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134B1 -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 Google Patents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134B1
KR102584134B1 KR1020230061364A KR20230061364A KR102584134B1 KR 102584134 B1 KR102584134 B1 KR 102584134B1 KR 1020230061364 A KR1020230061364 A KR 1020230061364A KR 20230061364 A KR20230061364 A KR 20230061364A KR 102584134 B1 KR102584134 B1 KR 10258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glio
vertical
initial consonant
hangu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근
양세욱
양혜나
Original Assignee
양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근 filed Critical 양창근
Priority to KR102023006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동이 한글을 익힐 때, 여러 감각을 사용하여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익힌 한글을 장시간 그리고 보다 확실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이다. 이러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과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사선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초성수직선과 하나의 초성수평선 그리고 복수 개의 초성사선을 교차하는 하나의 초성원을 포함하는 초성체가 형성된 음각판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Intaglio Letter Plate Hangul Learning Tool}
본 발명은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 학습 교구의 기술에 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여러 감각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한글 학습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교구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유아동(3세에서 6세 미만)이 어렸을 때부터 게임 동영상 등 흥미 위주의 시청각 영상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한글을 익히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추상적인 상징기호로 되어 있는 한글 학습 언어를 처음 접하는 유아동은 글자의 추상성을 해결하지 않은 채 기존의 통글자 암기 위주 방식으로 한글을 학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글자 암기 위주의 한글 학습 방식은 한글 학습을 지연 시키며 학습의 효율이 높지 못하다.
한글 학습의 부진과 지연은 유아동의 학업 수행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저조한 학업 수행 능력에 따라 자신감도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어렸을 때부터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중요하다.
현재에는 유아동이 한글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학습 교구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대다수의 한글 학습 교구들은 유아동의 여러 감각을 자극하여 한글을 익힐 수 있는 다감각 방법(multisensory method)의 교구가 아니다.
이에, 종래의 한글 학습 교구를 통해서는 유아동이 한글을 온전히 자기의 것으로 습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글을 오랜 시간 기억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0495호 ‘슬라이딩형 한글학습 교구’(공고일자: 2018.06.22)
본 발명은 유아동이 한글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한글을 장기간 기억하지 못하고 한글을 익히더라도 빨리 잊어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한글의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합일적(모노그램형)으로 하나의 글자판에 표상되어 있으며,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으로 표시되며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과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사선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초성수직선과 하나의 초성수평선 그리고 복수 개의 초성사선을 교차하는 하나의 초성원을 포함하는 초성체가 형성된 음각판재부를 포함하고, 음각판재부는 초성체에서 오른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평선을 포함하는 세로중성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음각판재부는 초성체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한 개의 가로중성수평선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가로중성수평선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가로중성수직선을 가지는 가로중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음각판재부는 세로중성체 또는 가로중성체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초성체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사각형의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과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선사선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종성수직선과 하나의 종성수평선 그리고 복수 개의 종성사선을 교차하는 하나의 종성원을 포함하는 종성체가 형성되어 수용홈에 수용되어 수용홈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종성판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초성체에 수용되어 글자 또는 한글을 형성할 수 있는 컬러점토, 컬러빨대, 컬러마끈, 요철끈, 컬러사포 그리고 액상과당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에 따라 자국을 형성하는 가루를 포함할 수 있다.
