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27B1 -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27B1
KR102580727B1 KR1020210149062A KR20210149062A KR102580727B1 KR 102580727 B1 KR102580727 B1 KR 102580727B1 KR 1020210149062 A KR1020210149062 A KR 1020210149062A KR 20210149062 A KR20210149062 A KR 20210149062A KR 102580727 B1 KR102580727 B1 KR 10258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light
angle
inciden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062A (ko
Inventor
이규호
신광용
정준우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주) filed Critical 기산전자(주)
Priority to KR102021014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27B1/ko
Priority to CN202210454150.4A priority patent/CN116071865A/zh
Priority to US17/748,423 priority patent/US20230138938A1/en
Publication of KR2023006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05Testing spectral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8View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9Detecting attached objects, e.g. tapes or cl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6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or a combination of such arrays, e.g. an LED b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정사기에 관한 것으로, 지폐 정사기에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폐 면에 투사할 빛을 생성하여 지폐에 대하여 경사지게 투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투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게 하면서 상기 지폐가 걸림없이 이송되게 하는 글라스;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어 반사된 후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경사지게 형성된 위치에서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를 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BILL SOR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롤러 변위 검출 방식이나 초음파 이용 방식이 아닌 테이프나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Contrast, 명암비) 특성을 이용하여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폐 정사기는 지폐의 계수는 물론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혹은 폐기 대상인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유통지폐, 훼손지폐 등으로 분류)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지폐 정사기는 지폐 권종 인식(예를 들면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달러화, 위안화, 유로화, 엔화 등), 위/변조 지폐 감별뿐만 아니라, 지폐 계수나 지폐 정사(예를 들어 낙서, 오염, 찢어짐 등 훼손의 정도로 유통 가능 또는 불가능한 상태를 식별), 지폐 일련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각종 지폐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단지 지폐에만 한정하지 않고,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신분증 등의 지엽류도 처리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지폐 정사기는 은행, 단자회사, 환전소, 신용금고, 우체국과 같은 금융기관, 현금수송업체, 주유소, 유흥업소, 대중음식점, 호텔과 같은 야간업소, 백화점, 일반사무실, 슈퍼마켓, 면세점, 연쇄점, 편의점과 같이 유가증권, 수표 및 현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나 업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폐 정사기는 어느 한 지역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나 국가에 수출되어 설치 및 운용되고 있으며, 지폐 정사기를 현지에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다양한 지폐 유형(예: 어촌 지역의 경우 습도가 높은 상태의 지폐들, 농촌 지역의 경우 흙 등 특정 오염물로 오염된 지폐들, 특정 방향으로 지폐를 접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일부 변형된 지폐들 등)은 물론, 다양한 상태의 지폐(예 : 새지폐, 유통지폐, 낡은 지폐, 구겨진 지폐, 구멍난 지폐, 찢어진 지폐, 낙서된 지폐, 위조지폐, 변조지폐, 젖은 지폐, 오염 지폐, 탈색 지폐, 테이프 부착 지폐, 소손 지폐, 일상에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훼손된 지폐 등)를 처리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지폐 중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감별하는 방식에는 롤러 변위 검출 방식, 초음파투과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반사 방식, 열방사 검출 방식, 형광이미지 검출 방식, 및 편광이미지 검출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롤러 변위 검출 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나 두께의 변화 시점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고 롤러의 오염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고 고속 지폐 정사기에서는 지폐 손상으로 인해 부적합하며, 상기 초음파투과 방식은 가장자리의 테이프를 검출하기 어렵고, 구겨진 지폐나 내절 및 오염에 의해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금속성 위폐 방지 요소가 많이 포함된 지폐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에 부착된 테이프를 검출하기 어렵고, 구겨진 지폐나 내절 및 오염에 의한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반사 방식은 음속의 온도 의존성을 극복하기 힘들고 센서의 잔여 진동 특성을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열방사 검출 방식은 지폐에 열을 가한 다음 열이 식는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가성비를 만족할 수 있는 적당한 센서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형광이미지 검출 방식은 형광 반응이 없거나 미약한 테이프를 검출하기 힘들고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편광이미지 검출 방식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테이프는 검출하기 어렵고 기구적인 설계가 쉽지 않으며 다른 검출 방식에 대한 보조 수단 정도로만 활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테이프권(즉, 훼손되거나 찢어져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을 감별하는 방식은 이미 다양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여 테이프권을 신속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254호(2008.03.04. 등록, 지폐 판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존의 롤러 변위 검출 방식이나 초음파 이용 방식이 아닌 테이프나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Contrast, 명암비) 특성을 이용하여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폐 정사기는, 지폐 정사기에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폐 면에 투사할 빛을 생성하여 지폐에 대하여 경사지게 투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투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게 하면서 상기 지폐가 걸림없이 이송되게 하는 글라스;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어 반사된 후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경사지게 형성된 위치에서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를 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글라스의 두께를 지정된 특정 두께로 변경 또는 교체하거나,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켜 배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으로 인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영역을 테이프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광원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센서부가 형성되거나,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센서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광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은, 지폐 정사기에 지폐가 투입되면, 제어부가 지폐 면에 빛을 지폐에 대하여 