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019B1 - 상자 - Google Patents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019B1
KR102580019B1 KR1020220187544A KR20220187544A KR102580019B1 KR 102580019 B1 KR102580019 B1 KR 102580019B1 KR 1020220187544 A KR1020220187544 A KR 1020220187544A KR 20220187544 A KR20220187544 A KR 20220187544A KR 102580019 B1 KR102580019 B1 KR 10258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foldable
side plat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훈
허세윤
Original Assignee
허성훈
허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훈, 허세윤 filed Critical 허성훈
Priority to KR102022018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자의 상면에 수납물의 명칭,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디자인을 위한 그림 등의 인쇄내용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할 수 있으며,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등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함에 따라 홍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다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 및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인쇄내용을 인쇄하도록 마련되는 인쇄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자{BOX}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자의 상면에 수납물의 명칭,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디자인을 위한 그림 등의 인쇄내용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할 수 있으며,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등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함에 따라 홍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과일, 채소, 야채 등의 청과물이나 수산물, 건어물, 축산물, 육류, 생필품, 공산품 등 (이하 '포장물'이라 함)을 내부에 수납시켜 보관 또는 운송이 편리하도록 상자형태로 포장하는 것으로서,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면서 포장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종이 골판지를 접어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최근 각종 전염병의 발생으로 인하여 배달 및 택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포장 상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상자모양으로 성형을 완료한 후 보관할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통상 포장상자를 두겹이 되도록 평평한 모양으로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시 접혀있던 부분들을 모두 펴서 바닥면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교차시켜 조립하거나 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접이식 포장상자는 매 사용시마다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일일이 접어서 조립하거나 테이프를 붙여야 하므로 내용물을 수납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접이식 포장상자의 이용시 조립시간을 단축한 포장상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접이식 포장상자의 일 예로, 하나의 바닥면 및 바닥면의 각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포장상자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측면은 4개의 절첩선으로 서로 구분되는 제 1 내지 제 4 측면과 1개의 측면 접착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면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바닥 절첩선으로 측면과 구분된 제 1 내지 제 4 바닥면 형성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바닥 면 형성부 중 제 2 및 제 4 바닥면 형성부의 제 1 및 제 3 바닥면 형성부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바닥 접착부와, 제 2 및 제 4바닥면 형성부의 바닥 접착부 부근에 바닥 절첩선 과 45°각도로 형성된 접힘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2 및 제 4 바닥면 형성부는 바닥면 중 심에서 교차하면서 일부는 중첩되도록 바닥면의 중심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바닥 절첩선에서 중심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측면 접착부와 바닥 접착부에는 재단 후 접착제가 도포되어 조립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 접이식 포장상자는 바닥 절첩선을 접어 측면이 바닥면과 직각이 되도록 한 후, 제 1측면 형성부와 제 4 측면 형성부를 측면 절첩선을 따라 직각으로 접고, 바닥 접착부로 제 1/2 바닥면 형성부 및 제 3/4 바 닥면 형성부(를 접착한다.
이후 제 2 측면 형성부와 제 3 측면 형성부를 구분하는 측면 절첩선을 직각으로 접고 측면 접착부를 제 1측면 형성부와 접착하는데, 이 과정에서 제 2 및 제 4 바닥면 형성부가 중심(이하 교차점이라 함)에서 교차되면서 일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한다.
이러한 포장상자 형성과정에서 접힘선은 미리 접어두고, 포장상자를 상자모양으로 완성한 후 상기 접힘선이 위로 향하도록 측면을 밀면 제 1/2 측면 형성부와 제 3/4 측면 형성부가 수평으로 적층되면서 바닥면 또한 제 1/2 바닥면 형성부는 접착된 상태에서 접힘선을 중심으로 중첩되고, 제 3/4 바닥면 형성부 역시 접착된 상태에서 접힘선을 중심으로 중첩된다.
이 과정에서 교차되어 완성된 바닥면은 손상 없이 교차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전술한 포장상자나 기타 다양한 포장상자의 경우,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등에 수납되는 제품의 종류, 제조사, 로고 등이 인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매자가 진열된 포장상자보다 높은 곳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포장상자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에 인쇄된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구매자는 허리를 굽히고 머리를 숙여서 제품의 종류나 제조사 등을 확인해야 했다.
