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64B1 - 유밀 및 단열 탱크 - Google Patents

유밀 및 단열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364B1
KR102582364B1 KR1020207017007A KR20207017007A KR102582364B1 KR 102582364 B1 KR102582364 B1 KR 102582364B1 KR 1020207017007 A KR1020207017007 A KR 1020207017007A KR 20207017007 A KR20207017007 A KR 20207017007A KR 102582364 B1 KR102582364 B1 KR 10258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grooves
blocking member
sealing membra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981A (ko
Inventor
파트리크 마르탱
알랭 테시어
브루노 데레트레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0009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3Reducing manufacturing time or eff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유밀 및 단열 유체 탱크로서, 탱크 벽체는 한 시리즈의 주름(9)을 포함하는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 및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를 포함하고,
단열 배리어는 주름(9)이 수용되는 한 시리즈의 평행 그루브(7)를 포함하며,
단열 배리어는 상기 그루브(7)를 교차하는 하우징(19)을 더 포함하고,
탱크는 하우징(19)에 배열되며 주름(9)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컷아웃(21)을 갖는 블로킹 부재(18)를 더 포함하며,
블로킹 부재(18)는 컷아웃(21)이 그루브(7)에 수용되고 주름(9)이 컷아웃(21)에 수용되도록 하우징(19)에 배열되어, 블로킹 부재(18)가 그루브(7)에서 순환하는 유동에 대해 압력 강하를 생성하는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된 그루브(7)의 부분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Description

유밀 및 단열 탱크
본 발명은 극저온 유체와 같은 유체의 저장 및/또는 운송을 위한 멤브레인 타입의 유밀 및 단열 탱크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 타입의 유밀 및 단열 탱크는 특히 대기압에서 -162℃로 저장되는 액화 천연 가스(LNG)의 저장을 위해 채용된다. 이들 탱크는 육상 또는 해상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해상 구조물의 경우, 탱크는 액화 천연 가스를 운송하도록, 또는 해상 구조물의 추진을 위한 연료로서 역할을 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에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송하도록 의도된 배의 이중 선각과 같은 지지구조물에 통합된 액화 천연 가스를 위한 유밀 및 단열 탱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탱크는 일반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탱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2차 단열 배리어, 2차 단열 배리어에 안착된 2차 실링 멤브레인, 2차 실링 멤브레인에 안착된 1차 단열 배리어 및 1차 단열 배리어에 안착되어 탱크에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실링 멤브레인을 차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한다.
문헌 WO2016/046487은 병치된 절연 패널로 형성된 1차 단열 배리어 및 2차 단열 배리어를 개시한다. 이러한 문헌 WO2016/046487에서, 2차 실링 멤브레인은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2차 실링 멤브레인이 탱크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열적 및 기계적 부하의 효과로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주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2차 단열 배리어의 절연 패널의 내면은 2차 실링 멤브레인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의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를 특징으로 갖는다. 이들 주름과 이들 그루브는 탱크의 벽체를 따라 전개되는 한 격자의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이 기반한 사상은 대류 현상이 줄어드는 주름을 포함하는 실링 멤브레인 타입의 유밀 및 단열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기반한 사상은 상기 단열 배리어에서 자연 대류 현상을 제한하기 위해, 단열 배리어에서 연속적인 순환 채널의 존재를 제한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기반한 다른 사상은 상기 탱크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제조 및/또는 조립 오차를 허용하도록 맞춰지는 이러한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밀 및 단열 유체 탱크로서, 탱크 벽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 및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실링 멤브레인은 길이 방향을 갖는 한 시리즈의 평행 주름 및 상기 주름 사이에 배치된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은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서 평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단열 배리어는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열 배리어는 주름이 수용되는 한 시리즈의 평행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주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의 폭이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주름의 상기 폭 방향의 폭보다 크며,
단열 배리어는 상기 그루브를 교차하며 그루브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탱크는 하우징에 배열된 블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블로킹 부재는 그루브의 폭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블로킹 부재는 주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컷아웃을 가지며,
블로킹 부재는 컷아웃이 그루브에 수용되고 주름이 컷아웃에 수용되도록 하우징에 배열되어, 블로킹 부재가 그루브에서 순환하는 유동에 대해 압력 강하를 생성함으로써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된 그루브의 부분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를 제공한다.
이들 특징에 의해, 이러한 탱크는 그루브에서 주름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오차에도 불구하고, 멤브레인의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를 유연하게 차단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오차는 특히 제조 및 그루브에 대한 주름의 장착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특징에 의해, 단열 배리어에 의해 형성되는 그루브의 바닥과 주름의 볼록한 측 사이의 그루브 부분이 그루브에서 주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해 블로킹 부재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루브 부분은 적용 및/또는 조립 오차에 관련된 그루브에서 주름의 위치에 관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차단될 수 있다. 블로킹 부재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그루브에서 주름의 위치가 어떠하든, 그루브의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블로킹 부재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블로킹 부재의 변경을 필요로 하게 함 없이, 특히 가스의 유동에 대한 저항성의 변경 없이, 그루브 부분에서 블로킹 부재의 상기 부분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블로킹 부재는 따라서 단열 배리어의 채널에서 유동의 형성, 특히 이들 채널과 선각에 더 가깝게 배치된 임의의 유동 채널, 예컨대 단열 배리어와 지지 구조물 사이의 매스틱 충전 공간 사이에서 열 사이펀의 형성의 제한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예컨대 이러한 유동이 중력에 의해 보조될 수 있는 수직 성분을 갖는 그루브에서 이들 유동의 형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의 실시예는 아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주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전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의 컷아웃은 주름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 컷아웃은 오목한 형상을 갖고, 주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멤브레인은 주름진 금속 멤브레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의 길이 방향의 블로킹 부재의 두께는 주름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하우징의 두께와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블로킹 부재 사이의 오차는 폭 방향으로 하우징에서 블로킹 부재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하우징과 블로킹 부재 사이에서 주변 유동을 방지하도록 맞춰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차는 +/- 0.1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의 블로킹 부재의 깊이는 탱크 벽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하우징의 깊이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의 길이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성분, 즉 중력 방향의 성분을 포함한다.
블로킹 부재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소재의 조립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하우징을 마주하는 면에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소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낮은 마찰 계수 소재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합성 플라스틱 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그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확하게 선택된 밀도의 폼, 예컨대 10 내지 30 kg/m3의 밀도를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배리어는 지지 벽체에 고정된 복수의 병치된 절연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절연 요소는 개개의 그루브 부분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절연 요소는 나란하게 정렬되어, 상기 정렬된 절연 요소의 그루브 부분이 주름이 수용되는 그루브를 함께 형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절연 요소는 한 시리즈의 주름의 별개의 주름을 수용하는 복수의 그루브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블로킹 부재는 개개의 그루브 부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요소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절연 요소에 형성된다.
이들 특징에 의해, 블로킹 부재는 탱크에서의 설치에 앞서, 제조 단계에서 절연 요소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는 따라서 제조하기에 단순하고 빠르다.
