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392B1 - 디스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392B1
KR102584392B1 KR1020210067528A KR20210067528A KR102584392B1 KR 102584392 B1 KR102584392 B1 KR 102584392B1 KR 1020210067528 A KR1020210067528 A KR 1020210067528A KR 20210067528 A KR20210067528 A KR 20210067528A KR 102584392 B1 KR102584392 B1 KR 10258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clutch
differential case
drive gear
pow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660A (ko
Inventor
김상국
이만복
이재원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24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positive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69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93Final output elements, i.e. the final elements to establish gear ratio, e.g. dog clutches or other means establishing coupling to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드라이브 기어;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 연결을 해제하는 동력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디스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커넥터 장치{DIS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주행 상황에 따라 동력을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이륜구동(Two Wheel Drive, 2WD)과 사륜구동(Four Wheel Drive, 4WD)으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커넥터 장치는 디퍼렌셜 장치에 장착되어 디스커넥터 샤프트를 주행 상황에 따라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이륜구동(2WD)과 사륜구동(4WD)으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의 디스커넥터 장치는, 대부분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등과 같은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리브를 이동함으로써, 모터 또는 엔진 등과 같은 입력부와 차륜 등과 같은 출력부의 동력을 차단하여 사륜구동(Four Wheel Drive, 4WD)에서 이륜구동(Two Wheel Drive, 2WD)으로 변환시켰다.
도 1은 종래의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커넥터 장치(200)는 위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모터(230)의 구동에 의하여 볼스크루 샤프트(240)가 회전하면 너트(250)가 가이드 레일(26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한다. 슬리브(270)는 너트(250)와 포크(280)에 의해 연결되어 너트(250)의 작동에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디퍼렌셜 장치(100)의 디퍼렌셜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 기어(111)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좌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되고, 우측 사이드 기어(111)는 디스커넥터 샤프트(210)와 스플라인 연결될 수 있다. 허브(220)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를 통해 우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120)를 통해 동력전달 시 슬리브(270)를 디스커넥터 샤프트(210)와 치합하여 디스커넥터 샤프트(210)와 허브(220)를 동기화 시킴으로써 좌, 우측 구동륜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타력주행 시에는 슬리브(270)를 허브(220) 쪽으로 이송시킴으로써 디스커넥터 샤프트(210)와 허브(2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감속기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정지시키면 드라이브 기어(120) 또한 정지하며, 좌, 우측 사이드 기어(11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사이드 기어(111)와 연결된 디스커넥터 샤프트(210)는, 허브(220)와 반대 방향의 회전을 하지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의 구동모터 정지가 가능하다. 좌측 구동륜의 타력주행에 의한 회전력은 좌측 사이드 기어(111)에서 피니언 기어(112)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방향이 변환되어 우측 사이드 기어(111)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우측 사이드 기어(111)는 좌측 사이드 기어(11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사이드 기어(111)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은 디스커넥터 샤프트(210)는 허브(2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커넥터 장치는, 디스커넥터 샤프트와 허브를 분리시키고 감속기의 구동모터 정지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의 정지 상태에서 차량 주행에 의해 좌측 사이드 기어가 회전할 경우, 피니언 기어가 고속회전하는 고차동이 발생하였다. 고차동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고 고차동에 의한 발열 및 마모 등으로 인해 차동장치의 수명에 악영향을 주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와 드라이브 기어를 분리한 컴팩트한 고차동 미발생 구조를 통해 고차동을 제거하고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3869호(2017.11.09.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와 드라이브 기어를 분리한 컴팩트한 고차동 미발생 구조를 통해 고차동을 제거하고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드라이브 기어;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 연결을 해제하는 동력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디스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력제어장치는 제1 동력제어장치, 제2 동력제어장치 및 제3 동력제어장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제1 동력제어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결합되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그클러치;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도그클러치; 및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제2 도그클러치에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마그넷 및 전자기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척력발생장치;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상기 마그넷에 대향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과 작용에 의해 생성한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도그클러치를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동력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전자기 코일이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일면에 마그넷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는 면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내벽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연결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내벽체 사이의 작동공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베어링이다.
또한, 상기 제2 동력제어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결합되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그클러치;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도그클러치; 및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제2 도그클러치에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플런저 및 전자기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 장치;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일면에 대향 구비되며 생성한 전자기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전자기 코일이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에 대향 구비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는 면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내벽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연결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일면에 접촉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내벽체 사이의 작동공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베어링이다.