음각판재부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타측에 결합돌기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의 홈이 형성된 돌기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유아동이 놀이를 하듯 수직선, 수평선, 사선, 원을 만들고 글자의 원형(原形) 모양을 익히며 제자 원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쉽고 재미있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하나의 글자판에 합일적(모노그램형)으로 표상된 한글의 구성 원리를 익혀 한글의 모든 글자가 뇌에 자연스럽게 각인돠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이 글자판을 통해 유아동이 한글을 익힐 때, 여러 감각의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익힌 한글이 장기기억으로 뇌에 각인되어 보다 확실하게 기억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음각의 글자판에 컬러점토를 넣어 한글을 다채로운 색상으로 만들며 시각적 자극을 통해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음각의 글자판에 컬러사포(Color Sandpaper)를 넣고, 컬러사포를 만지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음각의 글자판에 한글 형상의 액상과당액 바른 초콜릿 또는 케이크 등을 끼워넣어 그 액상과당을 핥으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다감각적 방법(multisensory method)이 적절히 혼용되어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한글 학습 효과를 높힌다. 특히, 이와 같은 다감각적 방법을 통해 거울 오류(mirror error)에 의한 난독 글자(ㅏ ㅓ . ㅑ ㅕ)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근육이 온전히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가 연필로 글쓰기 공부에 앞서서 끼워넣는 단순 동작만으로 익히는 촉독(tactile reading)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에 흥미를 유발시켜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한글 형상의 액상과당액 바른 초콜릿 또는 케이크 등을 끼워넣어 그 액상과당을 핥으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높은 열에 내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유아동이 그 음각글자판에 맞추어 한글 형상의 초콜릿 또는 케이크 등을 만들고 끼워넣어 베이킹하고 그 위에 액상과당액 또는 꿀 등을 바른 후 이를 핥으며 한글을 익히도록 하며, 더욱이 유아동이 여러 감각을 습득해야하는 적기에 이와 같은 베이킹 작업에 직접 참여하면서 한글을 학습하는 체험이 지루하고 고된 시간이 아닌 즐기며 쉽게 체득할 수 있는 놀이 시간으로 인지하게 되어 한글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강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는 한글 학습에 높은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음각판재부와 종성판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음각판재부를 구성하는 제1판재, 제2판재 및 제3판재와 결합돌기 및 돌기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음각판재부에 형성된 초성체, 세로중성체 및 가로중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초성체를 구성하는 제1초성수직선, 제2초성수직선, 제3초성수직선, 제1초성수평선, 제2초성수평선, 제3초성수평선, 제1초성사선, 제2초성사선 및 초성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세로중성체를 구성하는 제1세로중성수직선, 제2세로중성수직선, 제1세로중성수평선, 제2세로중성수평선, 제3세로중성수평 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가로중성체를 구성하는 제1가로중성수직선, 제2가로중성수직선, 제3가로중성수직선 및 가로중성수평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음각판재부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종성판재부 또는 가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종성판재부에 형성된 종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종성체를 구성하는 제1종성수직선, 제2종성수직선, 제3종성수직선, 제1종성사선, 제2종성사선, 제1종성수평선, 제2종성수평선, 제3종성수평선, 및 종성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어느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결합돌기가 다른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돌기수용홈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종성판재부가 음각판재부의 수용홈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의 수용홈에 수용된 가루에 유아동이 한글을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감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3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도구들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설명된 내용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사용자, 즉 유아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단일 글자판에서 창의적으로 많은 한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한글을 만들어가는 코딩의 원리를 체득하면서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지닌 합일(모노그램형)의 글자판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한글을 익힐 때, 여러 감각을 사용하여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여러 감각을 활용하여 한글을 익히도록 하며 익힌 한글을 장시간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복수 개의 수직선과 수평선 그리고 하나의 원이 음각판재부(10) 또는 종성판재부(20)에 컬러 고무 찰흙 등 컬러점토, 컬러빨대, 요철끈 또는 컬러사포 등을 넣으며 촉각과 시각을 자극하면서 컬러풀한 한글을 만들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각판재부(10) 또는 종성판재부(20)에 사포(Sandpaper)를 넣고 손가락으로 사포를 따라 한글을 만지면서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음각판재부(10) 또는 종성판재부(20)에 한글 형상의 액상과당액 바른 초콜릿 또는 케이크 등을 끼워넣어 그 액상과당을 핥으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메트릭스적 얼개를 따라 형성된 다양한 선분재에 점토, 요철재, 사포재, 식재료를 넣으며 많은 모양(한글, 도형 등)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열에 내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어 음식재로 한글을 베이킹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베이킹 체험을 통해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동이 한글을 학습하는 시간이 지루한 시간이 아닌 즐기며 쉽게 배울 수 있는 놀이 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한글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 촉각, 미각 등 다감각을 통해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의 한글 학습 교구에 비해, 학습한 한글을 장기간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한글 학습 시간을 놀이의 시간으로 인식시키며 한글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가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음각판재부와 종성판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음각판재부를 구성하는 제1판재, 제2판재 및 제3판재와 결합돌기 및 