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31B1 - Cross joint system - Google Patents

Cross joi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31B1
KR102580531B1 KR1020210112060A KR20210112060A KR102580531B1 KR 102580531 B1 KR102580531 B1 KR 102580531B1 KR 1020210112060 A KR1020210112060 A KR 1020210112060A KR 20210112060 A KR20210112060 A KR 20210112060A KR 102580531 B1 KR102580531 B1 KR 10258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ross
cross joint
disconnected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0162A (en
Inventor
정장영
송정섭
정한욱
김창욱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31B1/en
Publication of KR2023003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oss joint systems.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that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guide the transport of the tracked vehic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an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oss joi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rail, wherein the cross joint means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 cross joint for connecting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A space bar is provided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second rail and fills the space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second rail, and is installed to sequentially penetrate the cross joint, the space bar, and the first rail or second ra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ross joint and a coupling member that couples the space bar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nable the tracked vehicle to travel, while the impact or noise during the passage of the tracked vehicle can be reduced.

Description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Cross joint system}Cross joint system {Cross joint system}

본 발명은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joi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connect first rails and second rails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to enable running of a tracked vehicle while reducing shock or noise during the passage of the tracked vehicle. It is about the cross joint system that made this possible.

일반적으로 물류의 이송을 위해서는 궤도 차량이 이용된다.Generally, tracked vehicles are used to transport logistics.

상기 궤도 차량은, 사람의 탑승 또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몸체와, 몸체의 저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몸체가 궤도의 상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track vehicle is comprised of a body for boarding people or loading cargo,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enable the body to be transported at the top of the track.

이러한, 궤도 차량의 이송을 위하여 지면에는 궤도 차량의 이송을 위한 궤도(railroad)가 구비된다.In order to transport these orbital vehicles, a railroad is provided on the ground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orbital vehicles.

이와 같은, 궤도는 궤도 차량의 2차원 이송을 위해 교차 지점이 발생되게 된다.In this way, intersection points are created in the track for two-dimensional transport of the tracked vehicle.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9762호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1레일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2레일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는 블록 본체와, 블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1레일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1레일연결부와, 제1레일연결부와 교차되며 양단부가 제2레일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레일연결부와, 제1레일연결부와 제2레일연결부가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된 교차연결부와, 제2레일연결부를 따라 이송대차의 휠이 지나가도록 제1레일연결부와 교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1홈과, 제1레일연결부를 따라 이송대차의 휠이 지나가도록 제2레일연결부와 교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2홈이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차 레일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교차 지점을 통과하는 궤도의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하고자 한다.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No. 10-1719762, there is a block body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rail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block body is formed, and both ends have first rails. A first rail connection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rail, a second rail connection is arranged to intersect the first rail connection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and an intersection is formed where the first rail connection and the second rail connection intersect. A first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rail connection and the intersection so that the wheels of the transfer truck can pass along the cross connection and the second rail connection, and a second groove so that the wheels of the transfer truck can pass along the first rail connection. It is intended to prevent shock or noise from the track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oint by providing a cross rail block including a groove portion in which a secon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rail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tersection por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차 레일 블럭의 충격 또는 소음 방지 효과는 미미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impact or noise prevention effect of the cross rail block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d a disadvantage in that it was insignificant.

