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31B1 -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31B1
KR102584231B1 KR1020180095279A KR20180095279A KR102584231B1 KR 102584231 B1 KR102584231 B1 KR 102584231B1 KR 1020180095279 A KR1020180095279 A KR 1020180095279A KR 20180095279 A KR20180095279 A KR 20180095279A KR 102584231 B1 KR102584231 B1 KR 10258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leeve
sleeve member
power cable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008A (ko
Inventor
장공일
유오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와 무게가 최소화되어 전력 케이블 접속장소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고, 슬리브 부재 장착작업의 작업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SLEEVE MEMBER MOUNTING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크기와 무게가 최소화되어 전력 케이블 접속장소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고, 슬리브 부재 장착작업의 작업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제조 또는 운반 등의 한계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길이로 제조된 후 보빈 조립체에 권취되어 전력 케이블 포설 현장으로 운반되고, 전력 케이블 포설 현장에서 전력 케이블 포설과 함께 전력 케이블 중간접속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중 지중 전력 케이블의 경우, 지하 관로 등에 설치되며, 전력 케이블 접속작업이 맨홀 내부의 관로 등의 공간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전력 케이블 중 절연체로 XLPE가 적용되는 경우 중간접속을 위한 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슬리브 부재(200)가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 부위에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XLPE 전력 케이블의 단계적 접속상태를 도시한다.
도 1(a)는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을 중간 접속하기 위하여 다단 탈피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가 중간접속된 후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위에 슬리브 부재(2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c)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 보호동관(300)이 장착되어 중간접속구조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XLPE 전력 케이블은 내측 중심부로부터 크게 도체(10), 내부 반도전층(미도시), XLPE 재질의 절연층(20), 외부 반도전층(30), 금속 시스(40) 및 케이블 자켓(50) 등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전력 케이블을 중간접속하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력 케이블을 다단 탈피한다.
이러한 XLPE 전력 케이블은 도체 접속 부위의 주변에 PMJ(PRE-MOLDED JOINT) 형태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된 슬리브 부재(200)가 장착되어 도체(10) 접속부위의 절연 보강과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케이블을 다단 탈피한 후 탈피 길이가 긴 제1 전력 케이블(100a)을 슬리브 부재(200)에 끝까지 삽입하여 장착하고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10)를 접속한 후 도체 접속부위까지 슬리브 부재(200)를 이동시켜 마감하고, 탈피 부위를 마감하여 보호 동관(300)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 중간접속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과정에서 슬리브 부재(200)와 다단 탈피된 전력 케이블의 표면 마찰력은 고무 등의 슬리브 부재(200)의 재질 특성과 유격 최소화를 위한 설계에 의하여, 슬리브 부재(200)에 다단 탈피된 케이블을 삽입 장착하는 과정 및 그 위치를 옮기는 과정에서 상당한 추진력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슬리브 부재(200)의 외주면에 견인 와이어(410)를 장착하여 수작업으로 견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모터와 볼스크류가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슬리브 부재(200)를 추진하는 자동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와 체력에 따라 작업시간의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 전동으로 슬리브 부재(200) 추진력을 발생시켜 작업성이 좋으나 크기와 무게가 커서 맨홀을 통해 협소한 작업 공간 내부로 자동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를 운반하는 작업이 쉽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크기와 무게가 최소화되어 전력 케이블 접속장소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고, 슬리브 부재 장착작업의 작업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전력 케이블 및 제2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수지 재질의 파이프형 슬리브 부재를 전력 케이블 접속부위에 장착하기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의 외주면을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력 케이블과 접속되는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을 거치하기 위한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 사이에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 부재를 추진하기 위한 슬리브 추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 추진부로 상기 슬리브 부재를 추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관통하도록 장착하거나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에 거치된 제2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를 상호 접속한 후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각각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로 연결되되,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추진판 및 상기 추진판 상에 장착되어 슬리브 부재와 접촉되는 수지 재질의 추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 추진부의 추진부재가 장착된 추진판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양면에 장착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추진부의 추진부재가 장착된 추진판은 상하로 분리되는 제1 추진판 및 제2 추진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와 견인 와이어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 추진부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각각 견인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착탈 가능한 와이어링을 포함하며, 각각의 와이어링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양방향으로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슬리브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여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를 슬리브 부재의 일단에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의 타단을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에 거치된 제2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를 상호 접속한 후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로 이송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거치부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견인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여 