또한, 상기 제3 동력제어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결합되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그클러치;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도그클러치; 및 상기 제1 도그클러치를 푸시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제2 도그클러치에 연결되게 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와 연결되는 스크루 샤프트;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 구비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 상태로 상기 스크루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푸시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대를 구비하는 너트;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루 샤프트는 볼스크루 샤프트이고, 상기 너트는 볼너트이다.
또한, 상기 스크루 샤프트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재에 대향 구비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는 면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내벽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연결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내벽체 사이의 작동공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베어링이다.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와 드라이브 기어를 분리한 고차동 미발생 구조를 통해 기존의 고차동 발생에 따른 소음, 진동 및 발열, 마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퍼렌셜 케이스와 드라이브 기어를 분리한 고차동 미발생 구조 및 컴팩트한 사이즈 구조를 통해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차동 문제 해결을 통해 디퍼렌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동력원에서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 기어(20) 및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하여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되게 하는 동력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1)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디퍼렌셜 기어가 장착된다. 디퍼렌셜 기어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양측 피니언 기어(12) 및 양측 피니언 기어(12)와 치합되는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포함한다.
일예로서, 일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일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되고, 타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타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원(미도시)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로 전달될 수 있다. 일예로서 이륜구동(2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을 끊어 드라이브 기어(20)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사륜구동(4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게 한다. 일예로서 동력원은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엔진, 전기차량에서는 모터일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제1 연장부(21), 제2 연장부(22) 및 내벽체(23)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는 베어링일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를 구성하는 커버(11)는 일측 단부가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23)의 일면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의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2 지지부재(72)의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베어링일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 및 제2 지지부재(72)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베어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감속기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71)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동력제어장치는 제1 동력제어장치일 수 있다.
제1 동력제어장치는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한다.
제1 동력제어장치는 제1 도그클러치(31), 제2 도그클러치(32) 및 척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도그클러치(32)와 치합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가압부(311) 및 동력연결부(313)를 포함한다.
가압부(31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제1 연장부(21)에 위치한다. 가압부(311)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작동공간(S)이 마련되도록 내벽체(2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작동공간(S)에 탄성부재(50)가 결합된다.
가압부(311)는 일면에 수용부(311a)가 구비된다. 수용부(311a)에 마그넷(41)이 수용된다. 마그넷(41)은 전자기 발생장치(42)를 향한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압부(311)에서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동력연결부(313)는 제2 도그클러치(32)를 향하는 면이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벽체(23)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31)을 통과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이드홀(23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홀(231)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예로서 탄성부재(50)는 리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가압부(311)와 내벽체(23)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내부에서 가압부(311)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1 도그클러치(31)에 작용하던 가압력이 사라지면 신장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 도그클러치(31)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의 외주에 이탈방지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이탈방지부재(60)는 스냅링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60)는 가압부(311)의 일면을 지지하여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1 연장부(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에 대향하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동력연결부(313)에 대향 위치한다. 제2 도그클러치(32)에 제1 도그클러치(31)가 치합 연결되어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동력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척력발생장치는 제1 도그클러치(31)를 가압하여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2 도그클러치(32)에 치합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척력발생장치는 마그넷(41) 및 전자기 발생장치(42)를 포함한다.
마그넷(41)은 제1 도그클러치(31)의 수용부(311a)에 수용된다. 마그넷(41)은 전자기 발생장치(42)를 향한다.
전자기 발생장치(42)는 마그넷(41)과 간격을 두고 구성된다. 일예로서 전자기 발생장치(42)는 전자기 코일일 수 있다.
전자기 발생장치(42)는 전원 인가 시 마그넷(41)과 작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척력을 생성한다. 생성된 척력에 의해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도그클러치(32)에 치합 연결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이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륜구동 시 감속기의 구동모터(미도시) 등과 같은 동력원을 정지시켜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는 동력연결 해제 상태로 드라이브 기어(20)는 정지 상태이다. 이때,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된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타력주행을 하는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되어 있는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디퍼렌셜 케이스(10)와 함께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단부가 제1 지지부재(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동력 연결 해제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는 정지하고,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되지 않는다.