따라서, 구매자가 편안하게 선 상태에서 상자에 인쇄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자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4938호(2007.11.0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야채,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자의 상면에 수납물의 명칭,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디자인을 위한 그림 등의 인쇄내용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할 수 있으며,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등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함에 따라 홍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다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인쇄내용을 인쇄하도록 마련되는 인쇄면부; 상면에 복수개의 구획벽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자형성부가 상기 구획벽에 접촉되는 형태로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 중앙에 안착되고, 양측면이 구획벽에 접촉되는 부가 상자부; 상기 부가 상자부의 양측에 상자형성부를 각각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다른 상자형성부와 부가 상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재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와 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부재;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벽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부가 상자부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벽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제1 외부 측면판;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외부 접촉판;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내부 측면판; 및 상기 제1 내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접촉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측이 개방된 구조의 제1 맞물림홈이 형성된 제1 내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측면판과 상기 제1 내부 측면판의 연결지점에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면부가 접기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2 외부 측면판; 상기 제2 외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외부 접촉판과 마주하는 제2 외부 접촉판; 상기 인쇄면부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측면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대향되는 제2 내부 측면판; 상기 제2 내부 측면판의 하단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인쇄면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안착판; 및 상기 제2 내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접촉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하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 맞물림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맞물림홈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접촉판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내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측면판과 인쇄면부의 연결지점에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자는, 야채,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자의 상면에 수납물의 명칭,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디자인을 위한 그림 등의 인쇄내용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할 수 있으며, 수납물의 판매사, 로고 등을 선명하고 크게 인쇄함에 따라 홍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 적용된 지지부와, 부가 상자부와, 커플러와, 적재부와, 연결프레임 및 포켓부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 적용된 지지부와, 부가 상자부와, 커플러와, 적재부와, 연결프레임 및 포켓부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1)는, 상자형성부(10)와, 상자형성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쇄면부(20)와, 지지부(30)와, 부가 상자부(40)와, 커플러(50)와, 적재부(60)와, 연결프레임(70) 및 포켓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자형성부(10)는 과일, 채소, 각종 물건 등의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이, 합지, 골판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자형성부(10)는 바닥부(11) 및 측벽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와, 측벽부(12) 및 인쇄면부(20)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면부(20)는 측벽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자성형부는 사각박스, 오각박스, 육각박스 등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바닥부(11)와, 측벽부(12) 및 인쇄면부(20)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자원 절약을 위해 하나의 골판지 등에 함께 설계될 수 있다.
바닥부(11)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바닥부(11)의 각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연장된다.
이러한 측벽부(12)는 바닥부(11)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부재(121)와, 바닥부(11)의 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벽부재(122) 및 바닥부(11)의 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벽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재(121)는 측면판(1211) 및 덮개판(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판(1211)은 바닥부(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측면판(1211)은 상 방향으로 접혀질 시 바닥부(11)와 직각을 이루어 상자형성부(10)에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덮개판(1212)은 측면판(1211)의 상단에 각각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덮개판(1212)은 하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후술되는 제2 측벽부재(122) 및 제3 측벽부재(123)의 상면 일정영역을 각각 덮는다.
아울러, 덮개판(1212)은 제2 측벽부재(122) 및 제3 측벽부재(123)의 일정영역을 덮도록 접힐 경우 바닥부(11)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부가적으로, 덮개판(1212)의 양측에는 끼움돌기(1212a)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끼움돌기(1212a)들은 제2 측벽부재(122) 및 제3 측벽부재(123)와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서로 마주하게 된다.
한편, 제2 측벽부재(122)는 제1 외부 측면판(1221)과, 제1 외부 접촉판(1222)과, 제1 내부 측면판(1223) 및 제1 내부 접촉판(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측면판(1221)은 바닥부(11)의 전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1 외부 측면판(1221)은 상 방향으로 접혀질 시 바닥부(11)와 직각을 이루어 상자형성부(10)에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외부 측면판(1221)은 측면판(121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외부 접촉판(1222)은 제1 외부 측면판(1221)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1 외부 접촉판(1222)은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제1 외부 측면판(122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1 내부 측면판(1223)은 제1 외부 측면판(1221)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1 내부 측면판(1223)은 하 방향으로 접혀질 시 제1 외부 측면판(122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1 외부 측면판(1221) 및 제2 내부 측면판(1233)은 비교적 단단한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내부 접촉판(1224)은 제1 내부 측면판(1223)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1 내부 접촉판(1224)은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제1 외부 접촉판(1222)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1 외부 접촉판(1222) 및 제1 내부 접촉판(1224)은 전술한 제1 외부 측면판(1221)을 지지하면서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그리고, 제1 내부 접촉판(1224) 중 제3 측벽부재(123)와 마주하는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는 상측이 개방된 구조의 제1 맞물림홈(1224a)이 형성된다.
