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368B1 -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368B1
KR102583368B1 KR1020230026450A KR20230026450A KR102583368B1 KR 102583368 B1 KR102583368 B1 KR 102583368B1 KR 1020230026450 A KR1020230026450 A KR 1020230026450A KR 20230026450 A KR20230026450 A KR 20230026450A KR 102583368 B1 KR102583368 B1 KR 10258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fire
supply lines
opt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향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2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은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하는 배전함, 외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콘센트, 배전함으로부터 복수의 콘센트로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선,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감지부 및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에서 공급 및 이동될 수 있는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복수의 전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이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함,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불량 또는 누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Electrical Wiring Defect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전류를 분석하여 전기배선의 불량을 판단 검출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한 이후에 전기배선을 이용하여 전기장치 및 전자장치들을 콘센트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갑자기 전원이 꺼지거나 누전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전기장치 및 전자장치를 사용하는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후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되면 프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내어 잘 사용하고 있어도 전기배선으로 물이 새거나 콘센트 내에 먼지가 쌓이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누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기배선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점검을 하거나 누전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물이 새거나 하는 등의 누전원인이 발생하여도 이를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센트에 먼지가 쌓이거나 연결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은 사용자가 생활을 하는 중에 파악하기 어려우며 외출을 한 경우 습기로 인하여 콘센트의 누전이 자연적으로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은,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하는 배전함; 외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배전함으로부터 복수의 콘센트로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에서 공급 및 이동될 수 있는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이 상기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전함,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불량 또는 누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불량 또는 누전으로 판단하여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실내의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전함과 상기 복수의 콘센트 상의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으로 이동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전류단속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전류범위의 최소치와 최대치에서 이격된 전류값인 임계전류값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전류값이 임계전류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콘센트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류단속밸브를 제어하면 전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임계전류값이 감지되면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전함에서 감지되는 전류값과 상기 복수의 전류감지부 각각에서 감지되는 전류값 총합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하여 유지되는 경우 누전불량으로 판단하면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과 소정 이격거리를 갖고 인접 배치되는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로 광신호를 공급하는 광신호발생기; 및 상기 광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광신호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신호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정상상태에서의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저장하며, 상기 광신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광신호가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하면 광케이블을 전기배선에 인접하여 배치하며 감지되는 광신호의 정상광세기범위, 정상산란범위 및 정상주파수범위를 벗어나면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장애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케이블의 장애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에 대한 상기 광케이블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장애변화패턴을 저장하며, 상기 광신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변화패턴이 상기 장애변화패턴과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하면 정확한 전기배선의 장애를 판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불량 또는 누전으로 판단하여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실내의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임계전류값이 감지되면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장애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케이블의 장애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정확한 전기배선의 장애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의 전체 제어블록이다.
도 2는 제1전력차단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광신호를 이용한 불량 검출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배전함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배전함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소화부의 화재감시설명도이다.
도 7과 도 8은 센서부와 이동본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센서부와 이동본체의 락킹 및 해제 동작도이다.
도 10은 센서부와 이동본체의 락킹 상세 동작도이다.
도 11은 센서부의 이동동작도이다.
도 12는 센서부의 변형예시도이다.
도 13은 수직이동본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1)의 전체 제어블록이고, 도 2는 제1전력차단부(51)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3은 광신호를 이용한 불량 검출 제어블록도이고, 도 4는 배전함(1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1)은 배전함(10), 콘센트(20), 전원공급선(30), 전류감지부(40), 전력차단부(50), 메인전력차단부(60), 광케이블(70), 광신호발생기(72), 광신호감지부(74), 통신부(76), 디스플레이부(78), 사용자입력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배전함(10)은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배전함(10)은 배전함본체(11), 센서부(12), 소화부(13), 락킹부(14), 배출펌프(15) 및 역류방지밸브(16)를 포함한다.
