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7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372B1
KR102582372B1 KR1020207034652A KR20207034652A KR102582372B1 KR 102582372 B1 KR102582372 B1 KR 102582372B1 KR 1020207034652 A KR1020207034652 A KR 1020207034652A KR 20207034652 A KR20207034652 A KR 20207034652A KR 102582372 B1 KR102582372 B1 KR 10258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display device
torsion spring
displ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262A (ko
Inventor
김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0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촬영 유닛;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촬영 유닛을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디; 및 촬영 유닛과 가이드 바디를 연결하여 촬영 유닛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촬영 유닛이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를 통과할 때, 촬영 유닛에 가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등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는 주로 화상채팅 등의 작업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웹캠 기능) 또는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선행문헌 KR 10-2014-0005734A 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프링, 래치 및 댐퍼를 포함하여 푸시 업/다운 방식으로 화상통신 카메라의 팝업 동작이 가능한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선행문헌 KR 10-2014-0005734A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통신 카메라가 수용되는 인입부의 내부에 래치 및 댐퍼가 배치되어 인입부의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어려우며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메라가 래치 및 댐퍼에 의해 푸시/업 다운되는 방식은, 카메라에 연결되는 케이블 작업시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고 공간이 비좁아서 작업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래치 및 댐퍼를 포함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본체에서 팝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촬영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디; 및 상기 촬영 유닛과 상기 가이드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촬영 유닛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를 통과할 때, 상기 촬영 유닛에 가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변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3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3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쵤영 유닛이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직선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는, 촬영 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바디; 및 상기 한 쌍의 제1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제1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 단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연결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연결부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촬영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 유닛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에는 상기 제2바디를 향해 돌출된 리미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촬영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리미터가 삽입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리미터는 상기 걸림홈의 외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는 상기 걸림홈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에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쿠션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에는 상기 쿠션부가 접하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케이블이 연결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후방에서 커버하는 리어 케이싱; 및 상기 리어 케이싱에 체결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프론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싱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싱과 상기 프론트 바디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션 스프링에 의해 촬영 유닛의 위치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토션 스프링이 기존의 래치 및 탄성부재의 역할을 동시에 겸할 수 있어 촬영 유닛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촬영 유닛의 크기가 컴팩트해지고, 조립성이 쉬우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촬영 유닛의 구성이 간단해지므로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은 제3위치를 지날 정도로 외력을 가하여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나 실수 등에 의해 촬영 유닛이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에 연결된 촬영 유닛이 직선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 되므로, 토션 스프링이 촬영 유닛에 가하는 방향이 촬영 유닛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곡선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영 유닛의 구성 및 동작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촬영유닛의 돌출부가 가이드 바디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므로 촬영 유닛이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의 외측 단부가 개방되므로 촬영유닛의 돌출부가 가이드 바디의 가이드 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촬영유닛의 리미터가 가이드 바디의 걸림홈에 걸리므로 촬영 유닛이 가이드 바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에는 쿠션부가 구비되고 가이드 바디에는 쿠션부가 접하는 안착부가 구비됨으로써, 촬영 유닛이 제1위치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촬영 유닛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가 기존의 댐퍼기어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촬영 유닛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촬영유닛의 리어 케이싱에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촬영 유닛이 슬라이딩 될 때 케이블이 촬영 유닛 내에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촬영 유닛 및 가이드 바디가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과 가이드 바디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디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의 전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영 유닛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TV, 모니터, 랩탑 등일 수 있으며 특정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본체(10)와 촬영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카메라 또는 웹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영 유닛(20)의 렌즈(21A)(도 11 참조)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마찬가지로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평상시에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로써 촬영유닛(20)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20)이 사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촬영 유닛(20)이 디스플레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도록 촬영 유닛을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유닛(20)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유닛(20)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촬영 유닛 및 가이드 바디가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외둘레에는 촬영유닛(20)이 통과하는 통과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홈(13)은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외둘레 중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통과홈(13)은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외둘레 중 상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통과홈(13)을 통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2)에는 가이드바디(20)가 체결되는 가이드바디 체결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 체결부(14)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이드 바디 체결부(14)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이드 바디(50) 및 토션 스프링(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0)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3)의 배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0)는 촬영 유닛(20)을 슬라이딩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에 형성된 가이드 바디 체결부(14)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이드 바디(50)에는 체결공(51A)(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C)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12)의 가이드 바디 체결부(1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 바디(5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에 체결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가이드 바디(50)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 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가이드 바디(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직선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일례로, 촬영 유닛(20)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은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되는 제1위치(P1)와, 디스플레이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제2위치(P2) 사이에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위치(P2)는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제1위치(P1)보다 외측일 수 있다. 일례로, 촬영유닛(20)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면 제2위치(P2)는 제1위치(P1)보다 상측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촬영 유닛(20)의 하단부가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촬영 유닛(20)의 상단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3)의 외둘레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촬영 유닛(20) 전체가 디스플레이 본체(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의 하단부가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촬영 유닛(20)의 상단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3)의 외둘레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촬영 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본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촬영 유닛(20)은 토션 스프링(80)에 의해 가이드 바디(50)과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토션 스프링(80)의 양 단부는 가이드 바디(50)에 형성된 제1연결부(53)와, 촬영 유닛(20)에 형성된 제2연결부(2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 이외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한 경우,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로 이동하도록 촬영 유닛(2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과 가이드 바디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디의 배면도이다.
