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017B1 -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17B1
KR102581017B1 KR1020200173265A KR20200173265A KR102581017B1 KR 102581017 B1 KR102581017 B1 KR 102581017B1 KR 1020200173265 A KR1020200173265 A KR 1020200173265A KR 20200173265 A KR20200173265 A KR 20200173265A KR 102581017 B1 KR102581017 B1 KR 10258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sition
probiotic
kluyveromyces marxianus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230A (ko
Inventor
서건호
배동렬
송광영
윤혜영
장용석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피어 유래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PROBIOTICS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MICROBIOTA CONTAINING KLUYVEROMYCES MARXIANUS A5}
본 발명은 케피어 유래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WHO/FAO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란 적절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숙주에 건강상의 이로움을 가져오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주로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um spp., Lactococcus spp., 와 같은 유산균을 중심으로 유일한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인 Saccharomyces boulardii까지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들의 효능이 널리 연구되어 왔다. 이렇게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들은 숙주 신체 내에서 생존성과 이로운 기능성을 가져야 한다.
현재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유산균에 대한 것으로, 프로바이오틱스 효모는 Saccharomyces boulardii 한 종 밖에 없었다. 케피어는 발효유 중에서 많은 유익한 미생물을 가지고 있는 유제품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케피어 효모 Kluyveromyces marxianus는 케피어 종균 내 효모 집단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이다. 현재까지 케피어 효모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내 미생물균총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2955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한국산 캐피어에서 분리한 효모인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 균주가 장내 미생물균총의 변화를 야기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케피어 유래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CM 12598P로 수탁된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탁번호 KCCM 12598P의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 균주는 장내 미생물균총을 개선할 수 있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CM 12598P로 수탁된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균총 중에서 유해균의 비율은 감소시키고 유익균의 비율은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익균은 Akkermansia, Bifidobacterium, Butyricicoccus, Butyricimonas, Butyrivibrio, Lactobacillus, Lactococcus, Pseudobutyrivibrio 또는 Weissella 속의 균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해균은 Campylobacter, Clostridium, Escherichia-Shigella, Fusobacterium, Klebsiella, Listeria, Salmonella, Staphylococcus 또는 Vibrio 속의 균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내 유산균 속 균주의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actobacillus animal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rogosae 등의 균주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는 배양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액, 농축 발효액, 발효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 여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은 미생물을 적당히 인공적으로 조절한 환경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균주는 통상의 배지에서 생육 가능하며, 특정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대상 즉 배양체가 되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이 추가로 첨가되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지는 배양기 또는 배양액이라고도 하며, 천연배지, 합성배지 또는 선택배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즈 및 자일로즈의 혼합당을 주 탄소원으로 사용하며 이외에 수크로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초산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안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질소원;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과 같은 아미노산 및 펩톤, NZ-아민, 육류추출물,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등 유기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 제1칼륨, 인산 제2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된다. 또한, 무기화합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철,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및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질에 더하여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 유가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가금류 또는 가축 등에게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세균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이미 발생한 세균성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료는 영양가, 주성분, 유통, 수분 함량 배합상태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사료는 조사료, 농후사료, 보충사료, 단백질사료, 녹말사료, 지방질사료 또는 섬유질사료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추가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사료 첨가제를 그대로 또는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모주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에 사용된 효모주는 천연 복합 발효유인 케피어로부터 분리하였다. 간단히, 케피어를 멸균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뒤, 이를 potato dextrose agar에 도말하여 얻은 콜로니를 ITS sequencing 을 통하여 확인 동정하였다.
실시예 2. 선별된 효모주의 동물실험을 통한 장내 미생물균총 변화 확인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주(Saccharomyces boulardii MYA-796)와 케피어 효모주(Kluyveromyces marxianus A5)는 4주령 암컷 Balb/c mouse에 2주간 투여했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1주일 동안 동물을 순화시켰다. 온도는 20-25℃를 유지하였고, 조명 시간은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해주었다. 급이기 및 급수병은 식이량과 식수량을 측정하여 매주 세척, 교환해주었고 마우스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해 케이지에 페이퍼 타올을 넣어주었다.
실험군은 대조군 및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주 투여군, 선발 효모주 투여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실험 군별로 3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투여물질로 대조군에는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주 투여군과 선발 효모주 투여군에는 효모주를 1.0 X 108CFU/mL와 1.0 X 106CFU/mL를 매일 16시에 1회 경구 투여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주(Saccharomyces boulardii MYA-796)는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용되는 유일한 효모인데 본 발명에서 케피어 효모주의 생존성과 기능성을 비교 검증하기 위하여 함께 실험하였다. 실험 종료일에 분변을 받아 장내 미생물균총 변화를 확인하였다. 동물실험은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하에 이루어졌다 (KU20075)
그 결과, 본 발명의 케피어 효모주 Kluyveromyces marxianus A5를 2주간 마우스에 경구투여 하였을 때, 체중의 감소 및 피모의 관능적 악화, 행동학적 이상, 섭식량 및 음수량의 변화 등은 나타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물실험에 사용한 효모주가 동물의 건강에 급성 독성 효과를 지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 3 및 4는 마우스에서 2주간 Kluyveromyces marxianus A5를 경구투여 한 뒤 분변을 받아 속(Genus), 종(Species) 수준에서 유산균의 수치를 측정 후 평균을 낸 결과이다. Kluyveromyces marxianus A5의 경구 투여는 마우스에서 유산균의 수치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바이오틱스 효모인 Saccharomyces boulardii MYA-796보다 마우스 장내 미생물균총의 유산균 수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수치의 증가는 효모가 장 내에 들어갔을 때, 효모에 의해 제공되는 효소, RNA와 free nucleotide, 비타민 B 복합체 또는 아미노산 등의 공급으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 일부 유산균은 소화기관 내에서 다른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몸을 지키고,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등의 이로운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찰할 때, 해당 효모주는 숙주의 신체에서 장내 미생물균총의 이로운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통해 잠재적 프로바이오틱스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598P 20191002

