를 동작시킨다.The delay circuit section 26 includes an initial operation timer 28, a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and a general delay circuit 32.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is set to operate for a few seconds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n applied again by the user at the time of refilling.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operates the fuel gauge 18 with fast response during the setting time of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The general delay circuit 32 deactivates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when the setting time of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elapses, and operates the fuel gauge 18 with a slow response.

본 발명 연료 시스템은 역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연료계 및 주유 경고등(40)의 제어기(C) 전체를 보호하는 반면, 대략 10V 이상의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만 연료 게이지(18) 및 주유 경고등(40)이 동작될 수 있게 한다.The fue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entire controller C of the fuel gauge and the fuel warning lamp 40 by turning off the power when a reverse voltage is applied, whereas the fuel gauge 18 and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can be operated.

본 발명에서 구비된 제어기(C)는 연료 게이지(18)와 주유 경고등(40)을 동시에 제어함을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한 자세한 작동 설명은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controller C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fuel gauge 18 and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a detailed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자동차 주행시, 연료탱크(10)내의 연료 잔량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든다. 이 과정에서, 연료탱크(10)내에 위치된 플로트(12)는 연료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함께 낮아진다. 플로트(12)의 변동은 연료센더(14)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연료센더(14)는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센더 신호를 출력한다. 센더 신호는 주신호선(16)을 통해 제어기(C)로 입력된다. 이에 제어기(C)에서는 입력받은 센더 신호를 정형화시킨다.When driving a vehicle, the fuel remaining amount in the fuel tank 10 decreases with time. In this process, the float 12 located in the fuel tank 10 is lowered together as the fuel level is lowered. Variation of the float 12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uel sender 14. The fuel sender 14 outputs a sender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The sender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C via the main signal line 16. In response, the controller C formats the received sender signal.

정형화된 센더 신호는 제 1연료 신호선(22)과 제 2연료 신호선(24)을 통해 연료 게이지(18)로 입력한다. 연료 게이지(18)에서는 입력된 센더 신호에 의해 포인터(20)의 각도가 변화되는바, 이때에는 연료 잔량이 위험 수위에 있다는 것으로 연료 잔량을 표시한다. 아울러, 정형화된 센더 신호는 경고등 신호선(38)을 통해 주유 경고등(40)으로 전달되어 점등시킨다.The standardized sender signal is input to the fuel gauge 18 through the first fuel signal line 22 and the second fuel signal line 24. In the fuel gauge 18, the angle of the pointer 20 is changed by the input sender signal. In this case, the fuel remaining amount is displayed as being at a dangerous level. In addition, the standardized sende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through the warning light signal line 38 and turned on.

이에, 운전자는 자동차의 시동을 멈춘 상태에서 주유를 하게 된다. 시동을 멈추면, 연료 게이지(18)의 포인터(20)는 수초 이내에 영점으로 복귀한다. 주유이후, 운전자는 자동차의 시동장치(42)를 온시킨다. 그 온 신호는 제어기(C)에 입력된다. 이에 제어기(C)내에서는 도4에서와 같이 동작된다.Thus, the driver is to be oiled in the state that stopped the start of the car. When starting stops, the pointer 20 of the fuel gauge 18 returns to zero within a few seconds. After refueling, the driver turns on the starting device 42 of the vehicle. The 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C. In the controller C, as shown in FIG.

즉, 시동장치(42)를 온시키면, 그 온신호는 제어기(C)의 내부로 입력되어 지연 회로부(26)의 초기동작 타이머(28)를 가동시킨다. 초기동작 타이머(28)는 미리 수초 동안만 가동되도록 셋팅되어 있다. 이렇게 초기동작 타이머(28)가 동작되며, 이 때 높은 전압의 전압 정류 전원이 지연 회로부(26)의 재주유 지연회로(30)로 전달된다. 높은 전압의 전압 정류 전원은 재주유 지연회로(30)의 빠른 응답을 유도하며, 연료 게이지(18)의 포인터(20)는 현재 연료량에 해당되는 각도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운전자는 주유이후 시동장치(42)의 온작동과 동시에 현재 연료량의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starter 42 is turned on, the on signal is input into the controller C to start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of the delay circuit section 26.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is set to start for only a few seconds in advance. In this way, 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is operated, and at this time, the high voltage rectified power is transferred to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of the delay circuit unit 26. The high voltage voltage rectifying power source induces a quick response of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and the pointer 20 of the fuel gauge 18 is mov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uel amount. Thus, the driver can visually check the current fuel amount at the same time as the on-operation of the starter 42 after refueling.

