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66B1 -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366B1
KR102582366B1 KR1020210061342A KR20210061342A KR102582366B1 KR 102582366 B1 KR102582366 B1 KR 102582366B1 KR 1020210061342 A KR1020210061342 A KR 1020210061342A KR 20210061342 A KR20210061342 A KR 20210061342A KR 102582366 B1 KR102582366 B1 KR 10258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aircraft
harness
fo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851A (ko
Inventor
송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Priority to KR102021006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0Harn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비행체에 탑승자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장치로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직경 및 발포율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발포체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십cm 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종래의 스펀지형 완충 부재와는 달리,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신속 회복 특성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으로 가해지는 반복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전체적인 무게 및 제조 원가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Harness for a Flight Vehicle with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비행체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신속 회복 특성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으로 가해지는 반복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이 뛰어난 비행체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바람을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공중을 활공할 수 있는 활공수단의 하나로서, 답답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의 여가 활동을 위한 레저 스포츠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패러글라이더는 행글라이더의 활공 특성과 낙하산의 강하 특성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님에 따라, 높은 활공 능력을 보유함과 동시에 높은 안전성 또한 겸비하여 그 보급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패러글라이더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되어 활공 가능한 양력을 발생시키는 캐노피(C)가 마련되며, 상기 캐노피(C)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열과 행을 유지하여 배치된 다수의 산줄(L)이 연결되며, 상기 산줄(L)의 하단부는 탑승자(P)인 파일럿이 착석하는 조정석 역할을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1)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패러글라이더는, 산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도약대에서 패러글라이딩 파일럿이 비행체용 하네스(1)를 메고 캐노피(C)를 펼친 상태에서 사면풍이 불러오는 방향으로 도약전진할 때 캐노피(C)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과 산의 경사면 아래에서 불어오는 사면풍에 의해 발생되는 상승기류에 의해 공중으로의 활공이 이루어지며, 패러 글라이딩 파일럿이 캐노피(C)의 양측에 연결된 조종줄을 통해 캐노피(C)를 조종하면서 공중에서의 활공과 강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는, 패러글라이딩 파일럿의 체중이 실리게 되는 의자와 유사한 조종석 역할 이외에 착지 또는 추락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구의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의 비행체용 하네스(1)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다공성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스펀지(Sponge)형 완충 부재(2)를, 파일럿의 몸 아래에 서너 개 배치함으로써 추락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였는데, 이러한 덩어리형 완충 부재(2)에 의하여 전체적인 중량과 부피가 상당히 증가하여, 캐노피(C)를 포함한 장비의 휴대나 운반 시에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행체용 하네스(1)는, 상기 완충 부재(2)로 사용된 스펀지(2)의 형상, 재질 등 그 물성적 특징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많이 걸리는 완속 회복 특성(slow rebound property)을 가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렇게 완속 회복 특성을 가지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충격(First Impact) 후 스펀지(2)가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기 전에 두번째 충격(Second Impact)이 곧바로 가해지는 경우에는, 완충 효가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신속 회복 특성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으로 가해지는 반복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이 뛰어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비행체용 하네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용 하네스는, 비행체에 탑승자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장치로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직경 및 발포율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발포체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체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포체는, 30 ~ 140 배의 발포율과 5~30 g/L의 밀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포체는, 3 ~ 10 mm 직경의 알갱이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 장치는, 150 ~ 250 g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 장치는, 100 ~ 200 mm의 최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발포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천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부재; 상기 용기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용기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완충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완충 장치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는 상기 완충 장치를 수용한 후 폐쇄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행체에 탑승자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장치로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직경 및 발포율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발포체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므로, 수십cm 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종래의 스펀지형 완충 부재와는 달리,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신속 회복 