제1 맞물림홈(1224a)은 제3 측벽부재(123)와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제1 맞물림홈(1224a)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제1 내부 측면판(1223)은 제1 외부 측면판(1221)에 연결지점부(122P)를 통해 접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지점부(122P)에는 덮개판(121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212a)가 끼움고정되는 제1 끼움홀(122a)이 형성된다.
한편, 제3 측벽부재(123)는 제2 외부 측면판(1231)과, 제2 외부 접촉판(1232)과, 제2 내부 측면판(1233)과, 안착판(1234) 및 제2 내부 접촉판(1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 측면판(1231)은 바닥부(11)의 후측에 접기 가능하게 연장된다.
제2 외부 측면판(1231)에는 인쇄면부(20)가 접기 가능하게 연장된다.
인쇄면부(20)는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후술되는 안착판(1234)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상자(1)의 상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인쇄면부(20)는 상자(1)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인쇄면부(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면부(20)에는 상자(1)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이름, 수납물을 제조한 제조사명, 상자(1)를 꾸미기 위한 그림, 색상, 로고 등 다양한 인쇄내용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특히, 인쇄면부(20)는 상자(1)의 상면을 이루고, 이러한 인쇄면부(20)에 전술한 인쇄내용을 인쇄할 수 있음에 따라, 구매자가 상자(1)를 꼼꼼히 살펴보지 아니하고도 수납물의 종류, 제조사명 등을 신속하게 식별하여 구매에 차질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인쇄면부(20)와 제2 외부 측면판(1231)의 연결지점에는 덮개판(1212)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212a)가 끼움고정되는 제2 끼움홀(123a)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1212a)와 제1 끼움홀(122a) 및 제2 끼움홀(123a)을 통해 제1 측벽부재(121)와, 제2 측벽부재(122) 및 제3 측벽부재(123)를 스탬플러, 접착제 등의 도구 없이도 안정적이면서 쉽고 간편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끼움돌기(1212a)가 제1 끼움홀(122a) 및 제2 끼움홀(123a)에 각각 끼움고정되면, 측면판(1211)이 제1 외부 접촉판(1222) 및 제2 외부 접촉판(1232)을 제1 내부 접촉판(1224) 및 제2 내부 접촉판(1235)에 각각 밀착시키게 됨으로, 제1 외부 접촉판(1222) 및 제2 외부 접촉판(1232)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외부 접촉판(1232)은 제2 외부 측면판(1231)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2 외부 접촉판(1232)은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제1 외부 측면판(122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제2 외부 접촉판(1232)은 제1 외부 접촉판(1222)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주하게 된다.
제2 내부 측면판(1233)은 인쇄면부(20)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2 내부 측면판(1233)은 하 방향으로 접혀질 시 제2 외부 측면판(1231)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대향된다.
안착판(1234)은 제2 내부 측면판(1233)의 하단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안착판(1234)은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바닥부(11)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안착판(1234)은 인쇄면부(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된다.
안착판(1234)은 제2 내부 측면판(1233)을 지지하고, 제2 내부 측면판(1233)은 인쇄면부(20)를 지지함에 따라, 인쇄면부(20)가 외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안착판(1234)은 바닥부(11)에 안착된 상태로 제2 외부 측면판(1231)에 접촉되어 제2 외부 측면판(1231)을 지지함에 따라, 제2 외부 측면판(1231)이 외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내부 접촉판(1235)은 제2 내부 측면판(1233)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제2 내부 접촉판(1235)은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태로 접혀져 제2 외부 접촉판(1232)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2 외부 접촉판(1232) 및 제2 내부 접촉판(1235)은 전술한 제2 외부 측면판(1231)을 지지하면서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그리고, 제2 내부 접촉판(1235) 중 제1 내부 접촉판(1224)과 마주하는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는 하측이 개방된 구조의 제2 맞물림홈(1235a)이 형성된다.
