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599B1 -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599B1
KR102582599B1 KR1020237002346A KR20237002346A KR102582599B1 KR 102582599 B1 KR102582599 B1 KR 102582599B1 KR 1020237002346 A KR1020237002346 A KR 1020237002346A KR 20237002346 A KR20237002346 A KR 20237002346A KR 102582599 B1 KR102582599 B1 KR 10258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inlet
outlet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059A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61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15/006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4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 B05C5/0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only at particular part of the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42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machines or pump
    • F04C15/0049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04C2/1075Construction of the station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30Geometry of the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암나사 형상의 삽통공을 가지는 스테이터 내에서 수나사 형상의 로터를 편심 회전시켜 노즐로부터 액체 재료를 토출할 때 생기는 맥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외통(10)과, 외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인 암나사 형상의 삽통공(12)을 가지는 스테이터(11)와, 로터 구동부에 접속되고, 스테이터의 내주면과 맞닿으면서 편심 회전하는 수나사 형상의 로터(20)를 구비하고, 삽통공(12)에 삽통된 로터(2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테이터(11)와 로터(20)가 구성하는 반송로에 있어서 유체를 이송 가능한 유체 이송 장치(1)에 있어서,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20)와의 밀착력이, 스테이터(11)의 중앙 부분에서의 로터(20)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스테이터의 내주면(內周面)에 맞닿는 수나사 형상의 로터를 1축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유체를 송출 가능한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1축 편심 나사인 로터와, 로터가 삽통(揷通)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액체 재료 내지는 유동체를 반송(搬送)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 또는 모노펌프로도 호칭된다. 해당 장치의 스테이터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조임여유(tightening allowance)를 가지고 있고, 스테이터의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액체 재료 내지는 유동체를 반송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휘발성이 높은 액체나 기체의 용해량이 많은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에 생기는 기포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구로부터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 방향을 향하여 스테이터의 관통공이 구성하는 반송 공간의 용적을 작게 한 유동체 반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유체 반송로(搬送路)의 용적 효율이 1 미만으로 되고 또한 토출압이 높은 상황 하에서 사용했을 때에 생기는 스테이터의 균열이나 파손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구 측에서의 조임여유를 흡입구 측에서의 조임여유보다 작게 한 1축 편심 나사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0291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248979호 공보
그러나, 상기 각 문헌의 장치에는, 토출구로부터 유동체를 토출할 때 맥동이 생기고, 균일한 정량(定量) 토출을 행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상기 각 문헌의 장치를 유체 순환 회로에 내장하여 순환 펌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순환 회로의 흐름에 맥동이 생기고, 일정한 흐름이 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상기 각 문헌의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재료를 공작물 표면에 토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공작물 표면에 선묘화를 행할 때 맥동이 생기면, 선폭이 불균일하게 된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암나사 형상의 삽통공(揷通孔)을 가지는 스테이터 내에서 수나사 형상의 로터를 편심 회전시켜 유체를 송출할 때 생기는 맥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 이송 장치는, 외통(外筒)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 형상의 관통공인 삽통공을 가지는 스테이터와, 로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과 맞닿으면서 편심 회전하는 수나사 형상의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공에 삽통된 상기 로터를 편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가 구성하는 반송로에 있어서 유체를 이송 가능한 유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범위를 조이는 유입구 부분과,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범위를 조이는 유출구 부분과,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이,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을,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을,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에 비해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이,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유출구 또는 유입구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길이 방향에 걸쳐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이 균일할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4인 경우에, A4>A2>A3>A1의 관계를 가지는 것, (B)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고정자의 밀착력이 B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4인 경우에, B4>B2>B3>B1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은, 길이 방향에 걸쳐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이 균일할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4인 경우에, A4>A2>A3>A1의 관계를 가지는 것, (B)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4인 경우에, B4>B2>B3>B1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로터의 2번 돌린 분량 이상의 범위에 걸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부분이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분량 초과의 범위이며, 상기 유출구 부분이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분량 초과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길이 방향의 범위가,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범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의 조임여유량의 비율이 0.4∼0.7:1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형상 및/또는 재료 특성이, 상기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의 재료 특성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의 요소가 상기 삽통공의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의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의 재료 특성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의 요소가 상기 삽통공의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와 비교하여, 탄성력이 강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上流端) 부분 및 하류단(下流端)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확경(擴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스테이터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외주면(外周面)에 있어서, 상기암나사 형상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요철 형상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상류단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외통의 하류단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하류단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상류단 부분 내주면과, 해당 상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중앙 부분을 연락하는 유입측 테이퍼면과,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하류단 부분 내주면과, 해당 하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중앙 부분을 연락하는 유출측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 부분에서의 확경된 내주면의 범위가, 상기 외통의 하류단 부분에서의 확경된 내주면의 범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의 범위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이 3:5∼10이며, 또한, 상기 스테터의 상기 유출구 부분의 범위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이 2:5∼10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를 가지는 반송 작용 영역과, 상기 반송 작용 영역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와 맞닿지 않는(조임여유를 가지지 않는) 비반송 작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반송 작용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삽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삽통공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유입구측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반송 작용 영역의 용적이, 상기 반송 작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의 편심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삽통공 내의 반송 공간의 어느 용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로터가 최상 위치 및 최하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 부재를 더 구비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도포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유체 이송 장치와, 상기 유체 이송 장치와 피도포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이다.
본 발명의 도포 방법은 상기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공작물 표면에 균일한 선폭의 선묘화를 행하는 도포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 내에서 로터를 편심 회전시켜 유체를 송출할 때, 송출된 유체에 생기는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주요부 단면(斷面) 측면도이다.
[도 2]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만의 배면도이다.
[도 3] (a)는 종래 기술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단면도이며, (b)는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4]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a)는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의 정면 단면도, (b)는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단면도이며, (a)는 로터가 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 (b)는 로터가 9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 (c)는 로터가 18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 (d)는 로터가 27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 (e)는 로터가 36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도 6] 스테이터의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서의, 0°에서 90°까지의 반송 공간의 형성 상황을 설명하는 대비 도이며, (a)는 로터가 0°에 있는 경우의 정면 단면도, (b)는 (a)로부터 로터가 회전한 경우의 정면 단면도, (c)는 (b)로부터 로터가 더욱 회전한 경우의 정면 단면도, (d)는 로터가 90°에 있는 경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 스테이터의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서의, 270°에서 360°까지의 반송 공간의 형성 상황을 설명하는 대비도이며, (a)는 로터가 270°에 있는 경우의 정면 단면도, (b)는 (a)로부터 로터가 회전한 경우의 정면 단면도, (c)는 (b)로부터 로터가 더욱 회전한 경우의 정면 단면도, (d)는 로터가 360°(0°)에 있는 경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 제2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만의 배면도이다.
[도 9] 제3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만의 배면도이다.
[도 10] 제4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만의 배면도이다.
[도 11] 제5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만의 배면도이다.
[도 12] 제6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 스테이터 및 로터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a)의 A-A 단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로터를 도시하지 않은 배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유체 이송 장치의 실시형태예를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예에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액체 재료 토출 장치로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체 순환 회로에 내장된 순환 펌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유체는 액체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분체, 페이스트 등의 유체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예> 
도 1은,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액체 재료 토출 장치(1)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노즐 부재(13)측을 전방측(정면)으로 호칭하고, 노즐 부재(13)와는 반대측을 후방쪽(배면)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는, 본체(2)의 후방측에 설치한 로터 구동 장치(3)와, 전방측에 설치한 스테이터 유닛(1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연결 부재(4) 및 샤프트(5)가 수용되어 있다. 샤프트(5)의 후방측의 단부(端部)는 커플링(6)을 통하여 로터 구동 장치(3)와 연결되어 있고, 로터 구동 장치(3)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로터 구동 장치(3)에 의해 샤프트(5)가 회전하면 연결 부재(4)를 통하여 접속된 로터(20)가 편심 회전한다. 로터 구동 장치(3)는 외부의 범용적인 회동 장치를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체(2)의 상면에는 공급관(7)이 접속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저류(貯留) 용기로부터 액체 재료가 액체 재료 공급구(8)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저류 용기 내의 액체 재료는 압축 공기나 피스톤 등으로 가압해도 된다. 공급관(7)의 천장면에는, 기포 배출공(14)이 형성되어 있다. 기포 배출공(14)을 마개로 막은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본체(2)의 후단부는, 전력 공급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는 커넥터(9)로 되어 있다.
