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62B1 -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62B1
KR102583462B1 KR1020220181367A KR20220181367A KR102583462B1 KR 102583462 B1 KR102583462 B1 KR 102583462B1 KR 1020220181367 A KR1020220181367 A KR 1020220181367A KR 20220181367 A KR20220181367 A KR 20220181367A KR 102583462 B1 KR102583462 B1 KR 10258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girder
steel pipe
guid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혁
Original Assignee
김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혁 filed Critical 김정혁
Priority to KR102022018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교각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거더설치부, 및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된 거더설치부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되기 위한 충진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거더와 교각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TCB composite girder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합성거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거더와 교각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강관 거더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강관 거더는 굽힘 강성을 가져야 한다.
강관 거더는 교량 상판의 밑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교량 상판이 자체 하중이나 외력에 의하여 밑으로 힘을 받는 경우 강관 거더의 위쪽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아래쪽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단순한 강관으로만 이루어지면 이러한 응력분포를 못 이겨 휘어지기 쉬우므로 인장이나 압축응력에 버티는 힘이 강한 콘크리트를 강관 내에 타설한다.
이는 종래 등록특허 제1059578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인장이나 압축응력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강관 거더는 단면이 원형으로 한정되고, 내부에 다양한 보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외관이 단일화되어 개발에 따른 기대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판에 대한 지지력을 유지함은 물론,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설치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교각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거더설치부, 및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된 거더설치부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되기 위한 충진물,을 포함하여 강관거더와 교각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교각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거더설치부, 및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된 거더설치부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되기 위한 충진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더설치부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상기 교각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설치몸체,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되도록 상기 설치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충진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설치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몸체는, 상기 충진공간부의 저면을 형성된 원형강관으로 상기 강관거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설치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최상단부는 설치몸체의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최하단부는 설치몸체의 하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충진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관통설치된 강관거더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충진공간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받침격벽, 상기 한 쌍의 받침격벽 사이에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스터드볼트, 및 상기 한 쌍의 받침격벽 사이로 충진되는 받침콘크리트충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격벽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중간부, 상기 격벽중간부의 하단부와 상기 설치몸체 저면과 연결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격벽하단부, 및 상기 격벽중간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격벽상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스터드볼트는, 상기 한 쌍의 받침격벽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단부는, 상기 강관거더의 해당부분에 대응되도록 일정 호를 갖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관거더를 관통공에 관통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설치가이드부,를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치가이드부는, 내부에 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에 구비되는 설치가이드, 및 상기 강관거더와 설치가이드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가이드에 구비되는 가이드패킹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패킹부는, 내부에 팽창공간부를 갖는 가이드패킹, 상기 팽창공간부로 압축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체공급부, 및 상기 팽창공간부로 압축기체를 공급하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패킹에 구비되는 가이드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더설치부에 위치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강관거더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강격벽, 상기 한 쌍의 보강격벽 사이에 돌출되는 복수의 보강스터드볼트, 및 상기 한 쌍의 보강격벽 사이로 충진되는 보강콘크리트충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격벽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격벽중간부, 상기 보강격벽중간부의 하단부와 상기 강관거더를 연결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격벽하단부, 및 상기 보강격벽중간부의 상단부와 상기 강관거더를 연결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격벽상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스터드볼트는, 상기 한 쌍의 보강격벽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에 의하면, 강관거더와 교각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이 더 구비된 거더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가 더 구비된 강관거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이 더 구비된 거더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가 더 구비된 강관거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는 강관거더(100)와 거더설치부(200) 및 충진물(300)을 포함한다.
강관거더(100)는 여러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그리고 거더설치부(200)는 내부에 충진공간부(202)를 갖고, 교각(20)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강관거더(100)가 관통설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거더설치부(200)와 교각(20) 사이에는 스터드(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충진물(300)은 강관거더(100)가 관통설치된 거더설치부(200)의 충진공간부(202)에 충진된다.
이러한 거더설치부(200)에 의해 강관거더(100)를 교각(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강관거더(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거더설치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몸체(210)와 관통공(220) 및 설치덮개(230)를 포함한다.
설치몸체(2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충진공간부(202)를 갖고, 교각(20)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관통공(220)은 강관거더(100)가 관통되도록 설치몸체(210)에 형성된다.
설치덮개(230)는 충진공간부(202)를 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충진물(300)이 충진된 충진공간부(202)를 폐쇄시킨다.
여기서, 관통공(220)은 설치몸체(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최상단부는 설치몸체(210)의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최하단부는 설치몸체(210)의 하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관통공(220)은 설치몸체(210)의 상단면과 하단면 각 중앙부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관통설치된 강관거더(100)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거더설치부(200)에 설치된 강관거더(100)의 하측은 스터드(22)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은 상판에 설치되어 지지됨에 따라,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몸체(210)는 충진공간부(202)의 저면을 형성되는 것으로,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강관거더(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충진공간부(202)의 내경은 강관거더(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충진되는 충진물(300)이 강관거더(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유입되어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진공간부(202)에는 공급관(250)이 구비되되, 이 공급관(250)의 하단부가 충진공간부(202)의 저면부에 위치되어 충진물(300)이 저면부터 조밀하게 충진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거더 설치구조는 설치가이드부(400)를 더 포함된다.
이 설치가이드부(400)는 강관거더(100)를 관통공(220)에 관통설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설치가이드부(400)는 설치가이드(410)와 가이드패킹부(420)를 포함한다.
설치가이드(410)는 내부에 강관거더(100)가 관통되기 위한 가이드공을 갖고, 관통공(220)에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패킹부(420)는 강관거더(100)와 설치가이드(410)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가이드(410)에 구비된다.
이 가이드패킹부(420)는 가이드패킹(422)과 압축기체공급부(424) 및 가이드밸브(426)를 포함한다.
가이드패킹(422)은 내부에 팽창공간부(4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축기체공급부(424)는 팽창공간부(422a)로 압축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가이드밸브(426)는 팽창공간부(422a)로 압축기체를 공급하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패킹(422)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시공 시, 이동식 압축기체공급부(424)를 가이드밸브(426)에 설치되어 팽창공간부(422a)로 압축기체가 공급된 후, 압축기체공급부(424)를 제거한다.
이에, 가이드패킹(422)은 팽창되어 강관거더(100)와 설치가이드(410)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충진공간부(202)에 충진된 충진물(300)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거더(100)는 보강부(11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110)는 거더설치부(200)에 위치되는 강관거더(100)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부(110)는 보강격벽(112)과 보강스터드볼트(114) 및 보강콘크리트충전부(116)를 포함한다.
보강격벽(112)은 한 쌍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강관거더(100)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보강격벽(112) 사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복수 구비된다.
보강콘크리트충전부(116)는 한 쌍의 보강격벽(112) 사이로 충진된다.
보강격벽(112)은 보강격벽중간부(1122)와 보강격벽하단부(1124) 및 보강격벽상단부(1126)를 포함한다.
보강격벽중간부(112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격벽하단부(1124)는 보강격벽중간부(1122)의 하단부와 강관거더(100)를 연결시킨다.
보강격벽상단부(1126)는 보강격벽중간부(1122)의 상단부와 강관거더(100)를 연결시킨다.
보강스터드볼트(114)는 한 쌍의 보강격벽(112)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보강부(110')는 내부가 통공된 보강파이프(112')와 내부에 충진되는 보강충전부(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파이프(112')는 강관거더(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스터드(22)의 상측에 세워지도록 위치된다.
이에, 강관거더(100)와 스터드(22)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강관거더 110 : 보강부
200 : 거더설치부 210 : 설치몸체
220 : 관통공 230 : 설치덮개
300 : 충진물 400 : 설치가이드부

