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583B1 - 굴의 패각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굴의 패각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583B1
KR102582583B1 KR1020220109090A KR20220109090A KR102582583B1 KR 102582583 B1 KR102582583 B1 KR 102582583B1 KR 1020220109090 A KR1020220109090 A KR 1020220109090A KR 20220109090 A KR20220109090 A KR 20220109090A KR 102582583 B1 KR102582583 B1 KR 10258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blade
shell
oyster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림
Original Assignee
김동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림 filed Critical 김동림
Priority to KR102022010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굴의 패각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칼날을 통해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스토퍼를 통해 굴을 고정시킨 다음 인출되는 제2 칼날을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송부를 통해 굴을 이송시키고, 이격부를 통해 이송되는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켜며, 절단부를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시켜 굴의 패각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노동력 없이도 굴의 패각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굴의 패각 절단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YSTER SHELLS}
본 발명은 굴의 패각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로부터 패각을 제거하고 알굴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굴의 패각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은 바다의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것으로, 한자어로는 석화로 표기한다. 굴의 껍질은 이매패류에 속하며 최근 수하식 양식을 통해 다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굴 껍질을 벗겨 굴을 채취할 때에는 상부와 하부의 껍질 사이에 칼날을 끼워 넣은 다음 칼날을 소정각도 비틀어 상부와 하부 껍질을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굴 껍질을 분리하기 위한 작업은 굴 껍질이 매우 두껍기 때문에 껍질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실정이다.
위와 같은 굴 껍질을 벗기는 과정은 굴 껍질이 비교적 약한 부분에 칼을 넣어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칼날 자체가 껍질 사이에 잘 끼워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작업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이유는 굴 껍질 표면에 각종 슬러지들이 껍질 표면에 달라붙어 있어 칼날의 투입 경로를 간섭하거나 껍질의 맞물림 정도가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또한 굴 껍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굴 껍질 표면에 붙어 있던 각종 슬러지나 껍질의 일부가 알굴 표면에 붙어 있는 상태로 껍질에서 꺼내지는 경우가 많아 알굴의 상품성을 훼손함은 물론, 비 위생적인 알굴 채취로 인해 신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7582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99815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248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작업자들의 노동력으로부터 벗어나 굴의 패각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알굴을 온전하게 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는, 굴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칼날을 통해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스토퍼를 통해 굴을 고정시킨 다음 인출되는 제2 칼날을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굴의 둘레 중 최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오목편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편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칼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탄성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굴의 크기에 따라 간격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 이격공간으로 굴의 전방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격공간 사이로 상기 제2 칼날이 인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고정된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칼날은 일정각도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의 패각 절단 장치에 따르면, 이송부를 통해 굴을 이송시키고, 이격부를 통해 이송되는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켜며, 절단부를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시켜 굴의 패각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노동력 없이도 굴의 패각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 이격부 및 절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 및 이격부의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받침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굴의 패각 절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 이격부 및 절단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 및 이격부의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받침부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의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는 굴로부터 패각을 제거하여 알굴을 신속하고 온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100)는 이송부(110), 이격부(120) 및 절단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10)는 굴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굴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11)가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111)에는 둘레를 따라 중앙에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2)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파형 형상의 파형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2)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받침부재(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114)는 상기 컨베이어(111)에 의해 이송되는 굴의 전방에 밀착되어 굴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부가 상기 개구부(112)에 인입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114)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베이어(111)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재(114c)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114)의 하단에는 상기 파형편(113)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안착돌기(114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재(114)의 후면에는 굴의 전방이 지지되도록 상방에서 후측 하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제1 경사면(114a)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11)에는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제1 받침부재(11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제2 받침부재(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받침부재(115)의 전방에는 굴의 후방이 지지되도록 각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지도록 제2 경사면(115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받침부재(115) 사이에 굴의 후방이 밀착되고, 상기 제1 받침부재(114)가 굴의 전방에 밀착됨에 따라 굴이 고정된다.