경사지게 투사하도록 형성된 광원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에 반사되어 글라스를 투과한 빛이 경사 입사각으로 입사되게 형성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지폐 면에 나타나는 지폐의 표면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의 표면 영상을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지폐에 테이프가 부착된 위치와 모양 및 지폐의 상태 조건을 바꿔가며 딥러닝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 입사각은,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한 빛이 지폐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글라스를 투과하여 지폐 면에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센서부에 입사될 때, 상기 센서부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폐 면에 나타나는 지폐의 표면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경사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의 두께를 지정된 특정 두께로 변경 또는 교체하거나,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켜 배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으로 인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영역을 테이프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롤러 변위 검출 방식이나 초음파 이용 방식이 아닌 테이프나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Contrast, 명암비) 특성을 이용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를 식별함으로써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감별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간편하게 하여 설계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센서부를 제2 입사각으로 설정하는 이유와 그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테이프권을 취득한 영상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또는 간략히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 "~자", "~장치"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면에 부착된 테이프 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조사(또는 투사)된 빛의 반사와 굴절 등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테이프나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을 이용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를 식별하기 위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는, 지폐 정사기에 투입된 지폐가 구동수단(예 : 모터, 롤러 등)에 의해 이송될 때, 이송되는 상기 지폐의 상부와 하부(또는 제1면과 제2면, 또는 앞면과 뒷면 등으로도 칭할 수 있음) 면에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투사할 빛(광)을 각기 생성하는 광원부(121, 122), 상기 각 광원부(121, 122)에서 조사(투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지폐의 상부와 하부 면에 조사(투사)되게 하면서 상기 지폐가 걸림없이 이송되게 하는 글라스(131, 132), 상기 글라스(131, 132)를 투과하여 상기 지폐의 상부와 하부 면에 조사(투사)되어 반사된 빛을 상기 지폐의 상부와 하부의 지정된 각도(상기 광원부에 대응하여 지정된 각도)에서 각기 검출하는 센서부(141, 142), 및 상기 광원부(121, 122)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41, 142)를 통해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를 감별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141, 142)의 전면에는 로드 렌즈(Lod Lens)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131, 132)는 지정된 두께(예 : 1.1mm, 1.8mm 등)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141, 142)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또는 지폐 반사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131, 132)의 두께는 변경될 수 있다(도 3의 (b) ①Glass 교체 참조). 상기 글라스(131, 132)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투광성이 우수한 재질이면 어떤 것이든 채용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최적화되게 함유 물질이나 조성비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특징적으로 상기 센서부(141, 142)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또는 지폐 반사각)이 제1 입사각(즉, 센서부의 정면 중심으로 빛이 입사되는 각 = 이하, 정렬각으로 기재함)으로 입사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입사각(즉,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각 = 이하 비정렬각으로 기재함)으로 입사되게 형성되는 것에 유의한다.
예컨대 상기 지폐(또는 테이프)에 반사된 후 상기 글라스(131, 132)를 투과하여 상기 센서부(141, 142)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을 제2 입사각으로 설정(형성)하는 방법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특정 두께의 글라스(131, 132)로 교체(설치)하거나(도 3의 (b) ①Glass 교체 참조), 상기 센서부(141, 142)의 위치를 지정된 특정 거리(즉, 상기 제2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도 3의 (b) ②이동 참조).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또는 테이프)에 반사된 후 상기 글라스(131, 132)를 투과하여 상기 센서부(141, 142)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을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으로 설정(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센서부(141, 142)가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으로 설정(형성)된 상태에서 테이프권 지폐를 센싱할 경우,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으로 인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예 : 지폐 영역은 어둡고, 테이프 영역은 밝게) 센싱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141, 142)는 CIS(Contact Image Senso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부(121, 122)는 PCB 기판 상에, 복수의 조명소자(예 : LED)가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121, 122)의 조명소자(예 : LED)는 감별 성능을 고려하여, 가시광과 자외선과 적외선 파장대의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의 광(예 : RED, GREEN, BLUE, YELLOW, WHITE, UV, IR 등)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광원부(121, 122)에서 생성된 빛의 조사(투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조사각 변경 부재(미도시)가 상기 광원부(121, 122)의 전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에는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광원부(121, 122)가 형성되고 후방에 센서부(141, 142)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센서부(141, 142)가 형성되고 후방에 광원부(121, 1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광원부(121, 122)나 센서부(141, 142)의 전후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광원부(121, 122)에서 조사(투사)된 빛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141, 142)가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 =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각)으로 설정(형성)되어야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는 광원부(121, 122)와 센서부(141, 142)의 형태와 동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이며, 지폐 정사기의 디자인이나 모델에 따라 그 형태는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센서부를 제2 입사각으로 설정하는 이유와 그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22)에서 글라스(132) 위를 수평으로 이송되는 지폐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또는 지정된 조사각)로 경사지게 빛을 조사할 경우, 상기 조사된 빛은 상기 글라스(132)를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상기 지폐(또는 테이프)에 조사된 후, 다시 상기 지폐(또는 테이프)에 반사된 빛이 상기 글라스(132)를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센서부(142)에 입사된다.