스테이터 유닛(15)은 스테이터(11)와, 스테이터(11)를 고정시키는 외통(10)으로 구성된다. 스테이터 유닛(15)은 나사고정구, 척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로터 구동 장치(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전술한 로터 구동 장치(3)의 구동에 의해 로터(20)가 스테이터(11) 내에서 회전했을 때도, 어긋남이나 덜컹거림 등은 생기지 않는다.
외통(10)은 금속, 세라믹스 등에 의해 구성한 통체(筒體)이며,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같은 두께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10)은, 스테이터(11)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로터 구동 장치(3)의 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로터(20)가 스테이터(11) 내에서 회전했을 때도, 스테이터(11)가 외통(10) 내에서 미끄러져 움직여 버리거나, 외통(10)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리거나 하는 일은 없다. 외통(10)의 전방측 단부는 액체 재료 출구(토출구)를 가지는 노즐 부재(13)와 연통(連通)한다.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는, 도포 대상물인 공작물과 노즐 부재(13)가 임의의 각도로 대향하도록 유지하여 사용된다. 도 1에서는, 외통(10)의 외주를 동일 직경의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차(段差)나 만곡을 포함하는 외주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외통(10)의 내주면의 요철에 따른 요철이 있는 외주 형상으로 함으로써, 외통(10)의 내주면을 가시화해도 된다. 또한, 외통(10)의 외주면에 홈, 나사, 플랜지 등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외통(10)과 스테이터(11)를 생략하여 묘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도 2 이후를 참작하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10), 스테이터(11) 및 로터(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10)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10)만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 및 (e)에 있어서는, 좌측 단면(端面)에 삽통공(12)의 유출구를 가지고, 우측 단면에 삽통공(12)의 유입구를 가진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0) 내에는, 스테이터(11)가 외통(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1)는, 암나사형의 내주면을 가지는 삽통공(1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삽통공(12) 내에 배치된 수나사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로터(20)와 협동하여 반송로를 구성한다. 즉, 반송로는 스테이터(11)와 로터(20)로 형성되는 유로이며, 스테이터(11)에 로터(20)가 삽통된 상태로 처음으로 발현되는 유로이다. 도 2의 (a)에 있어서는, 외통(10)의 우측 말단이 반송로의 개시 위치(반송로의 유입구)이며, 외통(10)의 좌측 말단이 반송로의 종료 위치(반송로의 유출구)이다. 삽통공(12) 내에 있어서 편심 회전하는 로터(20)와 고정된 스테이터(11)가 밀착 슬라이딩하여, 반송로 내의 액체 재료를 이송하도록 작용하는 반송 작용 영역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삽통공(12)의 우측 말단부터 좌측 말단까지가 반송 작용 영역을 구성한다(그리고,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는 삽통공(12)에는 비반송 작용 영역도 포함됨).
스테이터(11)는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탄성체다. 스테이터(11)는, 삽통공(12)에 삽통된 로터(20)에 압압(押壓)되어 탄성 변형하는 조임여유를 가지고 있고, 로터(2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 작용에 의해 삽통공(12) 내의 액체 재료를 반송한다. 여기에서, 조임여유는 「체결여유」이며, 중첩되는 두께(치수차, 조임여유량)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테이터(11)의 내주면을 2조(條)의 암나사 형상으로 하고 있고, 로터(20)와 맞닿는 범위에 있어서는 동일 피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11)의 암나사 형상은 예시한 2조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암나사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테이터(11)의 조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로터(20)의 조수 n보다 1개 많은 n+1조로 한다. 또한, 스테이터(11)의 암나사의 돌리는 방향은, 왼쪽 돌리기(왼나사), 오른쪽 돌리기(오른나사) 중 어느 쪽이라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액체 재료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돌리기로 되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터(20)는 1조의 수나사 형상이다. 로터(20)는 스테이터(11)의 삽통공(12) 내에 배치되고, 편심 회전함으로써 삽통공(12) 내에 2계통의 반송로를 동적으로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2계통의 반송로의 각각에 있어서, 로터(20)의 회전 주기에 있어서 180° 위상이 벗어난 캐비티(밀폐 공간)이 순차 형성되고, 액체 재료로 채워진 캐비티가 유입구측으로부터 유출구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액체 재료가 반송된다. 로터(20)는, 후방측의 단부가 연결 부재(4)를 통하여 샤프트(5)와 연결되어 있고, 로터 구동 장치(3)로부터의 구동력이 샤프트(5)에 전달됨으로써 로터(20)가 편심 회전한다. 로터(20)의 직경은, 적어도 스테이터(11)와 맞닿는 범위에 있어서는 동일 직경이면서 또한 동일 피치이다.
그리고, 로터(20)의 수나사 형상은 1조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이터(11)의 내주면의 형상에 맞추어 임의의 수나사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로터(20)의 외주면의 수나사 형상을,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결같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로터(20)의 외주면의 수나사 형상은 한결같지 않아도 된다. 스테이터(11)의 내주면을 로터(20)의 외주면의 수나사 형상에 따른 암나사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반송로의 중앙 부분의 조임여유를 두껍게, 양 단부의 조임여유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로터(20)의 하측에는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1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1a)이 형성되고, 공급관(7)으로부터 액체 재료가 공급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0)가 회전하면,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로터(20)의 상측에 제2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2a)(후술하는 도 5 참조)이 동적으로 형성되고, 반송 공간(21a)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B-B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20)의 하측에는 제1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1c)이 형성된다(도 5의 (a) 참조).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0)가 회전하면, 로터(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1c)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로터(20)의 상측에 제2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2c)이 생기고, 로터(20)의 회전에 따라 그 단면적을 더욱 확대시킨다(후술하는 도 5의 (b) 참조).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C-C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20)의 좌우측에는 반송 공간(23, 2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반송 공간(23)은 반송 공간(21c 및 22b)과 연통하여 제1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하고, 반송 공간(24)은 반송 공간(21b 및 22c)와 연통하여 제2 계통의 캐비티를 구성한다{반송 공간(2lb, 21c, 22b, 22c)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0)가 회전하면, 로터(20)의 좌우측의 반송 공간(23, 24)의 한쪽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다른 쪽의 단면적이 확대된다. 예를 들면, 로터(20)가 0°부터 90°로 회전하면, 반송 공간(23)은 닫히고, 반송 공간(24)은 최대 단면적으로 된다.
이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면, 스테이터(11)의 유로 방향에 수직한 방향(B-B 단면, C-C 단면을 포함함)의 각 단면에 있어서 로터(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반송 공간이 2계통씩 형성 및 폐쇄되는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액체 재료로 채워진 캐비티가 유출구측으로 이동한다. 삽통공(12) 내의 2계통의 반송로를 통과한 반송된 액체 재료는 합류하고, 노즐 부재(13)로부터 토출된다. 2계통의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액체 재료의 맥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반송로의 각 캐비티가 충분히 채워지는 양의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것과, 2계통의 반송로를 반송되는 액체 재료의 합류를 원활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들 조건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삽통공(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20)와 스테이터(11)의 밀착력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테이터의 밀착력의 조정)
본 발명은, 로터와 스테이터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스테이터의 체결력을 그 중앙 부분보다 양 단부에서 작게 함으로써,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로터 및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에서의 밀착력의 분포를 스테이터의 중앙 부분보다 양 단부에서 작게 함으로써,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스테이터(11)는 로터(20)와의 밀착력에 의해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즉, 스테이터(11)는, 로터(20)와의 밀착력이 일정한 중앙 부분과, 로터(20)와의 밀착력이 중앙 부분보다 작은 유입구 부분(중앙 부분보다 유입구측의 영역)과, 로터(20)와의 밀착력이 중앙 부분보다 작은 유출구 부분(중앙 부분보다 유출구측의 영역)으로 나뉜다. 도 3의 (b)의 예에서는, B13과 B23 사이의 부분이 중앙 부분, B13과 B11 사이의 부분이 입구 부분, B23과 B21 사이의 부분이 출구 부분이다.