하우징은 다양한 방식으로 절연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절연 요소를 머시닝함으로써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두 사이즈의 밀링 툴을 이용해 엔드 밀링에 의해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 사이즈에 맞춰진 직경의 밀링 소(milling saw)를 갖는 롤링 밀링에 의해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두 이웃한 절연 요소 사이의 틈에 형성된다.
이들 특징에 의해, 블로킹 부재는 탱크에 수용될 절연 요소의 변경을 필요로 하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절연 요소 및 탱크는 제조하기에 단순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절연 요소의 일 측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필링은 두 이웃한 절연 요소 사이의 틈에 배열되고, 상기 절연 필링은 하우징의 바닥을 형성한다.
이러한 탱크는 우수한 절연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블로킹 부재를 위한 하우징은 따라서 제조하기에 단순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의 블로킹 부재의 깊이는 실링 멤브레인의 설치 전의 탱크 벽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하우징의 깊이보다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약간 더 크며, 예컨대 1 내지 3 mm 더 크다. 다시 말해, 블로킹 부재는 실링 멤브레인을 장착하기 전에, 절연 필링의 표면에서, 하우징에 배열될 때, 상측 표면이 절연 요소의 상측 표면 너머로 1 내지 3 mm 연장되도록 하는 깊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필링은 압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필링은 주름이 블로킹 부재의 컷아웃에 안착될 때 블로킹 부재에 의해 압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서 블로킹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강성 소재로 구성된 하우징의 바닥과 접촉하는 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국부적으로 변경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주름은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바닥과 접촉하는 블로킹 부재의 하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합성 플라스틱 폼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된 소재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파이버성 소재, 글라스 울, 멜라민 폼, 연성 폴리우레탄 폼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된 소재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구성된다.
이들 특징에 의해,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채널에서 압력 강하가 통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유밀하게 그루브를 차단하지 않으며, 채널에서 가스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유동 및 대류 현상을 방지하는 높은 압력 강하를 야기한다. 더욱이, 이러한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블로킹 부재가 주름의 프로필을 더 우수하게 감쌀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국부적인 변형이 그와 협력하는 다양한 요소의 제조 오차를 보상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상면에, 즉 실링 멤브레인을 마주하는 면에 한 스트립의 압축성 소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트립은 부착 스트립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트립은 1 내지 2 mm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트립은 예컨대 파이버성 소재, 멜라민 폼 또는 그밖에 소재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소재는 원치 않는 바이패스 유동을 생성하지 않도록, 블로킹 부재의 상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의 상면은 국부적인 변형에 유리한 프로필, 예컨대 주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톱니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은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1 측 방향 표면을 갖고, 블로킹 부재는 주름이 그루브에 삽입될 때 블로킹 부재가 하우징의 폭에서 슬라이딩하게 야기하도록 탱크의 상기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표면을 갖는다.
이들 특징에 의해, 주름은 그루브에 주름을 삽입할 때 자동으로 블로킹 부재의 컷아웃에 배치된다. 실제로, 주름의 경사진 표면과 컷아웃의 경사진 표면 사이의 협력은 컷아웃을 정확하게 배치하여 주름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에서 블로킹 부재의 움직임의 단순하고 신속한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들 특징은 상기 주름의 변형을 발생시키기 쉬운 주름에 대한 높은 응력을 발생시킴 없이, 블로킹 부재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의 폭은 주름의 폭에, 그루브와 주름 사이의 폭 차의 두 배를 더한 것보다 크거나 같다.
블로킹 부재는 따라서 그루브에서 주름의 위치가 어떠하든, 주름과 단열 배리어 사이의 그루브 부분을 차단하도록 맞춰진 폭을 갖는다. 특히, 블로킹 부재의 폭은 제조 및/또는 조립 오차로 인해 주름이 그루브에서 극단 측 방향 위치에 있더라도 그루브의 상기 부분의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폭 방향으로 1 자유도의 움직임으로 하우징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실링 멤브레인과 단열 배리어 사이에서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지 않도록 하우징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상기 블로킹 부재가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에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맞춰진 하우징에 이를 결합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블록에 결합된 적어도 두 훅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는 탱크의 두께 방향으로 블로킹 부재를 고정하도록, 절연 필링과 틈을 형성하는 절연 요소 중 하나 사이에 수용된, 예컨대 강제로 수용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컷아웃은 그루브에 주름을 배치할 때 주름이 슬라이딩하는 캠 표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의 길이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성분, 즉 중력 방향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는 한 열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한 열의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은 한 시리즈의 그루브의 개개의 그루브를 교차하며, 상기 하우징은 개개의 그루브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탱크는 개개의 하우징에 배열된 한 열의 블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로킹 부재는 개개의 하우징에 의해 교차되는 그루브의 폭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블로킹 부재는 해당 주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컷아웃을 가지며, 블로킹 부재는 컷아웃이 해당 그루브에 수용되고 주름이 상기 컷아웃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어, 블로킹 부재가 상기 그루브에서 순환하는 유동에 대해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는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된 상기 그루브의 부분을 차단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멤브레인의 한 시리즈의 평행 주름은 실링 멤브레인의 제1 시리즈의 평행 주름이고, 상기 제1 시리즈의 주름의 상기 주름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이며, 실링 멤브레인은 제1 시리즈에 직각인 제2 시리즈의 주름을 더 포함하고, 제2 시리즈의 주름의 주름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형성하며, 한 열의 블로킹 부재의 블로킹 부재는 제2 시리즈의 주름의 두 이웃한 주름 사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는 개개의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열의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의 블로킹 부재는 주름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들 특징에 의해, 그 효과가 누적되어 해당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에서 연쇄 압력 강하를 생성한다.