타력주행에 의한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이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 상태로 양측 사이드 기어(13)의 기어 이를 따라 공전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도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부 구동륜은 타력주행을 하고 주 구동륜만으로 주행을 하는 이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도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차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차동에 따른 소음, 진동, 발열 및 마모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사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사륜구동 시 전자기 발생장치(42)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 발생장치(42)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전자기 발생장치(42)는 마그넷(41)과 작용에 의해 척력을 생성된다.
생성된 척력에 의해 제1 도그클러치(31)가 탄성부재(50)를 가압하면서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치합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신장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원위치 방향으로 밀어 제1 도그클러치(31)의 복귀를 돕는다.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는 치합 연결 상태로 디퍼렌셜 케이스(10)는 드라이브 기어(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동력원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거쳐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 동력은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구동륜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주 구동륜은 물론 부 구동륜에도 동력이 전달되어 사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동력원에서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 기어(20) 및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하여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되게 하는 동력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1)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디퍼렌셜 기어가 장착된다. 디퍼렌셜 기어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양측 피니언 기어(12) 및 양측 피니언 기어(12)와 치합되는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포함한다.
일예로서, 일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 등과 같은 샤프트에 의해 일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되고, 타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 등과 같은 샤프트에 의해 타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원(미도시)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될 수 있다. 일예로서 이륜구동(2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을 끊어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사륜구동(4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게 한다.
일예로서 동력원은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엔진, 전기차량에서는 모터일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제1 연장부(21), 제2 연장부(22) 및 내벽체(23)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는 베어링일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를 구성하는 커버(11)는 일측 단부가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23)의 일면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의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2 지지부재(72)의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베어링일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 및 제2 지지부재(72)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베어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감속기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71)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동력제어장치는 제2 동력제어장치일 수 있다.
제2 동력제어장치는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한다.
제2 동력제어장치는 제1 도그클러치(31), 제2 도그클러치(32) 및 전자기 장치를 포함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전자기 장치의 작동에 의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도그클러치(32)와 치합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 장치는 플런저(43) 및 전자기 발생장치(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가압부(311) 및 동력연결부(313)를 포함한다.
가압부(31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제1 연장부(21)에 위치한다. 가압부(311)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작동공간(S)이 마련되도록 내벽체(2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작동공간(S)에 탄성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311)는 일면에 수용부(311a)가 구비된다. 수용부(311a)에 접촉부재(80)가 수용된다. 접촉부재(80)는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압부(311)에서 제2 도그클러치(3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동력연결부(313)는 제2 도그클러치(32)를 향하는 면이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벽체(23)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31)을 통과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이드홀(23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홀(231)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예로서 탄성부재(50)는 리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가압부(311)와 내벽체(23)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내부에서 가압부(311)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1 도그클러치(31)에 작용하던 가압력이 사라지면 신장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 도그클러치(31)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의 외주에 이탈방지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이탈방지부재(60)는 스냅링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60)는 가압부(311)의 일면을 지지하여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1 연장부(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에 대향하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동력연결부(313)에 대향 위치한다. 제2 도그클러치(32)에 제1 도그클러치(31)가 치합 연결되어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동력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런저(43)는 전자기 발생장치(42)의 내부에 구비된다. 일예로서 전자기 발생장치(42)는 전자기 코일일 수 있다. 전자기 발생장치(42)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전자기 코일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기 발생장치(42)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전자기 발생장치(42)는 전원 인가 시 전자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런저(43)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기 발생장치(42)의 작동에 의해 플런저(43)는 제1 도그클러치(3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재(80)와 접촉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푸시한다. 이로 인해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2 도그클러치(32)에 치합 연결될 수 있다.
플런저(43)가 제1 도그클러치(31)에 바로 닿지 않고 접촉부재(80)를 통해 제1 도그클러치(31)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플런저(43)의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제1 도그클러치(31)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이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륜구동 시 감속기의 구동모터(미도시) 등과 같은 동력원을 정지시켜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는 동력연결 해제 상태로 드라이브 기어(20)는 정지 상태이다. 이때,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된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타력주행을 하는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되어 있는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디퍼렌셜 케이스(10)와 함께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단부가 제1 지지부재(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동력 연결 해제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는 정지하고,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되지 않는다.