스테이터의 밀착력의 조정은, 스테이터의 형상(예를 들면, 조임여유량, 두께) 및/또는 스테이터의 재료 특성{예를 들면, 반발력(반발 탄성율), 경도}의 조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예에서는, 상기의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11)의 밀착력을 조임여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즉,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조임여유량이 일정한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양 단부의 조임여유량을 작게 함으로써 밀착력을 조정하고,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11)의 밀착력의 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테이터(11)의 로터(20)가 맞닿는 부분은, 로터(20)에 의해 압압되어 조임여유(S11, S12)를 구성한다. 도 2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11, S1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예에서는, 외통(10)의 내주면에 밀접하도록 배치된 스테이터(11)는, 양 단부 부근의 조임여유(S11, S12)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이란,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 또는 유출구로부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과 같은 의미이며,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스테이터(11)는, 조임여유량이 일정한 중앙 부분(11c)와, 그 중앙 부분(11c)으로부터 유입구(상류)를 향하여 서서히 조임여유량이 작아지게 되는 유입구 부분(11a)과, 마찬가지로 중앙 부분(11c)으로부터 유출구(하류)를 향하여 서서히 조임여유량이 작아지는 유출구 부분(11b)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11a) 및 유출구 부분(11b)의 스테이터 두께는, 중앙 부분(11c)와 비교하여 얇게 구성함으로써 조임여유량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로터(20)와 스테이터(11)의 밀착력은 중앙 부분(11c)과 비교하여 약해지고 있다. 제1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11)의 양 단부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조임여유의 양적 비율은, 예를 들면 양 단부:중앙 부분=0.4∼0.7:1이다. 그리고, 길이 방향에서의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11a) 및 유출구 부분(11b)의 범위(길이 방향의 길이)와, 삽통공(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범위(길이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다.
도 3의 (a)는, 종래 기술에 관련된 외통(110), 스테이터(111) 및 로터(120)의 측면 단면도이며, (b)는, 제1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10), 스테이터(11) 및 로터(2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21, S2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외통(110)의 길이 방향에서의 내주면의 직경이 일정하고 또한, 그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111)의 내주면(암나사 형상)도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결같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로터(120) 외주면의 수나사 형상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결같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120)와 스테이터(11)이 협동하여 형성되는 조임여유도 일정하다. 즉, 외통(110)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조임여유(S21, S22)의 양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2계통의 반송로를 통과한 액체 재료가 합류할 때 맥동이 생기기 쉽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11)의 유입구에 충분한 액체 재료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맥동이 생기기 쉽다는 과제도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임여유의 범위 내를 로터(120)가 움직이는 시간에 있어서는, 액체 재료의 반송 공간으로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는 시간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로터가 355°의 위치에서 조임여유에 의해 스테이터(111)의 유입구의 개구가 닫히는 장치에서는, 355°부터 360°까지(및 0°∼5°까지)의 회전동안, 액체 재료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355°부터 360°까지 (및 0°∼5°까지)의 회전분만큼 액체 재료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것은, 감소한 액체 재료가 반송되는 것에 의한 토출량의 감소에 연결되고, 맥동의 원인으로 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예는, 도 3의 (b)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11, S1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통(10)의 양단 부근의 조임여유(S11, S12)의 범위가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통(10)의 내경의 크기는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하지만, 그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11)의 내주면(암나사 형상)은 삽통공(12)의 중앙부 우측의 B13의 위치로부터 유입구의 위치 B11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확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20)와 스테이터(11)가 협동하여 형성되는 조임여유량이 유입구를 향하여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B13>B12>B11). 유출구 부분도 마찬가지로, 스테이터(11)의 내주면(암나사 형상)은, 삽통공(12)의 중앙부 좌측의 B23의 위치로부터 유출구의 위치 B21을 향하여 동일하게 단계적으로 확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20)와 협동하여 형성되는 조임여유량이 유출구를 향하여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B 23>B22>B21). 그러므로, 제1 실시형태예는, 2계통의 반송로를 통과한 액체 재료가 합류할 때 맥동이 생기기 쉽다는 과제나 스테이터의 유입구에 충분한 액체 재료의 공급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맥동이 생기기 쉽다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로터가 360°의 위치에서 최상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358°에 도달할 때까지(바람직하게는 359°에 도달할 때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유입구측 단부의 반송 공간(반송로의 유입구)에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상태로 된다. 마찬가지로 178°에 도달할 때까지(바람직하게는 179°에 도달할 때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유입구측 단부의 다른 계통의 반송 공간(반송로의 유입구)에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상태로 된다.
도 4의 (a)는 삽통공(12)의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로터(20)가 최상 위치(0°)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삽통공(1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로터(20)가 최상 위치(0°)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삽통공(12)의 유입구 부분의 개구에 필요한 이동 길이(S1로부터 개구 위치 H1까지)는, 도 4의 (b)에 나타낸 삽통공(1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개구에 필요한 이동 길이(S2로부터 개구 위치 H2까지)와 비교하여 짧지만, 로터(20)의 상단의 위치는 동일하다. 즉, 삽통공(12)의 유입구 부분의 조임여유 S1(도 4의 (a))는, 중앙 부분의 조임여유 S2(도 4의 (b))와 비교하여 P1만큼 작아지고 있으므로, 반송로의 유입구에 액체 재료가 공급되기 쉽다.
많은 액체 재료를 캐비티에 신속하게 받아들인다는 관점에서는, 반송로의 유입구를 빠르게 개구하는 것(폐구되어 있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액체 재료의 반송 작용)
도 5를 참조하면서, 로터(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생기는 액체 재료의 반송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0°의 위치(최상 위치)에 있을 때, 로터(20)의 하측의 최상류에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1a)이 나타나고, 반송 공간(21a)은 공급관(7)으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로 채워진다. 로터(20)가 0°의 위치에서는,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은 닫혀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여 90°의 위치로 되면, 로터(20)의 상측의 최상류에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2a)이 나타난다. 여기에서도, 최상류의 반송 공간(22a)은, 공급관(7)으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로 채워진다. 반송 공간(22b)은 동 도면의 지면(紙面) 안길이 방향 바로 앞쪽(유입구측에서 볼 때 좌측)에 있어서, 로터(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1a)과 연결되어 캐비티를 구성하고 있고(도 2의 (d)의 반송 공간(24) 참조), 로터(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1a)의 단면 영역이 감소하는 것에 따라, 반송 공간(21a)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가 반송 공간(22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설명상,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반송 공간(21a)과 반송 공간(22b)에 각각 다른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마찬가지다.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여 180°의 위치(최하 위치)로 되면, 정면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22a)은 최대 개구가 된다. 한편으로, 로터(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1a)은 폐쇄되고, 반송 공간(21a)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는 반송 공간(22b) 방향으로 이동한다. 최대 개구가 된 반송 공간(22a) 내는 공급관(7)으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로 채워져 있다.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여 270°의 위치로 되면, 로터(20)의 상측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2a)의 단면 영역은 작아진다. 반송 공간(22a)은 동 도면의 지면 안길이 방향 안쪽(유입구측에서 볼 때 우측)에 있어서, 로터(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1b)과 연결되어 캐비티를 구성하고 있고(도 2의 (d)의 반송 공간(23) 참조), 반송 공간(22a)의 단면 영역이 감소하는 것에 따라, 반송 공간(22a)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는 반송 공간(21b)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반송 공간(22b)의 단면 영역이 감소하는 것에 따라, 반송 공간(22b)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는 반송 공간(21c)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터(20)의 하측의 최상류에 반송 공간(21a)이 다시 나타나면, 이 반송 공간(21a)는 공급관(7)으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로 채워진다.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여 360°의 위치로 되면, 로터(20)의 상측의 캐비티를 구성하는 반송 공간(22a)은 폐쇄된다. 이 과정에서, 반송 공간(22b)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는 반송 공간(21c)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송 공간(22a)에 존재하고 있었던 액체 재료는 반송 공간(21b)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터(20)의 하측의 최상류에 반송 공간(21a)이 다시 나타나면, 이 반송 공간(21a)은 공급관(7)으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로 채워진다. 여기에서, 로터(20)의 하측에 나타난 각 반송 공간(21a, 2lb, 21c …)은 로터(20)와 스테이터(11)의 밀착에 의해, 각각이 분단된 캐비티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로터(20)가 0°부터 360°까지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삽통공(12) 내를 유입구측으로부터 유출구측을 향하여 액체 재료가 반송된다. 로터(20)를 회전시켜 액체 재료를 반송할 때는, 충분한 양의 액체 재료로 캐비티를 채우는 것이 맥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요하다. 특히, 로터(20)가 최상 위치(0°) 및 최하 위치(180°)에 있을 때의 스테이터(11)와의 밀착력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여유량과 반송 공간의 관계)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과 큰 구성에서의 반송 공간의 형성 상황에 대하여, 도 6∼7을 참작하면서 보충 설명을 한다.