가이드 바디(50)는 촬영 유닛(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바디(51)와, 상기 한 쌍의 제1바디(51)를 서로 연결하는 제2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제1바디(51)는 각각 촬영 유닛(2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바디(51)는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촬영 유닛(20)은 한 쌍의 제1바디(51)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바디(51)는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직접 가이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바디(52)는 한 쌍의 제1바디(5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바디(52)는 수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바디(52)는 촬영 유닛(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바디(52)의 배면은 촬영 유닛(20)의 전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1바디(51)와 제2바디(52)의 사이에는 가이드 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54)은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51)는 한 쌍이 구비되므로 가이드 홈(54)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가이드 홈(54)은 촬영 유닛(20)의 외면을 마주볼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54)은 촬영 유닛(20)의 좌측면을 마주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54)은 촬영 유닛(20)의 우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
촬영 유닛(20)에는 가이드 홈(54)에 삽입되는 돌출부(26A)(26B)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6A)(26B)가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촬영 유닛(20)이 가이드 바디(50)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A)(26B)가 가이드 홈(54)에 삽입되므로 촬영 유닛(20)은 전후 방향에 대해 가이드 바디(50)에 구속될 수 있다.
돌출부(26A)(26B)는 촬영 유닛(20)의 외면에서 가이드 홈(54)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26A)(26B)는 촬영 유닛(20)에서 좌우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6A)(26B)는 제1돌출부(26A) 및 제1돌출부(26A)와 이격된 제2돌출부(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26B)는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제1돌출부(26A)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돌출부(26B)는 제1돌출부(26A)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출부(26A) 및 제2돌출부(26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촬영 유닛(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각각 제1돌출부(26A) 및 제2돌출부(26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6A) 및 제2돌출부(26B)는,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까지 슬라이딩 되는 동안 가이드홈(54)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유닛(20)이 가이드 바디(5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좌우에 각각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촬영 유닛(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나, 돌출부(26A)(26B)는 제1돌출부(26A) 및 제2돌출부(26B)를 포함하는 것이 촬영 유닛(20)의 무게, 비용 및 재료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가이드 홈(54)은 촬영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 홈(54)의 상측단은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유닛(20)이 가이드 바디(50)에서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 유닛(20)에는 리미터(27)(도 1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리미터(27)는 촬영 유닛(20)에서 가이드 바디(50)의 제2바디(52)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미터(27)는 촬영 유닛(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0)에는 리미터(27)가 삽입되는 걸림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걸림홈(55)은 제2바디(52)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5)은 촬영 유닛(20)의 전면을 마주볼 수 있다.
걸림홈(55)은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5)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걸림홈(55)은 2개 형성될 수 있다.
리미터(27)는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까지 슬라이딩 되는 동안 걸림홈(55)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촬영유닛(20)이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리미터(27)는 걸림홈(55)의 외측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촬영유닛이 제2위치에 위치하면 리미터(27)는 걸림홈(55)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유닛(20)이 상측으로 가이드 바디(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홈(54)의 길이(L1)는 걸림홈(55)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한편,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과 가이드 바디(50)를 연결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 및 가이드 바디(50)의 후방에서 촬영 유닛(20) 및 가이드 바디(50)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 이외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한 경우,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로 이동하도록 촬영 유닛(2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P3)를 통과할 때, 촬영 유닛(20)에 가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와 제3위치(P3)의 사이에 위치하면, 토션 스프링(80)은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로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촬영 유닛(20)이 제2위치(P2)와 제3위치(P3)의 사이에 위치하면, 토션 스프링(80)은 쵤영 유닛(20)이 제2위치(P2)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3위치(P3)는 토션 스프링(80)의 만곡점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촬영 유닛(20)이 제3위치(P3)에 위치한 경우, 토션 스프링(80)의 양 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촬영 유닛(20)이 제3위치(P3)에 위치한 경우 가이드 바디(50)의 제1연결부(53)와 촬영 유닛(20)의 제2연결부(25)는 수직 방향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코일부(81)와, 코일부(8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부(53)에 연결되는 제1암(arm)(82)과, 코일부(81)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제2연결부(25)에 연결되는 제2암(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암(82)과 제2암(83)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제1암(82)과 제2암(83)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제1암(82)의 단부는 가이드 바디(50)에 형성된 제1연결부(5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암(83)의 단부는 촬영 유닛(20)에 형성된 제2연결부(25)에 연결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이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제2연결부(25)는 제1연결부(53)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촬영유닛(20)이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제2연결부(25)는 제1연결부(5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촬영유닛(20)이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제2연결부(25)는 제1연결부(53)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25)는 