상기 슬리브 추진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의 일단을 상기 도체 접속부 방향으로 추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 상에 배치되도록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하로 분리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고정면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금속시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은 600 밀리미터 이하이며 높이는 50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는 250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 와이어는 금속 재질의 링크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체인은 레버블록으로 견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의하면, 전력 케이블의 중간 접속을 위한 고무 등의 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줄여 좁은 맨홀 등을 통해 관로로 설비를 운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의하면, 수동으로 슬리브 부재를 추진하지만 레버블록 등의 수동 견인 공구로 힘의 이득을 얻고 슬리브 부재를 추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한 인력으로 슬리브 부재를 견인하여 장착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XLPE 전력 케이블의 단계적 접속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XLPE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위에서의 슬리브 부재 장착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의 슬리브 추진부의 양방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의 케이블 고정부에 케이블을 고정한 후 슬리브 추진부로 슬리브 부재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의 케이블 고정부와 케이블 거치부에 도체 접속이 완료된 케이블을 각각 고정 및 거치한 상태에서 슬리브 추진부로 슬리브 부재를 도체 접속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XLPE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위에서의 슬리브 부재(200) 장착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전력 케이블 포설구간에서 중간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전력 케이블(100a) 및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 접속부위에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하기 위해 양 케이블의 도체 접속 전에 다단 탈피된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가 슬리브 부재(200)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장착한 후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10)를 접속하고 도체의 접속 부위를 마감한 후 슬리브 부재(200)를 반대방향으로 추진하여 도체 접속 부위로 이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리브 부재(200)가 먼저 장착되는 좌측 전력 케이블을 제1 전력 케이블(100a)로 명칭하고, 슬리브 부재(200)가 제1 전력 케이블(100a)에 장착된 후 도체 접속이 수행되는 우측 전력 케이블을 제2 전력 케이블(100b)로 명칭한다.
슬리브 부재(200) 장착과정 중 A 단계는 제1 전력 케이블(100a)에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 경우, 다단 탈피된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단부의 도체에 노즈콘(12)을 장착하여 슬리브 부재(200)의 일단(좌측단)으로 삽입하고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우측단)으로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우측단)을 추진한다. 이 경우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우측단)을 추진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에 관한 설명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노즈콘(12)은 도체가 슬리브 부재(200)를 관통하며 저항을 줄이고 슬리브 부재(200) 내주면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B 단계는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노즈콘(12)이 장착된 도체가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으로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노즈콘(12)을 제거한 후 C 단계와 같이 도체 접속용 도체 슬리브(15)의 양 개구부로 제1 케이블의 도체 및 제2 케이블의 도체(10)를 삽입한 상태의 D 단계에서 압착 등의 방법으로 도체(10)를 접속한 후 E 단계와 같이, 도체 슬리브 외측에 코로나 실드를 장착한 후 제1 전력 케이블(100a) 측에 치우쳐진 슬리브 부재(200)의 일단(좌측단)을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로 추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도체 접속 부위로 추진하여 슬리브 부재(200)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위에 장착되는 슬리브 부재(200)는 어느 하나의 다단 탈피된 전력 케이블 내측 영역에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한 후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을 수행한 후 다시 슬리브 부재(200)의 위치를 도체 접속부위로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전력 케이블 접속작업에서 슬리브 부재(200) 장착작업은 작업자의 인력 만으로 수행하기 어렵고 별도의 장착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는 관로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고, 관로로 접근하기 위하여 맨홀 등을 통과해야 하므로 장비의 크기와 무게의 제한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슬리브 추진부(500)의 양방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는 접속대상 전력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전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600), 케이블 고정부(600)에 고정된 전력 케이블과 도체 접속된 다른 하나의 전력 케이블을 거치하는 케이블 거치부(700) 및 케이블 고정부(600)와 케이블 거치부(700) 사이에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며, 고무 또는 수지 재질의 슬리브 부재(200)를 추진하여 양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 부위로 이송하는 슬리브 추진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는 각각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800)로 연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는 각각 가이드바(800)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는 상기 가이드바(800)를 따라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 사이에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는 한 쌍의 제1 전력 케이블(100a) 및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중간접속을 위한 수지 재질의 파이프형 슬리브 부재(200)를 전력 케이블 접속부위에 장착하기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외주면을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6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접속되는 제2 전력 케이블(100b)을 거치하기 위한 케이블 거치부(7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 사이에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 또는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이 관통된 상태로 슬리브 부재(200)를 추진하기 위한 슬리브 