도 6은, 스테이터(11)의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서의, 0°부터 90°까지의 반송 공간의 형성 상황을 설명하는 대비도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는,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에 반송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회전하여 최상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내려가면,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에서는 로터(20)의 상측에 반송 공간(22)이 형성된다. 한편,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 있어서는, 로터(20)의 상측에 반송 공간(22)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더욱 회전하면,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에 반송 공간(22)이 형성된다. 한편,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에서는 로터(20)의 상측에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보다 단면이 큰 반송 공간(22)이 형성된다.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90°회전하면,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 및 하측에 단면이 같은 크기의 반송 공간(21, 22)이 형성된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1)의 조임여유가 작으면 로터(20)와 스테이터(11)의 밀착이 빨리 풀린다. 특히, 스테이터(11)의 유출구 부분에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을 채용하면, 로터(20)와 스테이터(11)의 밀착이 빨리 풀리고, 반송로 내에 형성된 캐비티 내의 액체 재료를 신속하게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7은, 스테이터(11)의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서의, 270°부터 360°까지의 반송 공간의 형성 상황을 설명하는 대비도이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270°회전하면,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 및 하측에 단면이 같은 크기의 반송 공간(21, 22)이 형성된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270°로부터 조금 회전한 상태에서는,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22)의 단면 영역이 작아지고 있다. 한편,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에서는 로터(20)의 상측에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보다 단면 영역이 큰 반송 공간(22)이 유지된다.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더욱 회전하여 최상 위치에 어느 정도 가까워지면,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에서는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22)의 단면 영역은 작아지지만, 닫히지 않는다. 한편,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에 있어서는,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22)은 닫힌다.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0)가 최상 위치(360°(0°))에 있을 때는, 조임여유가 작은 구성(좌측 도면)과 조임여유가 큰 구성(우측 도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로터(20)의 상측의 반송 공간은 닫힌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여유가 큰 경우에는, 로터(20)가 회전하여 스테이터(11)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것이 빨라진다(도 7의 (c) 참조). 로터(20)와 스테이터(11)가 접촉한 부분에서는, 반송 공간이 닫혀 스테이터(11)에 유입구로부터 액체 재료의 충전이 되지 않게 되지만, 로터(20)는 최대 밀착 위치{도 7의 (d)}까지의 사이도 회전하고, 이미 닫힌 캐비티의 용적을 계속해서 확대시키기 위해, 액체 재료가 충분히 채워져 있지 않은 캐비티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스테이터(11)의 유출구 부분에서 액체 재료로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캐비티가 노즐 부재(13)에 개구했을 때, 액체 재료를 노즐 부재(13)의 토출구로부터 흡입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이 맥동의 원인으로 된다. 즉, 조임여유를 작게 하고, 액체 재료가 완전히 충전된 캐비티를 항상 형성함으로써, 맥동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임여유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범위)
스테이터(11)에 있어서 조임여유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범위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범위」는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길이의 범위이다.
제1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조임여유가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의 조임여유의 범위가,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에서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각 조임여유의 범위와 비교하여 길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b)의 예에서는, B13∼B23의 부분이 삽통공(12)에 형성되는 반송로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이고, B11∼B13의 부분이 삽통공(12)에 형성되는 반송로의 유입구 부분이며, B21∼B23의 부분이 삽통공(12)에 형성되는 반송로의 유출구 부분이다.
전술한 2계통의 반송로 내의 캐비티는 로터(20)의 회전에 대하여 180°위상이 벗어나서 진행되므로, 2계통의 반송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조임여유를 작게 한 효과를 상시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터(11) 내의 반송로의 양 단부로부터 로터(20)의 1번 돌린 범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하면 된다. 2계통의 반송로의 양쪽에서 조임여유를 작게 한 효과를 상시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터(11) 내의 반송로의 양 단부로부터 로터(20)의 1감음으로부터 2번 돌린 범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하는 것은, 반송로의 유입구로 액체 재료가 충분히 공급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테이터(11)의 유입구측의 단부로부터 로터(20)의 1번 돌린 분량 이상의 범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유입구측의 단부보다 로터(20)의 1.2번 돌린 분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측의 단부보다 로터(20)의 1.5번 돌린 분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스테이터(11)의 유출구 부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하는 것은, 캐비티 내의 액체 재료가 노즐 부재(13)에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계통의 반송로 중 어느 하나에서 조임여유를 작게 한 효과를 상시 얻을 수 있으면 되므로, 스테이터(11)의 유출구측의 단부로부터 로터(20)의 1번 돌린 범위의 조임여유를 작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조임여유를 작게 구성하면, 맥동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조임여유를 작게 구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는, 로터(20)와 스테이터(11)가 밀착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유효하며, 예를 들면, 부품의 면취(面取) 등에 의해, 삽통공(12) 내에 로터(20)와 스테이터(11)가 상시 맞닿지 않는 범위(비반송 작용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제외한 중앙 근처의 범위(반송 작용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본 장치에서의 로터(20)의 최소 길이는 2번 회전이다. 여기에서, 반송로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액체 재료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범위를 로터 2번 회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터(11) 및 로터(20)의 전체 길이는 4번 회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체의 제조 공차(公差)를 고려하면 4.5번 회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는,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범위를,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범위 중 어느 것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스테이터(11)의 중앙 부분의 길이(범위)를 가장 짧게 한 경우의 유입구 부분:중앙 부분:유출구 부분의 비율은 1:2:1이며, 중앙 부분의 비율은 2 이상이어도 된다. 유입구 부분의 범위가 유출구 부분의 범위보다 긴 쪽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는, 스테이터(11)의 중앙 부분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한 경우의 비율은, 유입구 부분:중앙 부분:유출구 부분=3:5:2이며, 중앙 부분의 비율은 5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유입구 부분의 범위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을 3:5∼10으로 하고, 또한,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유출구 부분과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을 2:2∼10으로 하는 것이 개시된다. 여기에서도,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유입구 부분의 범위를, 스테이터(11)의 길이 방향의 유출구 부분의 범위와 비교하여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1)의 양 단부 부근의 조임여유량이 양 단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바꿔 말하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b)의 예로 설명하면,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또는 유출구 부분)을 길이 방향을 따라 3구분한 경우, 유입구의 위치 B11(또는 유출구의 위치 B21)의 조임여유량이 가장 작고, 이어서 유입구 부분의 중간점의 위치 B12(또는 유출구 부분의 중간점의 위치 B22)의 조임여유량이 작다. 이와 같은 조임여유량의 변화가 보여지면 조임여유량이 단계적으로 작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임여유량을 단계적으로(바꿔 말하면 서서히) 작게 하는 개념에는, 예시된 태양(態樣)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이터(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조임여유량이 무단계로 작아지는 태양이나 비균등하게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태양도 포함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1)의 양 단부 부근의 조임여유(S11, S12)가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스테이터(11)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양 단부 부근의 밀착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대 이동 장치는 예를 들면 공지의 XYZ축 서보 모터와 볼 나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액체 재료 토출 장치(1)의 토출구를 공작물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예> 