특성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으로 가해지는 반복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전체적인 무게 및 제조 원가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패러글라이더에 장착된 비행체용 하네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행체용 하네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포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행체용 하네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완충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장치의 충격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패러글라이더에 장착된 비행체용 하네스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행체용 하네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패러글라이더와 같은 비행체에 탑승자(P)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하네스(harness)로서, 본체(10)와 완충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러글라이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되어 활공 가능한 양력을 발생시키는 캐노피(C)와, 상기 캐노피(C)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열과 행을 유지하여 배치된 다수의 산줄(L)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탑승자(P)가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로 탑승자(P)를 수용할 수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 재질의 직물로 제조된 포대형 부재로 마련되어 있으며, 완충 장치 수용부(11)와 개구부(12)와 제2 결합 장치(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는, 상기 완충 장치(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P)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로서, 상기 완충 장치(20)를 삽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이다.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가 상기 완충 장치(20)를 내부에 수용한 후 폐쇄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 장치(13)는, 상기 개구부(12)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제2 결합 장치(13)로는, 벨크로, 단추 등 다양한 형태의 스냅핏(Snap-Fit)체결 방식의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퍼(Zipper)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추락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화 장치(Shock Absorber)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자(P)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 완충 장치(20)는, 용기 부재(21)와 발포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부재(21)는, 상기 발포체(22)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용기형 부재로서, 내부 공간(211)와 개구부(212)와 뚜껑부(213)와 제1 결합 장치(2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부재(21)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천으로 제조된다.
상기 내부 공간(211)은, 상기 발포체(22)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다.
상기 개구부(212)는, 상기 용기 부재(2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로서, 상기 내부 공간(211)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12)는, 상기 발포체(22)를 상기 용기 부재(21)의 내부 공간(211)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212)는, 그 크기를 최대로 형성하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213)는, 상기 개구부(212)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212)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213)는, 상기 개구부(21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부(21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결합 장치(214)는, 상기 뚜껑부(213)가 상기 개구부(212)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결합 장치이다.
상기 제1 결합 장치(214)는, 벨크로, 단추 등 다양한 형태의 스냅핏(Snap-Fit)체결 방식의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퍼(Zipper)가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 장치(21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개구부(212)의 크기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ㅡ" 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용기 부재(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통기성"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부재(21)로서 210데니아(denier) 나일론 옥스포드 직물이 사용되고 있다. 만약 상기 용기 부재(21)의 통기성이 적절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용기 부재(21)가 터져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포체(22)는, 상기 용기 부재(21)의 내부 공간(211)에 삽입되는 충격 흡수재로서, 미리 정한 직경(D), 발포율, 탄성율을 구비하는 알갱이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발포체(22)는, 3 ~ 10 mm 직경(D)의 구 형상의 알갱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 마련되어 상기 용기 부재(21)의 내부 공간(21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체(22)는 6.5 mm 직경(D)의 구 형상의 알갱이로 제조된다.
상기 발포체(22)는, 적절한 탄성율과 형상 회복 특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체(22)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은, 자동차 범퍼, 헬멧 등에 많이 사용되는 첨단 소재로서, 스티로폼(EPS)과 유사한 완충 특성을 가지나 그외 나머지 물성에서 있어서는 스티로폼(EPS)보다 뛰어난 소재이다.
상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은, 반복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이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하고, 우수한 단열성, 우수한 방음효과를 제공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이며, 칼이나 열선을 이용한 커팅, 접착, 프레스 가공 등 2차 가공이 용이하며, 높은 강도와 내구성으로 경량화가 가능해 스틸 소재를 대체할 수 있으며, 기계유, 용제, 가솔린 등에 쉽게 연화되지 않아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초경량 소재라는 특성이 있다.
상기 발포체(22)의 압축 강도와 형상 회복 속도는, 상기 발포체(22)의 발포율과 밀도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되므로, 완충 장치에 사용되는 목적에 적합한 최적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발포체(22)는, 30 ~ 140 배의 발포율과 5~30 g/L의 밀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70배의 발포율과 10.5 g/L의 밀도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150 ~ 250 g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00 g의 무게를 가진다. 종래의 스펀지(Sponge)형 완충 부재(2)가 1000 g의 무게를 가진 것에 비하면, 대략 1/5의 무게이다.
