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105B1 -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105B1
KR102303105B1 KR1020210057723A KR20210057723A KR102303105B1 KR 102303105 B1 KR102303105 B1 KR 102303105B1 KR 1020210057723 A KR1020210057723 A KR 1020210057723A KR 20210057723 A KR20210057723 A KR 20210057723A KR 102303105 B1 KR102303105 B1 KR 10230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worker
server
data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산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산전기
Priority to KR102021005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7Indicating the phase of biorhy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2Screening from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Psyc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설치위치가 선정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안전관리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전자파 차폐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의 설치는 상기 안전관리 설비를 통해 관리가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은 행거(1); 장방형의 하부판(11)과, 상기 하부판(1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12)의 양쪽 상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와, 상기 측면판(12)의 일측에 접지선(15)을 구비하여, 내부에 케이블(2)을 수용하는 트레이(10)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INSTALLATION METHOD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절첩식의 차폐판과 접지선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고, 발생되는 정전기를 접지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관리등이 요구될 때 필요한 위치의 차폐판을 절첩시킴으로써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며,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게 작업자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절첩식의 차폐판과 접지선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고, 발생되는 정전기를 접지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관리등이 요구될 때 필요한 위치의 차폐판을 절첩시킴으로써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는 기술들은 점차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작 그 설치를 위한 과정에 있어서는 작업의 안정성과 작업성 등을 등한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부분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84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절첩식의 차폐판과 접지선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고, 발생되는 정전기를 접지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관리등이 요구될 때 필요한 위치의 차폐판을 절첩시킴으로써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게 작업자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설치에 있어 작업자의 상태를 보다 면밀히 관리하고, 이러한 작업자들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핵심 구성부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 및 최적환경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설치위치가 선정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안전관리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전자파 차폐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의 설치는 상기 안전관리 설비를 통해 관리가 수행되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전력선 케이블의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절첩식의 차폐판과 접지선을 설치하여 전자파의 유출을 차단시키고, 발생되는 정전기를 접지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관리등이 요구될 때 필요한 위치의 차폐판을 절첩시킴으로써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게 작업자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설치에 있어 작업자의 상태를 보다 면밀히 관리하고, 이러한 작업자들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핵심 구성부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 및 최적환경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폐구조의 덮개가 힌지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판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차폐판들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서버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를 개략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폐구조의 덮개가 힌지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는, 상단부가 슬래브에 수직으로 매설되고 하부가 수평으로 연결된
Figure 112021051861682-pat00001
자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행거(1)와, 상기 행거(1)내에 종방향으로 안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하는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 위를 커버하고 상기 트레이(10)의 양쪽 측면판 상부와 슬라이딩결합되며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폐시키는 다수의 차폐판(20)과, 일측은 상기 측면판(12) 상부의 절곡부(13)를 파지하고 타측은 차폐판(20)에 힌지결합된 슬라이더(30)와, 차폐판(20)들의 상호 접촉되는 위치 중 홀수 번째의 위치에서 상기 차폐판(20)들을 상호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28)과, 상기 트레이(10)를 접지시키기 위하여 측면판(1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지선(14)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10)는 내부에 케이블(2)을 수용하는 철재로 형성된부재로서, 장방형의 하부판(11)과, 상기 하부판(1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판(12)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양쪽 측면판(12)의 상단에는 각각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슬라이더(30)가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12)의 일측에는 접지선(15)을 구비하여 케이블(2)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를 접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20)은 사각형상의 프레임(21) 내부에 아크릴판(22)이 설치되고, 상기 아크릴판(22)의 상부에는 다수의 동메쉬층(23)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동메쉬층(23) 사이에는 각 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통전스페이서(230)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2)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다수의 동메쉬층(23)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 동메쉬층(23)들 사이에 통전스페이서(230)를 설치한 것은 각각의 동메쉬층(23)간에 일정간격을 둠으로써 메쉬들 사이의 구멍을 엇갈리게 하여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판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차폐판들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프레임(21)의 전후 양측 모서리에는 홀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힌지홀(27)이 구비되어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힌지축(28)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더(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20)의 동메쉬층(23)의 일측 모서리에는 