돌기수용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음각판재부에 형성된 초성체, 세로중성체 및 가로중성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초성체를 구성하는 제1초성수직선, 제2초성수직선, 제3초성수직선, 제1초성수평선, 제2초성수평선, 제3초성수평선, 제1초성사선, 제2초성사선 및 초성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세로중성체를 구성하는 제1세로중성수직선, 제2세로중성수직선, 제1세로중성수평선, 제2세로중성수평선, 제3세로중성수평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가로중성체를 구성하는 제1가로중성수직선, 제2가로중성수직선, 제3가로중성수직선 및 가로중성수평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음각판재부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종성판재부 또는 가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종성판재부에 형성된 종성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 및 도 4의 종성체를 구성하는 제1종성수직선, 제2종성수직선, 제3종성수직선, 제1종성사선, 제2종성사선, 제1종성수평선, 제2종성수평선, 제3종성수평선, 및 종성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어느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결합돌기가 다른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돌기수용홈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각판재부(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성판재부(20)를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각판재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재(101), 제2판재(102) 및 제3판재(103)의 결합으로 형성된 나무판재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판재(10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수용홈(140)이 타공된 판재가 되고, 제2판재(102)는 일부가 제1판재(101)의 오른쪽으로 돌출되도록 제1판재(101)뒷면에 부착된 판재가 된다. 그리고 제3판재(103)는 제2판재(102)에 후면에 제1판재(101)와 평행하게 부착된 판재가 된다. 즉, 음각판재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판재의 일부인 결합돌기(104)가 제1판재(101)와 제3판재(103)의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각판재부(10)는 제2판재(102)의 일부가 되는 결합돌기(104)가 오른쪽으로 돌출됨에 따라, 왼쪽에는 결합돌기(104)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의 홈을 가지는 돌기수용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각판재부(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성체(110),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로중성체(120),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중성체(130) 그리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홈(140)을 포함한다.
초성체(110)는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과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사선(1107,1108)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초성수직선(1102)과 하나의 초성수평선(1105) 그리고 복수 개의 초성사선(1107,1108)을 교차하는 하나의 초성원(1109)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위치하는 제1초성수직선(1101), 제1초성수직선(1101)에서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초성수직선(1102)과 제2초성수직선(1102)에서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3초성수직선(1103)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초성수직선(1101)과 제2초성수직선(1102)의 간격 그리고 제2초성수직선(1102)과 제3초성수직선(1103)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초성수직선(1101) 및 제3초성수직선(1103)과 제2초성수직선(1102)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초성수직선(1102)은 제1초성수직선(1101)과 제3초성수직선(1103)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초성수평선(1104)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제1초성수평선(1104), 제1초성수평선(1104)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초성수평선(1105)과 제2초성수평선(1105)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3초성수평선(1106)이 될 수 있다. 제2초성수평선(1105)은 도 5의 (a)에 도시된 제1초성수직선(1101)과 제2초성수직선(1102) 그리고 제3초성수직선(1103)의 중심점(C.P)을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초성수평선(1104)과 제2초성수평선(1105)의 간격 그리고 제2초성수평선(1105)과 제3초성수평선(1106)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초성사선(1107,1108)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초성수평선(1104)의 가장 오른쪽의 지점에서 제3초성수평선(1106)의 가장 왼쪽의 지점으로 이어지는 제1초성사선(1107)과 제1초성수평선(1104)의 가장 왼쪽의 지점에서 제3초성수평선(1106)의 가장 오른쪽의 지점으로 이어지는 제2초성사선(1108)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초성원(1109)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초성수직선(1102)과 제2초성수평선(1105)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1초성수직선(1101)과 제3초성수직선(1103) 그리고 제1초성수평선(1104)과 제3초성수평선(1106)에 접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초성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선분들이 메트릭스적으로 얼개되어, 초성체(110)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초성을 유아동이 올바른 획 그리고 올바른 순서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세로중성체(120)는 초성체(110)에서 오른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1201,1202)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1201,1202)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평선(1203~1205)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1201~1202)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중성체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1세로중성수직선(1201)과 제1세로중성수직선(1201)의 왼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세로중성수직선(1202)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평선(1203~1205)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로중성수직선(1201)과 제2세로중성수직선(1202)의 중심점(C.P)을 가로 지르며 일단이 제2세로중성수평선(1204)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1세로중성수평선(1203) 그리고 제1세로중성수평선(1203)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형성된 제2세로중성수평선(1204) 그리고 제1세로중성수평선(1203)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형성된 제3세로중성수평선(1205)을 포함한다.
