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088B1 -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88B1
KR102581088B1 KR1020210148549A KR20210148549A KR102581088B1 KR 102581088 B1 KR102581088 B1 KR 102581088B1 KR 1020210148549 A KR1020210148549 A KR 1020210148549A KR 20210148549 A KR20210148549 A KR 20210148549A KR 102581088 B1 KR102581088 B1 KR 10258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support
holder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454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블랭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랭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블랭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4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다양한 종류의 수전용 헤드를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을 개시한다.
욕실용품 거치대는 벽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거치대 본체는, 욕실용품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과,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 상에 배치되어 욕실용품의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Bathroom accessories hanger and bathroom accessories hang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욕실용품을 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장실, 세면실 또는 욕실 등에서 샤워기를 통한 샤워뿐 아니라 치아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구강세정기 등과 같이 수돗물을 사용하여 신체를 세정할 수 있는 다양한 욕실용품이 사용되고 있다.
샤워기 또는 구강세정기와 같은 욕실용품들은 수돗물을 나오게 하거나 막는 장치인 수전(水栓)의 한 종류로서, 수전은 수도호스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받아 필터링하는 수전용 손잡이와 수전용 손잡이에 결합되어 필터링된 수돗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기위한 수전용 헤드를 포함한다.
그 중 수전용 헤드는 각각의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 효과 또는 디자인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기능, 효과 또는 디자인을 가지는 수전용 헤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수전용 헤드를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거치대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 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수전용 헤드를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는 벽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욕실용품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용품의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 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그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를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각각의 후크의 일면을 지지하여 상기 각각의 후크의 휨을 방지하는 제1 지지리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후방 플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면과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는 제2 지지리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기 거치대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단까지의 제1 길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까지의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의 하단까지의 제3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욕실용품을 지지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더는, 그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홀더; 및 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홀더; 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홀더는 상기 욕실용품을 제1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홀더는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홀더는 상기 욕실용품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은 수전용 손잡이와 상기 수전용 손잡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용 헤드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및 상기 욕실용품을 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거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용 헤드는 상기 수전용 손잡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더에 홀딩되어 상기 욕실용품 거치대에 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수전용 헤드를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욕실용품 거치대에 욕실용품들이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욕실용품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거치대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거치대 본체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욕실용품 거치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욕실용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욕실용품 거치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욕실용품 거치대에 욕실용품들이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사용하여 샤워할 수 있는 샤워기 또는 구강을 세정할 수 있는 구강세정기 등과 같은 욕실용품(Bathroom Accessories, BA), 보다 자세하게는 수전용 헤드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욕실용품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거치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거치대 본체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욕실용품 거치대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욕실용품 거치대(10)는 고정 플레이트(100) 및 거치대 본체(200)를 포함한다.
욕실용품 거치대(10)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은 고정 플레이트(100) 또는 거치대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되며, 고정 플레이트(100) 또는 거치대 본체(200)의 폭방향을 의미하고,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되며, 고정 플레이트(100) 또는 거치대 본체(200)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고정 플레이트(100)는 화장실, 세면실 또는 욕실 등의 벽체에 양면테이프 또는 벨크로 등의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후크(110), 제1 지지리브(112) 및 복수의 결합홀(114)을 포함한다.
복수의 후크(110)는 제1 방향을 따라 고정 플레이트(100)의 일면에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후크(110)는 거치대 본체(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112)는 각각의 후크(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지지리브(112)는 복수의 후크(110)를 지지하며, 거치대 본체(200)가 고정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복수의 후크(110)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복수의 후크(110)가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114)은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의 후크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결합홀(114)은 고정 플레이트(100)가 접착부재(미도시) 이외에 벽체에 흡착판과 같은 흡착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흡착부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114)은 제1 결합홀(114a) 및 제2 결합홀(114b)을 포함한다.
제1 결합홀(114a)은 제1 방향을 따라 장공형태로 마련된다. 제1 결합홀(114a)에 수용되는 흡착부재(미도시)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결합홀(114a)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위치조절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14b)은 제1 결합홀(114a)이 배치되지 않은 각각의 후크(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4a) 및 제2 결합홀(114b)에 수용된 흡착부재(미도시)는 벽체에 고정되어 고정 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는 고정 플레이트(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대 본체(200)는 욕실용품(BA)이 욕실용품 거치대(1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욕실용품(BA)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는 지지 플레이트(210), 전방 플레이트(220), 후방 플레이트(230), 측면 플레이트(240) 및 제2 지지리브(250)를 포함한다.