촬영유닛(20)이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제1연결부(53)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촬영유닛(20)이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제1연결부(53)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80)은 제1연결부(5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0)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제1연결부(53) 및 제2연결부(25)도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제1연결부(53)는 촬영 유닛(20)의 좌측에 위치한 제1바디(51)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1연결부(53)는 촬영 유닛(20)의 우측에 위치한 제1바디(5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제2연결부(25)는 촬영 유닛(2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2연결부(25)는 촬영 유닛(20)의 우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토션 스프링(80) 각각은 촬영 유닛(20)의 우측 하단 및 좌측 하단에서 촬영 유닛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촬영 모듈(20)을 잡아당겨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촬영 모듈(20)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위치(P1)에 위치한 촬영 모듈(20)을 제3위치(P3)까지 당기면 토션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촬영 유닛(20)이 제2위치(P2)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제1위치(P1)의 촬영 유닛(20)이 당겨지더라도, 촬영 유닛(20)이 제3위치(P3)까지 당겨질 정도의 외력이 아니면 촬영 유닛(20)은 토션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위치(P1)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10) 외부로 돌출된 촬영 모듈(20)을 눌러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촬영 모듈(20)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2위치(P2)에 위치한 촬영 모듈(20)을 제3위치(P3)까지 누르면 토션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제2위치(P2)의 촬영 유닛(20)이 눌리더라도, 촬영 유닛(20)이 제3위치(P3)까지 눌릴 정도의 외력이 아니면 촬영 유닛(20)은 토션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위치(P2)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바디(50)에는 안착부(71)가 구비되고, 촬영 유닛(20)에는 안착부(71)에 접하는 쿠션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71)는 가이드 바디(50)의 제2바디(52)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안착부(71)는 제2바디(52)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쿠션부(72)는 촬영 유닛(2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쿠션부(72)는 스펀지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쿠션부(72)는 안착부(71)에 안착되어 접할 수 있다.
안착부(71) 및 쿠션부(72)는 각각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71) 및 쿠션부(72)는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71) 및 쿠션부(72)에 의해 촬영 유닛(20)이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촬영 유닛(20)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유닛의 전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촬영 유닛(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촬영 유닛(20)은 카메라 모듈(21), 리어 케이싱(22) 및 프론트 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은 카메라(21A) 및 상기 카메라(21A)를 제어하는 기판(21B)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 좀 더 상세히는 카메라 모듈(21)의 기판(21B)에는 케이블(29)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는 케이블(29)을 통해 카메라(21A)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카메라(21A)에서 입력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리어 케이싱(22)은 카메라 모듈(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싱(22)에는 카메라 모듈(21)이 설치되는 모듈 설치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설치부(22A)는 리어 케이싱(2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싱(22)에는 앞서 설명한 돌출부(26A)(26B) 및 제2연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6A)(26B)는 리어 케이싱(22)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25)는 리어 케이싱(22)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3)는 리어 케이싱(22)에 체결되고 카메라 모듈(21)을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3)의 형상은 리어 케이싱(22)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3)의 배면은 리어 케이싱(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3)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리어 케이싱(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23)는 노출부(23A) 및 비노출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이 제1위치(P1)(도 7 참조)에 위치하는 경우, 노출부(23A) 및 비노출부(23B)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촬영 유닛(20)이 제2위치(P2)(도 7 참조)에 위치하는 경우, 노출부(23A)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비노출부(23B)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촬영 유닛(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노출부(23A)는 비노출부(23B)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노출부(23A)는 비노출부(23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 특히 카메라(21A)는 노출부(23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노출부(23A)에는 카메라(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24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4A)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노출부(23A)의 전면에는 커버(24)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24)는 노출부(23A)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24)에는 노출부(23A)의 제1관통공(24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24B)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24)가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커버(24)에는 제2관통공(24B)이 형성되지 않는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바디(23)의 비 노출부(23B)에는 앞서 설명한 리미터(27)가 형성될 수 있다. 리미터(27)는 비 노출부(23B)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비 노출부(23B)의 전면에는 일부가 절개된 개방부(27A)가 형성될 수 있다. 리미터(27)는 개방부(27A)의 외둘레에서 개방부(27A)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개방부(27A)를 통해 후방으로 밀리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촬영 유닛(20)이 제2위치(P2)로 이동한 경우에 걸림홈(55)(도 9 참조)의 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영 유닛(20)을 가이드 바디(50)에 조립하는 경우, 촬영 유닛(20)의 돌출부(26A)(26B)는 가이드홈(54)(도 9 참조)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미터(27)는 가이드 바디(50)의 제2바디(52)(도 9 참조)의 배면에 접촉하게 되고 후크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부(27A)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후, 리미터(27)가 걸림홈(55)(도 9 참조)에 삽입되는 깊이로 촬영 유닛(20)이 하강하면, 리미터(27)는 걸림홈(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촬영 유닛(20)을 제1위치(P1)까지 이동시킨 후 토션 스프링(80)을 가이드 바디(50)의 제1고정부(53)와 촬영 유닛(20)의 제2고정부(25)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케이싱(22)에는 카메라 모듈(21)에 연결된 케이블(29)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가이드(28)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케이블 가이드(28)는 케이블(29)의 일 지점을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유닛(20)이 슬라이딩 될 때 케이블(29)이 촬영 유닛(20) 내에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20)에는 케이블(29)이 통과하는 케이블 통과홀(29A)(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과홀(29A)은 촬영 유닛(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과홀(29A)는 리어 케이싱(22)과 프론트 바디(2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과홀(29A)에 의해, 카메라 모듈(21)에 연결된 케이블(29)이 디스플레이 본체(10) 내로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촬영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디, 상기 가이드 바디는,