배전함본체(11)는 외부의 전원이 유입되는 곳으로 사각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는 사람이 입출할 수 있는 크기일 수도 있고, 커다란 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전함본체(11)는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형성부재, 배전함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관,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배출펌프 및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배출펌프가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는 진동센서(121), 열센서(122), 연기센서(123), 습도센서(124), 방전감지센서(125) 및 카메라(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센서(121)는 배전함본체(11)에 지지되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열센서(122)는 배전함본체(11) 내측에 지지되어 내부의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연기센서(123)는 배전함본체(11) 내측에 지지되어 내부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습도센서(124)는 배전함본체(11) 내측에 지지되어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방전감지센서(125)는 자외선식, 적외선식, 자외선. 적외선 복합형일 수 있으며 방전으로 인한 불꽃을 포함하여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126)는 배전함본체(11) 내측을 촬영할 수 있다.
소화부(13)는 배전함본체(11) 내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소화부(13)는 본체이동구동부(131), 수직이동본체(132), 수직이동구동부(133),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포함한다. 소화부(13)는 이동레일(140)과 이동본체(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동레일(140)은 이동본체(141)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레일(140)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레일(140)은 사용자공간의 수평영역과 수직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하나의 폐루프를 갖고 배치되는 순환이동레일(140-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이동본체(141)는 순환이동레일(140-1)을 따라 사용자공간을 전체적으로 순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본체(141)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는 이동화재감지기에 의해 배전함본체(11) 내측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레일(140)은 폐루프체인으로 마련되며 롤러에 설치된 스프로켓에 걸려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레일(140)은 직선, 곡선, 파형, 원형 및 폐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본체(141)는 이동레일(140)에 지지되어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본체(141)에는 센서부(12)가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본체(141)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31)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며, 센서부(12)가 설치된다. 이동본체(141)는 이동레일(140)이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으로 마련되는 경우 회전축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레일(140)의 회전에 의해 이동본체(141)가 이동될 수 있다.
본체이동구동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40) 각각에 배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본체(141)를 이동시킨다. 본체이동구동부(131)는 이동레일(140)이 회전축으로 마련되는 경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모터(131-1)일 수도 있다. 본체이동구동부(131)는 이동본체(141) 내에 배치되어 전동휠의 구동모터처럼 마련되어 이동본체(141)를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체이동구동부(131)는 이동레일(140)이 폐루프체인으로 마련되는 경우 롤러구동모터(131-2)일 수도 있다.
수직이동본체(132)는 이동본체(141)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센서부(12)가 설치된다. 수직이동본체(132)는 수평회전부(132-1), 수평회전구동부(132-2), 수직회전부(132-3) 및 수직회전구동부(132-4)를 갖는다.
수평회전부(132-1)는 해당 센서부(12)를 지지하며 수직이동본체(132)에 대하여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수평회전구동부(132-2)는 수평회전부(132-1)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평회전구동부(132-2)는 수평회전부(132-1)의 중심축에 연결되는 수평회전축과 수평구동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직회전부(132-3)는 해당 센서부(12)를 지지하며 수직이동본체(132) 또는 수평회전부(132-1)에 대하여 수직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수직회전부(132-3)는 수직이동본체(132)에 대하여 힌지결합과 같이 결합된다. 수직회전구동부(132-4)는 수직회전부(132-3)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직회전구동부(132-4)는 힌지결합된 힌지에 연결되는 수직회전축과 수직구동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직이동구동부(133)는 수직이동본체(132)를 수직 이동시킨다. 수직이동부(133)는 상호 슬라이딩 삽입되어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직이중관(133-1)과 복수의 수직이중관(133-1)이 신장되도록 구동하는 수직구동부(13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이중관(133-1) 각각이 다른 외경 및 내경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중첩된다. 복수의 수직이중관(133-1)은 상호 실린더와 피스톤과 같이 구성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수직구동부(133-2)에 의해 신장된다.