또한, 기존의 레일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Additionally, it had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easy to connect to existing rails.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9762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1976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연결하여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궤도 차량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enable the tracked vehicle to run by connecting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while allowing the tracked vehicle to run. It provides a cross joint system that reduces shock or noise during the passage 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first rails and second rails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guide the transport of the tracked vehic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oss joint means connecting the dis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wherein the cross joint means is provided in plural and connects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A connecting cross joint, a space bar provided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the cross joint, the space bar,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It is installed sequentially through the rail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ross joint, a space bar, and a coupling member that connects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상기 크로스 조인트는,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 joint includes a body that fills a portion of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or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that exten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to one side.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to one side and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that are not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wo coupling parts and a support part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another side of the body to one side and supports a part of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prevent the wheels installed on the rail vehicle from becoming caught dur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rail vehicle from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to the cross joint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wo cross joints among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constituting the cross joint means contact each other, the outer width of the two first coupling parts or the two second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two cross joints is the width of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지지부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wo cross joints of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forming the cross joint means contact each other, the width of the two supports formed in the two cross joints i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unning groove formed in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 the height of the support formed in the cross join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pth of the running groove formed in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에 형성된 돌출부가 몸체의 상면을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 is that the shock or noise generated during the tracked vehicle passing through the cross joint means can be reduced by allowing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wheels to trav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hile the tracked vehicle passes through the cross joint means. There is.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를 통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교차된 지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용성과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게 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versatility and coupling strength by allowing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to be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cross joints and a space ba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수단의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ross join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ross join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joint mean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heel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로스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수단의 적용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to 6 show an embodiment of a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ure 1 show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ross join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ross join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is shown, and 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joint mean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 that constitutes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과, 상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100)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200)와,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ail 10 and a first rail 10 that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guide the transport of the tracked vehic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2 It is composed of a rail 20 and a cross joint means 40 connecting the dis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and the cross joint means 4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 cross joint 100 that is provided and connects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10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20, and the cross joint 1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2 A space bar 200 provided between the rails 20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cross joint 1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and the cross joint 100 and the space bar 200 )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are sequentially installed and connect the cross joint 100, the space bar 2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member 300 and the like.

먼저, 상기 궤도 차량은 화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대차 또는 사람의 탑승 혹은 화물의 적재 등의 이송을 위한 기차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First, the track vehicle refers to a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cargo or a train for transporting people or loading cargo.

이러한, 궤도 차량은 사람의 탑승 또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차량 몸체와, 차량 몸체의 저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차량 몸체가 궤도의 상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휠(30)이 구비된다.Such a track vehicle is equipped with a vehicle body for boarding people or loading cargo, and a plurality of wheels 30 that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and allow the vehicle body to be transported at the top of the track.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30)의 외륜 양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both ends of the outer ring of the wheel 30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물론, 휠(30)의 양 끝단이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양 끝단 중 어느 한 끝단만이 돌출되는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는 궤도 차량의 운행 도중 궤도 차량이 어느 한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rather than both ends of the wheel 30 protruding, only one of the two ends may protrude. However, in this case, if the tracked vehicle is biased to one side during operation of the tracked vehicle, the tracked vehicle Separation from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may occur.

여기서, 휠(30)의 양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돌출부(32)라 하고, 돌출부(32)가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홈 형태를 이루는 것을 주행홈(31)이라 칭하도록 한다.Here, what protrudes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wheel 30 is called a protrusion 32, and what forms a relative groove as the protrusion 32 is formed is called a running groove 31.

또한, 상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은 궤도 차량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며, 제1 레일(10) 및 제2 레일(20)의 끝단(특히, 단절 부위의 측면)에는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홀(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are parts that guide the tracked vehicle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the ends of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In particular, at least one rail hole 15 is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disconnec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300 can be installed.

상기 크로스 조인트(100)는, 상기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111)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12)와, 상기 몸체(110)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ross joint 10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to one side and a body 110 that fills a part of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and consists of two disconnected parts. A first coupling portion 111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first rails 10 o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to one side, and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111 A second coupling portion 112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10 that are not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1 o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20, and the body 110. It is formed to extend from another side to one side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113 that supports a portion of the wheel 30 installed on the track vehicle.

상기 몸체(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로스 조인트(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The body 110 has a hexahedral shap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ross joint 100.

이러한, 몸체(110)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된 지점에서 형성되는 단절 부위의 일부를 채우는 것으로, 네 개의 몸체(110)가 상호 접함으로써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된 지점에서 형성되는 단절 부위의 전체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The body 110 fills a portion of the disconnection formed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and the four bodies 110 contact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rail 10 ) and the second rail 20 are configured to fill the entire disconnection area formed at the intersection point.