접지홀(25)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차폐판(20)과 차폐판(20)간을 접지선(24)으로 연결하여 각 차폐판(20)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더(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폐판(20)들이 상호 접촉하는 위치 중 짝수 번째마다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에 트레이(10)의 절곡부(13)를 수용하는 파지부(31)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파지부(31)와 절곡부(13)는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속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는 절곡부(13)를 파지한 채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0)에는 파지부(31)의 반대쪽인 슬라이더(30)의 내측에 힌지홀(3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차폐판(20)의 힌지홀(27)과 함께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홀(27)의 양측에 와셔(36)를 개재하여 힌지볼트(35)로 결합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0)에는 상부에 나사홀(32)이 천공되어 있어서, 절곡부(13)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에서의 첫 번째 차폐판(20)은 트레이(10)의 절곡부(13)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은 관리 또는 보수 등을 원인으로 일정위치의 차폐판(20)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힌지축(28)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폐판(20)들이 상호 접촉되는 위치 중 홀수 번째의 인접위치에 있는 힌지홀(27)들을 관통하여 상기 차폐판(20)들을 상호 힌지결합시킨다. 즉, 양쪽 차폐판(20)의 힌지홀(27)들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28)을 관통시킨 후 너트(29)로 조여서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양쪽의 차폐판(20)은 힌지축(28)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데, 슬라이더(30)가 타측에서 차폐판(20)의 절곡부(13)와 결속되어 있어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차폐판(20)을 종방향으로 밀면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8)으로 결합된 부분이 상부로 상승하면서 차폐판(20)들이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선(14)은 차폐판(20)의 모서리에 있는 동메쉬층(23)의 일측과 측면판(12)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차폐판(20)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접지선(24)과 접지선(14)을 통하며 이동하고, 철재인 트레이를 통과한 후 접지선(15)으로 통하여 대지에 접지되므로, 정전기의 발생에 따른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얀계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모(210)에 구비된 제1 센서부(미도시), 사용자 기기(220) 및 서버(10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는 노동자(200)의 안전모에 부착되어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뇌파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해당 노동자의 사용자 기기(2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센서부는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싱 수단과 노동자(200)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싱 수단 예를 들어,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220)로부터 제공되는 알림 정보 예를 들어, 경고 등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는 해당 노동자(200)의 사용자 기기(220)와 페어링됨으로써, 안전모(210)의 제1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즉,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220)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기기(2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마이크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제1 센서부는 안전모(21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안전모(21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20)는 노동자(200)의 신체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노동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등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며, 제1 센서부와 페어링되어 제1 센서부로부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220)에 구비된 다양한 센싱 수단을 이용하여 노동자의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와 노동자의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수집하며, 수신된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그리고 수집된 생체 데이터,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220)는 서버(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사용자 기기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 노동자의 안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경고, 위험등과 같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제1 센서부로 제공함으로써, 안전모(210)에 부착된 스피커를 통해 이러한 안전 상태를 해당 노동자(200)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 기기(22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 및 제1 센서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기기는 상황에 따라 해당 노동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수집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해당 노동자의 생체 신호 정보,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220)는 비접촉식 적외선 체온 센서, 혈압 측정 센서, 심박 측정 센서(Photoplethysmogram: PPG), GPS, 자이로 센서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에 구비된 센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사용자 기기(220)의 위치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eal Time Location System: RTLS), 공사현장에 비콘을 장착하고 비콘을 수신하는 수신 감도를 이용한 삼각측량으로 위치 인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노동자의 위치 정보를 측정 또는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기(220)는 노동자(200)의 생체 데이터를 일정 시간 주기로 수집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수집 주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220)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이러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네트워크는 서버(100) 및 사용자 기기(220)를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은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사용자 기기(220)는 노동자(200)의 실시간 생체 데이터뿐만 아니라 해당 노동자의 이전 생체 데이터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 또한 서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안전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보조 데이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기기(220)로부터 전송된 노동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그리고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 예를 들어, 흥분, 피곤, 안정,불안정, 화남 등을 판별하며,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및 혈압 등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생체 리듬 예를 들어, 나쁨, 좋음, 아주 나쁨, 아주 좋음 등과 같은 생체 리듬을 판별할 수 있고, 이렇게 판별된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 그리고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및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결정 또는 모니터링한다.