여기서, 굴은 비교적 평평한 부분이 상방에 위치되고, 알굴이 위치하여 볼록한 부분이 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격부(120)는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부(110)의 전방인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이격부(120)에는 상기 이송부(110)의 양측으로 제1 탄성체(12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탄성체(124)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체(124)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고정부재(123)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23)의 상하 방향 사이에는 회전롤러(1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롤러(121)는 상기 제1 탄성체(124)의 탄성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굴의 크기에 따라 밀려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회전롤러(121)는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굴을 중앙으로 안내하며 하도록 오목편(121a)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편(121a)은 상기 회전롤러(121)의 외주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인 대략 장구 또는 모래시계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오목편(121a)의 중앙 둘레에는 제1 칼날(122)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칼날(122)은 상기 회전롤러(121)와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굴은 굴의 둘레 중 최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오목편(121a)에 의해 중앙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1 칼날(122)에 의해 상하부 패각이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절단부(130)는 상기 이격부(120)에 의해 벌어진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절단부(130)에는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굴의 전방 부분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131)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3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격공간으로 굴의 전방 부분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1)의 이격공간 사이로 제2 칼날(132)이 제1 이송장치(133)에 의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이송장치(133)는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칼날(132)은 상기 스토퍼(131)에 의해 고정된 굴의 패각 사이로 인출되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칼날(132)은 일정각도 상방으로 인출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13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고무롤러(131a)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무롤러(131a)의 외주면에는 마찰돌기(131b)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롤러(131a)가 회전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굴이 이격공간에 고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굴의 패각 절단 장치(100)는 회전부(140) 및 박리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140)는 상기 절단부(130)에 의해 상부 패각이 절단된 굴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140)는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 상방에 회전축(141)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1)은 제2 이송장치(14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제2 이송장치(142)는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41)의 전단부에는 회전프레임(143)이 편심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43)은 상기 회전축(141)에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부(110)의 상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안내공이 안내공(143a)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143a)에는 하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프레임(144)이 관통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44)의 상하측에는 상기 안내공(143a)에 이동 시 걸려 고정되도록 제1 걸림턱(144a) 및 제2 걸림턱(144b)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44)의 일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제3 이송장치(145)가 결합된다.
상기 제3 이송장치(145)의 단부에는 굴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그립부재(146)가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제3 이송장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프레임(143)은 상기 그립부재(146)를 통해 굴을 고정시킨 후 180도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4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144)이 하중에 의해 상기 안내공(143a)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프레임(14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재(146)에 고정된 굴의 알굴이 하중에 의해 무게가 하방으로 쏠려 패가과 알굴이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프레임(143)은 상기 스토퍼(131)에 고정된 굴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이송장치(142)를 통해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 후 회전된다.
상기 박리부(150)는 상기 회전부(140)에 의해 회전된 굴로부터 알굴을 박리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140)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박리부(150)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실리콘커버(151)가 구비된다.
상기 실리콘커버(151)의 내부에는 상기 제3 칼날(15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칼날(15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칼날(152)은 상기 실리콘커버(151)가 굴과 밀착 시 가압력에 의해 수축된다.
이때, 상기 제3 칼날(152)의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3 칼날(152)은 돌출되어 굴과 밀착 시 굴의 표면 형태와 대응되도록 타단부가 제2 탄성체(15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3 칼날(152)은 굴의 표면 형태에 따라 유동되며 굴의 표면에 밀착되어 굴의 표면에 붙어 있는 알굴을 박리시킨다.
한편, 상기 박리부(150)의 하방에는 상기 제3 칼날(152)에 의해 박리되어 하방으로 떨어지는 알굴이 저장되도록 박리함(b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140)의 하방에는 상기 박리함의 후방으로 수거함(b2)이 구비된다.