이와 같은, 몸체(110)의 우측면(도 3에서)에는 제1 결합부(111)가 형성된다.In this wa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110 (in FIG. 3).

상기 제1 결합부(111)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우측면 중에서도 상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to the right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110.

즉, 몸체(110)의 우측면(도 3에서) 중에서도 하측(도 3에서)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an empty spac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n FIG. 3) of the right side (in FIG. 3) of the body 110.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1 레일(10)이 위치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The first rail 10 is located in this empty space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즉, 빈 공간은 인접하게 설치되는 다른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의 사이에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되는 공간인 것이다.That is, the empty space is a space where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nstalled adjacently.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1)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연장 형성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extends away from the ground.

이처럼, 제1 결합부(11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레일(10)의 하단부(도 4에서)와의 간섭은 최소화되게 된다.In this way,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terfer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rail 10 (in FIG. 4) is minimized.

이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상단부(도 5에서)보다 하단부(도 5에서)의 폭이 더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일반적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more common for the lower end (in FIG. 5) of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upper end (in FIG. 5).

또한, 제1 결합부(111)의 측면(도 3에서 상하)에는 결합부 홀(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hole 115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upper and lower in FIG. 3)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상기 결합부 홀(115)은, 제1 결합부(111)의 측면(도 3에서 상하 방향)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결합부(111) 및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coupling hole 115 is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allows the coupling member 300 to be install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space bar 2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o be coupled.

한편, 몸체(110)의 상측면(도 3에서)에는 제2 결합부(112)가 형성된다.Meanwhile, a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in FIG. 3).

상기 제2 결합부(11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측면 중에서도 우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즉, 몸체(110)의 상측면(도 3에서) 중에서도 좌측(도 3에서)에는 빈공간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an empty space is formed on the left side (in FIG. 3) of the upper side (in FIG. 3) of the body 110.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The second rail 20 is located in this empty space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lik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이처럼, 제2 결합부(1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레일(20)의 하단부와의 간섭은 최소화되게 된다.In this way, a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terfer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ail 20 is minimized.

또한, 제2 결합부(112)의 측면(도 3에서 좌우)에는 결합부 홀(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hole 115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left and right in FIG. 3)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즉,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몸체(110)로부터 형성된 위치만 다른 부위이다.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is different only from the position formed from the body 110.

이와 같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몸체(110)에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호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are preferably formed at adjacent positions in the body 110 and are formed orthogonal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And, when two cross joints 100 among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100 forming the cross joint means 40 contact each other, two first coupling portions 111 formed on the two cross joints 100 or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outer width of the two second coupling portions 112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wheel 30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이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 지점에서 몸체(110)의 상면과 휠(30)의 돌출부(32)가 접함으로써 일시적인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emporary running of the track vehicle b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with the protrusion 32 of the wheel 30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

또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내측 폭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wo cross joints 100 among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100 forming the cross joint means 40 contact each other, two first coupling portions 111 formed on the two cross joints 100 or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inner width of the two second coupling portions 112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이는,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111)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112)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wo first coupling parts 111 or the two second coupling parts 112 formed in the two cross joints 100. This is to ensure that it can be done.

더불어, 상기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30)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11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s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track vehicle from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o the cross joint means 40. An inclined portion 114 is formed to prevent the wheel 30 installed on the track vehicle from getting caught.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111)의 상면에는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휠(30)이 크로스 조인트(100) 측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부(114)가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is form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toward the right end to prevent jamming while the wheel 30 enters the cross joint 100. An inclined portion 114 is formed.

여기서, 경사부(114)의 경사 각도는 2° 내지 3°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며, 걸림의 방지를 위한 것이므로 큰 각도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Here, for examp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114 is 2° to 3°, and since it is for preventing jamming, it does not need to be at a large angle.

한편, 몸체(110)의 상면(도 4에서)에는 지지부(113)가 형성된다.Meanwhile, a support portion 1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in FIG. 4).

상기 지지부(113)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 중에서도 좌측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113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 4,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 3. .