추진부(500);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로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추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관통하도록 장착하거나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100a) 단부의 도체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에 거치된 제2 전력 케이블(100b) 단부의 도체(10)를 상호 접속한 후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 접속부로 추진하여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는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외주면을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되는 제1 고정부재(610a) 및 제2 고정부재(610b)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610a) 및 상기 제2 고정부재(610b)의 고정면(미도시)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금속시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케이블의 금속 시스는 평활 또는 코러게이션 형태의 주름관 시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고정부재(610a) 및 상기 제2 고정부재(610b)의 내측 고정면(610s)은 금속 시스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는 후술하는 프레임 부재(650)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650)에 상기 제1 고정부재(610a) 및 상기 제2 고정부재(610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100a)에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한 후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접속될 제2 전력 케이블(100b)이 거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가 접속되면,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은 일체화되므로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은 별도로 고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는 제2 전력 케이블(100b)을 거치하기 위하여 프레임 부재(770) 상에 개구부(71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는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추진판(530) 및 상기 추진판(530) 상에 장착되어 슬리브 부재(200)와 접촉되는 수지 재질의 추진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의 추진부재(510)가 장착된 추진판(530)은 프레임 부재의 양면에 장착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의 추진부재(510)가 장착된 추진판(530)은 상하로 분리되는 제1 추진판(530a) 및 제2 추진판(530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추진부재 역시 제1 추진부재(510a) 및 제2 추진부재(510b)로 이분할 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먼저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내측 방향, 즉 케이블고정부(600) 방향으로 추진되어 장착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추진되어 도체 접속부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하나의 슬리브 추진부(500)로 슬리브 부재(200)를 양방향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슬리브 부재(200)의 양단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추진부재(510)가 장착된 추진판(530)의 방향 변경이 필요하므로 상기 추진부재(510)가 장착된 추진판(530)은 슬리브 추진부(500)의 프레임 부재에서 분리 가능하며, 양방향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진부재(510)가 장착된 추진판(530)은 분리 가능한 고정핀(560) 등을 활용하여 프레임 부재(53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550, 650, 750)의 폭은 600 밀리미터(mm) 이하이며 높이는 500 밀리미터(mm) 이하이며, 상기 가이드바(800)의 길이는 2500 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맨홀 내부의 통로 직경은 1 미터(m) 내지 1.2 미터(m)로 구성되고, 그 입구에는 직경이 600 밀리미터(mm)의 주철로 구성된 맨홀커버가 장착되므로, 이와 같은 맨홀을 통해 전력 케이블 접속장소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를 운반해야 하므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폭과 높이를 결정하는 프레임 부재(550, 650, 750)의 폭은 600 밀리미터(mm) 이하이며 높이는 500 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소한 맨홀 내부 공간에서 운반 및 방향 변경이 가능하도록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길이를 결정하는 가이드바(800)의 길이도 2500 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와 견인 와이어(410)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410)를 견인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도체 접속부)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다단 탈피된 전력 케이블을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추진력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는 슬리브 부재(200)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를 견인 와이어(410)로 연결하고, 상기 링크체인(쇠사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견인 와이어(410)를 레버블록 등의 견인공구(430)로 견인하여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방법으로 슬리브 부재(200)를 양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레버블록 등의 견인공구(430)는 레버 조작에 의하여 수톤에 이르는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크기, 무게 또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 와이어(410) 및 상기 견인공구(430)을 포함하는 견인장치(400)는 수동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설비의 크기와 무게는 좁은 맨홀 등을 통해 관로로 설비를 운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는 각각 견인 와이어(41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와이어링(570, 670, 770)이 각각의 프레임 부재(550, 650, 7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의 경우, 추진방향에 따라 견인 와이어(410) 장착 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링(570, 670, 770) 역시 상기 프레임 부재(550, 650, 750)에서 분리 가능하고 양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케이블 고정부(600)에 제1 전력 케이블(100a)을 고정한 후 슬리브 추진부(500)로 슬리브 부재(20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과정은 도 2의 슬리브 장착단계 중 A 단계를 도시한다.
즉,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관통하도록 장착하는 단계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단부를 슬리브 부재(200)의 일단으로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600)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410)를 견인하는 방법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으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단부가 노출될 때까지 추진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1000)의 케이블 고정부(600)와 케이블 거치부(700)에 도체 접속이 완료된 케이블을 각각 고정 및 거치한 상태에서 슬리브 추진부(500)로 슬리브 부재(200)를 도체 접속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과정은 도 2의 슬리브 장착단계 중 F 단계를 도시한다.