도 8은, 제2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210), 스테이터(211) 및 로터(2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2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210)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210)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예는, 외통(210) 및 스테이터(211)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a)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210)은,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양 단부 부근에서 내경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통(210)은, 유입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입구측 내주면(210a)과, 유출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출구측 내주면(210b)과,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중앙 부분 내주면(210c)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통(210)은, 중앙 부분으로부터 유입구 및 유출구를 향하여 확경되도록 내주면에 구배가 형성되어 있고, 상류단 부분 및 하류단 부분에 원뿔대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예의 외통(210)은, 삽통공(2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단계적으로(바꿔 말하면 서서히) 확경되고 있다. 여기에 말하는, 단계적으로(바꿔 말하면 서서히) 확경되는 개념에는, 도 8에 예시된 무단계로 확경되는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비균등하게 단계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태양도 포함된다.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B-B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220)의 하측에는 반송 공간(221c)이 형성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20)가 회전하면, 로터(220)의 하측의 반송 공간(221c)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로터(220)의 상측에 반송 공간(222c)(도시하지 않음)이 생기고, 로터(220)가 회전에 따라 그 단면적을 더욱 확대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2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로터(220)의 하측의 최상류에는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반송 공간(221a)이 형성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20)가 회전하면, 로터(220)의 상측에 반송로의 유입구로서 기능하는 반송 공간(222a)(도시하지 않음)이 동적으로 형성되고, 반송 공간(221a)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220)의 좌우측에는 반송 공간(223, 22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반송 공간(223)은, 반송 공간(221c)과 연통하여 캐비티를 구성하고, 반송 공간(224)은 반송 공간(222c)와 연통하여 캐비티를 구성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220)가 회전하면, 로터(220)의 좌우측의 반송 공간(223, 224)의 한쪽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다른 쪽의 단면적이 확대된다. 예를 들면, 로터(220)가 0°부터 90°까지 회전하면, 반송 공간(223)은 닫히고, 반송 공간(224)은 최대 단면적이 된다.
이와 같이, 로터(220)가 회전하면, 스테이터(211)의 유로 방향에 수직한 방향(B-B 단면, C-C 단면을 포함함)의 각 단면에 있어서, 로터(2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반송 공간이 2계통씩 형성 및 폐쇄되는 동작이 반복되고, 삽통공(212) 내를 액체 재료가 반송된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211)는, 외통(210)의 내주면(210a, 210b, 210c)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211)는, 로터(2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외통(210)에 대하여 스테이터(211)가 회전 이동해 버리고, 외통(210)과 스테이터(211)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일이 없도록 스테이터(21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외통(210)과 스테이터(211)는 접착 고정된다. 도 8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211, S21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여유(S211, S212)의 양이 일정한 스테이터(2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211c)과 비교하여, 유입구 부분(211a) 및 유출구 부분(211b)의 조임여유(S211, S212)의 조임여유량은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덧붙여, 스테이터(211)의 유입구 부분(211a) 및 유출구 부분(211b)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211c)과 비교하여 두껍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입구 부분 및 유입구 부분에서의 로터(220)와 스테이터(211)의 밀착력은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한층 더 약해지고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테이터(2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밀착력의 차는, 제1 실시형태예보다 커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직경 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스테이터(211)의 유입구 부분(211a) 및 유출구 부분(211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로터(220)와 스테이터(211)의 밀착력은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약해진다. 다만, 외통(210)의 양 단부에서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중앙 부분보다 얇게 구성하는 태양은, 제2 실시형태예의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통(2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류단 부분 및 하류단 부분을 향하여 포물선을 그리도록 둥그스름하게 하여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하거나, 계단형으로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해도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2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211)의 양 단부 부근(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조임여유(S211, S212)가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삽통공(2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220)와 스테이터(211)의 밀착력이 중앙 부분보다 약하게 되고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통(210)의 양 단부에서의 내경을 중앙 부분보다 확대하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211)의 유입구 부분(211a) 및 유출구 부분(211b)이 매끄럽게 확경됨으로써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직경 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있으므로, 스테이터(211)의 유입구로의 액체 재료의 수용, 및 유출구로부터의 액체 재료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예> 
도 9는, 제3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310), 스테이터(311) 및 로터(3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3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310)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310)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예는, 외통(310) 및 스테이터(311)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a)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310)은, 유입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입구측 내주면(310a)과, 유출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출구측 내주면(310b)과, 스테이터(311)의 내주면의 암나사 형상과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중앙 부분 내주면(310c)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310)은, 상류단 부분 및 하류단 부분에 원뿔대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점은 제2 실시형태예와 같지만, 중앙 부분 내주면(310c)이 암나사 형상인 점에서 상이하게 되어 있다.
스테이터(311)의 중앙 부분 내주면은 로터(320)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이며, 스테이터(311)의 중앙 부분 외주면은 내주면과 동일 피치의 수나사 형상이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311)는 외통(310)의 내주면(310a, 310b, 310c)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예에서는, 외통의 중앙 부분 내주면(310c)이 스테이터(311)의 중앙 부분 내주면의 암나사 형상과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터(3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해당 중앙 부분에서의 로터(320)와의 밀착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테이터(311)와 로터(320)가 협동하여 반송로를 구성할 때, 로터(320)가 동작하는 궤도는 스테이터(311)가 탄성 변형했을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이 반발력이 중앙 부분 내주면(310c)의 범위에 있어서는 로터(320)와 맞닿음면 전체 주위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므로, 제3 실시형태예에서는 로터(320)가 동작하는 궤도가 일정하게 되고, 반송로의 구축이 안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실시형태예에서는 로터(320)의 자세가 전체 주위에서 안정되므로, 캐비티의 형상이 일정하게 된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3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로터(320)의 하측의 최상류에는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반송 공간(321a)이 형성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320)가 회전하면, 로터(320)의 상측의 최상류에 반송 공간(322a)(도시하지 않음)이 동적으로 형성되고, 반송 공간(321a)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B-B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320)의 하측에는 반송 공간(321c)이 형성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320)가 회전하면, 로터(320)의 하측의 반송 공간(321c)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로터(320)의 상측에 반송 공간(322c)(도시하지 않음)이 생기고, 로터(320)가 회전에 따라 그 단면적을 더욱 확대한다.
도 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선의 위치에 있어서, 로터(320)의 좌우측에는 반송 공간(323, 32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반송 공간(323)은 반송 공간(321c)과 연통하여 캐비티를 구성하고, 반송 공간(324)은 반송 공간(322c)과 연통하여 캐비티를 구성한다. 도시한 위치로부터 로터(320)가 회전하면, 로터(320)의 좌우측의 반송 공간(323, 324)의 한쪽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다른 쪽의 단면적이 확대된다. 예를 들면, 로터(320)가 0°부터 90°까지 회전하면, 반송 공간(323)은 닫히고, 반송 공간(324)은 최대 단면적이 된다.