이러한, 지지부(113)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휠(30)의 주행홈(31)을 순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This support portion 113 is made of a hexahedral shape and is a portion for momentarily supporting the running groove 31 of the wheel 30.

물론, 지지부(113)에 의하여 휠(30)의 이탈 역시 방지되게 된다.Of course, the support portion 113 also prevents the wheel 30 from being separated.

이와 같은, 지지부(113)에도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에 형성된 경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Likewise, the support portion 113 may further have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113)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100)에 형성된 지지부(113)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two cross joints 100 among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100 forming the cross joint means 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idth of the two support portions 113 formed on the two cross joints 100 is It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unning groove 31 formed on the wheel 30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13 formed on the cross joint 10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running groove formed on the wheel 30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pth of (31).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상호 접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지지부(113)가 이루는 상하 또는 좌우 폭이 주행홈(31)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our cross joints 100 are installed to contact each other, the vertical or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our support portions 113 formed in each of the four cross joints 100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running groove 31. It is desirable that it be formed so that

이를 통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궤도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지지부(113)에 의한 간섭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Through this, interference by the support portion 113 does not occur when the track vehicle travels in either direction of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크로스 조인트(100)에 의하여 단절된 두 제1 레일(10)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20) 중 어느 하나는 상호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By the cross joint 100 configured in this way,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10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서로 교차되는 제1 레일(10)과 제2 레일(20)의 교차 연결을 위해 네 개의 크로스 조인트(100)가 이용됨을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four cross joints 100 are used to cross-connect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that cross each other.

상기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크로스 조인트(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몸체(110)에서 제1 결합부(111) 및 제2 결합부(112)와 지지부(113)의 형성된 위치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1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결합 위치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ach configuration of the cross joint 10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in the body 1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and the support portion ( The formed position of 113)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1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즉, 결합 위치에 따라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상기에서 설명한 예와는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나,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12)는 서로 같은 역할을 하는 부위이므로 문제될 것은 없다.That is,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rom the example described above, bu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Since both parts play the same role, there is no problem.

한편, 제1 결합부(111)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사이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사이에는 스페이스바(20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or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A space bar 200 is provided.

상기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단면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잘록하게 'I'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has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an 'I', narrowed inward from both sides as shown in FIG. 5.

상기 스페이스바(200)는,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서 양 측면(도 5에서)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잘록한 홈을 채우기 위한 부위이다.The space bar 200 is a portion for filling a narrow groove in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from both sides (in FIG. 5) inward.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페이스바(2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도 5에서 우측에 위치한 스페이스바를 기준으로)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 형성된 잘록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우측면이 지면과 수직하는 면을 갖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space bar 200 has a concave shape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space bar located on the right in FIG. 5) formed on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t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is made in the shape of a block with the right side being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즉, 스페이스바(200)는 크로스 조인트(100)의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 사이의 틈새를 채우기 위한 구성이다.That is, the space bar 200 is design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of the cross joint 100 can be closely coupled to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t is configur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또한, 스페이스바(200)의 측면(도 5에서 좌우)에는 스페이스바 홀(210)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 space bar hole 210 is formed through the side (left and right in FIG. 5) of the space bar 200.

상기 스페이스바 홀(210)은, 스페이스바(200)의 측면(도 5에서 좌우)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부재(300)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결합부(111) 및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pace bar hole 210 is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left and right in FIG. 5) of the space bar 200, and allows the coupling member 300 to be install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the space bar.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2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o be combined.

이와 같은, 스페이스바(200)를 통해 크로스 조인트(100)의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of the cross joint 1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are firmly coupled through the space bar 200. It will come true.

여기서, 스페이스바(200)는 서로 다른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의 연결을 위해 시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페이스바(200)를 이용함에 따라 종래의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도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space bar 200 is widely used in the market for connecting different first rails 10 or second rails 20. By using this space bar 200, the conventional first rail ( 1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econd rail 20.