이동본체(141)가 전동휠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동본체(141)는 센서부(1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141-1), 본체부(14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휠(141-2), 휠(141-2)을 구동할 수 있는 휠회전모터(141-3), 휠회전모터(141-3)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배터리(141-4) 및 전원공급어댑터(14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재가 배전함본체(11) 내부에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데 진압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소화수진압부(134)는 수분사노즐(미도시), 수분사구동부(미도시), 수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수분사노즐은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수가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수진압부(134)는 수분사노즐을 수용하는 수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수분사회전축은 소화수진압부(134)의 수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분사회전축에는 수분사노즐이 결합된다. 수분사구동부는 소화수를 수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수분사펌프와 수분사노즐이 수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수분사구동부는 소화수진압부(134)의 수분사본체는 수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화액진압부(135)는 액분사노즐(미도시), 액분사구동부(미도시), 액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액분사노즐은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액진압부(135)는 액분사노즐을 수용하는 액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액분사회전축은 소화액진압부(135)의 액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액분사회전축에는 액분사노즐이 결합된다. 액분사구동부는 소화액을 액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액분사펌프와 액분사노즐이 액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액분사구동부는 소화액진압부(135)의 액분사본체는 액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분말진압부(136)는 분말분사노즐(미도시), 분말분사구동부(미도시), 분말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분말분사노즐은 소화분말을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말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분말이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분말진압부(136)는 분말분사노즐을 수용하는 분말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분말분사회전축은 분말진압부(136)의 분말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분말분사회전축에는 분말분사노즐이 결합된다. 분말분사구동부는 소화분말을 분말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분말분사펌프와 분말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분말분사구동부는 분말진압부(136)의 분말분사본체는 분말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소화기진압부(137)는 기분사노즐(미도시), 기분사구동부(미도시), 기분사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한다. 기분사노즐은 소화기체를 분사하도록 분사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분사노즐 분사구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장벽과 한 쌍의 장벽을 연결하며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한 쌍의 장벽의 말단이 회전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분사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기체가 분사되는 분사형상이 퍼지는 형상, 직선으로 분사되는 형상 등으로 다양화될 수 있다.
소화기진압부(137)는 기분사노즐을 수용하는 기분사본체(미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기분사회전축은 소화기진압부(137)의 기분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분사회전축에는 기분사노즐이 결합된다. 기분사구동부는 소화기체를 기분사노즐로 이동시키는 소화기분사펌프와 기분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기분사구동부는 소화기진압부(137)의 기분사본체는 기분사노즐의 회전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천장에 화재진압을 위한 진압수평레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수평레일은 진압본체이동부(미도시)가 수평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볼스크류의 나사축(미도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평레일은 나사축과 함께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축을 포함할 수 있다. 진압본체는 수평레일의 나사축과 수평축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나사관통공과 수평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관통공은 내측에 나사축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진압본체가 수평이동되도록 한다. 진압본체의 수평관통공에 수평축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나사축이 회전하여도 진압본체는 수평을 유지한다. 진압본체는 소화수, 소화액, 분말, 소화기를 공급하는 공급배관을 갖는다.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는 진압본체를 수평이동시킨다.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는 수평레일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평레일을 회전시키는 레일회전모터로 마련된다. 진압수직이동부(미도시)는 진압본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및 소화기진압부(137)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진압수직이동부는 상호 슬라이딩 삽입되어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진압수직이중관(미도시)과 복수의 진압수직이중관(미도시)이 신장되도록 구동하는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포함한다. 복수의 진압수직이중관 각각이 다른 외경 및 내경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중첩된다. 복수의 진압수직이중관은 상호 실린더와 피스톤과 같이 구성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에 의해 신장된다.