이와 같이, 로터(320)가 회전하면, 스테이터(311)의 유로 방향에 수직한 방향(B-B 단면, C-C 단면을 포함함)의 각 단면에 있어서, 로터(3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반송 공간이 2계통씩 형성 및 폐쇄되는 동작이 반복되고, 삽통공(312) 내를 액체 재료가 반송된다.
또한, 도 9 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311, S312)의 양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311)의 중앙 부분(311c)과 비교하여 유입구 부분(311a) 및 유출구 부분(311b)의 조임여유(S311, S312)의 조임여유량은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3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320)와의 밀착력은, 조임여유량의 조정에 의해서도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고 있다.
또한, 도 9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311)의 중앙 부분(311c)은, 제2 실시형태예의 스테이터(211)의 중앙 부분(211c)과 비교하여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3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테이터(3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320)의 밀착력의 차는, 제2 실시형태예보다 커지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스테이터(3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320)와의 밀착력이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보다 약해지고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예와 비교하여, 스테이터(3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의 밀착력의 차를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예> 
도 10은, 제4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410), 스테이터(411) 및 로터(4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4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410)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410)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4 실시형태예는, 외통(410) 및 스테이터(411)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a)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410)은, 유입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입구측 내주면(410a)과, 유출구를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경되는 유출구측 내주면(410b)과, 스테이터(411)의 내주면의 암나사 형상과 실질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중앙 부분 내주면(410c)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410)은, 중앙 부분 내주면(410c)의 암나사 형상이 에지를 가지는 점에서, 에지가 없는 매끈한 암나사 형상이 형성된 제3 실시형태예의 외통(310)과 상이하다.
스테이터(411)의 중앙 부분 내주면은, 로터(420)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이며, 스테이터(411)의 중앙 부분 외주면은 내주면과 실질 동일 피치의 에지를 가지는 수나사 형상이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411)는 외통(410)의 내주면(410a, 410b, 410c)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411, S412)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여유(S411, S412)의 양이 일정한 스테이터(411)의 중앙 부분(411c)과 비교하여, 유입구 부분(411a) 및 유출구 부분(411b)의 조임여유(S411, S412)의 조임여유량은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4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420)와의 밀착력은, 조임여유량의 조정에 의해서도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지고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4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로터(420)의 하측의 최상류에는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반송 공간(421a)이 형성된다.
또한, 도 10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411)의 중앙 부분(411c)은, 제2 실시형태예의 스테이터(211)의 중앙 부분(211c)과 비교하여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스테이터(4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420)의 밀착력의 차는, 제2 실시형태예보다 커지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4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스테이터(4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420)와의 밀착력이 중앙 부분보다 약해지고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예는, 제3 실시형태예의 외통(310)과 비교하여, 외통(410)의 형상을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할 때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예> 
도 11은, 제5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510), 스테이터(511) 및 로터(5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520)가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외통(510)만의 측면 단면도, (f)는 외통(510)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5 실시형태예는, 외통(510) 및 스테이터(511)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의 (a)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510)은,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과,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하류단 부분 내주면(510b)과,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중앙 부분 내주면(510c)과, 유입측 테이퍼면(510d)과, 유출측 테이퍼면(510e)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511)의 내주면은, 로터(520)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이며, 스테이터(511)의 외주면은 외통(510)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511)는 외통(510)의 내주면(510a∼510e)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520)가 최상 위치에 있을 때, 로터(520)의 하측의 최상류에는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반송 공간(521a)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510)은,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 및 하류단 부분 내주면(510b)을 중앙 부분 내주면(510c)보다 대경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및 유출구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걸쳐, 로터(520)와의 밀착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외통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은 스테이터(511)의 유입구측의 단부로부터 로터(520)의 1번 돌린 분량으로부터 2번 돌리고, 하류단 부분 내주면(510b)은 스테이터(511)의 유출구측의 단부로부터 로터(520)의 1번 돌린 분량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510)은,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의 길이 방향의 범위(길이)를, 하류단 부분 내주면(510b)의 길이 방향의 범위(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삽통공(512) 내에 형성되는 반송로로의 액체 재료의 수용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통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의 길이는, 유입구측의 단부로부터 로터(520)의 1번 돌린 분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 공차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충분히 밀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도록, 로터(520)의 1.5번 돌린 범위에 대하여 밀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삽통공(512) 내에 형성되는 반송로의 유입구 부분을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는 것은, 액체 재료의 수용을 충분히 행하고, 맥동을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이다.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510)에서는, 유입구를 향하여 확경되는 유입측 테이퍼면(510d) 및 유출구를 향하여 확경되는 유출측 테이퍼면(510e)에 의해, 스테이터(511)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양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그런 점에 의해서도, 로터(520)와 스테이터(511)의 밀착력은 양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약해지고 있다. 제5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부분(511a)은, 외통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510a) 및 유입측 테이퍼면(510d)에 대응하는 범위이다. 제5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511)의 유출구 부분(511b)은 외통의 하류단 부분 내주면(510b) 및 유출측 테이퍼면(510e)에 대응하는 범위이며,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부분(511a)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와 같이, 스테이터(511)의 중앙 부분과 유입구 부분(또는 유출구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로터(520)에 의한 밀착력을 서서히(단계적으로) 약화시키고, 경계보다 유입구(또는 유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는 로터(520)에 의한 밀착력을 일정하게 하는 태양에 있어서도, 맥동을 막는 것은 가능하다. 즉, 로터(520)에 의한 밀착력을, 스테이터(5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유출구 및 유입구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작게 한다는 기술 사상에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이, 유출구 및 유입구에 인접하지 않는 테이퍼면을 외통(510)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태양도 포함된다.
도 11의 (a)에 있어서 검은 칠로 묘화된 조임여유(S511, S512)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여유(S511, S512)의 양이 일정한 스테이터(511)의 중앙 부분(511c)과 비교하여, 유입구 부분(511a) 및 유출구 부분(511b)의 조임여유(S511, S512)의 조임여유량은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520)와의 밀착력은, 조임여유량의 조정에 의해서도 작아지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5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520)와의 밀착력이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보다 약해지고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통(510) 중 유입구 부분의 내주면 확경의 범위가, 제2∼제4 실시형태예와 비교하여 길므로, 삽통공(512)의 유입구 부분에서의 밀착력은 긴 범위에서 약해지고, 삽통공(512) 내에 형성되는 반송로로의 액체 재료의 수용을 더욱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주면이 확경된 스테이터(511)의 유입구 부분의 범위를 유출구 부분보다 길게 하는 것은, 제3 및 제4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형태예> 
도 12는, 제6 실시형태예에 관련된 외통(610), 스테이터(611)및 로터(620)의 설명도이며, (a)는 로터(620)이 최상 위치(0°)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 (b)는 (a)의 A-A 단면도, (c)는 (a)의 B-B 단면도, (d)는 (a)의 C-C 단면도, (e)는 로터(620)을 도시하지 않은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6 실시형태예는, 외통(610) 및 스테이터(611)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610)은,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상류단 부분 내주면(610a)과,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하류단 부분 내주면(610b)과, 길이 방향에 걸쳐 동일 직경의 원기둥형 공간을 구성하는 중앙 부분 내주면(610c)과, 유입측 테이퍼면(610d)과, 유출측 테이퍼면(610e)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611)의 내주면은 로터(620)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이며, 스테이터(611)의 외주면은 외통(610)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611)는, 외통(610)의 내주면(610a∼610e)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610)은, 상류단 부분 내주면(610a) 및 하류단 부분 내주면(610b)을 중앙 부분 내주면(610c)보다 대경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및 유출구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걸쳐, 로터(620)와의 밀착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의 외통(610)은, 제5 실시형태예와 같이 외통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610a)의 길이 방향의 범위(길이)를, 하류단 부분 내주면(610b)의 범위(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삽통공(612) 내에 형성되는 반송로로의 액체 재료의 수용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맥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부분에 인접하여 수용 공간(621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621a)의 내경은, 수용 공간(621a)에서 회전하는 로터(620)와 맞닿을 일이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 수용 공간(621a)에 있어서는, 스테이터(611)의 내주면은 로터(620)에 상시 맞닿지 않으므로, 수용 공간(621a)은 액체 재료를 이송하는 작용을 하지 않는 비반송 작용 영역이다. 