한편,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300)가 구비된다.Meanwhile, a coupling member 300 is provided to couple the cross joint 100, the space bar 2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상기 결합 부재(300)는, 크로스 조인트(100)와 스페이스바(200)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The coupling member 300 is a portion for fixing the cross joint 100, the space bar 200, and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이러한, 결합 부재(300)는 제1 결합부(111) 또는 제2 결합부(112)에 형성된 결합부 홀(115)과, 스페이스바(200)에 형성된 스페이스바 홀(210)과,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에 형성된 레일 홀(1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is coupling member 300 includes a coupling hole 115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1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 space bar hole 210 formed in the space bar 200, and a first coupling member 300. It is installed by sequentially penetrating the rail holes 15 formed in the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hereby enabling a firm connection between the rails 10 and 20.

한편,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통해 궤도 차량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에 발생되는 휨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중 또는 충격을 지면으로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Meanwhile, a base plate 400 is provided to prevent bending occurring in the cross joint means 40 while the tracked vehicle is moved through the cross joint means 40 and to evenly distribute the load or impact to the groun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지면에 설치되면서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base plate 4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located below the cross joint means 40, and has a flat plate shape.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이 복수개의 고정홀(410)과 앵커 볼트(anchor bolt)를 통해 지면과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plate 400 has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10 formed through it, and can be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410 and anchor bolts. There will be.

즉,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일종의 침목에 해당하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base plate 40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type of sleeper.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ross joi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궤도 차량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해 주행이 이루어진다.First, the tracked vehicle travels through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이 때,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한 주행은,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ck vehicle travels on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hrough the running groove 31 formed on the wheel 30.

이처럼, 궤도 차량이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통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교차 블럭에 해당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40)과 접하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tracked vehicle travels through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ross joint means 40 corresponding to the cross block.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40)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하게 될 경우,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가 몸체(110)의 상면과 접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a tracked vehicle enters the cross joint means 40, the protrusion 32 formed on the wheel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ravels.

즉, 순간적으로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은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과는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That is, the running groove 31 formed on the wheel 30 is momentarily in a state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이처럼,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가 몸체(110)의 상면과 접하여 주행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지지부(113)를 통과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protrusion 32 formed on the wheel 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ravels, it passes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13.

이 때, 지지부(113)에 의하여 휠(30)에 형성된 돌출부(32)의 하중은 분산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휠(30)의 이탈 역시 방지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ad of the protrusion 32 formed on the wheel 30 by the support portion 113 can be distributed, and at the same time, the wheel 30 is also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와 같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40)을 통과한 궤도 차량은 다시 제1 레일(10) 또는 제2 레일(20)을 휠(30)에 형성된 주행홈(31)을 통해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tracked vehicle that has passed the cross joint means 40 runs again on the first rail 10 or the second rail 20 through the running groove 31 formed in the wheel 30.

즉, 본 발명에서는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휠에 형성된 돌출부가 몸체의 상면을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궤도 차량이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or noise generated during the tracked vehicle passing through the cross joint means can be reduced by allowing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wheels to trav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hile the tracked vehicle passes through the cross joint means. It has been done.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를 통해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교차된 지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용성과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게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versatility and coupling strength by allowing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to be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cross joints and a space bar.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0. 제1 레일 15. 레일 홀
20. 제2 레일 30. 휠
31. 주행홈 32. 돌출부
40. 크로스 조인트 수단 100. 크로스 조인트
110. 몸체 111. 제1 결합부
112. 제2 결합부 113. 지지부
114. 경사부 115. 결합부 홀
200. 스페이스바 210. 스페이스바 홀
300. 결합 부재 400. 베이스 플레이트
410. 고정홀
10. First rail 15. Rail hole
20. Second rail 30. Wheel
31. Running groove 32. Protrusion
40. Cross joint means 100. Cross joint
110. Body 111. First coupling part
112. Second coupling part 113. Support part
114. Inclined part 115. Joint hole
200. Space bar 210. Space bar hole
300. Coupling member 400. Base plate
410. Fixing hole