Claims (7)

  1. 설치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교각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되기 위한 거더설치부;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설치된 거더설치부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되기 위한 충진물; 및
    상기 강관거더를 관통공에 관통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설치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더설치부는,
    내부에 충진공간부를 갖고, 상기 교각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설치몸체;
    상기 강관거더가 관통되도록 상기 설치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충진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설치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몸체는,
    상기 강관거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설치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최상단부는 설치몸체의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최하단부는 설치몸체의 하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설치가이드부는,
    내부에 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에 구비되는 설치가이드; 및
    상기 강관거더와 설치가이드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가이드에 구비되는 가이드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패킹부는,
    내부에 팽창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패킹;
    상기 팽창공간부로 압축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압축기체공급부; 및
    상기 팽창공간부로 압축기체를 공급하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패킹에 구비되는 가이드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설치부에 위치되는 강관거더 내부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81367A 2022-12-22 2022-12-22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KR10258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67A KR102583462B1 (ko) 2022-12-22 2022-12-22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67A KR102583462B1 (ko) 2022-12-22 2022-12-22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462B1 true KR102583462B1 (ko) 2023-09-26

Family

ID=8819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367A KR102583462B1 (ko) 2022-12-22 2022-12-22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63B1 (ko) * 2010-05-06 2010-12-14 주식회사 유신 강관을 이용한 교량용 거더
KR20150043708A (ko) * 2013-10-15 2015-04-23 백규호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거더와 그 제작방법
KR101863006B1 (ko) * 2017-11-03 2018-05-31 김정혁 미관과 성능이 향상된 교량용 강관거더
KR102433336B1 (ko) * 2022-02-18 2022-08-19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63B1 (ko) * 2010-05-06 2010-12-14 주식회사 유신 강관을 이용한 교량용 거더
KR20150043708A (ko) * 2013-10-15 2015-04-23 백규호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거더와 그 제작방법
KR101863006B1 (ko) * 2017-11-03 2018-05-31 김정혁 미관과 성능이 향상된 교량용 강관거더
KR102433336B1 (ko) * 2022-02-18 2022-08-19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강관거더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306B1 (ko)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AU2007206065B2 (en) Hybrid composite beam system
CN111364350B (zh) 一种大挑臂快速安装的轻型钢-砼组合盖梁
KR101991930B1 (ko)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2015200158A (ja) サンドイッチ型複合頂版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物
KR101127923B1 (ko)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68889B (zh) 预应力铝-混组合桁架梁及其施工方法
KR100815230B1 (ko)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강재빔을 포함하는프리캐스트 합성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2583462B1 (ko) 티씨비 합성거더 설치구조
KR101096170B1 (ko)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JP2009161907A (ja) 橋梁の柱頭部または桁端部の複合中空構造
KR101955534B1 (ko) 내진성능이 강화된 무용접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1770B1 (ko) 파일 결합형 강합성 무교대 라멘교
KR100682790B1 (ko) 강상자형 교량의 거더
KR101159675B1 (ko)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10843A (ko) 합성보, 바닥구조체 및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접합구조
CN106869405B (zh) 预制混凝土柱、混凝土组合柱及其制造方法
JP475759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1863006B1 (ko) 미관과 성능이 향상된 교량용 강관거더
JP2000017880A (ja) Pc貯槽の側壁
KR100740512B1 (ko) 들보용 합성거더
KR101691546B1 (ko) 중공 박스형 콘크리트 합성보용 강재 조립보
KR101156223B1 (ko)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2495902B1 (ko) Cft강관기둥과 충전브라켓의 접합구조
KR100729370B1 (ko) 합성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