즉, 본 실시형태예의 스테이터(611)의 삽통공(612)은, 반송 작용 영역과 비반송 작용 영역으로 구분된다. 삽통공(612)에서의 반송 작용 영역과 비반송 작용 영역의 경계는, 로터(620)가 스테이터(611)과 맞닿는 최상류 위치이며, 도 12의 (a)에 있어서는 부호 612a로 도시하고 있다. 부호 612a로 도시하는 장소가 반송로의 개시 위치가 되고, 여기가 반송로의 유입구가 된다. 부호 612a보다 하류측이 액체 재료의 반송 작용을 하는 반송로를 구성한다. 이 반송로는, 삽통공(612) 내에 수나사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로터(620)을 삽입함으로써 발현하는 유로이며, 삽통공(612) 내에 있어서 로터(620)를 편심 회전함으로써, 반송로 내에 순차 형성되는 캐비티의 이동과 함께 캐비티를 채우는 액체 재료가 이송된다. 수용 공간(621a)은 반송로의 유입구에 인접하는 공간으로서,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확경되어 있다.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공간(621a)을 구성하는 스테이터(611)의 내주면과 로터(620)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별도의 관점에서는, 스테이터(611)의 삽통공(612)의 내경은, 최상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가장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 공간(621a)은 수용 공간(621a)의 하류에 형성되는 삽통공(612) 내의 캐비티 중 어느 것보다 용적이 작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유입구를 향하여 확경되는 외통의 유입측 테이퍼면(610d) 및 유출구를 향하여 확경되는 유출측 테이퍼면(610e)에 의해, 스테이터(611)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으므로, 그런 점에 의해서도, 로터(620)와 스테이터(611)의 밀착력은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약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반송로의 유입구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스테이터(611)와 로터(620)의 밀착력이 제로로 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부분(611a)은, 반송 작용 영역의 외통(610)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610a) 및 유입측 테이퍼면(610d)에 대응하는 범위이며, 비반송 작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611)의 유출구 부분(611b)은, 외통(610)의 하류단 부분 내주면(610b) 및 유출측 테이퍼면(610e)에 대응하는 범위이며,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부분(611a)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611)의 유출구 부분(611b)은 비반송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비반송 영역을 포함하도록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유출구 부분은 이 비반송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예에서의 스테이터(6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611c)의 길이는,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부분의 길이의 2배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예의 스테이터(611)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는 조임여유량이 일정하지만, 해당 중앙 부분과의 경계로부터 수용 공간과의 경계(612a)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조임여유량이 작아지고 있다. 또한, 스테이터(611)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의 경계로부터 유출구를 향하여 서서히(단계적으로) 조임여유량이 작아지고 있다. 외통(610)의 상류단 부분 내주면(610a) 및 하류단 부분 내주면(610b)의 내경이 확경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도, 스테이터(611)의 유입구 부분(611a) 및 유출구 부분(611b)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삽통공(6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밀착력은 서서히(단계적으로) 약해지고 있다. 또한, 삽통공(612)의 유입구 부근에 있어서, 스테이터(611)의 내주면에 상류측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수용 공간(621a)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삽통공(612)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가 항상 채워지는 양의 액체 재료가 공급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6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삽통공(612)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520)와 스테이터(511)의 밀착력이 중앙 부분보다 약해지고 있고, 또한 액체 재료를 원활하게 유입시키는 확경된 수용 공간(621a)이 유입구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맥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를 상대 이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공작물 표면에 선폭이 균일한 선묘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삽통공(612)의 유입구 부분에만 비반송 작용 영역을 형성하였으나, 삽통공(612)의 유출구 부분에도 비반송 작용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개량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부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예 1∼6의 각 도면에서는, 외통의 상류단 부분과 하류단 부분의 내주면의 직경을 모두 같은 크기로서 묘화했지만, 외통의 상류단 부분과 하류단 부분의 내주면의 직경의 크기가 상이한 태양이나, 테이퍼의 각도가 상이한 정황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 1∼6에 있어서, 예를 들면, 삽통공(12, 212, 312, 412, 512)의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의 반송 공간의 용적을, 삽통공(12, 212, 312, 412, 51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반송 공간의 용적과 비교하여, 크게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삽통공 내의 반송 공간을 이동한 액체 재료를 보다 맥동이 없는 흐름으로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 1∼6에 있어서, 예를 들면, 로터(20, 220, 320, 420, 520, 620)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을,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보다 굵게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테이터의 삽통공의 내경을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 동일 직경으로 해도,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을,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에 비해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 1∼6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단위체적당의 탄성력이,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의 단위체적당의 탄성력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탄성체를,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에서의 탄성체보다 고밀도의 탄성체(예를 들면, 고무)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 1∼6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 회로의 액체 이송 펌프 등에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예 1∼6과 로터를 역회전하는 것에 의해, 흡인 펌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예 1∼6을 조합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삽통공(12, 212, 312, 412, 512, 612)의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예 1∼6 중 어느 해결 수단을 채용하고, 삽통공(12, 212, 312, 412, 512, 612)의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유입구 부분과는 상이한 상기 실시형태예 1∼6 중 어느 해결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조합도 가능하다.
(A)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또는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외통의 내경을 단계적으로 확경함으로써 조임여유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두껍게 하고 또한, 삽통공의 유출구 부분(또는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외통의 내경을 일정하게 하면서 조임여유량을 단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
(B)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또는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외통의 내경을 단계적으로 확경함으로써 조임여유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두껍게 하고 또한, 삽통공의 유출구 부분(또는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외통의 내경을 일정하게 하면서,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탄성력이 약한 재료로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것
(C) 외통의 내경을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하면서, 삽통공의 유출구 부분(또는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조임여유량을 단계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 및 유출구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로터와 스테이터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또한, 삽통공의 유입구 부분(또는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탄성력이 약한 재료로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것.
(D) 상기 (A)∼C)에 있어서, 삽통공의 유입구 부근에 위치하는 로터의 외주면과 스테이터의 내주면이 맞닿지 않는 공간으로서, 삽통공의 유입구측 단부를 향하여 확경되는 수용 공간을 설치하는 것.
1: 액체 재료 토출장치
2: 본체
3: 로터 구동 장치
10, 110, 210, 310, 410, 510: 외통
11, 111, 211, 311, 411, 511: 스테이터
12, 112, 212, 312, 412, 512: 삽통공
13: 노즐 부재
14: 기포 배출공
15: 스테이터 유닛
20, 120, 220, 320, 420, 520: 로터
21, 121, 221, 321, 421, 521: (로터 하측) 반송 공간
22, 122, 222, 322, 422, 522: (로터 상측) 반송 공간
23, 123, 223, 323, 423, 523: (로터 우측) 반송 공간
24, 124, 224, 324, 424, 524: (로터 좌측) 반송 공간

Claims (29)

  1. 외통(外筒);
    상기 외통의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된 암나사 형상의 관통공인 삽통공(揷通孔)을 가지는 스테이터; 및
    로터 구동부에 접속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주면과 맞닿으면서 편심 회전하는 수나사 형상의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공에 삽통된 상기 로터를 편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가 구성하는 반송로(搬送路)에 있어서 유체를 이송 가능한 유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범위를 조이는 유입구 부분과,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범위를 조이는 유출구 부분과,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이,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tightening allowance)량을,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에 비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을,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에 비해 작게 한, 유체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이,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유출구 또는 유입구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길이 방향에 걸쳐 상기 로터에 의한 밀착력이 균일한, 유체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A)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A4인 경우에, A4>A2>A3>A1의 관계를 가지고,
    (B)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밀착력이 B4인 경우에, B4>B2>B3>B1의 관계를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은, 길이 방향에 걸쳐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량이 균일한, 유체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A)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A4인 경우에, A4>A2>A3>A1의 관계를 가지고,
    (B)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1이고,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2이며,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와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3이고, 상기 반송로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이 B4인 경우에, B4>B2>B3>B1의 관계를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로터의 2번 돌린 분량 이상의 범위에 걸쳐 있는, 유체 이송 장치.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부분이,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분량 초과의 범위이고,
    상기 유출구 부분이,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로터의 1번 돌린 분량 초과의 범위인, 유체 이송 장치.