Claims (5)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면서 교차 지점이 상호 단절되게 이루어지며, 궤도 차량의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단절된 부위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와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크로스 조인트;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스바;
상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크로스 조인트와 스페이스바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조인트는,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의 단절 부위 일부를 채우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지 않은 단절된 두 제1 레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단절된 두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외측단에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로부터 크로스 조인트 수단 측으로 궤도 차량이 진입되는 과정에서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First rails and second rails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 points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guide the transport of the tracked vehic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oss joint means connecting the dis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The cross joint means,
A cross joint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connects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and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a space bar provided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second rail,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cross joint and the first rail or second rail;
A coupling member is installed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cross joint, the space bar,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nd couples the cross joint, the space bar, and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The cross joint is,
a body that fills a portion of the disconnected area betwee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 first coupl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one side and is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o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a second coupl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to one side and is coupled to eithe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first rails that are not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one of the two disconnected second rails;
A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another side of the body to one side and supports a portion of a wheel installed on a tracked vehicle,
An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prevent the wheel installed on the rail vehicle from becoming caught during the process of entering the rail vehicle from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to the cross joint means; A cross joi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결합부 또는 두 개의 제2 결합부가 이루는 외측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되는 휠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wo cross joints among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constituting the cross joint means contact each other, the outer width of the two first coupling parts or the two second coupling parts formed in the two cross joints is the width of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A cross joint system characterized by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조인트 수단을 이루는 복수개의 크로스 조인트 중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가 상호 접할 경우 두 개의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가 이루는 폭이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며, 크로스 조인트에 형성된 지지부의 높이는 궤도 차량에 설치된 휠에 형성된 주행홈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조인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wo cross joints of the plurality of cross joints forming the cross joint means contact each other, the width of the two supports formed in the two cross joints i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unning groove formed in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 A cross joi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cross join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epth of the running groove formed in the wheel installed on the tracked vehicle.
KR1020210112060A 2021-08-25 2021-08-25 Cross joint system KR102580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en) 2021-08-25 2021-08-25 Cross joi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en) 2021-08-25 2021-08-25 Cross jo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162A KR20230030162A (en) 2023-03-06
KR102580531B1 true KR102580531B1 (en) 2023-09-20

Family

ID=855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060A KR102580531B1 (en) 2021-08-25 2021-08-25 Cross joi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3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001U (en) * 1989-11-08 1991-07-09
KR20120088115A (en) * 2011-01-31 2012-08-0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Reinforcement of Insulated Joint coupling device for railroad rail
KR101719762B1 (en) 2015-12-31 2017-03-24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Cross-rai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162A (en)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6413A (en) Low level freight car for carrying trailers
US4758128A (en) Disabled car carrier vehicle
US4524699A (en) Low level freight car for carrying trailers
CA2582922C (en) Multiple track railroad system
US5788437A (en) Cargo tie down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3240167A (en) Railway carrier for automotive vehicles
CN107914719B (en) A kind of chassis of hunchback transport vehicle
US5690033A (en) Deformable gangway between two loading platforms carried by successive chassis, notably pertaining to railrods
US5988073A (en) Railway waggon
JP2022542911A (en) driverless transportation system
KR102580531B1 (en) Cross joint system
CN103661443A (en) Special vehicle body for railway transportation of cars
CN1018357B (en) Freight container
US6994299B2 (en) Railroad cross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rail connection and improved flangeway floor geometry and method incorporating the same
US3081716A (en) Railway car
US2971478A (en) Railway vehicle
US3147714A (en) Elevated track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a coach for movement therealong
CN102381328B (en) Vehicle wheel pair carrying reinforcing transportation device and carrying method
US4640528A (en) Torsion-absorbing highway semitrailer
CN203713877U (en) Special car for railway transportation of cars
CN1321849C (en) Rail vehicle for transporting large dimension freight
CN113954898B (en) Container bearing device and container vehicle capable of loading wheeled equipment
CN113602307A (en) Steel plate and steel beam transportation frame and use method
US10421501B2 (en) Loading platform for wheeled vehicles
KR101719762B1 (en) Cross-rai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