이들 특징에 의해, 압력 강하가 상기 탱크 벽체의 전체에 대해 탱크 벽체에서 생성된다. 특히, 탱크 벽체에서 유동의 순환의 경로가 어떠하든, 후자는 한 열의 블로킹 요소의 블로킹 요소 중 하나를 마주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는 개개의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열의 블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열의 블로킹 부재는 그 효과가 누적되어 해당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에서 연쇄 압력 강하를 생성하도록, 주름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열의 블로킹 부재의 블로킹 부재는 3 m의 거리로 주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열의 블로킹 부재의 블로킹 부재는 1 m의 거리로 주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부재는 제2 시리즈의 주름의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 부분을 차단하기 위해 탱크 벽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멤브레인은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고, 주름은 지지 벽체를 향해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멤브레인은 2차 실링 멤브레인이고, 단열 배리어는 1차 단열 배리어이며, 주름은 탱크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탱크는 지지 벽체에 고정되어 2차 실링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2차 단열 배리어를 더 포함하며,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실링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고, 탱크는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의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실링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며, 그루브는 1차 단열 배리어의 하측 표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멤브레인은 1차 실링 멤브레인이고, 단열 배리어는 1차 단열배리어이며, 주름은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탱크는 지지 벽체에 고정되어 2차 실링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2차 단열 배리어를 더 포함하며,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실링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고, 1차 실링 멤브레인은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의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며, 그루브는 1차 단열 배리어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탱크는 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육상 저장 설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해안 또는 심해 해상 구조물, 특히 메탄 유조선,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sification Uni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유닛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액체 제품의 이송을 위한 배는 이중 선각 및 이중 선각에 배치되는 전술한 탱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배를 로딩 또는 오프로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저온 액체 제품이 절연 파이프를 통해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부터 배의 탱크로 또는 그 반대로 공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저온 액체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시스템은 전술한 배,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 배의 선각에 설치된 탱크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절연 파이프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부터 배의 탱크로 또는 그 반대로 저온 액체 제품의 유동을 일으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 주어진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의 아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고, 그밖에 목적,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이 더 명확하게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유밀 및 단열 탱크 벽체 단열 배리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열 배리어의 절연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그루브에서 주름의 서로 다른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단열 배리어의 그루브에 수용된 주름을 포함하는 주름진 실링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단열 배리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링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단열 배리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열 배리어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로킹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실링 멤브레인 주름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한 네트워크의 그루브 및 상기 단열 배리어에 배열된 한 열의 블로킹 부재를 나타낸 탱크 벽체 단열 배리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링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단열 배리어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링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단열 배리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단열 배리어에 장착하기 전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링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단열 배리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단열 배리어에 블로킹 부재를 장착한 후의 단열 배리어를 나타낸 도 9와 유사한 모습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탱크 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탱크 벽체의 블로킹 부재의 영역에서 도 11의 탱크 벽체의 세부 사항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밀 및 단열 탱크를 포함하는 메탄 유조선 탱크 및 그 탱크를 로딩/오프로딩하기 위한 터미널의 개략 절개도이다.
도 14는 절연 패널에 배열된 두 열의 블로킹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밀 및 단열 탱크의 바닥 벽체의 단열 배리어 절연 패널의 평면도이다.
관례적으로, "외측"과 "내측"이라는 용어는 탱크의 내측과 외측에 관하여, 서로에 대해 어느 한 요소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극저온 유체, 예컨대 액화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고 운송하기 위한 유밀 및 단열 탱크는 다층 구조를 각각 갖는 복수의 탱크 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탱크 벽체는 탱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2차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2차 단열 배리어, 2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된 2차 실링 멤브레인, 2차 단열 배리어에 고정된 1차 단열 배리어 및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에 저장된 극저온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은 특히 자립형 금속 플레이트,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임의의 타입의 강성 칸막이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특히 배의 선각이나 이중 선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탱크의 일반적인 형상, 대개는 다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복수의 벽체를 포함한다. 일부 벽체는 또한 예컨대 LPG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단열 배리어와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만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유밀 및 단열 유체 탱크 벽체와 같은 단열 배리어, 예컨대 2차 단열 배리어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단열 배리어는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복수의 병치된 절연 패널(1)을 포함한다. 절연 패널(1)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위에서 바라본 이러한 절연 패널(1)을 나타낸다.
절연 패널(1)은 다양한 소재 또는 다양한 소재의 조합, 특히 합판, 폴리머 폼, 파이버 보강 폴리머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연 패널은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를 실링 멤브레인에 용접할 수 있도록, 그 내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절연 패널(1)은 내측 강성 플레이트(3)와 외측 강성 플레이트(4) 사이에 개재된 절연 라이닝 레이어(2), 예컨대 절연 폴리머 폼 레이어(2)를 포함한다. 내측 강성 플레이트(3)와 외측 강성 플레이트(4)는 예컨대 상기 절연 폴리머 폼 레이어(2)에 접착된 시트들의 합판이다. 절연 폴리머 폼 레이어(2)는 특히 폴리우레탄계 폼 레이어일 수 있다. 폴리머 폼 레이어(2)는 유리하게는 그 열 수축을 줄이는 것에 기여하는 글라스 파이버에 의해 보강된다.
절연 패널(1)은 기능적 조립 오차를 보장하는 틈(5)에 의해 서로 이격된 평행 열로 병치된다. 틈(5)은 도 7 내지 10에 나타난 내열 라이닝(6)으로 충전된다. 내열 라이닝(6)은 유리하게는 절연 패널(1) 사이의 틈(5)에서의 가스의 순환, 예컨대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순환을 완전히 금지함 없이, 단열 배리어에 자유 공간의 형성을 회피하도록,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내열 라이닝(6)은 예컨대 글라스 울, 록 울 또는 오픈셀 연성 합성 폼으로 이루어진다. 틈(5)은 예컨대 약 10 내지 60 mm, 특히 30 mm의 폭을 갖는다.
도 1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3)는 한 네트워크의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두 시리즈의 상호 직각 그루브(7, 8)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리즈의 그루브(7, 8)는 절연 패널(1)의 두 반대 사이드에 평행하다. 그루브(7, 8)는 실링 멤브레인의 금속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예컨대 도 3과 4에 나타난 주름(9)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내측 플레이트(3)는 절연 패널(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세 개의 그루브(7) 및 절연 패널(1)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 아홉 개의 그루브(8)를 포함한다.
더욱이, 내측 플레이트(3)는 절연 패널(1)에 실링 멤브레인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의 에지를 고정하기 위한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를 구비한다.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는 절연 패널(1)의 두 반대 사이드에 평행하게 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는 예컨대 스크루, 리벳 또는 스테이플에 의해 내측 플레이트(3)에 결합된다.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는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의 내측 표면이 내측 플레이트(3)의 외측 표면과 나란하도록, 내측 플레이트(3)에 형성된 리세스에 배치된다. 내측 플레이트(3)는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또는 그루브(7, 8)와 같은 특이 구역 외부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측 표면을 갖는다. 나타난 바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11, 12)는 도시적인 예이다. 이들 금속 플레이트는 나타난 것과 다른 개수, 상대적 크기 및 위치로 배열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3)는 탱크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절연 패널(1)에 1차 단열 배리어를 결합하기 위해 의도된 스터드(13)를 동등하게 구비할 수 있다. 스터드(13)는 작은 금속 플레이트(11, 12)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지나간다.
실링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시리즈의 평행 주름(9)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시리즈의 평행 주름(9)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의 두 시리즈의 주름(9)의 방향은 직각이다. 이들 주름(9)은 탱크의 외측을 향해, 즉 지지 구조물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복수의 평평한 표면을 주름(9) 사이에 포함한다.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의 주름(9)은 절연 패널(1)의 내측 플레이트(3)에 형성된 그루브(7, 8)에 수용된다. 대안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방식으로, 주름(9)은 또한 절연 블록 사이의 틈에 수용될 수 있다.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예컨대 Invar®즉 팽창 계수가 전형적으로 1.10-6 내지 2.10-6 K-1인 니켈과 철의 합금 또는 팽창 계수가 전형적으로 약 7.10-6 K-1인 고함량의 망가니즈를 갖는 철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으로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의 제조 동안, 그루브(7, 8)는 탱크에서 주름(9)의 배열의 조절의 구역을 구성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특히, 이들 그루브(7, 8)는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에서 상기 주름(9)의 제조 오차에 관련된 주름(9)의 크기의 편차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크기 형성은 서로에 대해 절연 패널(1)과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를 배치하는 것에 관한 오차를 고려해야 한다.