거치대 본체(200)의 각 구성들은 제1 방향,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을 따라 구배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의 각 구성들이 구배진 형상으로 마련되면, 욕실용품 거치대(10)가 사출되어 제작되는 경우, 거치대 본체(200)의 각 구성들이 사출금형들로부터 유연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거치대 본체(200)의 각 구성들의 표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욕실용품(BA)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복수의 제1 홀더(212) 및 복수의 제2 홀더(21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홀더(212)는 제1 방향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210)에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제1 홀더(212)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된 욕실용품(BA)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더(212)는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욕실용품(BA)은 복수의 제1 홀더(212)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욕실용품(BA)이 복수의 제1 홀더(212)에 거치되면, 복수의 제1 홀더(212)에 거치되는 욕실용품(BA)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더(212)는 제1 수용돌기(212a), 가이드 돌기(212b), 제1 지지돌기(212c) 및 제1 연결리브(212d)를 포함한다.
제1 수용돌기(212a)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제1 수용돌기(212a)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수용돌기(212a)는 제1 수용홈(200a)을 형성한다. 제1 수용홈(200a)은 제1 수용돌기(212a) 내부에 마련되며,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2b)는 제1 수용돌기(212a)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212b)는 제1 수용돌기(212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가이드 돌기(212b)는 제1 수용홈(200a)에 수용되는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2b)는 제1 수용홈(200a)에 수용되는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2b)에 일부분이 지지된 욕실용품(BA)은 거치대 본체(200)에 더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돌기(212c)는 제1 수용돌기(212a) 내부에 배치되며, 제1 수용홈(200a) 상에 배치되어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돌기(212c)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서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 지지돌기(212c) 중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돌기(212c) 중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배치된 부분은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수용돌기(212a)와 함께 욕실용품(BA)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연결리브(212d)는 제1 수용돌기(212a) 및 제1 지지돌기(212c)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수용돌기(212a)와 제1 지지돌기(212c)를 연결한다. 제1 연결리브(212d)는 제1 지지돌기(212c)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제1 연결리브(212d)는 제1 수용홈(200a)에 수용된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홀더(214)는 제2 방향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210)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2 홀더(214)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된 욕실용품(BA)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홀더(214)에 거치되는 욕실용품(BA)은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홀더(214)는 제2 수용돌기(214a), 제2 지지돌기(214b) 및 제2 연결리브(214c)를 포함한다.
제2 수용돌기(214a)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제2 수용돌기(214a)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214a)는 제1 수용돌기(212a)와 다른 직경을 가진다. 제2 수용돌기(214a)는 제2 수용홈(200b)을 형성한다. 제2 수용홈(200b)은 제2 수용돌기(214a) 내부에 마련되며,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지지돌기(214b)는 제2 수용돌기(214a) 내부에 배치되며, 제2 수용홈(200b) 상에 배치되어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돌기(214b)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서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2 지지돌기(214b) 중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은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돌기(214b) 중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배치된 부분은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2 수용돌기(214a)와 함께 욕실용품(BA)의 하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연결리브(214c)는 제2 수용돌기(214a) 및 제2 지지돌기(214b)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수용돌기(214a)와 제2 지지돌기(214b)를 연결한다. 제2 연결리브(214c)는 제2 지지돌기(214b)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제2 연결리브(214c)는 제2 수용홈(200b)에 수용된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에서 제1 수용돌기(212a), 제1 수용홈(200a) 및 제1 지지리브(112)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므로, 제1 수용돌기(212a), 제1 수용홈(200a) 및 제1 지지리브(112)는 제1 수용부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돌기(214a), 제2 수용홈(200b) 및 제2 지지리브(250)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므로, 제2 수용돌기(214a), 제2 수용홈(200b) 및 제2 지지리브(250)는 제2 수용부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에서 제1 지지돌기(212c)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제1 지지부로 볼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돌기(214b)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지지되는 욕실용품(BA)의 내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제2 지지부로 볼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지 플레이트(210)의 전방을 커버한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 플레이트(220)는,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된 욕실용품(BA)이 외력에 의해 복수의 제1 홀더(212) 또는 복수의 제2 홀더(214)로부터 분리되어 거치대 본체(2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3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후방에 배치되며, 고정 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30)는 복수의 지지홈(232) 및 복수의 관통홈(2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홈(232)은 제1 방향을 따라 후방 플레이트(230)에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홈(232)은 거치대 본체(200)가 고정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복수의 후크(11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홈(232)은 복수의 후크(1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복수의 관통홈(234)은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의 지지홈(232)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관통홈(234)은 제1 관통홈(234a) 및 제2 관통홈(234b)을 포함한다.