배전함(10)은 상기의 구성을 제어부(90)가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90)는 센서부(12)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센서부(12)를 미리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본체이동구동부(131), 수직이동본체(132) 및 수직이동구동부(133)를 제어하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복수의 위치에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고, 해당 화재위치에 소화매체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센서부(12)의 서로 다른 적어도 3지점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따른 감지거리에 기초하여 수평 및 수직에 대한 화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의 성능이 고성능이 아닌 경우이며,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의 감지범위 내에 화재위치와의 거리를 알 수 있을 뿐 그 방향을 정확히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레일(140)이 직선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는 1차원의 선상을 왕복하면서 화재를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거리만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이동레일(1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에 화재위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고성능의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방향도 알아야 화재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렇게 이동레일(140)이 직선 상으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는 정확히는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의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화재위치를 감지하는데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의 복수의 서로 다른 감지위치가 직선 상으로만 배치되지 않는다면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의 서로 다른 감지위치 3곳에서의 감지거리만으로도 화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이동본체(141)의 센서부(12)의 서로 다른 적어도 3지점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따른 감지방향에 기초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한다. 이 경우는 이동화재감지기(20)의 성능이 고성능인 경우이다.
제어부(90)는 메모리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본체(141)의 센서부(12)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40)을 따라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순찰모드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본체(141)의 센서부(12)를 본체부(141-1)에서 분리하여 기설정된 정지모니터링위치에 위치하게 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본체(141)가 기설정된 충전위치로 이동하여 배터리(141-4)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모드를 저장하고 배터리(141-4)의 잔량에 따라 순환모드와 충전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주기적 반복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대기모드, 모니터링모드 등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90)는 이동본체(141)의 센서부(12)가 이동하도록 본체이동구동부(131), 수직이동본체(132), 수직이동구동부(133)를 제어하며,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이동본체(141)의 센서부(12)의 감지범위가 중첩되는 화재영역을 파악하며, 화재로 파악된 화재영역에 소화매체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본체(141)가 순환이동레일(140-1)에 주기적으로 순환이동되도록 본체이동구동부(131)를 제어한다.
배전함(10)은 내부공간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인접한 2개는 적어도 중첩된 감지범위를 갖고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를 더 가질 수 있다. 고정화재감지기는 고정열센서, 고정연기센서 및 고정카메라를 포함한다. 고정열센서는 일정한 영역에서 방출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고정화재감지기는 불꽃감지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불꽃감지기는 자외선식, 적외선식, 자외선. 적외선 복합형일 수 있다. 이 불꽃감지기는 연기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며 감지 범위가 넓으므로 창고와 같이 넓은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90)는 배전함(10) 내에 배치된 시설을 포함하는 복수의 물품위치를 저장하고,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수평적 화재위치를 파악하며, 파악된 수평적 화재위치의 물품의 화재에 대한 화재진압방법을 판단하고 판단된 화재진압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의 감지범위 및 복수의 스프링쿨러의 위치를 저장하며, 화재를 감지한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의 감지범위 및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한 시각에 기초하여 수평적 화재위치를 파악하며, 파악된 수평적 화재위치에 인접한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파악된 화재위치의 물품에 대한 화재종류를 판단하며, 판단된 화재종류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및 소화기진압부(13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이를테면 전선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경우 소화수를 분사한다면 전기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분말이나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90)는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수직적 화재위치를 파악하며, 파악된 수직적 화재위치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90)는 수평적 화재위치와 수직적 화재위치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정확한 화재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고정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화재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원인을 판단하며 판단된 화재원인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및 소화기진압부(137)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고정카메라로 화재의 불꽃을 촬상하는 경우 불꽃의 색을 이용하여 화재의 종류, 화재의 범위, 화재의 진행방향, 화재의 진행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면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90)는 복수의 고정화재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수평적 및 수직적 화재위치를 파악하며, 파악된 수평적 및 수직적 화재위치로 진압본체를 이동시키도록 본체이동구동부(131) 및 수직이동구동부(13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9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화재감지기의 감지범위가 중첩되는 화재의심영역을 파악하고, 파악된 화재의심영역으로 센서부(12)의 이동본체(141)를 접근시키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2)로부터 화재로 확인된 화재영역에 소화매체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소화수진압부(134), 소화액진압부(135), 분말진압부(136), 소화기진압부(137), 진압본체이동구동부(138) 및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139)를 제어할 수도 있다.