상기 완충 장치(20), 100 ~ 200 mm의 최대 두께(T)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60 mm의 최대 두께(T)를 가진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탑승자(P)의 엉덩이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폭(W)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30mm의 최대 폭(W)을 가진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탑승자(P)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30mm의 높이(H)를 가진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탑승자(P)의 허벅지까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길이(L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440mm의 최대 길이(L1)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비행체용 하네스(100)의 작동 원리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다수 개의 상기 발포체(22)를 상기 용기 부재(21)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제1 결합 장치(214)를 이용하여 상기 뚜껑부(213)를 폐쇄시킨다.
이렇게 상기 발포체(22)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장치(20)는 상기 탑승자(P)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태로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완충 장치(20)의 사용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를 개방하여, 상기 완충 장치(20)를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제2 결합 장치(13)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2)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의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
만약 탑승자(P)가 패러글라이더로 비행을 하는 중에 지상으로 추락하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장치(2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완충 장치(2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으로는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과 탑승자(P)의 체중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패러글라이더의 추락 상황에서는, 외력이 한번만 가해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복 수회의 외력이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연달아 가해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20)의 경우에는,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충격(First Impact)(P1)이 가해지면 상기 완충 장치(20)가 압축 변형을 하게 되고, 이어서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초 이내에 곧 바로 상기 완충 장치(20)의 형상이 회복된다.
도 8에는 본 실시예에서 따른 상기 완충 장치(20)의 충격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는데, 0.2초 이내에 상기 완충 장치(20)의 형상이 원래대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장치(20)는 최대 가속도 32.5 G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한계 값은 대략 50 G이다.
상술한 구성의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비행체에 탑승자(P)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장치로서, 탑승자(P)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0); 상기 탑승자(P)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직경(D) 및 발포율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발포체(22)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20);를 포함하므로, 수십cm 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종래의 스펀지(Sponge)형 완충 부재(2)와는 달리, 충격이 가해진 후 다시 초기 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비교적 짧은 신속 회복 특성(fast rebound property)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으로 가해지는 반복 충격(multiple impact)에 대한 완충 기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전체적인 무게 및 제조 원가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발포체(22)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포함하므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발포체(22)가, 30 ~ 140 배의 발포율과 5~30 g/L의 밀도를 구비하므로, 상기 완충 장치(20)가 최적의 압축 강도와 형상 회복 속도를 구비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발포체(22)가, 3 ~ 10 mm 직경의 알갱이 형태를 구비하므로, 인접한 상기 발포체(22)들 사이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는 바, 최적의 형상 회복 속도를 구현하기 용이하고, 전체적인 무게 및 제조 원가가 감소하며, 상기 발포체(22) 각각의 내구성도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수십cm 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종래의 스펀지(Sponge)형 완충 부재(2)는, 외력이 가해지면 완충 부재(2)의 내부에 생성되는 인장응력이나 전단응력에 의하여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상기 발포체(22)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알갱이(bean) 형태이므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발포체(22)들이 서로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발포체(22) 하나 하나의 파손은 방지되는 부수적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완충 장치(20)가, 150 ~ 250 g의 무게를 가지므로, 종래의 스펀지(Sponge)형 완충 부재(2)에 비하여 대략 20%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완충 장치(20)가, 100 ~ 200 mm의 최대 두께(T)를 가지므로, 비행체용 하네스에 요구되는 적절한 무게를 가지는 동시에 적절한 완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완충 장치(20)가, 상기 발포체(22)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211)을 가지며, 천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부재(21); 상기 용기 부재(2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211)과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212); 