이 때 상기 센서부(142)가 상기 지폐(또는 테이프)에 반사된 빛을, 상기 센서부(142) 정면의 중심으로 입사되게 설정(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센서부(142)는 제1 입사각으로 설정(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142)가 제1 입사각(또는 정렬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즉,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식(예 : 지정된 특정 두께의 글라스로 교체하는 방식(도 3의 (b), ① 참조),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지정된 특정 거리(즉, 상기 제2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방식(도 3의 (b), ② 참조))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으로, 상기 센서부(142)를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 =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각)으로 설정(형성)함으로써,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또는 원리)는, 지폐와 테이프의 빛의 반사 특성이 다름에 따라 지폐 영역과 테이프 영역에서 명암대조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테이프권에 빛(광)을 조사할 경우, 지폐 표면에서는 난반사가 발생하고, 테이프 면에서는 전반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은 지폐의 표면은 문양 등이 인쇄되어 있어 표면이 고르지 않고 울퉁불퉁하므로 측면에서 경사지게 투사되는 빛이 난반사가 일어나고,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으나, 테이프가 부착된 영역(즉, 테이프 표면)은 지폐 표면보다 표면이 더 고르고 매끄러우므로 전반사가 일어난다.
이 때 상기 광원부(121, 122)는 상기 글라스(131, 132)로부터 지정된 거리(예 : 5 ~ 9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명암대조비 차이에 의한 본 실시예의 효과(즉,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테이프권을 취득한 영상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실험한 결과, 빛의 파장대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 광원에 대해서 거의 동일한 정도의 명암대조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전반사가 발생하는 유광 테이프와 난반사가 일어나는 무광 테이프도 지폐 영역과 다른 밝기의 차이가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실험에 따르면 형광 테이프의 경우 UV광을 조사할 경우 더욱 뚜렷한 차이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42)를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 =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지정된 각도로 비껴서 입사되는 각)으로 설정(형성)함으로써,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상술한 명암대조비 차이에 의한 효과(즉,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를 바탕으로 지폐에서 테이프를 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지폐가 투입되면(S101), 입사 조명(예 : 광투사부의 형태에 따라 지폐 면에 빛을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투사하는 조명)을 구동한다(S102).
여기서 측면 입사 조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상기 지폐의 상부와 하부 면에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투사할 빛(광)을 각기 생성하는 광원부(121, 122)를 의미하며, 상기 광원부(121, 122)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 광원부(121, 122)에서 생성한 빛은 지정된 각도로 글라스(131, 132)를 투과하여 지폐(또는 테이프)에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글라스(131, 132)를 투과하여 제2 입사각(또는 비정렬각)으로 센서부(141, 142)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지폐의 상부와 하부에 지정된 각도로 형성된 센서부(141, 142)(즉, 지폐에 반사되어 글라스를 투과한 빛이 제2 입사각으로 입사되게 형성된 센서부)를 통해 지폐 이미지(즉, 지폐 표면 영상)를 취득한다(S103).
또한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취득한 지폐 이미지(즉, 지폐 표면 영상)를 처리할 경우,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효과(즉,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마치 빛이 입사된 도광판처럼,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는 효과)에 의해 명암대조비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검출하여(S104)(예 : 테이프 영역을 밝게 검출되고, 지폐 영역은 어둡게 검출됨),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영역을 검출(감별)한다(S105).