락킹부(14)는 배전함(10)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락킹부(14)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 후 배전함(10)으로의 출입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출펌프(15)는 배전함(10)에 발생될 수 있는 연기, 소화수, 소화액, 분말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16)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방향 역방향으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콘센트(20)는 외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내의 복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콘센트(20)는 제1콘센트(21), 제2콘센트(22) 및 제3콘센트(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선(30)은 배전함(10)으로부터 복수의 콘센트(20)로 전원을 전달한다.
전류감지부(40)는 복수의 콘센트(20)와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의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감지부(40)는 제1전류감지부(41), 제2전류감지부(42) 및 제3전류감지부(4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차단부(50)는 배전함(10)과 복수의 콘센트(20) 상의 복수의 전원공급선(30)에 설치되어 복수의 전원공급선(30)으로 이동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전력차단부(5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전력차단부(51), 제2전력차단부(52) 및 제3전력차단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력차단부(51), 제2전력차단부(52) 및 제3전력차단부(53)의 구성을 동일하며, 제1전력차단부(51)는 복수의 전원공급선(30)으로 이동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제1-1전류단속밸브(511)와 제1-2전류단속밸브(512) 그리고 전류가 제1-1전류단속밸브(511)와 제1-2전류단속밸브(512)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선택밸브(5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전력차단부(60)는 배전함(10)에서 실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 및 단속할 수 있다.
광케이블(70)은 복수의 전원공급선(30)과 소정 이격거리를 갖고 인접 배치하여 구비된다. 광케이블(70)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와,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를 구비할 수 있다. 각 광케이블은 튜브 내에 충진재와 함께 실장시킨 소정 갯수의 광섬유를 구비하며, 튜브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광케이블은 튜브를 감싸는 시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광신호발생기(72)는 광케이블(70)로 광신호를 공급한다.
광신호감지부(74)는 광케이블(70)에 연결되어 광신호발생기(74)로부터 공급되는 광신호를 감지한다. 광신호감지부(74)는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의 장애 시 광케이블(70)로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76)는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8)는 모니터로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광케이블에 전달되는 광신호의 변화에 따른 광세기, 산란, 주파수에 관한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 사용자에게 경고와 같은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8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화면, 키보드 음성 인식장치, 모션 인식 장치 마우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복수의 콘센트(20)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에서 공급 및 이동될 수 있는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복수의 전류감지부(40)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이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함(10), 복수의 콘센트(20)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30)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불량 또는 누전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90)는 정상전류범위의 최소치와 최대치에서 이격된 전류값인 임계전류값을 저장하며, 복수의 콘센트(20)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전류값이 임계전류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콘센트(2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전류단속밸브(511, 5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배전함(10)에서 감지되는 전류값과 복수의 전류감지부(40) 각각에서 감지되는 전류값 총합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하여 유지되는 경우 누전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의 정상상태에서의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저장하며, 광신호감지부(74)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에 기초하여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된 광신호가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한다.
제어부(90)는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의 장애에 대한 광케이블(70)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장애변화패턴을 저장하며, 광신호감지부(74)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변화패턴이 장애변화패턴과의 유사도에 따라 복수의 전원공급선(30)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한다.
제어부(90)는 산출된 장애가능성이 제1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기로 산출된 상기 장애가능성을 전송하도록 통신부(7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산출된 장애가능성이 제1소정치보다 높은 제2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전원공급선(30)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현재 공급되는 제1전압보다 적어도 낮은 제2전압으로 공급하며, 산출된 장애가능성이 다시 제2소정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복수의 전원공급선(30)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다시 제1전압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산출된 장애가능성이 제2소정치보다 높은 제3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이 장애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80)는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이 장애인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전원공급선(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도 6은 소화부(13)의 화재감시설명도이다.
이동본체(141)가 이동레일(140)을 따라 A지점에서 B지점을 지나 C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동본체(141)는 열,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면서 이동한다. 이동본체(141)는 A지점, B지점, C지점에서 이동에 따른 이동본체(141)의 감지범위가 중첩되는 화재영역(F)을 정확하게 판단하도록 한다.