타력주행에 의한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이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 상태로 양측 사이드 기어(13)의 기어 이를 따라 공전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도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부 구동륜은 타력주행을 하고 주 구동륜만으로 주행을 하는 이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도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차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차동에 따른 소음, 진동, 발열 및 마모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사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사륜구동 시 동력연결로 인해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될 수 있다.
사륜구동 시 전자기 발생장치(42)의 작동에 의해 전자기가 발생하고 전자기에 의해 플런저(43)가 제1 도그클러치(3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푸시한다. 이로 인해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치합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플런저(43)의 푸시 동작에 의해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이동 시 탄성부재(50)를 가압하면서 이동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신장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원위치 방향으로 밀어 제1 도그클러치(31)의 원위치로 복귀를 돕는다.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는 치합 연결 상태로 디퍼렌셜 케이스(10)는 드라이브 기어(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동력원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거쳐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 동력은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구동륜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주 구동륜은 물론 부 구동륜에도 동력이 전달되어 사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동력원에서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 기어(20) 및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하여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되게 하는 동력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1)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디퍼렌셜 기어가 장착된다. 디퍼렌셜 기어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양측 피니언 기어(12) 및 양측 피니언 기어(12)와 치합되는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포함한다.
일예로서, 일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 등과 같은 샤프트에 의해 일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되고, 타측 사이드 기어(13)는 드라이브 샤프트(미도시) 등과 같은 샤프트에 의해 타측 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디퍼렌셜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원(미도시)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될 수 있다. 일예로서 이륜구동(2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을 끊어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사륜구동(4WD) 시에는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프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되게 한다.
일예로서 동력원은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엔진, 전기차량에서는 모터 등일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제1 연장부(21), 제2 연장부(22) 및 내벽체(23)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는 베어링일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퍼렌셜 케이스(10)의 일측 단부를 구성하는 커버(11)는 일측 단부가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7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23)의 일면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의 중심 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1 연장부(21)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제2 연장부(22)는 제2 지지부재(72)의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베어링일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1) 및 제2 지지부재(72)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베어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감속기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2)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71)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동력제어장치는 제3 동력제어장치일 수 있다.
제3 동력제어장치는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연결한다.
제3 동력제어장치는 제1 도그클러치(31), 제2 도그클러치(32),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밀어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를 연결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를 연결은 치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푸시부재(93)에 의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푸시부재(93)가 제1 도그클러치(31)에 대향 위치에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막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기어(20)에 조립된 제1 도그클러치(31)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에 대향하는 디퍼렌셜 케이스(10)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그클러치(32)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작동에 의해 제1 도그클러치(3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그클러치(31)는 드라이브 기어(2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의 외주에 결합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가압부(311) 및 동력연결부(313)를 포함한다.
가압부(311)는 드라이브 기어(20)의 제1 연장부(21)에 위치한다. 가압부(311)는 일면이 액추에이터의 푸시부재(93)를 향한다.
가압부(311)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작동공간(S)이 마련되도록 내벽체(2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작동공간(S)에 탄성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압부(311)에서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동력연결부(313)는 제2 도그클러치(32)를 향하는 면이 드라이브 기어(20)의 내벽체(23)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31)을 통과하도록 조립된다.
