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379B1 - 차량용 궤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궤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379B1
KR102581379B1 KR1020190029447A KR20190029447A KR102581379B1 KR 102581379 B1 KR102581379 B1 KR 102581379B1 KR 1020190029447 A KR1020190029447 A KR 1020190029447A KR 20190029447 A KR20190029447 A KR 20190029447A KR 102581379 B1 KR102581379 B1 KR 10258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drive shaft
coupled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794A (ko
Inventor
최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3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휠부, 상기 휠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부에 접촉되어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 상기 휠부가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부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궤도부들이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궤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궤도장치{Tra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은 차량이 주행하는데 이용되는 차량용 궤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궤도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Sprocket)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으로, 캐터필러(Caterpillar)라고도 한다.
이러한 차량용 궤도장치는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에 설치된다. 농업용 차량으로는 트랙터(Tractor), 콤바인(Combine) 등이 있고, 군용 차량으로는 장갑차, 탱크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복수개의 궤도부(110), 복수개의 고정부(120), 및 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궤도부(110)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부(120)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궤도부(110)들은 상기 휠부(130)의 외측에서 상기 휠부(13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휠부(130)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휠부(130)는 상기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휠부(130)는 상기 궤도부(110)들이 이루는 폐쇄된 고리 형태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에 의해 상기 휠부(130)가 회전하면, 상기 궤도부(110)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따라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휠부(130)가 상기 차량에 고정되게 결합되므로 상기 궤도부(110)들의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주행속도, 지형주파능력 등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과 같이 상기 차량이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주행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이 변화하더라도 주행속도, 지형주파능력 등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저하로 인해 차량의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궤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휠부, 상기 휠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부에 접촉되어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 상기 휠부가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부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궤도부들이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결합부를 제1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궤도간격이 증가하는 궤도모드, 및 상기 궤도간격이 감소하는 휠모드 간에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궤도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서,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차량의 주행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손쉬운 작업을 통해 궤도모드 및 휠모드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모드전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휠모드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궤도모드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휠모드에서 구동축이 내측휠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휠모드에서 구동축이 내측휠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궤도모드에서 구동축이 외측휠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궤도모드에서 구동축이 외측휠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에 있어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에 있어서 외측휠이 확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외측돌출부재와 외측제한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에 있어서 내측휠이 확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에 설치되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주행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장갑차, 탱크 등과 같은 군용 차량, 건설용 차량, 토목용 차량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의 엔진(Engine)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6),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6)에 결합된 휠부(3), 상기 휠부(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부(3)에 접촉되어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2), 상기 휠부(3)가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부(3)에 결합된 결합부(4),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CD)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4)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4)를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휠부(3)가 상기 궤도간격(CD)이 증가하는 궤도모드(CM) 및 상기 궤도간격(CD)이 감소하는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차량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를 이용하여 상기 궤도간격(CD)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궤도간격(CD)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휠부(3)는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결합부(4)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부(2)들이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에서의 지형주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5)가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결합부(4)를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를 이용하여 상기 궤도간격(CD)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궤도간격(CD)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4)를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휠부(3)는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결합부(4)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부(2)들이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에서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5)가 상기 결합부(4)를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가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과 같이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구현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가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비교적 손쉬운 작업을 통해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모드전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궤도부(2)들, 상기 휠부(3), 상기 결합부(4), 상기 이동부(5), 및 상기 구동축(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이다.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휠부(3)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휠부(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휠부(3)의 외측에서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휠부(3)들은 상기 궤도부(2)들이 이루는 폐쇄된 고리 형태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은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 각각에는 4개의 연결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궤도부(2)들 중에서 일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궤도부(2)들을 순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은 지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휠부(3)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휠부(3)는 상기 구동축(6)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6)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휠부(3)에는 상기 구동축(6)과 함께 회전하기 위해 복수개의 치(Tooth,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휠부(3)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복수개의 휠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부(3)는 외측휠(31), 및 내측휠(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차량의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휠부(3)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내측휠(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내측휠(32)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휠(3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휠(31)은 외측휠본체(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휠본체(311)는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외측휠본체(311)에는 상기 구동축(6)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휠본체(311)는 상기 외측휠(3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외측휠본체(311)는 상기 외측휠(3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면서 상기 휠부(3)와 상기 차량이 서로 이격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외측휠(31)에 대해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상기 휠부(3)에서 상기 차량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차량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여 상기 