이 때, 서버(100)는 뇌파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한 후 뇌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음성 데이터를 분석한 후 뇌파 데이터의 분석 결과와 음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를 판별할 수 있으며,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 나아가 스트레스 지수 등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생체 리듬 또는 몸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데, 서버는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또는 몸 상태)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서버는 노동자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뇌파 데이터의 비중이 높은 경우 뇌파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감정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생체 리듬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체온과 산소 포화도의 비중이 높은 경우 체온과 산소 포화도에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고 다른 구성 요소에 가중치를 낮게 부여함으로써, 체온과 산소 포화도를 주요 정보로 하여 몸 상태를 판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서버(100)는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판별된 감정 상태, 생체 리듬 그리고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나아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또는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제1 노동자와 제2 노동자가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이 흥분과 나쁨인 상태에서 제1 노동자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와 제1 노동자의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통해 공사현장의 1층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상태를 안전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제2 노동자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와 제2 노동자의 위치정보 및 고도 정보를 통해 공사현장의 5층 외곽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상태를 경고로 판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공사현장의 날씨 정보 예를 들어, 눈, 비, 맑음,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 등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공사현장 각각의 위치에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정보 획득 수단이 구비된 경우 추가 획득된 정보를 더 반영함으로써, 공사현장 각각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나아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된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100)는 노동자들 각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 등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해당 노동자의 안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를 고려할 수 있으며, 공사현장의 해당 위치와 고도에서의 공사 진행 정도 등을 더 고려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서버(100)는 노동자들 각각의 의료 기록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안전 상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료 기록 정보는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과 의 연동 등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는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에 의해 의료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노동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된 이전 생체 데이터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안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100)는 노동자들 각각에 대하여 안전 상태가 결정되면, 결정된 안전 상태를 해당 노동자의 사용자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필요한 경우 제1 센서부로 관련 음성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안전모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본인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알림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는 해당 노동자의 안전 상태가 위험으로 수신되면 위험에 대한 음성 데이터 예를 들어, "위험하오니 안전에 주의하세요"와 같은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동자 각각이 위험을 감지하고 안전에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 기기(220)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때 출력 음성의 톤, 스피드, 크기 등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조절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또는 근로자들 각각에 대한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모니터링 결과를 해당 사용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근로자 또는 노동자 스스로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사현장에서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서버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수신부(110), 분석부(120) 및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송된 노동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그리고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부(110)는 노동자들 각각이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스마트 폰 사용 빈도, 스트레스 지수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으며,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에 대한 의료 정보 등을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다.
분석부(12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노동자들 각각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감정 상태를 판별하고,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생체 리듬 또는 몸 상태를 판별한다. 여기서, 분석부(120)는 감성 상태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 각각에 대해 미리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를 판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가중치가 부여된 생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생체 리듬을 판별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부(120)는 뇌파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한 후 뇌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로 부터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음성 데이터를 분석한 후 뇌파 데이터의 분석 결과와 음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분석부(120)에 의해 판별된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 그리고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및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또는 설계 정보, 공사 진행 정도 등)에 기초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결정 또는 모니터링한다. 이 때, 모니터링부(130)는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나아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된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노동자들 각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 등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해당 노동자의 안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모니터링부(130)는 공사현장의 날씨 정보 예를 들어, 눈, 비, 맑음,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 등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정보를 추가로 반영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서버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은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각각이 착용한 안전모를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수집되고, 노동자들 각각이 구비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위치 정보, 고도 정보,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 등의 정보가 수집되면 사용자 기기로부터 해당 노동자의 식별 정보와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위치 정보, 고도 정보,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 등의 정보가 수신된다(S310). 여기서, 단계 S310은 상황에 따라 노동자의 스트레스 지수, 스마트 폰 사용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으며, 날씨 정보와 공사현장 주변의 환경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310에서 노동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와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위치 정보, 고도 정보,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 등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데이터와 뇌파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상태를 판별하고, 심박수, 체온, 산소 포화도, 혈압 등의 생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생체 리듬또는 몸 상태를 판별한다(S320).