동력연결부(313)는 가이드홀(23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홀(231)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리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가압부(311)와 내벽체(23)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내부에서 가압부(311)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50)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1 도그클러치(31)에 작용하던 가압력이 사라지면 신장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액추에이터는 작동모터(91), 작동모터(91)와 연결되는 스크루 샤프트(92), 제1 도그클러치(31)에 대향 구비되는 푸시부재(93), 스크루 샤프트(92)에 결합되는 너트(94) 및 너트(94)에 구비되는 연결대(9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루 샤프트(92)는 작동모터(91)와 연결된다. 일예로서 스크루 샤프트(92)는 볼 스크루 샤프트일 수 있다. 스크루 샤프트(92)는 양단이 베어링 등과 같은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스크루 샤프트(92)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는 감속기의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푸시부재(93)는 제1 도그클러치(31)의 일면에 대향 구비된다. 푸시부재(93)는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푸시하여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너트(94)는 스크루 샤프트(92)에 나사 결합된다. 일예로서 너트(94)는 볼너트일 수 있다. 너트(94)는 스크루 샤프트(92)의 회전 작동 시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대(95)는 너트(94)에서 푸시부재(93)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대(95)의 끝단은 푸시부재(93)와 연결된다. 연결대(95)와 푸시부재(93)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대(95)의 끝단을 푸시부재(93)에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대(95)와 푸시부재(93)를 연결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 상태에서는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연결이 이루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동력연결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륜구동 상태가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위해 작동모터(91)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 인가로 작동모터(91)가 구동하고 이로 인해 스크루 샤프트(92)가 회전한다. 스크루 샤프트(92)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94)가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이동한다. 너트(94)가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연결대(95)에 의해 너트(94)와 연결된 푸시부재(93)가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민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2 도그클러치(32)와 치합 연결된다. 이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동력연결 상태가 이루어지고 사륜구동 상태가 이루어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이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륜구동 시 감속기의 구동모터(미도시) 등과 같은 동력원을 정지시켜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는 동력연결 해제 상태로 드라이브 기어(20)는 정지 상태가 된다. 이때,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된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타력주행을 하는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일측 구동륜과 타측 구동륜의 타력주행에 의한 회전력은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되어 있는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디퍼렌셜 케이스(10)와 함께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디퍼렌셜 케이스(10)는 양측 단부가 제1 지지부재(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상태의 드라이브 기어(20)와 관계없이 디퍼렌셜 케이스(10)가 자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륜구동 시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동력 연결 해제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의 동력이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되지 않는다.
타력주행에 의한 양측 구동륜의 회전력이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는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치합 상태로 양측 사이드 기어(13)의 기어 이를 따라 공전한다.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도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자전한다. 이로 인해 부 구동륜은 타력주행을 하고 주 구동륜만으로 주행을 하는 이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피니언 기어(12)의 공전으로 인해 드라이브 기어(20)와 분리 구조의 디퍼렌셜 케이스(10)가 양측 사이드 기어(13)와 동일 방향으로 자전함에 따라 고차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차동에 따른 소음, 진동, 발열 및 마모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사륜구동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사륜구동 시 동력원의 동력 연결로 인해 동력원의 동력이 드라이브 기어(20)를 거쳐 디퍼렌셜 케이스(10)에 전달될 수 있다.
사륜구동 시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위해 작동모터(91)에 전원을 인가한다. 작동모터(91)에 전원 인가로 작동모터(91)가 구동한다. 작동모터(91)의 구동에 의해 작동모터(91)와 연결된 스크루 샤프트(92)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크루 샤프트(92)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 샤프트(92)에 결합되는 너트(94)가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한다.
너트(94)가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너트(94)와 연결대(95)에 의해 연결된 푸시부재(93)가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 방향으로 푸시한다. 제1 도그클러치(31)는 탄성부재(50)를 가압하면서 제2 도그클러치(32)와 치합 연결된다.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치합 연결에 의해 디퍼렌셜 케이스(10)와 드라이브 기어(20)의 동력연결 상태가 이루어진다. 디퍼렌셜 케이스(10)와 드라이브 기어(20)의 동력연결 상태에서 디퍼렌셜 케이스(10)와 드라이브 기어(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동력원의 동력은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를 거쳐 양측 피니언 기어(12)와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다.
양측 사이드 기어(13)로 전달된 동력은 양측 사이드 기어(13)를 거쳐 양측 구동륜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주 구동륜은 물론 부 구동륜으로 동력원의 동력이 전달되어 사륜구동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작동모터(91)의 구동에 의해 작동모터(91)와 연결된 스크루 샤프트(92)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94)가 스크루 샤프트(92)를 따라 동력연결 해제 방향으로 이동한다.
너트(94)의 이동과 연동하여 너트(94)와 연결대(95)에 의해 연결된 푸시부재(93)가 제1 도그클러치(31)에서 떨어진다. 제1 도그클러치(31)에 작용하던 푸시부재(93)의 가압력이 사라짐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0)가 신장되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제2 도그클러치(3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제1 도그클러치(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도그클러치(31)가 제2 도그클러치(32)에서 떨어지고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연결 해제 상태가 이루어진다.