궤도부(2)들이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에서의 지형주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궤도모드(CM)와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어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과 같이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비교적 손쉽게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모드전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은 내측휠본체(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휠본체(321)는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휠본체(321)에는 상기 구동축(6)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휠본체(321)는 상기 내측휠(3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내측휠본체(321)는 상기 내측휠(32)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4)는 상기 휠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결합부(4)는 상기 휠부(3)가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부(3) 및 상기 차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4)는 외측결합부재(41), 및 내측결합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외측결합부재(41)는 상기 외측휠(31) 및 상기 차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결합부재(41)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결합부재(41)는 외측지지부재(411), 및 고정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재(411)는 상기 외측휠(3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외측지지부재(4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재(411)는 상기 외측휠(31) 및 상기 고정부재(41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재(411)는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2)는 상기 외측휠(31)을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12)는 상기 외측지지부재(411) 및 상기 차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12)는 상기 외측휠(3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상기 외측지지부재(4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2) 및 상기 외측지지부재(411)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전체적으로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내측휠(32) 및 상기 차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차량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결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모드전환시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외측결합부재(41)에 충돌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와 상기 외측결합부재(41)의 충돌에 의한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4)의 가동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에는 상기 이동부(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여 상기 궤도부(2)들이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에서의 지형주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하여 상기 궤도부(2)들이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에서의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휠모드(WM)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5)가 상기 내측결합부재(4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시가지 등의 포장도로로 이루어진 운용환경 등과 같이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의 운용환경 변화에 대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구현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비교적 손쉬운 작업을 통해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모드전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내측지지부재(421), 및 이동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1)는 상기 내측휠(32)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내측지지부재(4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1)는 상기 내측휠(32) 및 상기 이동부재(42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지지부재(4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내측휠(32)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이동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내측지지부재(421) 및 상기 차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내측휠(3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상기 내측지지부재(42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 및 상기 내측지지부재(421) 사이의 끼인각은 전체적으로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2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4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모드전환시 상기 이동부재(422)가 상기 고정부재(412)에 충돌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이동부재(422)와 상기 고정부재(412)의 충돌에 의한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422) 및 상기 고정부재(412)의 가동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궤도부(2)들의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결합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는 상기 결합부(4)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궤도간격(CD)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5)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5)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를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모드(WM)에서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를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휠모드(WM)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모드전환을 위해 상기 이동부(5)가 상기 내측결합부재(42)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이동부(5)는 모드전환을 위해 상기 외측결합부재(41)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상기 휠부(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휠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부(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에는 상기 휠부(3)의 치(미도시)가 맞물리기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미도시)은 상기 구동축(6)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홈(Groove)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치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는 상기 구동축(6)을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외측휠(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부(3)가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휠모드(WM)와 상기 궤도모드(CM) 간에 전환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휠모드(WM)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휠모드(WM)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휠(32)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모드(WM)에서 상기 궤도모드(CM)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5)에 의해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을 상기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휠모드(WM)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외측휠(31) 및 상기 내측휠(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모드(WM) 및 상기 궤도모드(CM) 간에 전환시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구동축(6)에 간섭받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서, 모드전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휠부(3)가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는 확장모드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부(3)가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휠부(3)가 상기 궤도부(2)들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부(2)들이 순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부(3)가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휠부(3)와 상기 궤도부(2)들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휠부(3)의 공회전(Idle Running)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휠부(3)가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되기 위하여 상기 외측휠(31), 및 상기 내측휠(32)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외측휠(31)은 외측가압부재(312), 외측탄성부재(313), 외측수용공간(314), 및 외측확장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 및 상기 외측탄성부재(31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이 해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외측전달부재(3121), 및 외측판부재(3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함에 따라 외력을 상기 외측판부재(3122)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는 상기 외측판부재(3122) 및 상기 구동축(6)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3122)는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판부재(3122)는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와 함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측판부재(3122)는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3122)는 상기 외측탄성부재(313) 및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3122)와 상기 외측전달부재(3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3122)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상기 외측가압부재(31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상기 외측판부재(312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전체적으로 탄성(彈性)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를 가압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를 가압하면,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가압부재(31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은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은 상기 외측휠본체(3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은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유체는 기름(Oil) 등일 수 있다.