초기동작 타이머(28)는 셋팅 시간이 경과했을 때 재주유 지연회로(30)는 비활성되면서 상기 전압 정류 전원은 낮은 전압으로 상기 일반 지연회로(32)로 공급되어 연료 게이지의 느린 응답성을 유도한다. 이를 결과적으로 표현하면, 재주유 지연회로(30)는 주유이후 정지된 상태에서 주유 상태를 신속히 확인하기 위한 것인 반면, 일반 지연회로(32)는 자동차의 주행 도중 동작되는 회로이다. 다시말해, 자동차의 주행 도중에는 소정 시간동안 연료센더(14)의 저항값이 유지됨에 따라, 연료 게이지(18)의 포인터(20)가 이동되어 현재 연료 잔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initial operation timer 28 deactivates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when the setting time has elapsed and the voltage rectified power is supplied to the general delay circuit 32 at a low voltage to induce a slow response of the fuel gauge. . As a result of this, the re-lubrication delay circuit 30 is for quickly checking the fueling state in the stopped state after refueling, while the general delay circuit 32 is a circuit op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n other words,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uel sender 14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pointer 20 of the fuel gauge 18 is moved to check the current fuel remaining amount.

연료 게이지(18)로 출력된 전압은 그 목표값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한다. 이에 따라,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 34)는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반영에 추종하기 위해 연료 게이지(18)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시킨 후 이를 비교부(36)로 입력시킨다. 비교부(36)에서는 주유 경고등(40)의 기준 전압과 전압 팔로워(34)의 출력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전압 팔로워(34)의 출력 전압이 주유 경고등(40)의 기준 전압에 비해 클 경우 주유 경고등(40)을 점등시키는 것이다.The voltage output to the fuel gauge 18 causes its target value to change at any time. Accordingly, the voltage follower 34 feedbacks the output voltage of the fuel gauge 18 to the comparator 36 so as to follow any temporal change in reflection. The comparison unit 36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follower 34, so that the fueling warning light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follower 34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The 40 is turned on.

비교부(36)에 히스테리시스를 주면, 그 히스테리시스는 연료센더(14)의 센더 신호가 주유 경고등(40)의 점등 시점에서 변동이 되풀이되더라도 주유 경고등(40)이 깜빡거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hysteresis is applied to the comparator 36, the hysteresis can prevent the oiling warning light 40 from flickering even if the sender signal of the fuel sender 14 is fluctuated at the time of turning on the fueling warning light 4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연료 게이지내에는 낮은 점도의 댐퍼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연료 게이지 자체의 히스테리시스가 감소하여 지시각도의 차이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또한 양산 라인에서 고가의 고점도 댐퍼 오일 주입기가 필요없게 된다.According to the fuel system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ow viscosity damper oil in the fuel gauge, the hysteresis of the fuel gauge itself is reduced,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indicated angle is remarkably. It also reduces the cost and eliminates the need for expensive high viscosity damper oil injectors in production lines.

본 발명에서는 시동이 정지했을 때 연료 게이지의 포인터가 영점으로 복귀하므로, 포인터의 균형, 포인터와 조립 직각도, 자석의 동심도 및 균형 등의 관리를 폭넓게 할 수 있고, 또한 주유이후 재시동시 재주유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수초 이내에 재주유량의 신속한 확인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inter of the fuel gauge returns to zero when starting is stopped, the balance of the pointer, the perpendicularity of the pointer and the assembly, the concentricity and the balance of the magnet, etc. can be extensively managed, and the relubrication delay when restarting after refueling is performed. The circuit allows quick confirmation of refill flow in seconds.