도 3은 그루브(7, 8)에 수용된 주름(9)의 위치의 범위를 정의하는 극단 위치(34)와 중앙 위치(35)를 나타낸다. 그루브(7, 8)는 바람직하게는 주름(9)의 길이 방향(15)에 직각이고 내측 플레이트(3)의 내면(16)에 평행한 방향의 폭(14)이 상기 방향의 주름(9)의 폭(17)에, 중앙 위치(35)의 양 사이드에서 그루브(7)에 주름(9)을 배치하기 위한 오차의 두 배에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오차 값을 더한 것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들 크기 때문에, 단열 배리어와 실링 멤브레인 사이에서 그루브(7, 8)에 공간이 유지된다. 이들 그루브(7, 8)는 따라서 한 네트워크의 순환 채널을 구성한다. 탱크 벽체에 걸쳐 실링 멤브레인과 단열 배리어 사이에 연속적으로 전개된 이러한 채널은 특히 횡 방향 탱크 벽체와 같은 큰 수직 성분을 갖는 탱크 벽체에 걸쳐 대류 운동에 유리하다. 이러한 한 네트워크의 연속적인 채널은 단열 배리어에서 기체 대류에 의한 열 전달에 유리한 열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탱크의 벽체에서 이들 대류 운동을 방지하는 사상으로부터 나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단열 배리어의 그루브(7, 8)에 의해 형성된 채널의 길이를 제한하는 사상으로부터 나온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부재(18)가 단열 배리어의 그루브(7, 8)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 삽입된다. 이들 블로킹 부재(18)는 실링 멤브레인과 단열 배리어 사이에 배열되기 위해, 그루브(7, 8)에 배치된다.
도 4는 실링 멤브레인의 주름(9)이 수용되는 그루브(7)의 영역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18)를 포함하는 절연 패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절연 패널(1)은 블로킹 부재(18)가 1 자유도의 움직임으로 수용되는 하우징(19)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9)은 주름(9)의 길이 방향(15)에 직각으로 전개된다. 그루브(7)의 폭 방향의 하우징(19)의 폭(20)은 그루브(7)의 폭(14)보다 크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그루브(7)는 주름(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측 방향 벽체를 갖는다. 하우징(19)의 폭(20)은 그루브(7)의 최대 폭(14), 즉 내측 플레이트(3)의 내면(16)과 그루브(7) 사이의 교차점의 영역에서 폭보다 크다. 이러한 하우징(19)은 그루브(7)를 가로지른다. 다시 말해, 하우징(19)은 그루브(7)와 공통되는 중앙 부분 및 주름(9)의 각 사이드에서 그루브(7)로 각각 개방된 두 측 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절연 패널(1)에서 이러한 하우징(19)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컨대 머시닝, 밀링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로킹 부재(18)는 평평한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블로킹 부재(18)의 중앙 부분은 컷아웃(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컷아웃(21)은 주름(9)의 볼록한 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컷아웃(21)은 보다 구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곡률 반경이 바람직하게는 주름(9)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오목함을 갖는다. 블로킹 부재의 내면은 따라서 그루브(7)에서 실링 멤브레인의 형상을 감싼다.
블로킹 부재(18)는 하우징(19)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주름(9)의 길이 방향(15)의 두께를 갖되, 블로킹 부재(18)가 하우징(19)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파지하지 않는다. 블로킹 부재(18)는 예컨대 5 mm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2 mm의 두께를 갖는다. 더욱이, 블로킹 부재(18)는 하우징(19)의 방향의 깊이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의 깊이를 갖는다. 다시 말해, 컷아웃(21)을 제외하고, 블로킹 부재는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의 그루브(7)의 깊이의 전부에 걸쳐 전개된다.
주름(9)의 길이 방향(15)의 블로킹 부재(18)와 하우징(19) 사이의 끼워 맞춤은 불리한 주변 유동을 가능하게 함 없이, 하우징(19)의 폭 방향으로 하우징(19)의 블로킹 부재(18)의 움직임을 허용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조절은 바람직하게는 그 자중으로 블로킹 부재(18)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차단하도록 맞춰진다. 오차는 예컨대 약 +/- 0.1 mm이다.
블로킹 부재(18)는 하나의 소재 또는 서로 다른 소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로킹 부재(18)는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재는 하우징(19)에서 블로킹 부재(18)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소재는 예컨대 플라스틱 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발포 또는 비발포 폴리스티렌(PS)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블로킹 부재(18)는 예컨대 실링 멤브레인과 협력하는 면이 한 레이어의 다공성 소재로 덮인 플라스틱 소재에 기반한 소재들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다공성 소재는 예컨대 글라스 울, 멜라민 폼 또는 펠트이다. 이러한 다공성 소재 레이어는 블로킹 부재(18)가 불활성 가스가 순환하도록 허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유동의 압력 강하를 발생시킨다.
블로킹 부재는 하우징(19)의 벽체를 마주하는 다양한 면이 하우징(19)을 형성하는 소재에 대해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소재로 덮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은 따라서 플라스틱 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발포 또는 비발포 폴리스티렌(PS)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로킹 부재(18)는 기계적 강도와 구조가 제자리에 배치할 때 실링 멤브레인 및/또는 하우징(19)과 접촉하는 표면의 국부적인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소재로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블로킹 부재(18)는 하우징(19) 및/또는 실링 멤브레인의 제조 오차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블로킹 부재(18)는 10 내지 30 kg/m3의 밀도를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9)의 폭 방향의 블로킹 부재(18)의 폭(22)은 하우징(19)의 폭(20) 내지 그루브(7)의 폭(14)이다. 블로킹 부재(18)의 폭(22)은 바람직하게는 그루브(7)의 폭(14)에, 그루브(7)에서 주름(9)의 중앙 위치의 각 사이드에서 그루브(7)에 주름(9)을 배치하는 것에 대한 오차의 두 배를 더한 것보다 크거나 같다. 더욱이, 하우징(19)의 폭(20)은 블로킹 부재(18)의 폭(22), 즉 그루브(7)에 주름(9)을 배치하기 위한 상기 오차의 두 배보다 크거나 같다.
블로킹 부재(18)는 따라서 하우징(19)의 폭 방향(20)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9)에 수용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19)에서 블로킹 부재(18)의 위치가 어떠하든, 블로킹 부재(18)는 그루브(7)의 폭(14)의 전부에 걸쳐 전개된다.
블로킹 부재(18)의 이들 서로 다른 위치는 상기 그루브(7)에서 주름(9)의 위치가 어떠하든, 컷아웃(21)이 그루브(7)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컷아웃(21)은 블로킹 부재(18)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하우징(19)은 그루브(7)의 폭 방향으로 그루브(7)에서 중앙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하우징(19)은 그루브(7)에 대해 대칭적이고, 블로킹 부재는 컷아웃(21)에 대해 대칭적이다. 다만, 블로킹 부재(18)의 폭 방향(22)의 컷아웃(21)의 위치 및/또는 그루브(7)의 폭 방향(14)의 하우징(19)의 위치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다를 수 있는 한편, 그루브(7)에서 주름(9)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 적합하게 상기 컷아웃(21)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 컷아웃은 블로킹 부재(18)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이에 컷아웃(21)이 그루브(7)의 폭 방향으로 그루브(7)에서 모든 가능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그루브(7)에 대해 비대칭적인 측 방향 부분을 갖는다.