가로중성체(130)는 초성체(110)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한 개의 가로중성수평선(1301)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한 개의 가로중성수평선(1301)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가로중성수평선(1302~1304)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개의 가로중성수평선(1301)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중성수평선(1301)은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과 평행한 선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로중성수직선(1303~1305)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중성수평선(1301)의 중심점(C.P)에 교차하는 제1가로중성수직선(1302)과 제2가로중성수직선(1302)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제2가로중성수직선(1303) 그리고 제1가로중성수직선(1301)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3가로중성수직선(130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세로중성체(120) 및 가로중성체(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선분들이 메트릭스적으로 얼개되어, 세로중성체(120) 및 가로중성체(130)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한글의 중성을 유아동이 올바른 획 그리고 올바른 순서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수용홈(14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용홈(14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에 종성판재부(20)를 수용하여 종성판재부(20)가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용홈(140)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30)를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수용홈(140)에 수용되는 가루(30)는 소금, 설탕, 밀가루 또는 모래가 될 수 있다.
종성판재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성판재부(20)는 앞서 수용홈(140)에 수용되었을 때 음각판재부(10)에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종성판재부(20)는 음각판재부(10)의 제1판재와 동일한 높이에 맞추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성판재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성체(210)를 포함한다.
종성체(210)는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2104~2106),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과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2104~2106)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성사선(2107,2108)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종성수직선(2102)과 하나의 종성수평선(2105) 그리고 복수 개의 종성사선(2107,2108)을 교차하는 하나의 종성원(2109)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성체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종성수직선(2101), 제1종성수직선(2101)에서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종성수직선(2102)과 제2종성수직선(2102)에서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3종성수직선(2103)이 될 수 있다. 이때, 제2종성수직선(2102)은 제1종성수직선(2101)과 제3종성수직선(2103)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종성수평선(2104)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종성수직선(2101)과 제2종성수직선(2102)의 간격 그리고 제2종성수직선(2102)과 제3종성수직선(2103)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2104~2106)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성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종성수평선(2104), 제1종성수평선(2104)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종성수평선(2105)과 제2종성수평선(2105)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3종성수평선(2106)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종성수평선(2105)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성수직선(2101)과 제2종성수직선(2102) 그리고 제3종성수직선(2103)의 중심점(C.P)을 교차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종성수평선(2104)과 제2종성수평선(2105)의 간격 그리고 제2종성수평선(2105)과 제3종성수평선(2106)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종성사선(2107,2108)은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성수평선(2104)의 가장 오른쪽의 지점에서 제3종성수평선(2106)의 가장 왼쪽의 지점으로 이어지는 제1종성사선(2107)과 제1종성수평선(2104)의 가장 왼쪽의 지점에서 제3종성수평선(2106)의 가장 오른쪽의 지점으로 이어지는 제2종성사선(2108)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종선원(2109)은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성수직선(2102)과 제2종성수평선(2105)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1종성수직선(2101)과 제3종성수직선(2103) 그리고 제1종성수평선(2101)과 제3종성수평선(2103)에 접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종성체(210)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을 유아동이 올바른 획 그리고 올바른 순서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결합과 종성판재부의 작동 그리고 수용홈에 수용된 가루에 쓰여지는 글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어느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결합돌기가 다른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돌기수용홈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2의 종성판재부가 음각판재부의 수용홈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8의 수용홈에 수용된 가루에 유아동이 글자를 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음각판재부는 다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1)의 음각판재부와 결합되어 2음절 이상 다수의 한글로 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결합돌기(104)가 다른 하나의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의 돌기수용홈(105-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해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다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1)와 결합되며 유아동이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학습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성판재부(20)는 종성판재부(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수용홈(140)에 수용되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40)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40)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딩 하는 종성판재부(20)는 종성체(210)를 초성체에 형성되는 글자에 적합하게 이동하며 음각판재부(10)에 형성된 글자와 조합되어 올바르게 글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수용홈(1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금, 설탕 또는 밀가루 또는 모래 등 가루(30)가 수용된다. 이때, 가루(30)는 유아동이 손가락 등으로 누르거나 따라쓸 경우 13의 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ㅈ’글자 자국이 나도록 할 수 있고, 도 13의 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ㅎ’글자 자국이 나도록 할 수 있다.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수용홈(140)에 수용된 가루(30)를 통해, 손가락 소근육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은 유아동이 가루에 한글을 그리며 낙서하듯 즐기면서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감각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감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즉, 유아동이 다양한 감각과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를 통해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동은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S1)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S2) 그리고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각(S3)을 활용하여 한글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각기관을 자극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도구들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점토(A),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빨대(B),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마끈(C),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끈(D), 도 1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사포(E) 및 도 1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과당액(F) 그리고 도 1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30)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각종 도구들을 사용하여 한글을 형성할 수 있는 용례예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3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도구들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컬러점토(A)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다양한 글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컬러점토(A)는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ㅇ’글자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ㅈ’글자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ㅊ’글자로, 도 1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ㅋ’글자로, 도 1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ㅌ’글자로, 도 1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ㅍ’글자로, 또한 도 1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ㅎ’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글자는 각 획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점토가 사용되어 다채로운 색상을 가지는 글자로 생성될 수 있다.