본 발명에서는 연료의 센더 신호를 입력받아 연료 게이지의 지시 각도와 주유 경고등의 점등 시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receive the sender signal of the fuel and simultaneously control the indication angle of the fuel gauge and the lighting timing of the fueling warning lamp.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내의 연료센더를 변경하는 대신 주유 경고등의 기준 전압값만을 변경하여 연료 주유등의 점등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changing the fuel sender in the fuel tank,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ighting timing of the fuel oil lamp by changing only the reference voltage value of the fuel oil warning lamp.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실시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limited by the claims.

Claims (4)

연료 게이지 및 연료 경고등을 갖는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있어서,In a fuel system of an automobile having a fuel gauge and a fuel warning light, 연료 센더;Fuel sender; 상기 연료 센더의 센더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시동시 초기동작 타이머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연료 게이지로 전압 정류의 전원을 높이기 위한 재주유 지연회로와, 상기 초기동작 타이머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연료 게이지로 상기 전압 정류의 전원을 낮추기 위한 일반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지연 회로부;In response to the sender signal of the fuel sender, a re-lubrication delay circuit for increasing the voltage rectification power to the fuel gau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initial operation timer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operation timer A delay circuit section including a general delay circuit for lowering the power of the voltage rectification with the fuel gauge; 상기 지연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연료 게이지로 전송하고, 상기 연료 게이지의 전압 변화를 피드백시켜 추종하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및A voltage follower (VOLTAGE FOLLOWER) which transmi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elay circuit unit to the fuel gauge and feeds back the voltage change of the fuel gauge. And 상기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연료 경고등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연료 경고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비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And a comparat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fuel warning light by compar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follower with a reference voltage of the fuel warning 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의 기준 전압은 히스테리시스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 연료 시스템.The vehicle fue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comprises a hysteresis section.
KR10-2000-0041953A 2000-07-21 2000-07-21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KR100367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53A KR100367950B1 (en) 2000-07-21 2000-07-21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53A KR100367950B1 (en) 2000-07-21 2000-07-21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08A KR20020008308A (en) 2002-01-30
KR100367950B1 true KR100367950B1 (en) 2003-01-14

Family

ID=1967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953A KR100367950B1 (en) 2000-07-21 2000-07-21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9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26B1 (en) * 2022-03-25 2023-10-06 (주)태성기술 A camping car sewage simul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sidue of sewag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08A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eed control of fule pump driver
KR100367950B1 (en)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controller
KR101189221B1 (en) Engine start control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73267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fuel of automobile using both LPG and gasoline
KR0118980B1 (en) Indicator for fuel remainder
JP3328992B2 (en) LPG residual quantity warning device
JP3931376B2 (en) Vehicle fuel gauge
EP0004437B2 (en) Motor vehicle fault indication system
KR100292282B1 (en) Device for stopping engine of car for filling gas
KR101039671B1 (en) Automatic starting system for diesel vehicle
KR10047592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uel alarming light bulb of an automobile
JP3394754B2 (en) Fuel warning device for vehicles
KR19980051947A (en) Fuel measuring system of compressed natural gas vehicle
KR100251185B1 (en) Measuring device of fuel of a vehicle
KR0140270Y1 (en) Display apparatus for exchanging engine oil for an automobile
KR0124992Y1 (en) A headlamp
KR970000408Y1 (en) Lpg motor car measurement device
KR0152513B1 (en) Fuel warning device of lpg vehicle
JPH05340788A (en) Engine oil level detecting device
KR20020079330A (en) Fuel Automatic Changing Apparatus For Automobile Combined Gasoline And LPG
KR20090018327A (en) Fuel gauge system of vehicle and that of using fuel gauge method
KR100558864B1 (en) Control circuit for reducing the noise of LPI pump
KR19990024419U (en) Vehicle fuel injection indicator
JPH05332120A (en) Engine oil level display control device
JPS621444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