블로킹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제조 단계에서, 즉 지지 구조물에 하우징(19)을 구비하는 절연 패널(1)을 설치하기 이전에 하우징(19)에 수용된다.
탱크에 실링 멤브레인을 설치하는 동안,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그루브(7)에 주름(9)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컷아웃(21)과 주름(9)의 상보적인 형상은 그루브(7)로 주름(9)을 삽입하는 동안 컷아웃이 캠 표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주름(9)은 따라서 절연 패널(1)의 내측 플레이트(3)의 내면(16)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외면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컷아웃(21)은 상기 내면(16)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내면을 갖는다. 따라서, 주름(9)이 그루브(7)로 삽입될 때, 주름(9)의 외면은 컷아웃(21)의 내면에 지지된다. 그루브(7)로 주름(9)을 삽입하는 동안 주름(9)의 외면과 컷아웃(21)의 내면의 협력은 따라서 하우징(19)의 폭 방향으로 하우징(19)에서 블로킹 부재(18)의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다. 그루브(7)에 주름(9)의 삽입은 따라서 상기 주름(9)이 블로킹 부재(18)의 컷아웃(21)에 수용되도록, 블로킹 부재(18)의 자동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컷아웃(21)과 주름(9)의 상보적인 형상은 블로킹 부재(18)가 그루브(7)에서 유밀 멤브레인의 형상을 감쌀 수 있게 한다. 블로킹 부재(18)는 따라서 하우징(19)의 영역에서 그루브(7)의 바닥과 실링 멤브레인 사이에서 그루브(7)의 부분의 전체에 전개된다. 다시 말해, 블로킹 부재(18)는 하우징(19)의 영역에서 그루브(7)의 상기 부분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은 완전히 유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차단은 열 사이펀 형태의 대류에 의해 그루브(7)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압력 강하를 생성해야 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킹 부재(18)의 변경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경에서, 실링 멤브레인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블로킹 부재(18)의 프로필은 복수의 리브(23)를 특징으로 갖는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이들 리브(23)는 블로킹 부재(18)의 폭 방향(22)으로 블로킹 부재(18)의 내면에서 전개된다. 이들 리브(23)는 블로킹 부재(18)의 국부적인 변형에 유리하여, 실링 멤브레인과 블로킹 부재(18)의 내면 사이의 더 우수한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경에 따르면, 1 내지 2 mm 두께 스트립의 압축성 소재가 블로킹 부재(18)의 내면에 추가된다. 리브(23)와 유사하게, 이러한 스트립은 블로킹 부재(18)가 주름(9) 및 그와 협력하는 실링 멤브레인의 프로필을 가장 잘 감쌀 수 있게 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원치 않는 바이패스 유동을 생성하지 않도록, 블로킹 부재(18)의 내면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를 갖는다.
도 6은 탱크 벽체의 단열 배리어 부분, 예컨대 2차 단열 배리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상기 단열 배리어에서 복수의 블로킹 부재(18)의 배열의 일례를 나타낸다.
블로킹 부재(18)는 그루브(7, 8)가 탱크 벽체에 유동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절연 패널(1)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블로킹 부재(18)는 보다 구체적으로 시리즈들의 그루브(8)의 두 특정 이웃한 그루브(32)를 가로지르는 모든 그루브(7)에 배치되는데, 상기 블로킹 부재(18)는 상기 이웃한 그루브(32) 사이에 있는 상기 그루브(7)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블로킹 부재(18)는 두 특정 이웃한 그루브(32)를 연결하는 모든 그루브(7)에서 단열 배리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한 열의 블로킹 부재(18)는 따라서 유동에, 직각 그루브(8) 중 하나를 일시적으로 취함으로써 블로킹 부재(18)를 바이패스하는 경로의 가능성을 남기지 않는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한 열의 블로킹 부재(18)는 따라서 평면에서, 상기 평면을 교차하는 한 세트의 평행 그루브(7)에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블로킹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성분, 예컨대 탱크의 챔버링 벽체, 코퍼댐 또는 측벽을 갖는 모든 그루브(7, 8)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블로킹 부재(18)는 유리하게는 모든 그루브(7, 8)에서, 탱크의 바닥 벽체의 단열 배리어에 배치된다.
이들 블로킹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그 효과가 누적되어, 우선되는 유동 방향으로 연쇄 압력 강하를 생성하도록, 그루브(7, 8)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33)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수직 성분을 갖는 주름(9)의 경우, 이들 블로킹 부재(18)는 매 3 m 또는 매 1 m마다 상기 주름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수평 바닥 벽체의 주름(9)의 경우, 블로킹 부재(18)는 예컨대 매 1 m마다 배열된다.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성분을 갖는 절연 패널(1)의 관점에서, 블로킹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성분을 갖는 그루브(7, 8)의 영역에서 더 낮은 영역에 가깝게 배치된다. 두 절연 패널(1) 사이에 수용된 내열 라이닝(6)으로부터 블로킹 부재(18)를 이격한 거리는 따라서 탱크의 바닥을 향하는 유동이 블로킹 부재(18)와 상기 내열 라이닝(6) 사이에 형성되기에 불충분하여, 상기 내열 라이닝(6)에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을 제한한다.
도 14는 유밀 및 단열 탱크 바닥 벽체에 통합된 절연 패널(1)의 관점에서, 블로킹 부재(18)의 배열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블로킹 부재(18)는 상기 절연 패널(1)에 의해 형성된 모든 그루브(7, 8)에 배열된다. 이들 블로킹 부재(18)는 절연 패널(1)의 두 이웃한 에지를 따라 나란하며, 절연 패널(1)에 실질적으로 "L"의 형상을 갖는 두 직각 열의 블로킹 부재(18)를 형성한다. 만약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절연 패널(1)이 탱크의 바닥에 병치되면, 상기 병치된 절연 패널(1)의 복수의 열의 블로킹 부재는 따라서 다양한 절연 패널(1)의 그루브(7, 8)에 의해 형성된 모든 채널에서 한 격자의 블로킹 부재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두 열의 블로킹 부재(18) 사이의 최대 간격은 특정한 속도 및 생각되는 오차로 생성된 압력 강하가 제약될 유동의 정수압 하중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압력 강하 계수는 블로킹 부재 목업에서 유동을 확립하고, 유속을 변경시키며, 상류와 하류 사이의 압력 차를 측정하는 시험에 의해, 또는 수치적으로 용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하중은 해당 순환 루프의 중력으로 고정된 방향의 주어진 유체의 밀도(ρ)의 변화의 적분을 고려하고, 만유인력 상수를 곱하여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근사치로, 그 종단에서 연통하는 (개개의 온도(Tf, Tc)의) 높이(H)의 두 수직 채널에서, 제1 근사치로 아래 방적식을 만족하는 압력 차(dP)가 존재한다.