배전함본체(11) 내측 전영역에 대하여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이동레일(140)이 방향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게 하고 복수의 이동본체(141)가 이동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면서 감지범위가 중첩되는 화재영역을 파악한다. 이에 의해 감지범위의 사각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의 예시도이다.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는 감지레일지지공(7202)과 레이지지공(7321-1)을 가지며, 이동레일(140)에 매달려 지지된다. 도 7과 도 8 (a)의 센서부(12)는 감지본체(7201), 감지레일지지공(7202), 감지롤링핀(7203), 락킹본체(7204) 및 걸림턱(7205)를 갖는다.
감지본체(7201)는 이동열센서(721), 이동연기센서(722) 및 이동카메라(723)을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틀 역할을 한다.
감지레일지지공(7202)은 이동레일(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14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감지본체(7201)의 일영역에 형성된다.
감지롤링핀(7203)은 감지레일지지공(7202)에 의해 감지본체(7201)가 매달려 있을 수 있으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마찰이 매우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레일(14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감지본체(72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배치된다.
락킹본체(7204)는 이동레일(140)보다 높은 감지본체(7201)의 상측영역 또는 이동레일(140)보다 낮은 감지본체(7201)의 하측영역으로부터 이동레일(14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7205)은 락킹본체(720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즉, 락킹본체(7204)의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동본체(141)는 본체부(141-1), 휠(141-2), 휠회전모터(141-3), 배터리(141-4), 전원공급어댑터(141-5), 휠축(141-6) 및 롤링핀(141-17)를 갖는다.
본체부(141-1)는 수용공간을 갖고 이동본체(14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부(141-1)는 일영역에 레일지지공(141-11)을 갖는다.
휠(141-2)은 본체부(141-1)에 수용되며 본체부(14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휠회전모터(141-3)는 휠(141-2)을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터리(141-4)는 휠회전모터(141-3)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다.
전원공급어댑터(141-5)는 배터리(141-4)를 충전하기 위한 연결포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레일(140)의 일단의 충전위치에 전원공급부 즉, 전원포트가 마련될 수 있고, 이동레일(140)을 따라 이동본체(141)가 이동되는 경우 전원포트와 전원공급어댑터(141-5)는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휠축(141-6)은 휠회전모터(141-3)와 휠(141-2) 판면의 중앙영역에 고정 결합된다.
롤링핀(141-7)은 레일지지공(141-11)에 의해 본체부(141-1)가 매달려 있을 수 있으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마찰이 매우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레일(141)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본체부(14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배치된다. 이동본체(141)는 통신부를 가지고 제어부(90)로부터의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의 락킹 및 해제 동작도이다.
센서부(12)는 락킹본체(9204)와 걸림턱(9205)를 가지며, 이동본체(141)는 실린더(9601), 락킹해제탄성부재(9602), 락킹모터(9603), 회전걸림부(9604) 및 해제판(9605)을 갖는다.
실린더(601)에는 락킹해제탄성부재(9602)가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다.
락킹해제탄성부재(9602)는 락킹본체(9204)를 락킹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락킹모터(9603)는 회전걸림부(9604)를 회전시켜 걸림턱(9205)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으며 회전되어 걸림턱(9205)이 락킹해제방향으로 걸림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해제판(9605)은 실린더(9601)에 수용되어 락킹본체(9204)가 락킹해제탄성부재(9602)가 축소되는 방향과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9 (a) 센서부(12)의 락킹본체(9204)와 걸림턱(9205)가 이동본체(141)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락킹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9 (b) 센서부(12)로 이동본체(141)가 이동하여 락킹본체(9204)가 해제판(9605)에 닿으면 락킹모터(9603)는 회전걸림부(9604)를 회전시켜 걸림턱(9205)에 걸리도록 하여 상호 락킹된다.
도 10은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의 락킹 상세 동작도이다.
회전걸림부(9604)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평판 형상을 가진다. 회전걸림부(9604)의 타면은 길이방향의 일단영역에 폭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는 형상(부드러운 곡선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 (a) 회전걸림부(9604)의 장변이 수평한 상태이므로 센서부(12)로 이동본체(141)가 이동하여 락킹본체(9204)가 해제판(9605)에 닿은 상태이다.