컬러빨대(B)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다양한 글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컬러빨대(B)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글자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글자로,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글자로, 도 1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ㄹ’글자로, 도 1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글자로, 도 19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ㅂ’글자로, 도 19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ㅅ’글자로, 또한 도 19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ㅎ’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글자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아동은 오색(빨강,노랑,초록,파랑,보라)의 재료로 초성체(110) 또는 종성체(210)의 음각 선분을 따라 한글을 만들며 한글을 익히고, 글자의 획순서를 정확히 익힐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유아동은 5개의 선분으로 만들 수 있는 ‘ㄹ’ 글자를 오색의 색상으로 만들며 ‘ㄹ’글자의 획순서를 정확히 익힐 수 있다.
마끈(C)과 요철끈(D) 또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다양한 글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마끈(C)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ㄱ’글자로,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글자로,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철끈(D)은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ㄱ’글자로,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컬러점토(A), 컬러빨대(B) 그리고 마끈(C) 및 요철 끈(D)을 통해 형성된 각 글자는 각 획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하나의 글자가 다채로운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과 질감은 유아동의 시각 및 촉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컬러사포(E) 및 액상과당액(F)이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다양한 글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컬러사포(E) 및 액상과당액(F)은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중성체(120, 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글자로, 컬러사포(E) 및 액상과당액(F)은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중성체(120, 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글자로, 컬러사포(E) 및 액상과당액(F)은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의 초성체(110), 중성체(120, 130) 및 종성체(210)에 들어가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에 사용된 컬러사포(E)는 유아동의 촉각과 시각을 자극하며 한글을 학습 할 수 있도록 하고,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에 사용된 액상과당액(F)은 유아동의 미각과 시각 그리고 촉각을 자극하며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손가락 소근육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은 유아동도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및 가로중성체(130)에 쓰여진 한글을 수용홈(140)에 수용된 가루(30)에 트레이싱 즉, 따라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례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H) 즉 유아동이 초성체(110)에 컬러점토(A)로 형성된 ‘ㅎ’글자를 보고 가루(30)에 ‘ㅎ’글자를 따라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동이 초성체(110)에 컬러빨대(B)로 형성된 ‘ㅈ’글자를 보고 가루(30)에 ‘ㅈ’글자를 따라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따라쓰기 학습은 연필 등 필기 용구를 잡고 쓰기가 무리인 시기인 영유아가 가루(30) 위에 낙서하듯 즐기면서 쉽고 재미있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10개의 단모음 그리고 11개의 이중모음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단모음과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이중모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세로중성체 (120)에 컬러점토(A)를 넣으며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ㅏ’글자를,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ㅓ’글자를, 그리고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ㅣ’글자를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가로중성체(130)에 컬러점토(A)를 넣으며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ㅡ’글자를,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ㅗ’글자를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세로중성체(120)와 가로중성체(130)가 결합되어 컬러점토(A)를 넣고 이중모음을 만들 수 있어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ㅔ’글자를,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ㅘ’글자를 , 그리고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ㅝ’글자를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쌍자음, 겹받침, 단모음, 이중모음 등도, 컬러점토(A), 컬러빨대(B), 마끈(C)과 요철끈(D)), 컬러사포(E) 그리고 액상과당액(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5개의 쌍자음과 11개의 겹자음 즉,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과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겹자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초성체(110)에 컬러점토(A)를 넣으며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ㄲ’글자를,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ㄸ’글자를, 도 2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ㅃ’글자를, 도 2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ㅆ’글자를, 그리고 도 2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ㅉ’글자를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종성체(210)에 