제1 도그클러치(31)와 제2 도그클러치(32)의 연결 해제로 드라이브 기어(20)와 디퍼렌셜 케이스(10)의 동력연결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이륜구동 주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디퍼렌셜 케이스 11 : 커버
12 : 피니언 기어 13 : 사이드 기어
20 : 드라이브 기어 21 : 제1 연장부
22 : 제2 연장부 23 : 내벽체
31 : 제1 도그클러치 32 : 제2 도그클러치
41 : 마그넷 42 : 전자기 발생장치
43 : 플런저 50 : 탄성부재
60 : 이탈방지부재 71 : 제1 지지부재
72 : 제2 지지부재 80 : 접촉부재
91 : 작동모터 92 : 스크루 샤프트
93 : 푸시부재 94 : 너트
95 : 연결대 231 : 가이드홀
311 : 가압부 311a : 수용부
313 : 동력연결부 S : 작동공간

Claims (37)

  1. 디퍼렌셜 케이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드라이브 기어;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 연결을 해제하는 제1 동력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력제어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결합되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그클러치;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도그클러치; 및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제2 도그클러치에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마그넷 및 전자기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척력발생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일면에 마그넷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상기 마그넷에 대향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과 작용에 의해 생성한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도그클러치를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동력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전자기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는 면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내벽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내벽체 사이의 작동공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4. 디퍼렌셜 케이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드라이브 기어;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동력 연결을 해제하는 제2 동력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제어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결합되어 동력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그클러치;
    상기 제1 도그클러치에 대향하여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도그클러치; 및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제2 도그클러치에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플런저 및 전자기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외주에 상기 제1 도그클러치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에 대향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일면에 접촉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1 연장부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일면에 대향 구비되며 생성한 전자기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도그클러치와 상기 제2 도그클러치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발생장치는,
    전자기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그클러치는,
    상기 가압부에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는 면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내벽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도그클러치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19. 삭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내벽체 사이의 작동공간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2. 삭제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일측 단부는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지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커넥터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210067528A 2021-05-26 2021-05-26 디스커넥터 장치 KR10258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528A KR102584392B1 (ko) 2021-05-26 2021-05-26 디스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528A KR102584392B1 (ko) 2021-05-26 2021-05-26 디스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60A KR20220159660A (ko) 2022-12-05
KR102584392B1 true KR102584392B1 (ko) 2023-09-27

Family

ID=8439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528A KR102584392B1 (ko) 2021-05-26 2021-05-26 디스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693A (ja) * 2001-07-03 2003-01-15 Tochigi Fuji Ind Co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11241939A (ja) * 2010-05-20 2011-12-01 Gkn Driveline Japan Ltd ク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646A (ja) * 1984-11-29 1986-06-18 Toyota Motor Corp デイフアレンシヤル装置
JPS6348049U (ko) * 1986-09-16 1988-04-01
KR20170123869A (ko) 2016-04-29 2017-11-09 현대위아 주식회사 디스커넥터 장치를 포함하는 차동 기어 조립체 및 감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693A (ja) * 2001-07-03 2003-01-15 Tochigi Fuji Ind Co Ltd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11241939A (ja) * 2010-05-20 2011-12-01 Gkn Driveline Japan Ltd ク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60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5292B (zh) 制动执行器、汽车制动系统和电动汽车
EP2447562B1 (en) Electromagnetic clutch
KR20150143744A (ko) 동력 전달 유닛용 시프트 칼라 조립체
JP6240269B2 (ja) アクチュエータ、軸分離システム、及び、アクチュエータの係合を維持するための方法
KR102582535B1 (ko) 디스커넥터 장치
KR102584392B1 (ko) 디스커넥터 장치
US11608879B2 (en) Disconnector apparatus
JP2013174297A (ja)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
US7746200B2 (en) Drive device with an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particularly for driving a contact piece of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EP3088761B1 (en) Electromechanical power actuator, friction gener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actuating a friction gener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2604878B1 (en) Drive coupling device
EP2728717A1 (en) Generator motor for vehicle
KR101738522B1 (ko) Ecm 제동장치
JP5012692B2 (ja) 電磁式作動装置
KR102648797B1 (ko) 디스커넥터 장치
KR102517188B1 (ko) 디스커넥터 장치
CN220687887U (zh) 一种电磁离合器
KR102661385B1 (ko) 동력절환장치
KR102086358B1 (ko) 볼램프를 이용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KR102462203B1 (ko) 자동차용 동력 디스커넥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US9046173B2 (en) Transmission driving device
CN219697472U (zh) 一种拖板式永磁耦合器
KR102492287B1 (ko) 양방향 클러치
JP2018168906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20230034010A (ko) 차량용 디스커넥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