제2 맞물림홈(1235a)은 제1 내부 접촉판(1224)과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부 접촉판(1224)의 일정영역은 제2 맞물림홈(1235a)에 수용되고, 제2 내부 접촉판(1235)의 일정영역은 제1 맞물림홈(1224a)에 수용되는 형태가 되어 제1 내부 접촉판(1224) 및 제2 내부 접촉판(1235)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맞물림홈(1224a) 및 제2 맞물림홈(1235a)을 통해 제1 내부 접촉판(1224) 및 제2 내부 접촉판(1235)을 스탬플러, 접착제 등의 도구 없이도 안정적이면서 쉽고 간편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는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부(30)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구획벽(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구획벽(31)은 지지부(30)의 상면에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구획하여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지지부(30)의 상면 우측과 좌측에 상자형성부(10)가 안착된다.
이때, 상자형성부(10)는 제2 측벽부재(122)가 구획부에 접촉되도록 안착된다.
지지부(30)의 양측면에는 손잡이(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2)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상자부(40)는 지지부(30)의 상면 중앙에 안착되어 2개의 상자형성부(10)의 사이에 배치된다.
부가 상자부(40)는 양측면이 구획벽(31)에 접촉된다.
부가 상자부(4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상자부(40)의 수납공간에도 과일, 채소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부가 상자부(40)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50)는 부가 상자부(4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부(30)의 상면에 안착된 부가 상자부(40)와 상자형성부(10)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커플러(50)는 브라켓(51) 및 클립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1)은 부가 상자부(4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51)은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1)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적재부(60)와 연결을 위한 고정홈(5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51)은 지지부(30)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클립부(52)는 브라켓(51)의 저면에 각각 결합된다.
클립부(52)는 도 6을 기준으로 저면과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부(52)는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제1 외부 측면판(1221) 및 제1 내부 접촉판(1224)의 상측 일정영역을 공동으로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고정된다.
적재부(60)는 커플러(5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51)의 상면에는 고정홈(51a)이 형성되고, 적재부(60)의 저면에는 고정홈(5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60)는 고정홈(51a)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고정돌기(61)에 의해 브라켓(51)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적재부(60)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60)의 상면에는 다른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재된다.
적재부(60)는 브라켓(51)에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금속재질 또는 브라켓(51)과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지부(30) 및 적재부(60)를 통해 한번에 많은 양의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적재하여 장소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에 수납된 수납물을 한번에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에는 과일, 야채, 채소, 생선 등이 수납되어 마트나 시장에 공급될 수 있는 바, 과일, 야채, 채소, 생선 등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구매자가 집으로 용이하게 가져가도록 할 수 있다.
즉, 과일, 야채, 채소, 생선 등이 수납된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지지부(30)와 적재부(60)에 각각 안착한 다음, 2명이서 한 번에 가져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에는 볼트, 너트, 드릴, 드라이버, 니퍼 등의 각종 공구가 수납할 수도 있는데, 적재부(60) 및 지지부(30)에 공구가 수납된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안착한 다음, 2명이서 손잡이(32)를 파지하여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한번에 원하는 장소 즉, 창고, 판매처 등 다양한 장소로 옮기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1)는 지지부(30)의 상면에 2개의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안착하고, 적재부(6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안착 한 다음, 2명이서 손잡이(32)를 각각 파지한 상태로 지지부(30) 및 적재부(60)에 안착된 상자형성부(10)와 부가 상자부(40)를 한번에 옮기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하나씩 여러 번 옮겨야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연결프레임(70)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연결프레임(70)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부(60)와 지지부(3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한다.
연결프레임(70)의 상측과 하측에는 고정돌기(71)가 형성되고, 적재부(60)와 지지부(30)의 양측면에는 고정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33,6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연결프레임(70)은 상측과 하측이 적재부(60)와 지지부(30)의 좌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프레임(70)은 상측과 하측이 적재부(60)와 지지부(30)의 좌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부(60) 및 지지부(30)를 일체화 시킨다.
이로 인해, 적재부(60) 및 지지부(30)에 안착된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적재부(6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부(60)에 안착된 상자형성부(10) 또는 부가 상자부(4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켓부(80)는 어느 하나의 연결프레임(70)에 결합되거나 또는 2개의 연결프레임(7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포켓부(8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80)에는 휴대폰, 지갑 등의 소지품을 수납하면 된다.