도 10 (b) 이후 락킹모터(9603)는 회전걸림부(9604)를 회전시키면 폭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는 회전걸림부(9604)의 형상으로 인하여 걸림턱(9205)이 락킹해제탄성부재(9602)를 축소시키며 이동된다. 이에 의해 락킹본체(9204)는 해제판(9605)을 밀어서 락킹해제탄성부재(9602)를 축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가 락킹 고정된다.
또한, 제어부(90)의 제어명령에 따라 락킹모터(9603)가 회전걸림부(9604)를 회전시키면 회전걸림부(9604)의 장변이 수평한 상태가 되면서 걸림턱(9205)이 회전걸림부(9604)로부터 걸림해제가 되면서 축소되었던 락킹해제탄성부재(9602)가 해제판(9605)을 락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밀면서 해제판(9605)이 락킹본체(9204)를 락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센서부(12)와 이동본체(141)가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센서부(12)의 이동동작도이다.
도 11 (a) 본체이동구동부(131)에 회전축 형상으로 이동레일(1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동레일(140)에 센서부(12)가 설치된 이동본체(141)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 (b) 본체이동구동부(131)가 이동레일(140)을 회전시켜 이동레일(140)과 나사결합된 이동본체(141)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수직구동부(133)의 구동에 의해 수직이중관(133-1)이 하방으로 신축되면서 수직이동본체(132)를 하방으로 수직이동시킨다.
도 12는 센서부(12)의 변형예시도이다.
이동레일(140)이 폐루프체인으로 마련되는 경우 본체이동구동부(131)는 롤러구동모터(131-2)로 마련되어 스프로켓이 설치된 롤러(140-2)를 회전시켜 폐루프체인을 회전시키게 되고 폐루프체인에 설치된 이동본체(141)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폐루프로 이루어진 이동레일(140)은 사용자공간에 대하여 수평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수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3은 수직이동본체(132)의 예시도이다.
수평회전부(132-1)은 수직이동본체(13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수평회전구동부(132-2)는 수평회전부(132-1)의 중심축에 수평회전축이 연결되며, 수평회전축을 수평구동모터가 회전시켜 수평회전부(132-1)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센서부(12)가 수직이동본체(132)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회전부(132-3)은 수직이동본체(13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수직회전구동부(132-4)는 수직이동본체(132)와 수직회전부(132-3)의 힌지축에 수직회전축이 연결되며, 수직회전축을 수직구동모터가 회전시켜 수직회전부(132-3)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센서부(12)가 수직이동본체(132)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화재에 대한 정보를 중앙제어부와 소방서 등의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화재에 대한 정보는 화재의 위치, 화재의 종류, 화재의 범위, 화재의 진행방향, 화재의 진행속도, 화재의 영상, 대피 가능 경로 등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의 전력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광케이블의 광신호에 대한 변화와 연계하여 장애를 판단할 수도 있다. 장애로 인하여 전력흐름의 변화가 발생한다면 광신호의 변화도 감지될 수 있다. 복수의 전원공급선(30)의 전압변화에 따른 전력전달효율이 떨어지는 것과 광신호의 변화패턴을 고려하여 소정치의 변화 이상인 경우 장애가능성을 산출하고 장애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 각각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에 대한 화재판단범위를 저장하고,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가 화재판단범위로 판단되면, 해당 센서영역을 기준으로 화재진압을 하도록 소화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가 화재판단범위로 판단되면, 기등록된 관리자의 관리단말기로 해당 배전반본체의 화재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의 감지정보에 의해 배전반본체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를 폐쇄하여 배전반본체 내부로 출입을 할 수 없도록 락킹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가 화재판단범위로 판단되면, 배전반본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배출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1)으로 인하여, 복수의 콘센트 및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불량 또는 누전으로 판단하여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실내의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임계전류값이 감지되면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전기배선에 대한 접촉불량 및 누전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기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장애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케이블의 장애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정확한 전기배선의 장애를 판단할 수 있다.