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은 상기 외측휠본체(311)의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은 외측가압공간(3141), 외측연결공간(3142), 및 외측확장공간(3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은 상기 외측가압부재(312)와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에는 상기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은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은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과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은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과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은 상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은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에는 상기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은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은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된 것이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된 유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 ->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 ->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상기 외측휠본체(311)로부터 확장되도록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외측탄성부재(313)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된 유체를 감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 -> 상기 외측연결공간(3142) ->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외측탄성부재(313)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되도록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접촉되는 면적이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휠(31)이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외측휠(31)이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룬 상기 궤도부(2)들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부(2)들이 순환이동 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휠(31)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측휠(31)과 상기 궤도부(2)들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휠(31)의 공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외측휠(31)이 상기 궤도부(2)들과 접촉되는 면적이 변경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구동축(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의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의 부피가 감소된 경우, 상기 유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수용공간(3141)에서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체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휠본체(311)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휠(31)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부재(312)가 상기 구동축(6)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외측탄성부재(313)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의 부피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의 부피가 증가된 경우, 상기 유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서 상기 외측가압공간(314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확장된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외측휠(31)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외측휠(31)은 외측돌출부재(316), 및 외측제한부재(3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돌출부재(316)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돌출부재(31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휠본체(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제한부재(317)가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확장모드에서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외측휠본체(31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외측휠(31)에 대한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를 통해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확장모드에서 상기 외측휠본체(3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확장공간(3143)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된 유체에 대한 보충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의 보충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측휠(31)에 대한 가동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내측휠(32)은 내측가압부재(322), 내측탄성부재(323), 내측수용공간(324), 및 내측확장부재(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 및 상기 내측탄성부재(32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내측전달부재(3221), 및 내측판부재(3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함에 따라 외력을 상기 내측판부재(3222)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는 상기 내측판부재(3222) 및 상기 구동축(6)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판부재(3222)는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판부재(3222)는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와 함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측판부재(3222)는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부재(3222)는 상기 내측탄성부재(323) 및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판부재(3222)와 상기 내측전달부재(32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판부재(3222)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상기 내측가압부재(32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상기 내측판부재(322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전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를 가압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가압부재(32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를 가압하면,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은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은 상기 내측휠본체(32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은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은 상기 내측휠본체(321)의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은 내측가압공간(3241), 내측연결공간(3242), 및 내측확장공간(3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은 상기 내측가압부재(322)와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에는 상기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은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은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과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은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과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은 상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은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에는 상기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은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은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된 것이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된 유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변경시키는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내측탄성부재(323)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 ->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 ->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상기 내측휠본체(321)로부터 확장되도록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된 유체를 감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 -> 상기 내측연결공간(3242) ->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내측탄성부재(323)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접촉되는 면적이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내측휠(32)이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룬 상기 궤도부(2)들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부(2)들이 순환이동 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궤도부(2)들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휠(32)의 공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궤도부(2)들과 접촉되는 면적이 변경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가 상기 구동축(6)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의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의 부피가 감소된 경우, 상기 유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에서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체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휠본체(321)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휠(3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6)은 상기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구동축(6)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내측탄성부재(323)를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의 부피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의 부피가 증가된 경우, 상기 유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서 상기 내측가압공간(324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확장된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내측휠(32)이 상기 궤도부(2)들에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휠(3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6)이 상기 외측휠(31)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구동축(6)이 상기 내측휠(32) 또는 상기 