이 때, 단계 S320은 감성 상태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생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가중치가 부여된 생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자들 각각의 생체 리듬을 판별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 의해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이 판별되면 판별된 노동자들 각각의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 그리고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및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또는 설계 정보, 공사 진행 정도 등)에 기초하여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결정 또는 모니터링한다(S330). 이 때, 단계 S330은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 나아가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된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노동자들 각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스마트 폰의 사용 빈도 등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 폰의 사용빈도를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해당 노동자의 안전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 S330은 공사현장의 날씨 정보 예를 들어, 눈, 비, 맑음,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 등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정보를 감정 상태와 생체 리듬 그리고 위치 정보와 고도 정보및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에 추가로 반영함으로써, 노동자들 각각의 안전 상태를 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비록, 도 8의 동작 흐름도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8의 동작 흐름도는 상기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설치위치가 선정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안전관리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전자파 차폐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의 설치는 상기 안전관리 설비를 통해 관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은 행거(1); 장방형의 하부판(11)과, 상기 하부판(1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12)의 양쪽 상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와, 상기 측면판(12)의 일측에 접지선(15)을 구비하여, 내부에 케이블(2)을 수용하는 트레이(1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관리 설비는, 공사현장에서 노동자의 안전모에 설치되어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노동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 음성 데이터, 생체 데이터,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노동자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생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노동자의 생체 리듬을 판별하며, 고도 정보 및 상기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동자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서버; 상기 서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설치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설치유닛(10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설치유닛(1000)은, 상기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가동패널(100); 상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모듈(1200); 내부에 상기 서버를 수용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 내부에서 상부로 출몰되는 제2하우징모듈(130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은 내부의 제1온도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상기 서버의 관리에 적합한 제1온도값을 설정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은 내부의 제2온도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온도값을 보정하여 상기 서버의 관리에 적합한 제2온도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설치유닛(1000)은,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일측으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타측으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모듈은, 상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1구동패널부(1410)와, 상기 제1구동패널부(1410)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대각연결대(1420)와, 상기 제1대각연결대(1420)를 매개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에 접촉하는 제1접촉판(1430)과,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과 제1연결바(1440)로 연결되어 상기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을 연동시키는 제1연동부(14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모듈은, 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상부패널(1500)과, 기 제2상부패널(150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2구동패널부(1510)와, 기 제2구동패널부(1510)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대각연결대(1520)와, 기 제2대각연결대(1520)를 매개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에 접촉하는 제2접촉판(1530)과,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과 제2연결바(1540)로 연결되어 상기 제2상부패널(1500)과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연동시키는 제2연동부(15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촉판(1430)과 상기 제2접촉판(1530)은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의 그루브영역으로 삽입 장착되며, 각기 상기 제1대각연결대(1420)와 상기 제2대각연결대(1520)로부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1대각연결대(1420)와 상기 제2대각연결대(1520)는 각각 상기 제1구동패널부(1410)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510)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측으로 내리 누르는 힘을 가하도록 일정범위 틸트되는 것이다. 상기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은 상기 제1연결바(1440)와 상기 제2연결바(1540)를 매개로 각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로부터 근접 혹은 이격 되도록 상기 가동패널(100)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된다.
아울러, 기 가동패널(100)상에는, 각 패널형태의 제1지지물(1610)과, 상기 제1지지물(16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연결대(1620)와, 상기 제1수평연결대(162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완충체(1630)를 포함하는 제1완충모듈과, 각 패널형태의 제2지지물(1710)과, 상기 제2지지물(17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연결대(1730)와, 상기 제2수평연결대(173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완충체(1740)를 포함하는 제2완충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은 외측으로 이동시 외측 단부가 상기 제1완충체(1630)에 접하여 유동이 제한 및 완충되다.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은 외측으로 이동시 외측 단부가 상기 제2완충체(1740)에 접하여 유동이 제한 및 완충되며, 기 제1지지물(1610)은 상기 제1수평연결대(1620)를 진퇴시키며, 상기 가동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물(1710)은 상기 제2수평연결대(1730)를 진퇴시키며, 상기 가동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며, 기 제1완충체(1630)는 높이방향상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가압부(164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의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2완충체(1740)는 높이방향상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가압부(174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의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1돌출가압부(1640)와 상기 제2돌출가압부(1740)는 다각형상체로서 둘레방향회전을 통해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을 각각 눌러 하부로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행거 2: 케이블
10: 트레이 11: 하부판
12: 측면판 13: 절곡부
14,24: 접지선 20: 차폐판

Claims (2)

  1.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전자파 차폐구조물의 설치는 안전관리 설비를 통해 관리가 수행되며,