Claims (7)

  1. 기탁번호 KCCM 12598P로 수탁된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Kluyveromyces marxianus) A5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Lactobacillus animal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rogos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균주를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케피어(Kefir)에서 분리된 것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균총 중에서 유해균의 비율은 감소시키고 유익균의 비율은 증가시키는 것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1항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200173265A 2020-12-11 2020-12-11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58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65A KR102581017B1 (ko) 2020-12-11 2020-12-11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65A KR102581017B1 (ko) 2020-12-11 2020-12-11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30A KR20220083230A (ko) 2022-06-20
KR102581017B1 true KR102581017B1 (ko) 2023-09-20

Family

ID=8225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65A KR102581017B1 (ko) 2020-12-11 2020-12-11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0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64B1 (ko) * 2009-01-05 2012-01-20 박세준 항 유해균 기능을 가진 에스제이피미생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27B1 (ko) * 2017-03-13 2018-10-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피어 유래 효모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KR101932955B1 (ko) 2018-06-14 2018-12-27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장내 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269256B1 (ko) * 2019-11-04 2021-06-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케피어 유래 프로바이오틱 효모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64B1 (ko) * 2009-01-05 2012-01-20 박세준 항 유해균 기능을 가진 에스제이피미생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URRENT NUTRITION _ FOOD SCIENCE 제16권 제8호, 1163_1169쪽, 2020년 10월 01일.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제135권 제1호, 34_38쪽, 2009년 07월 24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30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3238B2 (ja) 迷走神経活性化剤
KR101124660B1 (ko) 과채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WO2019230183A1 (ja) 乳酸菌及びその用途
EP3135754B1 (en) Bifidobacterium longum cbt bg7 strain an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for promoting growth
KR20190055552A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135755B1 (en) Bifidobacterium breve cbt br3 strain for promoting growth an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for promoting growth
KR20120100608A (ko)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101
AU2017287989B2 (en) Composition for use in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e
EP3950928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101995328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WiKim010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23547056A (ja) α-グルコシターゼ阻害剤を生産する新規なバチルス・コアギュランスCC株
KR20210058729A (ko)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7785B1 (ko) 2-하이드록시아이소카프로익 에시드(2-hydroxyisocapro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락티스 WIKIM4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2331B1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005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3067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니말리스 swla-1 및 이의 용도
KR102581017B1 (ko) 클루이베로미세스 막시아누스 a5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균총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JP5950993B2 (ja) 迷走神経活性化剤
EP3479836B1 (en) Cartilage regeneration facilitating composition
KR20160143100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모리를 이용한 고상 배양물의 제조방법
CN108782752A (zh) 一种益生风味酸奶片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US20130004475A1 (en) Agent for increasing bifidobacteria and reducing the decrease of bifidobacteria in large intestine
KR102069622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WiKim010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40906A (ko) 질염 예방 및 치료용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81570B1 (ko)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