특히, 손잡이(32)를 파지하여 상자형성부(10) 및 부가 상자부(40)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으로 전화가 올 경우, 운반자가 포켓부(80)에서 휴대폰을 용이하게 꺼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상자 10 : 상자형성부
11 : 바닥부 12 : 측벽부
121 : 제1 측벽부재 1211 : 측면판
1212 : 덮개판 1212a : 끼움돌기
122 : 제2 측벽부재 122a : 제1 끼움홀
122P : 연결지점부 1221 : 제1 외부 측면판
1222 : 제1 외부 접촉판 1223 : 제1 내부 측면판
1224 : 제1 내부 접촉판 1224a : 제1 맞물림홈
123: 제3 측벽부재 123a : 제2 끼움홀
1231 : 제2 외부 측면판 1232 : 제2 외부 접촉판
1233 : 제2 내부 측면판 1234 : 안착판
1235 : 제2 내부 접촉판 1235a : 제2 맞물림홈
20 : 인쇄면부 30 : 지지부
31 : 구획벽 32 : 손잡이
33,62 : 삽입홈 40 : 부가 상자부
50 : 커플러 51 : 브라켓
51a : 고정홈 52 : 클립부
60 : 적재부 61,71 : 고정돌기
62 : 삽입홈 70 : 연결프레임
80 : 포켓부

Claims (5)

  1.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다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인쇄내용을 인쇄하도록 마련되는 인쇄면부;
    상면에 복수개의 구획벽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자형성부가 상기 구획벽에 접촉되는 형태로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 중앙에 안착되고, 양측면이 구획벽에 접촉되는 부가 상자부;
    상기 부가 상자부의 양측에 상자형성부를 각각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다른 상자형성부와 부가 상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재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와 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부재;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벽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부가 상자부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벽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제1 외부 측면판;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외부 접촉판;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내부 측면판; 및
    상기 제1 내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접촉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측이 개방된 구조의 제1 맞물림홈이 형성된 제1 내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측면판과 상기 제1 내부 측면판의 연결지점에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된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벽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면부가 접기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2 외부 측면판;
    상기 제2 외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외부 접촉판과 마주하는 제2 외부 접촉판;
    상기 인쇄면부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측면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대향되는 제2 내부 측면판;
    상기 제2 내부 측면판의 하단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인쇄면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안착판; 및
    상기 제2 내부 측면판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접촉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하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 맞물림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맞물림홈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접촉판과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내부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측면판과 인쇄면부의 연결지점에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된 상자.
KR1020220187544A 2022-12-28 2022-12-28 상자 KR10258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544A KR102580019B1 (ko) 2022-12-28 2022-12-28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544A KR102580019B1 (ko) 2022-12-28 2022-12-28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019B1 true KR102580019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544A KR102580019B1 (ko) 2022-12-28 2022-12-28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38B1 (ko) 2007-07-30 2007-11-08 주식회사 파워팩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상자
KR20130015571A (ko) * 2011-08-04 2013-02-14 권영문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40000066U (ko) * 2012-06-27 2014-01-07 주식회사 아이팩피앤디 포장상자
KR200478294Y1 (ko) * 2015-01-08 2015-09-15 송한기 과일 포장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38B1 (ko) 2007-07-30 2007-11-08 주식회사 파워팩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상자
KR20130015571A (ko) * 2011-08-04 2013-02-14 권영문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40000066U (ko) * 2012-06-27 2014-01-07 주식회사 아이팩피앤디 포장상자
KR200478294Y1 (ko) * 2015-01-08 2015-09-15 송한기 과일 포장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2997A (zh) 用于柱中柱产品包装和展示系统的基座
JP4361871B2 (ja) 載置用レッジ
US5131543A (en) Reusable and recyclable packaging for shock and static sensitive objects
KR102580019B1 (ko) 상자
KR101218035B1 (ko)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KR20170102647A (ko) 지지체를 구비한 포장용 종이상자
GB2117356A (en) Cartons
KR102049057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KR102375332B1 (ko) 접이식 포장 용기
JP2584340Y2 (ja) トランクリッドの包装用支持材
JP3986784B2 (ja) 梱包装置および緩衝材
KR102427314B1 (ko) 다기능 포장용 상자
US20240190606A1 (en) Damage-Resistant Packaging Box for Shipping Planar Articles
KR100569111B1 (ko) 가방겸용 포장상자
KR102426598B1 (ko) 녹다운형 카톤박스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JP2009051521A (ja) 梱包用具及び前記梱包用具により梱包された空気調和機
JP3054306U (ja) 内体付きカートン
JP2633451B2 (ja) 簡易梱包部材
JP3054867U (ja) 内体及び内体付きカートン
KR200314380Y1 (ko) 가방겸용 포장상자
KR200318320Y1 (ko) 접이식 일회용 컵 캐리어
JP2014114031A (ja) 包装用容器
JPH038577Y2 (ko)
KR200295197Y1 (ko)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