도 5의 단계에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의 도체가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으로 노출되도록 슬리브 부재(200)를 장착한 후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과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10)를 접속한 후 도체의 접속부위로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이송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거치부(700)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를 견인 와이어(410)로 연결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410)를 견인하는 방법으로 상기 슬리브 추진부(500)가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타단을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 방향으로 추진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100a)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100b)의 도체 접속 부위에 배치되도록 이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전력 케이블
200 : 슬리브 부재
500 : 슬리브 추진부
600 : 케이블 고정부
700 : 케이블 거치부
1000 :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Claims (13)

  1. 한 쌍의 제1 전력 케이블 및 제2 전력 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한 수지 재질의 파이프형 슬리브 부재를 전력 케이블 접속부위에 장착하기 위한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의 외주면을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력 케이블과 접속되는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을 거치하기 위한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 사이에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부재를 추진하기 위한 슬리브 추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방향으로 추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관통하도록 이송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를 관통한 제1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에 거치된 제2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를 상호 접속한 후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방향으로 추진하여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각각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로 연결되되,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 거치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추진판 및 상기 추진판 상에 장착되어 슬리브 부재와 접촉되는 수지 재질의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의 추진부재가 장착된 추진판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양면에 장착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의 추진부재가 장착된 추진판은 상하로 분리되는 제1 추진판 및 제2 추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와 견인 와이어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 추진부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 또는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방향으로 추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거치부 및 상기 슬리브 추진부는 각각 견인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착탈 가능한 와이어링을 포함하며, 각각의 와이어링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양방향으로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슬리브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여 상기 제1 전력 케이블의 단부를 슬리브 부재의 일단에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의 타단을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와 상기 케이블 거치부에 거치된 제2 전력 케이블 단부의 도체를 상호 접속한 후 상기 슬리브 부재를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로 이송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거치부와 상기 슬리브 추진부를 견인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여 상기 슬리브 추진부가 상기 슬리브 부재의 일단을 상기 도체 접속부 방향으로 추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부 상에 배치되도록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하로 분리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고정면은 상기 제1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제2 전력 케이블의 금속시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은 600 밀리미터 이하이며 높이는 500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는 2500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와이어는 금속 재질의 링크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체인은 레버블록으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KR1020180095279A 2018-08-16 2018-08-16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KR10258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79A KR102584231B1 (ko) 2018-08-16 2018-08-16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79A KR102584231B1 (ko) 2018-08-16 2018-08-16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08A KR20200021008A (ko) 2020-02-27
KR102584231B1 true KR102584231B1 (ko) 2023-10-04

Family

ID=6964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79A KR102584231B1 (ko) 2018-08-16 2018-08-16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132B1 (ko) * 2020-05-27 2023-10-13 최대규 고압 케이블 접속재 접속장치 및 결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059B1 (ko) * 2010-11-04 2012-10-05 대한전선 주식회사 나선형 코어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공법
KR101578846B1 (ko) * 2014-03-17 2015-12-28 (주)원컨덕터 초고압 전력케이블 프리몰드 접속함의 프리몰드 유니트 조립 장치
KR102304368B1 (ko) * 2015-03-19 2021-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170041056A (ko) * 2015-10-06 2017-04-1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08A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764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9742179B2 (en) Conduit and end fitting for offshore cable assembly
KR102584231B1 (ko)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KR20150012683A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4655432A (en) Cable dispensing method
KR100793617B1 (ko)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US8299362B2 (en)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US2775747A (en) Reinforced dead-end splice connector
JP4953870B2 (ja) 搬送具、管路内電線布設システム及び管路内電線布設方法
US4337924A (en) Power pulling arrangement
US4688762A (en) Method for lubricating electrical wiring pulled through installed conduit
CN109787157B (zh) 海上结构和用于将管子或线缆附接到海上结构的设备的方法
KR100908672B1 (ko)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KR101324630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2007113197A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US3394920A (en) Cable guiding apparatus and processes for protecting conduits
KR20100053381A (ko) 케이블 유도 지지금구
KR101819058B1 (ko) 배전케이블 이송용 이송장치
JPH0747944Y2 (ja) 鋼管電柱における大径ケーブルの内外誘導構造
JP2733563B2 (ja) ケーブル等の床配線方法、ケーブル等の配線用床構造、ケーブル等の床配線装置、及び前記配線用床構造に使用される配線用床材、蓋体並びに布設ロープ
JP2000291828A (ja) 管路構造
JPS62230311A (ja) 小口径管路内への線条体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2871758B2 (ja) 線状体の布設方法
WO2001094078A1 (en) Ducting application device
JP2000120925A (ja) 配管布設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