    상기 전자파 차폐구조물은 행거(1); 장방형의 하부판(11)과, 상기 하부판(1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12)의 양쪽 상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와, 상기 측면판(12)의 일측에 접지선(15)을 구비하여, 내부에 케이블(2)을 수용하는 트레이(1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 설비는,
    공사현장에서 노동자의 안전모에 설치되어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노동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노동자의 뇌파 데이터, 음성 데이터, 생체 데이터,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기기; 상기 뇌파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노동자의 감정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생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노동자의 생체 리듬을 판별하며, 고도 정보 및 상기 공사현장의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동자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서버; 상기 서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설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설치유닛(1000)은,
    상기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가동패널(100); 상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모듈(1200); 내부에 상기 서버를 수용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 내부에서 상부로 출몰되는 제2하우징모듈(1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은 내부의 제1온도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상기 서버의 관리에 적합한 제1온도값을 설정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은 내부의 제2온도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온도값을 보정하여 상기 서버의 관리에 적합한 제2온도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서버설치유닛(1000)은,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일측으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의 타측으로 연동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모듈은,
    상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1구동패널부(1410)와, 상기 제1구동패널부(1410)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대각연결대(1420)와, 상기 제1대각연결대(1420)를 매개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에 접촉하는 제1접촉판(1430)과, 상기 제1상부패널(1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과 제1연결바(1440)로 연결되어 상기 제1상부패널(1400)과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을 연동시키는 제1연동부(14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모듈은,
    기 가동패널(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상부패널(1500)과, 기 제2상부패널(150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2구동패널부(1510)와, 기 제2구동패널부(1510)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대각연결대(1520)와, 기 제2대각연결대(1520)를 매개로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에 접촉하는 제2접촉판(1530)과, 상기 제2상부패널(1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과 제2연결바(1540)로 연결되어 상기 제2상부패널(1500)과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연동시키는 제2연동부(1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촉판(1430)과 상기 제2접촉판(1530)은,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의 그루브영역으로 삽입 장착되며, 각기 상기 제1대각연결대(1420)와 상기 제2대각연결대(1520)로부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하우징모듈(120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상기 제2하우징모듈(1300)을 고정시키는,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2. 삭제
KR1020210057723A 2021-05-04 2021-05-04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KR10230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23A KR102303105B1 (ko) 2021-05-04 2021-05-04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23A KR102303105B1 (ko) 2021-05-04 2021-05-04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05B1 true KR102303105B1 (ko) 2021-09-17

Family

ID=7792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723A KR102303105B1 (ko) 2021-05-04 2021-05-04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852B1 (ko) * 2022-02-24 2023-06-13 엑스파워 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49B1 (ko) * 2006-06-07 2006-11-23 (주)미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1458418B1 (ko) 2013-12-24 2014-11-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파 차폐재
KR20170036291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 냉복도 밀폐 환경에서 항온항습기의 최적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5161B1 (ko) * 2019-02-15 2019-05-31 화창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공사 현장 피해 저감을 위한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90002440U (ko) * 2018-03-21 2019-10-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KR20210003262A (ko) * 2018-11-01 2021-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49B1 (ko) * 2006-06-07 2006-11-23 (주)미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KR101458418B1 (ko) 2013-12-24 2014-11-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파 차폐재
KR20170036291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 냉복도 밀폐 환경에서 항온항습기의 최적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2440U (ko) * 2018-03-21 2019-10-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KR20210003262A (ko) * 2018-11-01 2021-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5161B1 (ko) * 2019-02-15 2019-05-31 화창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공사 현장 피해 저감을 위한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852B1 (ko) * 2022-02-24 2023-06-13 엑스파워 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339B2 (en) Personalized emergency evacuation plan
US10652253B2 (en) Cable assembly having jacket channels for LEDs
US20180292286A1 (en) Detecting gas leak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303105B1 (ko)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CN108415052A (zh) 基于北斗定位技术的危旧建筑物监测系统及方法
US20060042177A1 (en) Vibration detecting transducer integrated with a network transfer function
KR20180030484A (ko) 먼지센서와 iot통신을 이용한 산불 감시시스템
CN104854477A (zh) 用于地震数据采集的陆基单元
KR101985161B1 (ko) 공사 현장 피해 저감을 위한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US20180324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disturbance on a physical transmission line
WO2020166057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行動特定装置、行動特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7392028A (zh) 敏感信息的检测方法及其检测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6323287A (zh) 一种安全逃生路线选择系统及安全逃生路线选择方法
KR102303099B1 (ko) 신도시 지중 배전반 연결 브라켓 시스템 제공방법
KR20210114699A (ko) 복합 재난 대응 시스템
CN112115014A (zh) 环境监控和相关监控设备
CN110992418A (zh) 一种导线覆冰厚度监测系统及方法
EA008854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бъектов по их гамма-, и рентгеновскому, и нейтронному излучениям
CN109190486A (zh) 一种导盲控制方法及装置
CN108416953B (zh) 一种智能光纤周界报警系统
CN108022401B (zh) 基于无线传感器的周界防护系统快速布设方法
US11443139B2 (en) Contextual safety assessment, recommendations, provisioning and monitoring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JP7307884B2 (ja) 多機能型仮設柱及び現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