컬러점토(A)를 넣으며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ㄲ’글자를,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ㅆ’글자를, 도 2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ㄵ’글자를, 도 3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ㄶ’글자를, 도 3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ㄺ’글자를, 그리고 도 3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ㅄ’글자를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가로중성체(130) 및 종성체(210)에 대한 글쓰기 공부에 앞서서, 컬러점토, 컬러빨대, 끈 등 끼워넣는 놀이 동작을 통해 한글 학습에 흥미를 유발시키며 쉽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 각각을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감각을 통해 글자가 형성되는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뇌에 학습된 원리가 장기기억으로 각인되도록 함으로써 거울 오류(mirror error)에 의한 난독 글자(‘ㅏ’ ‘ㅓ’, ‘ㅑ’ ‘ㅕ’)까지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위 4개의 모음은 세로중성체(120)에서 도 3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ㅏ’, ‘ㅓ’ 글자로,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ㅑ’, ‘ㅕ’ 글자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및 종성체(210)의 글자와 결합하여 수 많은 단어를 형성하게 되며, 이 단어에 컬러점토(A) 또는 마끈(C)과 요철끈(D) 등 다양한 도구를 끼워넣어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일례로, 한글 학습 교구(1)는 초성체(110), 세로중성체(120)) 및 종성체(210)에 컬러사포(E)를 끼워넣어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지’, ‘거지’ 한글을, 도 3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 ‘너’ 한글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며, 컬러점토(A)를 끼워넣어 도 3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야자’, ’여자’ 한글을, 그리고 도 3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약사’, ’역사’ 한글을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거울상의 오류를 바로잡아 이를 식별하여 난독 글자를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는 유아동이 한글을 학습하는 데 있어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내용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10: 음각판재부
101: 제1판재 102: 제2판재
103: 제3판재 104: 결합돌기
105: 돌기수용홈
110: 초성체
1101: 제1초성수직선 1102: 제2초성수직선
1103: 제3초성수직선
1104: 제1초성수평선 1105: 제2초성수평선
1106: 제3초성수평선
1107: 제1초성사선 1108: 제2초성사선
1109: 초성원
120: 세로중성체
1201: 제1세로중성수직선 1202: 제2세로중성수직선
1203: 제1세로중성수평선 1204: 제2세로중성수평선
1205: 제3세로중성수평선
130: 가로중성체
1301: 가로중성수평선
1302: 제1가로중성수직선 1303: 제2가로중성수직선
1304: 제3가로중성수직선
140: 수용홈
20: 종성판재부
210: 종성체
2101: 제1종성수직선 2102: 제2종성수직선
2103: 제3종성수직선
2104: 제1종성수평선 2105: 제2종성수평선
2106: 제3종성수평선
2107: 제1종성사선 2108: 제2종성사선
2109: 종성원
30: 가루
A: 컬러점토 B: 컬러빨대(스트로우)
C: 컬러마끈 D: 요철끈
E: 컬러사포 F: 액상과당액
H: 사용자
S1: 시각 S2: 촉각
S3: 미각

Claims (7)

  1.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초성수직선(1101~1103)과 복수 개의 초성수평선(1104~1106)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초성사선(1107,1108)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초성수직선(1102)과 하나의 초성수평선(1105) 및 복수 개의 초성사선(1107,1108)을 교차하는 하나의 초성원(1109)을 포함하는 초성체(110)가 형성된 음각판재부(10)를 포함하고,
    음각판재부(10)는,
    초성체(110)에서 오른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1201,1202)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직선(1201,1202)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세로중성수평선(1203~1205)을 가지는 세로중성체(120)를 포함하고,
    음각판재부(10)는,
    초성체(110)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각으로 형성된 한 개의 가로중성수평선(1301)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가로중성수평선(1301)에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가로중성수직선(1302~1304)을 가지는 가로중성체(130)를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음각판재부(10)는,
    세로중성체(120) 또는 가로중성체(130)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초성체(110)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사각형의 수용홈(140)을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4. 제3항에 있어서,
    음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2104~2106)과,
    음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종성수직선(2101~2103)과 복수 개의 종성수평선(2104~2103)을 교차하는 복수 개의 종선사선(2107, 2108)과,
    음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종성수직선(2102)과 하나의 종성수평선(2105) 그리고 복수 개의 종성사선(2107,2108)을 교차하는 하나의 종성원(2109)을 포함하는 종성체(210)가 형성되어 수용홈(140)에 수용되어 수용홈(140)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종성판재부(20)를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5. 제1항에 있어서,
    초성체(110)에 수용되어 글자를 형성할 수 있는 컬러점토(A), 컬러빨대(B), 마끈(C), 요철끈(D) 컬러사포(E) 그리고 액상과당액(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6. 제3항에 있어서,
    수용홈(140)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에 따라 자국을 형성하는 가루(30)를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7. 제1항에 있어서,
    음각판재부(10)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04)와,
    타측에 결합돌기(104)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의 홈이 형성된 돌기수용홈(105)을 포함하는,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1).