제1 관통홈(234a)은 제1 방향을 따라 고정 플레이트(100)의 제1 결합홀(114a)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제1 관통홈(234a)은 거치대 본체(200)가 고정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결합홀(114a)과 연통된다. 제1 관통홈(234a)은 제1 결합홀(114a)에 수용되는 흡착부재(미도시)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관통홈(234b)은 제1 관통홈(234a)이 배치되지 않은 각각의 지지홈(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통홈(234b)은 거치대 본체(200)가 고정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결합홀(114b)과 연통된다. 제2 관통홈(234b)은 제2 결합홀(114b)에 수용되는 흡착부재(미도시)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24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측면 플레이트(240)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후방 플레이트(23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측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100)에 거치대 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으로부터 전방 플레이트(220)의 하단까지의 제1 길이(D1)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면으로부터 고정 플레이트(100)의 하단까지의 제2 길이(D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제1 길이(D1)가 제2 길이(D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면, 고정 플레이트(100), 전방 플레이트(220) 및 측면 플레이트(240)는 지면 또는 수납장 등과 같은 지지 가능한 물체의 일면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00)가 벽체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욕실용품 거치대(10)가 안정적으로 지면 또는 물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길이(D1)와 제2 길이(D2)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하단으로부터 수용돌기들(212a, 214a)까지의 제3 길이(D3)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제1 길이(D1) 및 제2 길이(D2)가 제3 길이(D3)보다 긴 길이를 가지므로, 수용돌기들(212a, 214a)의 하단은 고정 플레이트(100)의 하단 및 고정 플레이트(100)의 하단, 전방 플레이트(220)의 하단 및 측면 플레이트(24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수용돌기들(212a, 214a)은 욕실용품 거치대(10)가 지면 또는 물체의 일면에 지지될 경우, 고정 플레이트(100), 전방 플레이트(220) 및 측면 플레이트(240)에 의해 외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수용돌기들(212a, 214a)이 고정 플레이트(100), 전방 플레이트(220) 및 측면 플레이트(240)에 의해 보호되므로 욕실용품(BA)이 욕실용품 거치대(10)에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리브(250)는 지지 플레이트(210)의 내면과 후방 플레이트(230)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며, 지지 플레이트(210)와 후방 플레이트(230)를 각각 지지한다. 거치대 본체(200)가 복수의 후크(110)에 결합되어 고정 플레이트(100)에 고정될 경우, 제2 지지리브(250)는 하중에 의한 휨 현상 또는 외력에 의한 휨 현상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210) 및 후방 플레이트(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10)는 복수의 제1 홀더(212) 또는 복수의 제2 홀더(214)를 통해 욕실용품(BA)의 내면과 외면을 모두 지지하므로, 욕실용품(BA)이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욕실용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1)은 욕실용품 거치대(10) 및 욕실용품(20)을 포함할 수 있다.
욕실용품 거치대(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대(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욕실용품(20)은 화장실, 세면실 및 욕실 등과 같이 수돗물을 이용하여 샤워할 수 있는 샤워기 또는 구강을 세정할 수 있는 구강세정기와 같은 수전(水栓)을 포함할 수 있다.
욕실용품(20)은 수도호스(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도호스(미도시)에 연결되는 수전용 손잡이(22) 및 수전용 손잡이(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돗물을 수전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전용 헤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용 손잡이(22)는 수도호스(미도시)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받으며, 그 내부에 필터가 내장되어 수돗물을 필터링 하도록 구성된다.