dP=(ρ(Tf)-ρ(Tc))*g*H
도 7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같은 참조 번호를 갖는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하우징(19)이 절연 패널(1)이 아닌, 두 이웃한 절연 패널(1) 사이의 틈(5)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우징(19)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패널(1)의 머시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블로킹 부재(18)가 안착된 하우징(19)의 바닥은 예컨대 틈(5)에 수용된 절연 라이닝(6)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는 해당 그루브(7, 8)에서 주름(9)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블로킹 부재(18)의 설치에 앞서, 절연 패널(1)에 배치된다. 그루브(7, 8)에서 주름(9)의 위치가 정해질 때, 블로킹 부재(18)는 절연 패널(1)의 해당 사이드에서 적절한 위치에 결합된다. 블로킹 부재(18)는 예컨대 절연 패널(1)의 플랭크에 스테이플, 스크루 또는 글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로킹 부재(18)는 틈(5)보다 작은 주름(9)의 길이 방향(15)의 두께를 갖는다.
도 8은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같은 참조 번호를 갖는다.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러한 제3 실시예는 하우징(19)이 두 절연 패널(1) 사이의 틈(5)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열 라이닝(6)은 하우징(19)의 바닥을 형성하는 함몰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함몰부(2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9)의 폭(20)에 대해 앞서 설명된 특징과 유사한 폭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블로킹 부재(18)는 절연 패널(1)의 플랭크에 결합됨 없이, 함몰부(24)에서 내열 라이닝(6)에 배치된다. 이러한 블로킹 부재(18)는 단열 배리어에 주름진 플레이트(10)를 배치하기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주름(9)이 그루브(7, 8)에 삽입될 때, 컷아웃(21)의 내면과 주름(9)의 외면 사이의 협력은 블로킹 부재(18)의 폭 방향(22)으로 함몰부(24)에서 블로킹 부재(18)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블로킹 부재(18)는 유리하게는 틈(5)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형적으로 약 30 mm 또는 40 mm의 주름(9)의 길이 방향(15)의 두께를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내열 라이닝(6)은 함몰부(24)를 갖지 않으며, 블로킹 부재(18)는 상기 내열 라이닝(6)의 내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로킹 부재(18)가 그루브(7)의 영역에서 틈(5)에 배치될 때, 이는 상기 틈(5)을 형성하는 절연 패널(1)의 내면 너머, 예컨대 1 내지 3 mm로 돌출된다.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10)가 그루브(7)에 주름(9)을 삽입하도록 배치될 때, 블로킹 부재(18)를 압박하는 주름(9)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루브(7)에 대해 블로킹 부재(18)를 자동으로 배치한다. 더욱이, 블로킹 부재(18)를 압박하는 주름(9)은 블로킹 부재(18)가 틈(5)을 형성하는 절연 패널(1)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블로킹 부재(18) 아래에 배치된 내열 라이닝(6)을 압축한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같은 참조 번호를 갖는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블로킹 부재가 블로킹 부재(18)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레이드(25)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다르다. 이러한 블레이드(25)는 지지 벽체의 방향으로 블로킹 벽체(18)의 측면을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블로킹 부재(18)를 배치할 때, 블레이드(25)는 상기 내열 라이닝(6)이 수용되는 틈(5)을 형성하는 절연 패널(1) 중 하나와 내열 라이닝(6) 사이에 삽입된다. 내열 라이닝(6)과 절연 패널(1) 사이에 블레이드(25)의 삽입은 블로킹 부재(18)가 절연 패널(1)의 플랭크에 압박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블로킹 부재(18)를 제자리에 고정한다. 블레이드(25)는 유리하게는 한편으로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실링 멤브레인의 표면에 블로킹 부재(18)의 프로필의 최적의 배치에 기여하기 위해, 약간의 테이퍼를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는 블로킹 부재(18)의 위치가 탱크의 내구 수명에 걸쳐 유지되도록 보장할 수 있게 만든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는 절연 블록 또는 블록들의 두께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한편, 블로킹 부재(18)의 측 방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연 블록에 결합된 적어도 두 훅으로 구성된다.
도 11과 12는 2차 단열 배리어와 1차 단열 배리어를 포함하는 탱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같은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탱크 벽체는 2차 단열 배리어에 안착된, 주름(9)이 탱크의 내측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2차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1차 단열 배리어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의 1차 절연 패널(26)을 포함한다. 1차 절연 패널(26)은 임의의 종류의 구조, 예컨대 외측 강성 플레이트(29), 예컨대 한 시트의 합판과 내측 강성 플레이트(28) 사이에 개재된 한 레이어(27)의 절연 폴리머 폼(27)과 같은 한 레이어의 절연 라이닝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1차 실링 멤브레인은 복수의 주름진 금속 플레이트(30)를 조립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주름(9)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7, 8)는 1차 절연 패널(26)에 제공된다. 이들 그루브(7, 8)는 상기 1차 절연 패널(26)의 외측 강성 플레이트(29)에, 그리고 가능한 경우 상기 1차 절연 패널(26)의 절연 라이닝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5 실시예는 따라서 하우징(19)이 블로킹 부재(18)를 수용하기 위해 1차 절연 패널(26)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러한 하우징(19)과 블로킹 부재(18)는 더욱이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하우징(19)과 블로킹 부재(18)의 그것과 유사한 탱크에서의 크기와 위치의 특징을 갖는다. 도 12는 주름(9)을 수용하는 그루브(7)를 교차하는, 하우징(19)에서 블로킹 부재(18)의 영역의 도 11에 나타난 탱크 벽체의 단면의 상세도로서, 하우징(19)에 의해 교차되는 상기 그루브(7)는 이러한 도 12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2차 및 1차 단열 배리어, 단열 배리어를 고정하는 부재 및 실링 멤브레인과 관련하여, 그밖에 세부 사항 및 그밖에 실시예는 문헌 WO2016/046487, 문헌 WO2013004943 또는 문헌 WO2014057221을 참조할 수 있다.