KR1020230061364A 2023-05-11 2023-05-11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KR10258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364A KR102584134B1 (ko) 2023-05-11 2023-05-11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364A KR102584134B1 (ko) 2023-05-11 2023-05-11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134B1 true KR102584134B1 (ko) 2023-09-27

Family

ID=8818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364A KR102584134B1 (ko) 2023-05-11 2023-05-11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1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365U (ko) * 1982-12-17 1984-07-25 심재훈 조립식 블록완구를 겸한 한글.숫자.영문 교습구
KR101229066B1 (ko) * 2009-11-03 2013-02-05 (주)페찌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101870495B1 (ko) 2015-09-22 2018-06-22 구본섭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102093779B1 (ko) * 2018-08-02 2020-03-26 이영호 어린이용 한글연습자
KR20200140986A (ko) * 2019-06-09 2020-12-17 이춘배 휴대 탈착이 가능한 필력 증진용 카드 교구 및 카드형 필력 증진 교구 장치
KR200495967Y1 (ko) * 2020-11-25 2022-09-29 임해원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365U (ko) * 1982-12-17 1984-07-25 심재훈 조립식 블록완구를 겸한 한글.숫자.영문 교습구
KR101229066B1 (ko) * 2009-11-03 2013-02-05 (주)페찌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101870495B1 (ko) 2015-09-22 2018-06-22 구본섭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102093779B1 (ko) * 2018-08-02 2020-03-26 이영호 어린이용 한글연습자
KR20200140986A (ko) * 2019-06-09 2020-12-17 이춘배 휴대 탈착이 가능한 필력 증진용 카드 교구 및 카드형 필력 증진 교구 장치
KR200495967Y1 (ko) * 2020-11-25 2022-09-29 임해원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4-0003365호(1984.7.25.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0986호(2020.12.17. 공개)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567A (en) Toy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braille
US4158921A (en) Educational teaching and self-correcting apparatus adaptable to a variety of subject matters
Lamme Handwriting: In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KR100674308B1 (ko) 글자 쓰기 순서 교정판
KR200423325Y1 (ko) 퍼즐형 학습교구
CN110189591A (zh) 一种用于数学思维训练的数学教具
KR102584134B1 (ko) 음각 글자판 한글 학습 교구
KR102160938B1 (ko)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JP3048738U (ja) 文字学習パネルセット
KR100491108B1 (ko) 입체형 글씨체가 각인된 글씨 쓰기 연습용 교재
CN202802778U (zh) 一种适合幼儿智力开发的玩具盘
KR20100078926A (ko) 한자학습교재
KR20100114285A (ko) 학습용 퍼즐
US20220044592A1 (en) Scripor alphabet - method for representing col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CN203750186U (zh) 字母数字早教积木
US6176704B1 (en) Children's learning toy
Crain Ciphers for the Little Folks: A Method of Teaching the Greatest Work of Sir Francis Bacon
KR20080020873A (ko) 교육용블럭
KR200291798Y1 (ko) 한글학습용 퍼즐
CN209993132U (zh) 一种拼读练习板
KR200330572Y1 (ko) 한자 학습 교재
CN203573523U (zh) 一种立体型十用学具
KR200173128Y1 (ko) 유아용 한자 교습구
CN2178187Y (zh) 凹痕习字板
CN211479305U (zh) 一种思政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