수전용 헤드(24)는 수전용 손잡이(2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1 홀더(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홀더(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홀딩되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1)은 각각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제1 홀더(212) 및 복수의 제2 홀더(214)를 통해 욕실용품(20)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수전용 헤드(24)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1)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수전용 헤드(24)를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욕실용품 거치대
20, BA. 욕실용품
22. 수전용 손잡이
24. 수전용 헤드
100. 고정 플레이트
110. 복수의 후크
112. 제1 지지리브
114. 복수의 결합홀
114a. 제1 결합홀
114b. 제2 결합홀
200. 거치대 본체
200a. 제1 수용홈
200b. 제2 수용홈
210. 지지 플레이트
212. 복수의 제1 홀더
212a. 제1 수용돌기
212b. 가이드 돌기
212c. 제1 지지돌기
212d. 제1 연결리브
214. 복수의 제2 홀더
214a. 제2 수용돌기
214b. 제2 지지돌기
214c. 제2 연결리브
220. 전방 플레이트
230. 후방 플레이트
232. 복수의 지지홈
234. 복수의 관통홈
234a. 제1 관통홈
234b. 제2 관통홈
240. 측면 플레이트
250. 제2 지지리브
D1. 제1 길이
D2. 제2 길이
D3. 제3 길이

Claims (16)

  1. 욕실용품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욕실용품 거치대로써,
    벽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욕실용품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수용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용품의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그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를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결합홀;
    상기 제1 결합홀과 이격되는 제2 결합홀; 및
    상기 제1 결합홀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2 결합홀에 수용되며, 상기 벽체에 흡착 가능한 복수의 흡착부재;를 포함하고,상기 후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대 본체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될 경우, 복수의 상기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홈과, 상기 제1 결합홀에 연통되어 상기 제1 결합홀에 수용된 상기 흡착부재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홈을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각각의 상기 후크의 일면을 지지하여 각각의 상기 후크의 휨을 방지하는 제1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거치대.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면과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는 제2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욕실용품 거치대.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기 거치대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단까지의 제1 길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까지의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의 하단까지의 제3 길이보다 긴, 욕실용품 거치대.
  10. 벽체에 고정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욕실용품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수용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욕실용품의 내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돌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더는,
    그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홀더; 및
    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그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결합홀;
    상기 제1 결합홀과 이격되는 제2 결합홀; 및
    상기 제1 결합홀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2 결합홀에 수용되며, 상기 벽체에 흡착 가능한 복수의 흡착부재;를 포함하고,상기 후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될 경우, 복수의 상기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홈과, 상기 제1 결합홀에 연통되어 상기 제1 결합홀에 수용된 상기 흡착부재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홈을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홀더는 상기 욕실용품을 제1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욕실용품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홀더는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욕실용품 거치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홀더는 상기 욕실용품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욕실용품 거치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욕실용품 거치대.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욕실용품 거치대.
  16. 삭제
KR1020210148549A 2021-11-02 2021-11-02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KR10258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49A KR102581088B1 (ko) 2021-11-02 2021-11-02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49A KR102581088B1 (ko) 2021-11-02 2021-11-02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54A KR20230063454A (ko) 2023-05-09
KR102581088B1 true KR102581088B1 (ko) 2023-09-21

Family

ID=8640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549A KR102581088B1 (ko) 2021-11-02 2021-11-02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0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028A (ja) * 1999-03-24 2000-10-03 寿次 ▲の▼平名 歯ブラシ立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75A (ko) * 2019-11-22 2021-06-01 김형훈 탈부착이 용이한 코너선반
KR102356157B1 (ko) * 2020-04-01 2022-01-26 배인선 원터치 멀티 위생 필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028A (ja) * 1999-03-24 2000-10-03 寿次 ▲の▼平名 歯ブラシ立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54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5350A1 (en) Wall-hanging snap-in organizer device
US20090188880A1 (en) Shelving system
KR102581088B1 (ko) 욕실용품 거치대 및 이를 가지는 욕실용품 거치 시스템
KR200173647Y1 (ko) 칫솔, 치약튜브, 비누의 걸이-꽂이 보관 세트
KR20110065640A (ko)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US20060037133A1 (en) Shower tray
KR200423565Y1 (ko) 칫솔 걸이대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200349598Y1 (ko) 욕실 코너 설치용 선반
KR200306100Y1 (ko) 생활용품 비치구
KR102293813B1 (ko) 샤워기 거치홀더
CN217244075U (zh) 吸尘器吸头的收纳装置
JP3210508U (ja) シャワーヘッド用ホルダー
US20050235410A1 (en) Shower tray
JP5900829B2 (ja) 浴室用差込式物入れ具
JP2020081737A (ja) 物品掛け具
KR101460190B1 (ko) 세척 도구 수납형 세제 용기
CN213757969U (zh) 挂杆组件
JP3185849U (ja) 浴室用差込式物入れ具
CN213309415U (zh) 两用马桶刷组件
JP3155398U (ja) 小物入れ
EP1054614A1 (en) Suspension system for dispensers
JP2020032107A (ja) 浴室カウンター及び浴室ユニット
KR20220030845A (ko) 욕실용 샤워헤드 연결선의 고정구조
JP2001008852A (ja) 浴室用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