  10.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길이 방향의 범위가,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범위보다 긴, 유체 이송 장치.
  11.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의 조임여유량의 비율이 0.4∼0.7:1인, 유체 이송 장치.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유입구 부분 및 상기 유출구 부분에서의 형상 및/또는 재료 특성이, 상기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반송로의 유입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의 재료 특성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의 요소가 상기 삽통공의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의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에 비해 작아지도록,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조임여유량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의 재료 특성 및 두께 중 어느 하나의 요소가 상기 삽통공의 중앙 부분과 상이한 사양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와 비교하여, 탄성력이 강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上流端) 부분 및 하류단(下流端)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확경(擴徑)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상기 스테이터와 동일 피치의 암나사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 형상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요철 형상이 이루어져 있는, 유체 이송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상류단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외통의 하류단 부분에서의 내주면이, 상기 외통의 하류단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 이송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상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상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중앙 부분을 연락하는 유입측 테이퍼면과, 동일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하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하류단 부분 내주면과 상기 중앙 부분을 연락하는 유출측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 장치.
  21.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류단 부분에서의 확경된 내주면의 범위가, 상기 외통의 하류단 부분에서의 확경된 내주면의 범위보다 긴, 유체 이송 장치.
  22.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입구 부분의 범위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이 3:5∼10이고, 또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유출구 부분의 범위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앙 부분의 범위의 비율이 2:5∼10인, 유체 이송 장치.
  2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로터에 의한 조임여유를 가지는 반송 작용 영역과, 상기 반송 작용 영역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와 맞닿지 않는(조임여유를 가지지 않는) 비반송 작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송 작용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삽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삽통공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유입구측을 향하여 확경되는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체 이송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송 작용 영역의 용적이, 상기 반송 작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의 편심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삽통공 내의 반송 공간의 어느 용적보다 작은, 유체 이송 장치.
  2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유입구 부분 및/또는 유출구 부분에서의 상기 로터와의 밀착력이, 상기 로터가 최상 위치 및 최하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약한, 유체 이송 장치.
  2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 부재를 더 구비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인, 유체 이송 장치.
  28. 제27항에 기재된 유체 이송 장치; 및
    상기 유체 이송 장치와 피도포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상대 이동 장치;
    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
  29. 제28항에 기재된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공작물 표면에 균일한 선폭의 선묘화를 행하는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상대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유체 이송 장치와 피도포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체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공작물 표면에 균일한 선폭의 선묘화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포 방법.
KR1020237002346A 2021-01-19 2022-01-19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KR10258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6131 2021-01-19
JP2021006131 2021-01-19
PCT/JP2022/001827 WO2022158492A1 (ja) 2021-01-19 2022-01-19 流体移送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る塗布装置、並びに、塗布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059A KR20230016059A (ko) 2023-01-31
KR102582599B1 true KR102582599B1 (ko) 2023-09-22

Family

ID=8254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346A KR102582599B1 (ko) 2021-01-19 2022-01-19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15092B2 (ko)
EP (1) EP4282539A4 (ko)
JP (2) JP7341571B2 (ko)
KR (1) KR102582599B1 (ko)
CN (1) CN116745526A (ko)
TW (1) TW202237982A (ko)
WO (1) WO202215849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820A (en) 1996-05-28 1998-03-03 Robbins & Myers, Inc. Progressing cavity pump having less compressive fit near the discharge
JP2010001876A (ja) 2008-06-23 2010-01-07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2010248979A (ja) 2009-04-14 2010-11-0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ロータ、ステータ及び、一軸偏心ねじポンプ
US20200256311A1 (en) 2017-11-16 2020-08-13 Weatherford Technology Holdings, Llc Load Balanced Power Section of Progressing Cavi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4537A (en) * 1965-12-01 1967-11-28 Walter J O'connor Renewable moineau-type pumping mechanism
JPS582914B2 (ja) 1974-03-18 1983-01-19 株式会社東芝 イドウテスリベルトソウチ
JPS582914U (ja) 1981-06-30 1983-01-1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移動用ケ−ブル
CA1208072A (en) * 1983-08-16 1986-07-22 Minoru Saruwatari Progressive cavity pump
DE3525529C1 (de) * 1985-07-17 1986-08-07 Netzsch-Mohnopumpen GmbH, 8264 Waldkraiburg Stator fuer Exzenterschneckenpumpen
DE4006339C2 (de) * 1990-03-01 1994-08-04 Gd Anker Gmbh & Co Kg Stator für eine Exzenterschneckenpumpe
DE4237966A1 (de) * 1992-11-11 1994-05-26 Arnold Jaeger Exzenterschneckenpumpe
JP5028602B2 (ja) 2008-02-29 2012-09-19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2016047522A (ja) 2014-08-25 2016-04-07 兵神装備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装置
JP6722906B2 (ja) 2014-10-17 2020-07-15 兵神装備株式会社 容積式ポンプ
JP5802914B1 (ja) 2014-11-14 2015-11-04 兵神装備株式会社 流動体搬送装置
JP7199128B1 (ja) 2022-01-18 2023-01-05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7138383B1 (ja) 2022-01-18 2022-09-16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820A (en) 1996-05-28 1998-03-03 Robbins & Myers, Inc. Progressing cavity pump having less compressive fit near the discharge
JP2010001876A (ja) 2008-06-23 2010-01-07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2010248979A (ja) 2009-04-14 2010-11-0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ロータ、ステータ及び、一軸偏心ねじポンプ
US20200256311A1 (en) 2017-11-16 2020-08-13 Weatherford Technology Holdings, Llc Load Balanced Power Section of Progressing Cav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059A (ko) 2023-01-31
US11815092B2 (en) 2023-11-14
WO2022158492A1 (ja) 2022-07-28
JP7341571B2 (ja) 2023-09-11
CN116745526A (zh) 2023-09-12
EP4282539A1 (en) 2023-11-29
EP4282539A4 (en) 2024-05-22
JPWO2022158492A1 (ko) 2022-07-28
TW202237982A (zh) 2022-10-01
US20230265848A1 (en) 2023-08-24
JP2023169162A (ja)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311B2 (en)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US10233922B2 (en) Axis eccentric screw pump with an increasing diameter rotor with a constant sectional area stator
BRPI1006572B1 (pt) bomba
KR101935839B1 (ko) 임펠러 및 유체 펌프
ES2857189T3 (es) Bomba para el transporte de aguas residuales así como rueda motriz y placa de fondo para dicha bomba
US7214042B2 (en) Progressing cavity pump with dual material stator
KR102582599B1 (ko) 유체 이송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DE112007003655B4 (de) Flügelpumpe mit variabler Kapazität
IL171999A (en) Double-cone device with enhanced pressure amplification and reduced noise
KR20200053973A (ko) 이송장치
ES2909699T3 (es) Estator para una bomba helicoidal excéntrica
US20110293441A1 (en) Multiphase pump flow recirculation system
CN102094816B (zh) 子母叶片泵
JP7494180B2 (ja) 医療用流体を運ぶための医療用ポンプ装置
US20220145882A1 (en) Progressing cavity devices and assemblies for coupling multiple stages of progressing cavity devices
JPWO2022158492A5 (ko)
KR20240077540A (ko) 모노 펌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2441915A2 (en) Vane pump
WO2003056137A1 (en) Coaxial energy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