상기 개구부(212)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용기 부재(21)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213); 상기 뚜껑부(213)가 상기 개구부(212)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결합 장치(214);를 포함하므로, 상기 본체(10)에 착탈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한 분리형 완충 장치(20)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체용 하네스(10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완충 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완충 장치 수용부(11)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11)가 상기 완충 장치(20)를 수용한 후 폐쇄될 수 있는 개구부(12)를 구비하므로, 상기 완충 장치(20)를 분리형으로 구현하면 상기 완충 장치(20)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포체(22)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포함하고 있으나, 다른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비행체용 하네스
10: 본체
11: 완충 장치 수용부
12: 개구부
13: 제2 결합 장치
20: 완충 장치
21: 용기 부재
211: 내부 공간
212: 개구부
213: 뚜껑부
214: 제1 결합 장치
22: 발포체
C : 캐노피
L : 산줄
P : 탑승자
P1: 첫번째 충격
P2: 두번째 충격
1: 종래의 비행체용 하네스
2: 종래의 완충 부재

Claims (8)

  1. 비행체에 탑승자의 몸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로 매달기 위한 장치로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탑승자의 신체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직경 및 발포율을 구비하는 알갱이 형태의 발포체 다수 개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발포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체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체는, 30 ~ 140 배의 발포율과 5~30 g/L의 밀도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발포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천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부재;
    상기 용기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용기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3 ~ 10 mm 직경의 알갱이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150 ~ 250 g의 무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100 ~ 200 mm의 최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완충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완충 장치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장치 수용부는 상기 완충 장치를 수용한 후 폐쇄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KR1020210061342A 2021-05-12 2021-05-12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KR10258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42A KR102582366B1 (ko) 2021-05-12 2021-05-12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42A KR102582366B1 (ko) 2021-05-12 2021-05-12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51A KR20220153851A (ko) 2022-11-21
KR102582366B1 true KR102582366B1 (ko) 2023-09-25

Family

ID=8423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342A KR102582366B1 (ko) 2021-05-12 2021-05-12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221A (ja) * 2001-10-31 2003-05-13 Nisshin Kasei Kogyo Kk 小粒状体による集合体を用いたク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8698B1 (fr) * 1997-09-19 1999-11-05 Sup Air Dispositif d'amortissement de chocs pour sellette de parapente
ATE256592T1 (de) * 1998-04-06 2004-01-15 Thomas Finsterwalder Gurtzeug für gleitschirmpiloten
WO2012076492A1 (de) * 2010-12-07 2012-06-14 Basf Se Melaminharzschaumstoffe mit nanoporösen füllstoff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221A (ja) * 2001-10-31 2003-05-13 Nisshin Kasei Kogyo Kk 小粒状体による集合体を用いたク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51A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0020A (en) Safety cushion
US10791789B2 (en) Helmet
US5054845A (en) Passenger seat having yielding band structure
US5826827A (en) Air-chute safety system
US4500135A (en) Baby car seat
KR101255716B1 (ko) 충격 보호를 위한 가압축식 라이너
US5143420A (en) Airplane safety seat for lap children
US6409243B1 (en) Safety seat for land, air and sea vehicles
EP0168806A1 (en) Improved life preserver device
US8046846B2 (en) Helmet restraint system
CN110049922B (zh) 波形舱位分隔器
IL151577A0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US9731828B2 (en) Aircraft seat, with crumple zones
US3198543A (en) Vehicle passenger's protection device
KR102582366B1 (ko) 완충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용 하네스
CN210175137U (zh) 减震防弹直升机驾驶员座椅
US2981317A (en) Shock absorbing safety seat
DE60016300T2 (de) Schleudersitz
AT397950B (de) Schutzausrüstung für sportler
US4627587A (en) Airplane seat with convertible flotation-cushion system
US5169092A (en) Paraglider canopy
CN2675549Y (zh) 空难救生用整体弹射式座椅
KR101723159B1 (ko) 비행체용 하네스
RU8043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авиапассажиров
Segal Designing a sailplane safety cockp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