상기 수거함에는 상기 박리부(150)에 의해 알굴이 제거된 패각이 상기 회전부(14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다음 낙하되어 수거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의 패각 절단 장치에 따르면, 이송부를 통해 굴을 이송시키고, 이격부를 통해 이송되는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켜며, 절단부를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시켜 굴의 패각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노동력 없이도 굴의 패각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절단 장치 110: 이송부
111: 컨베이어 112: 개구부
113: 파형편 114: 제1 받침부재
114a: 제1 경사면 114b: 안착돌기
114c: 걸림부재 115: 제2 받침부재
115a: 제2 경사면 120: 이격부
121: 회전롤러 121a: 오목편
122: 제1 칼날 123: 고정부재
124: 제1 탄성체 130: 절단부
131: 스토퍼 131a: 고무롤러
131b: 마찰돌기 132: 제2 칼날
133: 제1 이송장치 140: 회전부
141: 회전축 142: 제2 이송장치
143: 회전프레임 143a: 안내공
144: 이동프레임 144a: 제1 걸림턱
144b: 제2 걸림턱 145: 제3 이송장치
146: 그립부재 150: 박리부
151: 실리콘커버 152: 제3 칼날
153: 제2 탄성체 114c: 제1 걸림턱
b1: 박리함 b2: 수거함

Claims (5)

  1. 굴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칼날을 통해 굴의 상하부 패각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스토퍼를 통해 굴을 고정시킨 다음 인출되는 제2 칼날을 통해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굴의 둘레 중 최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오목편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편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칼날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탄성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굴의 크기에 따라 간격 조절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 이격공간으로 굴의 전방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격공간 사이로 상기 제2 칼날이 인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고정된 굴의 상부 패각을 절단하며,
    상기 제2 칼날은 일정각도 상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으로 제1 탄성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탄성체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단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하 방향 사이에는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굴에 의해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의 패각 절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09090A 2022-08-30 2022-08-30 굴의 패각 절단 장치 KR10258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90A KR102582583B1 (ko) 2022-08-30 2022-08-30 굴의 패각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90A KR102582583B1 (ko) 2022-08-30 2022-08-30 굴의 패각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583B1 true KR102582583B1 (ko) 2023-09-25

Family

ID=8819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090A KR102582583B1 (ko) 2022-08-30 2022-08-30 굴의 패각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58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805A (en) * 1983-07-29 1987-05-12 Sasakat Pty. Limited Shellfish processing
KR100998150B1 (ko) 2008-11-19 2010-12-03 김정명 원심 알굴 분리기
KR20110069416A (ko) * 2009-12-17 2011-06-23 신승진 조개 자동 탈각 시스템
KR101202492B1 (ko) * 2012-01-02 2012-11-16 임영철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
KR101524814B1 (ko) 2013-09-03 2015-05-29 김금규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KR101575824B1 (ko) 2013-12-02 2015-12-09 김금규 다층 굴 껍질 절삭세척기
KR20160026025A (ko) * 2014-08-29 2016-03-09 이영환 굴 껍데기의 제거 장치
CN107712017A (zh) * 2017-11-19 2018-02-2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水产设备
CN107736433A (zh) * 2017-11-19 2018-02-27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水产设备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805A (en) * 1983-07-29 1987-05-12 Sasakat Pty. Limited Shellfish processing
KR100998150B1 (ko) 2008-11-19 2010-12-03 김정명 원심 알굴 분리기
KR20110069416A (ko) * 2009-12-17 2011-06-23 신승진 조개 자동 탈각 시스템
KR101202492B1 (ko) * 2012-01-02 2012-11-16 임영철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
KR101524814B1 (ko) 2013-09-03 2015-05-29 김금규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KR101575824B1 (ko) 2013-12-02 2015-12-09 김금규 다층 굴 껍질 절삭세척기
KR20160026025A (ko) * 2014-08-29 2016-03-09 이영환 굴 껍데기의 제거 장치
CN107712017A (zh) * 2017-11-19 2018-02-2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水产设备
CN107736433A (zh) * 2017-11-19 2018-02-27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水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ultry or a part thereof
US90049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processing an organ or organs taken out from slaughtered poultry
US93202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saddle meat from a carcass part of slaughtered poultry
US9538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eling and deveining shrimp
DK2885975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igh meat and "oyster" meat from a poultry thigh
KR102582583B1 (ko) 굴의 패각 절단 장치
KR102582591B1 (ko) 굴의 패각 제거 장치
US4019224A (en) Removal of meat from crustaceans
KR20110069416A (ko) 조개 자동 탈각 시스템
KR102582587B1 (ko) 굴의 알굴 박리 장치
CN103874438A (zh) 鳄梨去核装置
US4715093A (en) Trimm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rabs for meat extraction
US77399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and coring materials in a hydrocutting apparatus
WO2011123926A1 (en) Cutting apparatus for a produce corer
US5352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sh
RU162557U1 (ru) Початкоотделяющий аппарат
US3871086A (en) Apparatus for de-shelling crustaceans
KR102449068B1 (ko)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CA1307083C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processing fish of the trachurus species
KR101966533B1 (ko) 도살된 가금류의 도체를 처리 라인에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H07194347A (ja) 生殖腺を引き出すためのウニの処理装置及び方法
US3111150A (en) Egg breaking head
JP6608727B2 (ja) 作物細断装置
BR112017012596B1 (pt) Extrator de suco por mastigação
KR20100001217U (ko) 전복 손질용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