유밀 및 단열 탱크를 제조하기 위한 앞서 설명된 기술은 예컨대 메탄 유조선 또는 복수의 실링 멤브레인이나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그밖에 배와 같은 해상 구조물 또는 육상 설비에서 LNG 또는 LPG 저장조를 구성하기 위해, 다른 타입의 저장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메탄 유조선(70)의 절개도는 배의 이중 선각(72)에 장착된 각기둥의 일반적인 형상의 유밀 및 절연 탱크(71)를 나타낸다. 탱크(71)의 벽체는 탱크에 저장된 LNG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유밀 배리어, 1차 유밀 배리어와 배의 이중 선각(72) 사이에 배열된 2차 유밀 배리어 및 1차 유밀 배리어와 2차 유밀 배리어 사이 및 2차 유밀 배리어와 이중 선각(72) 사이에 각자 배열된 두 절연 배리어를 포함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배의 상갑판에 배치된 로딩/오프로딩 파이프(73)는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71)로 LNG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해양 또는 항만 터미널에 적절한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75), 수중 파이프(76) 및 육상 설비(77)를 포함하는 항만 터미널의 예를 나타낸다.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75)은 이동식 암(74) 및 이동식 암(74)을 지지하는 타워(78)를 포함하는 고정식 연안 설비이다. 이동식 암(74)은 로딩/오프로딩 파이프(73)에 연결될 수 있는 한 다발의 절연 연성 튜브(79)를 구비한다. 지향성 이동식 암(74)은 모든 메탄 유조선 로딩 게이지에 맞춰진다. 미도시된 연결 파이프는 타워(78) 내부에 연장된다.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75)은 육상 설비(77)로부터 또는 육상 설비(77)로 메탄 유조선(70)의 로딩 및 오프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후자는 액화 가스 탱크(80) 및 수중 파이프(76)를 통해 로딩 또는 오프로딩 스테이션(75)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81)를 포함한다. 수중 파이프(76)는 먼 거리, 예컨대 5 km에 걸쳐 육상 설비와 로딩 또는 오프로딩 스테이션(75) 사이의 액화 가스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메탄 유조선(70)이 로딩 및 오프로딩 작업 동안 해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액화 가스를 이송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배(70)에 구비된 펌프 및/또는 육상 설비(77)에 구비된 펌프 및/또는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75)에 구비된 펌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이 복수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 및 조합을 포함한다.
특히, 주름이 탱크의 외측의 방향으로 돌출되는지 아니면 탱크의 내측의 방향으로 돌출되는지에 따라, 주름이 2차 절연 패널의 내면 또는 1차 절연 패널의 외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수용되는 2차 실링 멤브레인의 관점에서, 하우징과 블로킹 부재가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되었다. 다만, 이러한 그루브, 하우징 및 블로킹 부재는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주름을 갖는 1차 실링 멤브레인의 관점에서 1차 절연 패널의 내면의 영역에 동등하게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그루브, 하우징 및 블로킹 부재는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주름을 갖는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 및 하나의 단열 배리어를 포함하는 탱크의 관점에서 절연 패널의 내면의 영역에 동등하게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 설명은 주로 제1 방향의 평행 주름(9)을 수용하는 그루브(7)의 관점에서 제공되었다. 다만, 이러한 설명은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의 주름(9)을 수용하는 그루브(8)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19)과 블로킹 부재(18)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블로킹 부재(18)는 따라서 그루브(7) 및/또는 그루브(8)를 차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는 동사 및 그 활용형의 사용은 따라서 청구항에 언급된 것 이외 다른 요소나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요소나 단계에 대한 "한" 또는 "하나의"라는 정관사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이러한 요소나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참조 부호가 청구항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3)

  1. 유밀 및 단열 유체 탱크로서, 탱크 벽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 및 하나의 실링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실링 멤브레인은 길이 방향(15)을 갖는 한 시리즈의 평행 주름 및 상기 평행 주름 사이에 배치된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행 주름은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서 평면부로부터 돌출되고, 단열 배리어는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열 배리어는 평행 주름이 수용되는 한 시리즈의 평행 그루브(7, 8)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7, 8)는 평행 주름의 길이 방향(15)에 직각인 폭 방향의 폭(14)이 상기 그루브(7, 8)에 수용된 주름의 상기 폭 방향의 폭(17)보다 크며,
    단열 배리어는 하우징(19)을 더 포함하고, 그루브(7, 8)의 폭 방향의 상기 하우징(19)의 폭 방향 축은 상기 그루브(7, 8)를 교차하며, 상기 하우징(19)은 그루브(7, 8)의 폭보다 큰 폭(20)을 갖고,
    탱크는 하우징(19)에 배열된 블로킹 부재(18)를 더 포함하며, 블로킹 부재는 그루브(7, 8)의 폭(14)보다 큰 폭(22)을 갖고, 블로킹 부재(18)는 주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컷아웃(21)을 가지며,
    블로킹 부재(18)는 컷아웃(21)이 그루브(7, 8)에 수용되고 주름이 컷아웃(21)에 수용되도록 하우징(19)에 배열되어, 블로킹 부재(18)가 그루브(7, 8)에서 순환하는 유동에 대해 압력 강하를 생성함으로써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된 그루브(7, 8)의 부분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단열 배리어는 지지 벽체에 고정된 복수의 병치된 절연 요소(1, 26)를 포함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9)은 절연 요소(1, 26)에 형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4.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9)은 두 이웃한 절연 요소(1, 26) 사이의 틈(5)에 형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절연 필링(6)이 두 이웃한 절연 요소(1, 26) 사이의 틈(5)에 배열되고, 상기 절연 필링(6)은 하우징(19)의 바닥을 형성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로킹 부재(18)는 10 내지 30 kg/m3의 밀도를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로킹 부재(18)는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23)과 강성 소재로 구성된 하우징(19)의 바닥과 접촉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주름은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23)에 지지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바닥과 접촉하는 블로킹 부재(18)의 하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합성 플라스틱 폼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된 소재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구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블로킹 부재(18)의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은 블로킹 부재(18)의 상면에 한 스트립의 압축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0. 제7항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23)은 파이버성 소재, 글라스 울, 멜라민 폼, 연성 폴리우레탄 폼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된 소재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구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름은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1 측 방향 표면을 갖고,
    블로킹 부재(18)는 주름이 그루브(7, 8)에 삽입될 때, 블로킹 부재(18)가 하우징(19)의 폭(20)에서 슬라이딩하게 야기하도록, 탱크의 상기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표면을 갖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로킹 부재(18)의 폭(22)은 주름의 폭(17)에, 그루브(7, 8)와 주름 사이의 폭 차의 두 배를 더한 것보다 크거나 같은 유밀 및 단열 탱크.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름의 길이 방향(15)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성분을 포함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열의 하우징(19)을 포함하고, 한 열의 하우징(19)의 상기 하우징(19)은 한 시리즈의 그루브(7, 8)의 개개의 그루브(7, 8)를 교차하며, 상기 하우징(19)은 개개의 그루브(7, 8)의 폭(14)보다 큰 폭(20)을 갖고,
    탱크는 개개의 하우징(19)에 배열된 한 열의 블로킹 부재(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로킹 부재(18)는 개개의 하우징(19)에 의해 교차되는 그루브(7, 8)의 폭(14)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19)의 폭(20)보다 작은 폭(22)을 갖고, 블로킹 부재(18)는 해당 주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컷아웃(21)을 가지며, 블로킹 부재(18)는 컷아웃(21)이 해당 그루브(7, 8)에 수용되고 주름이 상기 컷아웃(21)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19)에 배열되어, 블로킹 부재(18)가 상기 그루브(7, 8)에서 순환하는 유동에 대해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는 실링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된 측에 배치된 상기 그루브(7, 8)의 부분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5. 제5항에 있어서,
    실링 멤브레인의 한 시리즈의 평행 주름은 실링 멤브레인의 제1 시리즈의 평행 주름이고, 상기 제1 시리즈의 평행 주름의 상기 평행 주름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이며,
    실링 멤브레인은 제1 시리즈에 직각인 제2 시리즈의 평행 주름을 더 포함하고, 제2 시리즈의 평행 주름의 평행 주름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을 형성하며,
    한 열의 블로킹 부재(18)의 블로킹 부재(18)는 제2 시리즈의 평행 주름의 두 이웃한 주름(32) 사이에 배열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6. 제5항에 있어서,
    탱크는 개개의 하우징(19)에 수용된 복수의 열의 블로킹 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열의 블로킹 부재(18)는 압력 강하의 효과가 누적되어 해당 평행 주름을 수용하는 그루브(7, 8)에 연쇄 압력 강하를 생성하도록, 평행 주름의 길이 방향(15)으로 규칙적인 간격(33)으로 배열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 멤브레인은 단열 배리어에 의해 마련되고, 평행 주름은 지지 벽체를 향해 돌출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멤브레인은 2차 실링 멤브레인이고, 상기 단열 배리어는 1차 단열 배리어이며, 평행 주름은 탱크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탱크는 지지 벽체에 고정되어 2차 실링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2차 단열 배리어를 더 포함하며,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실링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고,
    탱크는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의 유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1차 실링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며, 그루브(7, 8)는 1차 단열 배리어의 하측 표면에 형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1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멤브레인은 1차 실링 멤브레인이고, 상기 단열 배리어는 1차 단열배리어이며, 평행 주름은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탱크는 지지 벽체에 고정되어 2차 실링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2차 단열 배리어를 더 포함하며,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실링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고, 1차 실링 멤브레인은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탱크의 유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그루브(7, 8)는 1차 단열 배리어의 상측 표면에 형성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20. 저온 액체 제품의 이송을 위한 배(70)로서,
    이중 선각(72) 및
    이중 선각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탱크(71)를 포함하는 배.