1: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10: 배전함 11: 배전함본체
12: 센서부 121: 진동센서
122: 열센서 123: 연기센서
124: 습도센서 125: 방전감지센서
126: 카메라 13: 소화부
131: 본체이동구동부 132: 수직이동본체
133: 수직이동구동부 134: 소화수진압부
135: 소화액진압부 136: 분말진압부
137: 소화기진압부 138: 진압본체이동구동부
139: 진압본체수직이동구동부 14: 락킹부
15: 배출펌프 16: 역류방지밸브
20: 콘센트 21: 제1콘센트
22: 제2콘센트 23: 제3콘센트
30: 전원공급선
40: 전류감지부 41: 제1전류감지부
42: 제2전류감지부 43: 제3전류감지부
50: 전력차단부 51: 제1전력차단부
52: 제2전력차단부 53: 제3전류차단부
60: 메인전력차단부
70: 광케이블 72: 광신호발생기
74: 광신호감지부 76: 통신부
78: 디스플레이부 80: 사용자입력부
90: 제어부

Claims (5)

  1.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하는 배전함;
    외부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콘센트;
    상기 배전함으로부터 복수의 콘센트로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감지부;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에서 공급 및 이동될 수 있는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이 상기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전함,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불량 또는 누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전함의 배전함본체 내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부는, 이하의 이동본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평영역과 수직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하나의 폐루프를 갖고 배치되는 순환이동레일로 이루어진 이동레일과, 상기 순환이동레일을 따라 순환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레일이 회전축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본체이동구동부와, 상기 이동본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센서부를 구비한 수직이동본체와, 상기 수직이동본체를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함과 상기 복수의 콘센트 상의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으로 이동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전류단속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전류범위의 최소치와 최대치에서 이격된 전류값인 임계전류값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전류값이 임계전류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콘센트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류단속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전함에서 감지되는 전류값과 상기 복수의 전류감지부 각각에서 감지되는 전류값 총합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하여 유지되는 경우 누전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과 소정 이격거리를 갖고 인접 배치되는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로 광신호를 공급하는 광신호발생기; 및
    상기 광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광신호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신호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정상상태에서의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저장하며, 상기 광신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광신호가 상기 광신호의 정상특성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에 대한 상기 광케이블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장애변화패턴을 저장하며, 상기 광신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광신호의 광세기와 주파수의 변화패턴이 상기 장애변화패턴과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선 각각의 장애가능성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KR1020230026450A 2023-02-28 2023-02-28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KR10258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450A KR102583368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450A KR102583368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368B1 true KR102583368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450A KR102583368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3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98A (ko) * 2017-02-23 2018-08-31 (주)이원테크놀러지 전기 배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1081398A (ja) * 2019-11-22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異常検知システム、分電盤、異常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95305A (ko) * 2020-01-23 2021-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장애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케이블 장애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98A (ko) * 2017-02-23 2018-08-31 (주)이원테크놀러지 전기 배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1081398A (ja) * 2019-11-22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異常検知システム、分電盤、異常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95305A (ko) * 2020-01-23 2021-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장애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케이블 장애검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78031U (zh) 一种公路隧道火灾智能灭火系统
KR101051018B1 (ko)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KR101178927B1 (ko)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259181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0935448B1 (ko) 화재 감시장치
CN206271140U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和灭火系统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KR20090081833A (ko) 터널 및 공동구의 방재시스템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CN111388912A (zh) 一种高铁动车组定向灭火智能消防系统
KR102142440B1 (ko) 화재진압장치
KR102583368B1 (ko) 전기배선의 불량검출시스템
CN216629500U (zh) 一种隧道火灾自动报警灭火系统
KR101460176B1 (ko) 화재감지 시스템
KR102671900B1 (ko) 스마트배전반
CN105869330B (zh) 一种用于写字楼防止非法入侵的安防监控器
KR20200111947A (ko) 이동형 소방장치
KR20210145037A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화재진압시스템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63989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