외측휠(31)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확장모드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내측휠(32)은 내측돌출부재, 및 내측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부재의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확장부재(325)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돌출부재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돌출부재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돌출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휠본체(3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제한부재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내측돌출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제한부재가 상기 내측돌출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확장모드에서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내측휠본체(32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내측휠(32)에 대한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제한부재를 통해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확장모드에서 상기 내측휠본체(3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확장공간(3243)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된 유체에 대한 보충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의 보충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내측휠(32)에 대한 가동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차량용 궤도장치 2 : 궤도부
3 : 휠부 4 : 결합부
5 : 이동부 6 : 구동축
31 : 외측휠 32 : 내측휠
41 : 외측결합부재 42 : 내측결합부재
311 : 외측휠본체 312 : 외측가압부재
313 : 외측탄성부재 314 : 외측수용공간
315 : 외측확장부재 316 : 외측돌출부재
317 : 외측제한부재 321 : 내측휠본체
322 : 내측가압부재 323 : 내측탄성부재
324 : 내측수용공간 325 : 내측확장부재
CM : 궤도모드 WM : 휠모드

Claims (11)

  1. 차량의 엔진(Engine)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6);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6)에 결합된 휠부(3);
    상기 휠부(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부(3)에 접촉되어서 회전하여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2);
    상기 휠부(3)가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부(3)에 결합된 결합부(4); 및
    상기 궤도부(2)들이 서로 이격된 궤도간격(CD)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4)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3)는 상기 이동부(5)가 상기 결합부(4)를 제1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궤도간격(CD)이 증가하는 궤도모드(CM), 및 상기 궤도간격(CD)이 감소하는 휠모드(WM) 간에 전환하고,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에 대해 외측방향 쪽에 배치된 외측휠(31),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내측휠(32)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6)은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휠(32)과 상기 외측휠(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휠모드(WM)에서 상기 구동축(6)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궤도모드(CM)에서 상기 구동축(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는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된 내측결합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3)는 상기 내측결합부재(42)가 상기 제1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궤도모드(CM) 및 상기 휠모드(WM) 간에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는 상기 내측휠(32)에 결합된 내측결합부재(42), 및 상기 외측휠(31)에 결합된 외측결합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결합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제3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결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3)는 상기 궤도모드(CM)인 경우, 상기 구동축(6)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는 확장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의 외측방향 쪽에 배치된 외측휠(31)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외측휠본체(311),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외측가압부재(312), 상기 외측휠본체(3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외측수용공간(314), 및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외측확장부재(315)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를 상기 외측휠본체(311)로부터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의 외측방향 쪽에 배치된 외측휠(31)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외측휠본체(311),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외측가압부재(312), 상기 외측휠본체(3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외측수용공간(314), 상기 외측가압부재(312)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외측탄성부재(313), 및 상기 외측휠본체(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외측확장부재(315)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가압부재(312)는 상기 구동축(6)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외측탄성부재(313)의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외측확장부재(315)가 상기 외측수용공간(314)에 수용되도록 상기 유체를 상기 외측탄성부재(313)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휠(31)은 상기 외측확장부재(315)로부터 돌출된 외측돌출부재(316), 및 상기 외측돌출부재(316)가 결합되기 위한 외측제한부재(317)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제한부재(317)는 상기 외측확장부재(315)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외측돌출부재(316)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의 외측방향 쪽에 배치된 외측휠(31),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내측휠(32)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내측휠본체(321),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내측가압부재(322), 상기 내측휠본체(3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내측수용공간(324), 상기 내측가압부재(322)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내측탄성부재(323), 및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확장부재(325)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측탄성부재(323)의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내측확장부재(325)를 상기 내측휠본체(321)로부터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3)는 상기 차량의 외측방향 쪽에 배치된 외측휠(31),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휠(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내측휠(32)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휠(32)은 상기 결합부(4)가 결합된 내측휠본체(321),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하기 위한 내측가압부재(322), 상기 내측휠본체(3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하는 내측수용공간(324), 상기 내측가압부재(322)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내측탄성부재(323), 및 상기 내측휠본체(3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확장부재(325)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가압부재(322)는 상기 구동축(6)이 가압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내측확장부재(325)가 상기 내측수용공간(324)에 수용되도록 상기 유체를 상기 내측탄성부재(323)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KR1020190029447A 2019-03-14 2019-03-14 차량용 궤도장치 KR10258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47A KR102581379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궤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47A KR102581379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궤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94A KR20200109794A (ko) 2020-09-23
KR102581379B1 true KR102581379B1 (ko) 2023-09-21

Family

ID=7270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47A KR102581379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궤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58210U (zh) 2011-12-01 2012-08-01 华南理工大学 一种轮履转换机构
CN105564148A (zh) 2016-01-19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变形式轮履腿复合机器人
CN107140045A (zh) 2017-04-26 2017-09-08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辐条旋转变形式轮履腿复合行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48748T1 (de) * 2001-10-03 2007-01-15 Galileo Mobility Instr Ltd Anpassbares fahrsystem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58210U (zh) 2011-12-01 2012-08-01 华南理工大学 一种轮履转换机构
CN105564148A (zh) 2016-01-19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变形式轮履腿复合机器人
CN107140045A (zh) 2017-04-26 2017-09-08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辐条旋转变形式轮履腿复合行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94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410B1 (ko) 작업 차량의 트랜스미션
KR970705494A (ko) 무한궤도식자기주행장치
CN102224354B (zh) 干式离合器
CN102785716A (zh) 异形轮履带复合行走机构
CN105773594A (zh) 多模态刚柔复合蛇形机器人装置
KR102581379B1 (ko) 차량용 궤도장치
CN103029561A (zh) 车辆驱动装置
CN103481736A (zh) 新型水陆两栖行走机构
CN208036478U (zh) 行走系统和自动导引运输车
CN111824286A (zh) 一种变足式移动机器人
CN109383656B (zh) 旋转式轮腿复合型移动机构
CN105987160A (zh) 用于阻尼变速器振动的装置
KR101738522B1 (ko) Ecm 제동장치
CN113492621A (zh) 轮子、驱动单元以及移动装置
KR101887475B1 (ko) 전동 액추에이터
CN108757852A (zh) 变速箱及移动平台
CN210212042U (zh) 一种前桥倍速机构
RU2094285C1 (ru) Снегох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10555230U (zh) 一种履带式排爆机器人驱动轮切换系统
CN216056641U (zh) 电机和足式机器人
CN107087450B (zh) 无级变速传动结构
KR102530334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조립체
JPS6247743B2 (ko)
CN113103862A (zh) 一种履带式越障车
KR102204727B1 (ko)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