  21. 저온 액체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20항에 따른 배(70),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77)에 배의 선각에 설치된 탱크(71)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절연 파이프(73, 79, 76, 81) 및
    절연 파이프를 통해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부터 배의 탱크로 또는 그 반대로 저온 액체 제품의 유동을 일으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20항에 따른 배(70)를 로딩 또는 오프로딩하는 방법으로서,
    저온 액체 제품이 절연 파이프(73, 79, 76, 81)를 통해 해상 또는 육상 저장 설비(77)로부터 배의 탱크(71)로 또는 그 반대로 공급되는 방법.
  23. 삭제
KR1020207017007A 2017-11-27 2018-11-26 유밀 및 단열 탱크 KR102582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71267 2017-11-27
FR1771267A FR3074253B1 (fr) 2017-11-27 2017-11-27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CT/FR2018/052972 WO2019102163A1 (fr) 2017-11-27 2018-11-26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981A KR20200092981A (ko) 2020-08-04
KR102582364B1 true KR102582364B1 (ko) 2023-09-25

Family

ID=6122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07A KR102582364B1 (ko) 2017-11-27 2018-11-26 유밀 및 단열 탱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717823A1 (ko)
JP (1) JP7145216B2 (ko)
KR (1) KR102582364B1 (ko)
CN (1) CN111406177B (ko)
FR (1) FR3074253B1 (ko)
RU (1) RU2764234C2 (ko)
SG (1) SG11202004472PA (ko)
WO (1) WO2019102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538B1 (fr) * 2019-07-31 2022-06-1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our structure flottante
FR3103023B1 (fr) 2019-11-13 2021-10-0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à joints isolants anti-convectifs
FR3109979B1 (fr) * 2020-05-05 2022-04-0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renant des éléments de remplissage anti-convectif
FR3112587B1 (fr) * 2020-07-17 2022-12-0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118119B1 (fr) 2020-12-23 2023-05-12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 obturateur d’on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6487A1 (fr) 2014-09-26 2016-03-31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isolante comportant un élément de pontage entre les panneaux de la barrière isolante secondai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283B2 (ja) * 1994-02-18 2002-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低温タンクのメンブレン構造
FR2911576B1 (fr) * 2007-01-23 2009-03-06 Alstom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aroi isolante et etanche d'une cuve
FR2936784B1 (fr) * 2008-10-08 2010-10-08 Gaztransp Et Technigaz Cuv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KR101058522B1 (ko) * 2009-02-05 2011-08-23 한국과학기술원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FR2963818B1 (fr) * 2010-08-11 2014-01-03 Gaztransp Et Technigaz Structure de paroi etanche
FR2977562B1 (fr) 2011-07-06 2016-12-2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EP2792589B1 (en) * 2011-12-16 2020-04-22 Samsung Heavy Ind. Co., Ltd. Auxiliary secondary barrie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FR2996520B1 (fr) * 2012-10-09 2014-10-24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membrane metalique ondulee selon des plis orthogonaux
FR3002514B1 (fr) * 2013-02-22 2016-10-21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rrier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our cuve de stockage
KR101672209B1 (ko) * 2014-10-23 2016-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KR101751838B1 (ko) * 2015-08-21 2017-07-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앵커 스트립이 제거된 액화가스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구조, 그 인슐레이션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및 그 화물창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6487A1 (fr) 2014-09-26 2016-03-31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isolante comportant un élément de pontage entre les panneaux de la barrière isolante second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6177A (zh) 2020-07-10
RU2020115462A3 (ko) 2021-12-29
JP2021504643A (ja) 2021-02-15
KR20200092981A (ko) 2020-08-04
FR3074253B1 (fr) 2019-11-01
JP7145216B2 (ja) 2022-09-30
CN111406177B (zh) 2021-12-28
FR3074253A1 (fr) 2019-05-31
EP3717823A1 (fr) 2020-10-07
RU2764234C2 (ru) 2022-01-14
SG11202004472PA (en) 2020-06-29
RU2020115462A (ru) 2021-12-29
WO2019102163A1 (fr)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364B1 (ko) 유밀 및 단열 탱크
KR102335746B1 (ko) 유체 밀봉 단열 탱크
RU2766510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имеющий антиконвекционный заполнитель
CN111051762B (zh) 隔热密封的容器
JP7142683B2 (ja) 対流防止充填要素を伴う密閉された断熱タンク
KR102178151B1 (ko) 인슐레이팅 배리어에 대해 국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씰링 배리어를 갖는 씰링 및 인슐레이팅된 탱크
CN112912661B (zh) 容器壁、容器、船、输送系统及装载或卸载船的方法
KR20200112879A (ko) 보강된 주름진 멤브레인을 가진 밀봉 벽
CN110778909B (zh) 具有加强波纹状膜的防漏壁
CN114738659A (zh) 包括桥接元件的密封热绝缘罐
KR20210061327A (ko) 대류-방지 단열 씰을 구비한 밀봉 및 단열된 탱크
CN111051761B (zh) 具有弯曲的支撑条的隔热密封的容器
RU2788778C2 (ru) Стенка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и герметич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CN116783421A (zh) 包括波纹状部阻挡件的密封且热隔绝的罐
RU2779509C2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герметичный резервуар
KR20230084547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