이 때 상기 테이프 영역의 검출(감별)은 다수의 정상권 템플릿(Template) 기반으로 검출할 수 있으나, 지폐에 테이프가 부착된 위치와 모양 및 지폐의 상태 조건을 다양하게 바꿔가며 딥러닝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된 딥러닝 모델 기반으로 테이프 영역을 검출할 경우, 더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기존에 롤러 변위량을 검출하여 테이프권(즉,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을 검출하는 방식의 경우에 기구적인 특성 상 모터(예 : 투입 모터, 이송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문제점(예 : 고속 처리시 지폐의 손상 발생)을 개선하여, 빛을 지폐 면에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투사되게 하여 테이프권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신속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감별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성을 간편하게 하여 설계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121, 122 : 광원부
131, 132 : 글라스
141, 142 : 센서부
150 : 제어부

Claims (9)

  1. 지폐 정사기에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폐 면에 투사할 빛을 생성하여 상기 지폐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투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투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게 하면서 상기 지폐가 걸림없이 이송되게 하는 글라스;
    상기 광원부에서 투사된 후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지폐 면에 투사되어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상기 광원부에 대응해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위치에서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지폐의 표면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면 영상을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를 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각도는 상기 지폐 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글라스를 투과한 상기 빛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에 입사하도록 하는 각도를 의미하며,
    상기 광원부는 가시광과 자외선과 적외선 파장대의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의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비껴서 입사되는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비껴서 입사되는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글라스의 두께를 지정된 특정 두께로 변경하거나 상기 글라스를 지정된 특정 두께를 갖는 글라스로 교체하거나,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켜 배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으로 인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며, 상기 제어부는 더 밝은 영역을 테이프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광원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센서부가 형성되거나,
    지폐 투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센서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광원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는 생성된 빛의 조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조사각 변경 부재를 전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
  6. 지폐 정사기에 지폐가 투입되면, 제어부가 지폐 면에 대하여 빛을 경사지게 투사하도록 형성된 광원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 면으로부터 반사되어 글라스를 투과한 빛이 상기 광원부에 대응해 지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되게 형성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지폐 면에 나타나는 지폐의 표면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의 표면 영상을 처리하여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각도는,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한 빛이 상기 지폐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지폐 면으로부터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글라스를 투과하여 상기 센서부에 입사될 때, 상기 센서부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으로 입사되는 각도를 의미하며,
    상기 광원부는 가시광과 자외선과 적외선 파장대의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장대의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면에 나타나는 지폐의 표면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의 정면 중심에서 비껴서 입사되는 경사 입사각으로 입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글라스의 두께를 지정된 특정 두께로 변경하거나 상기 글라스를 지정된 특정 두께를 갖는 글라스로 교체하거나,
    상기 센서부의 위치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시켜 배치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지폐에서 반사되는 빛의 명암대조비 특성으로 인해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 면 전체가 지폐 영역보다 더 밝게 센싱되며,
    상기 제어부는 더 밝은 영역을 테이프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지폐에 테이프가 부착된 위치와 모양 및 지폐의 상태 조건을 바꿔가며 딥러닝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제어방법.
KR1020210149062A 2021-11-02 2021-11-02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KR10258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2A KR102580727B1 (ko) 2021-11-02 2021-11-02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CN202210454150.4A CN116071865A (zh) 2021-11-02 2022-04-27 纸币清分机及其控制方法
US17/748,423 US20230138938A1 (en) 2021-11-02 2022-05-19 Banknote sor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2A KR102580727B1 (ko) 2021-11-02 2021-11-02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62A KR20230064062A (ko) 2023-05-10
KR102580727B1 true KR102580727B1 (ko) 2023-09-22

Family

ID=8614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2A KR102580727B1 (ko) 2021-11-02 2021-11-02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8938A1 (ko)
KR (1) KR102580727B1 (ko)
CN (1) CN1160718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504A (ja) 2007-12-25 2009-07-16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2020106891A (ja) * 2018-12-26 2020-07-0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紙片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14196A (zh) * 2011-09-26 2013-04-01 Sicpa Holding Sa 光學可變實體驗證裝置及方法
JP6467664B2 (ja) * 2014-10-14 2019-02-13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THz帯を用いた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504A (ja) 2007-12-25 2009-07-16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2020106891A (ja) * 2018-12-26 2020-07-0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紙片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71865A (zh) 2023-05-05
KR20230064062A (ko) 2023-05-10
US20230138938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268B1 (en) Optical imaging sensor for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US8306319B2 (en) Card identifying apparatus
JP4703403B2 (ja) 検査装置
JP2015141442A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KR20050018958A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JP586026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WO2016141801A1 (zh) 图像传感器和纸币处理装置
KR102580727B1 (ko)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JPH08180189A (ja) 紙葉類の真贋判定方法及び装置
US20030043365A1 (en) Optical media detection system
KR102379218B1 (ko)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US7015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media
JP2013077163A (ja) 光学読取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016883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 권종 및 진위판별방법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KR20240008985A (ko)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JP2003296801A (ja) 紙幣計数装置
JP2005352854A (ja) 図形の真偽識別装置
KR102490655B1 (ko)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KR20240017429A (ko) 이미지 처리 기반의 테이프권 판별 지폐 정사기
UA73732C2 (en)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nominal value, and wear and tear of bank notes; device for sorting and counting bank notes
JP3878594B2 (ja) 図形の真偽識別システム
CN108877029B (zh) 媒介校验处理
KR20020083122A (ko) 지폐의 진위 식별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