    촬영 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1 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닛과 상기 가이드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촬영 유닛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
    케이블이 연결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후방에서 커버하는 리어 케이싱; 및
    상기 리어 케이싱에 체결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프론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를 통과할 때, 상기 촬영 유닛에 가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변하되,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 유닛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촬영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후크를 가진 리미터가 형성되고, 상기 리미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 바디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후크는 프론트 바디의 개방부를 통해 뒤로 밀리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3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직선 궤도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제1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 단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연결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연결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 단부는 개방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는 상기 제2 바디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바디에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리미터는 상기 걸림 홈의 외측 단부에 걸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는 상기 걸림 홈의 길이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싱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싱과 상기 프론트 바디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7034652A 2018-11-01 2018-11-0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2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3189 WO2020091110A1 (ko) 2018-11-01 2018-11-0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262A KR20210003262A (ko) 2021-01-11
KR102582372B1 true KR102582372B1 (ko) 2023-09-26

Family

ID=7046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652A KR102582372B1 (ko) 2018-11-01 2018-11-0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2878B2 (ko)
KR (1) KR102582372B1 (ko)
DE (1) DE112018007831T5 (ko)
WO (1) WO2020091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105B1 (ko) * 2021-05-04 2021-09-17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KR102303097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용 전원공급장치 구축방법
KR102303099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신도시 지중 배전반 연결 브라켓 시스템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2788B2 (en) * 2004-02-10 2009-06-02 P & Tel Inc.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KR100624018B1 (ko) 2004-02-10 2006-09-18 한 상 이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887952B1 (ko) * 2007-07-10 2009-03-11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CN101636061A (zh) * 2008-07-25 2010-01-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开合机构
JP4865886B2 (ja) * 2010-06-07 2012-02-01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ユニット機構
KR102100184B1 (ko) 2013-02-18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288B1 (ko) 2013-02-2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4748A (ko) 2014-09-22 201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034377B (zh) * 2017-07-06 2021-09-0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外围模块的安装组件
CN207782890U (zh) 2018-02-09 2018-08-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驱动装置及移动终端
US10775841B2 (en) * 2018-08-22 2020-09-15 Quanta Computer Inc. Computer device capable of removing pop-up webc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2878B2 (en) 2022-08-02
WO2020091110A1 (ko) 2020-05-07
KR20210003262A (ko) 2021-01-11
DE112018007831T5 (de) 2021-04-08
US20210116976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3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280987B2 (ja) 移動端末及びカメラアセンブリ
JP4478894B2 (ja)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EP2768219B1 (en) Display apparatus
US8085343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US20110199720A1 (en) Lid seal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same
CN213461945U (zh) 电子设备
US20190166310A1 (en) Electronic device
US99067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support mechanism for movable member
CN110383808A (zh) 电子设备
CN109960323B (zh) 电子装置
US20130180750A1 (en) Cover attach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127461A1 (en) Monitor with Integrated Camera to Achieve Optimized Vertical Dimension
JP2013080216A (ja) 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JP6251617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1021828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004726B2 (ja) 撮像装置
US9069232B2 (en) Lens barrier unit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CN215934935U (zh) 一种成像装置及移动终端
JP7154834B2 (ja) 電子機器
CN219499457U (zh) 摄像模组及智能交互设备
US20120106050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7236899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CN219351822U (zh) 双镜头自动隐私遮蔽器及电子设备
JP2011145467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