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013B1 - 선형전력증폭기 - Google Patents

선형전력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013B1
KR102580013B1 KR1020230038132A KR20230038132A KR102580013B1 KR 102580013 B1 KR102580013 B1 KR 102580013B1 KR 1020230038132 A KR1020230038132 A KR 1020230038132A KR 20230038132 A KR20230038132 A KR 20230038132A KR 102580013 B1 KR102580013 B1 KR 10258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unit
output signal
amplifier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길
Original Assignee
문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용길 filed Critical 문용길
Priority to KR102023003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82Acting on the phase and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8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the main amplifier or error amplifier being a feedforward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선형전력증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는, 입력신호의 제1경로상에 배치되어 입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키는 방향성검출부; 방향성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키는 주증폭기부; 주증폭기부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한 신호와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한 후, 커플링된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켜 전력 증폭시키는 보조증폭기부; 입력신호의 파워와 주증폭기부의 출력신호의 파워를 산출하여 전력 증폭부의 게인을 산출하고, 주증폭기부에 의해 왜곡된 신호의 파워를 산출하며, 게인과 왜곡신호의 파워에 따라 주증폭기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이 개폐 가능한 밀페형 박스 구조이고, 수납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방향성검출부, 주증폭기부, 보조증폭기부 및 제어부를 각각 독립된 공간에 장착하는 구조의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증폭기부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전력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선형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증폭기부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기지국과 중계기의 핵심 장비인 선형 전력 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의 선형성을 개선하기 위한 루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통신, 이동 통신과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 시에는 신호를 단 한번에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거리마다 중계국 또는 기지국을 설치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저주파 전력 증폭기와 고주파 전력 증폭기로 구분된다.
전력 증폭기는 일그러짐이 적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최대 출력을 얻기 위하여 비선형(non-linear) 특성을 갖는 포화 영역(saturation region)에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멀티 캐리어(multi carrier)가 전력 증폭기로 입력될 때, 이들 멀티 캐리어가 상호 혼변조 왜곡 성분(intermodulation distortion)을 발생하게 되므로 증폭기의 성능은 크게 저하된다.
이런 상호 혼변조 성분들은 통화 품질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일종의 잡음으로 작용하며, 특히 기존의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을 줄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피드 포워드 (feed forward)를 이용한 선형화 방법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피드 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 증폭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러한 선형 전력 증폭기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된 2개의 반송파는 전력 분배기(1)에 의해 나누어진 후 주 경로(a)와 보조 경로(b)로 분기된다. 주 경로(a)를 지나는 반송파는 제 1 제어 요소인 가변 감쇄기(11)와 가변 위상 변화기(12)를 통과하여 주 증폭기(13)로 입력된다. 주 증폭기(13)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하여 반송파가 증폭되면서 혼변조 성분들이 함께 발생한다.
주 증폭기(13)의 출력 신호는 제 1 방향성 결합기(2)를 통과하여 손실 없이 주 경로(a)의 제 2 지연 선로(24; delay line)로 전달되고, 제 1 방향성 결합기(2)에서 검출된 신호는 보조 경로(b)의 전력 결합기(3)에 입력된다.
한편, 보조 경로(b)를 지나는 반송파는 제 1 지연 선로(14)를 통과하게 되며, 따라서 반송파가 주 경로(a) 상의 주 증폭기(13)를 통과하는데 발생된 지연시간을 보상하게 된다. 제 1 방향성 결합기(2)에서 검출된 주 증폭기(13)의 출력 신호와 보조 경로(b)의 제 1 지연 선로(14)를 통과한 신호가 전력 결합기(3)에서 결합하면 반송파 신호는 제거되고 혼변조 신호만이 출력된다. 이때, 반송파 신호의 제거 정도를 제 1 루프검출 전력값(L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력 결합기(3)에서 출력된 혼변조 성분의 신호는 제 2 제어 요소인 가변 감쇄기(21)와 가변 위상 변화기(22)를 통과하여 에러 증폭기(23)로 입력된다. 한편, 주 경로(a)의 제 1 방향성 결합기(2)를 통과한 주 증폭기(13)의 출력 신호는 제 2 지연 선로(24)를 통과함으로써 보조 경로(b)의 에러 증폭기(24)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보상받는다. 주 경로(a)의 제 2 지연 선로(24)를 통과한 주 증폭기(13)의 출력과 보조 경로(b)의 에러 증폭기(23)의 출력은 제 2 방향성 결합기(4)로 입력, 결합되어 주 증폭기(13)에서 발생된 혼변조 신호를 상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지국 또는 중계기용 선형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그 선형 특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루프 제어를 실행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루프 제어 방식은 각각의 루프에서 검출된 전력값이 최소가 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 1 루프에서는 주신호를 최대한 상쇄시켜서 불요파 성분만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검출되는 전력값(L1)이 최소가 되는 지점이 주신호가 최대한 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루프의 검출 전력값(L1)이 최소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상적인 제 1 루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 2 루프에서는, 주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에서 불요파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불요파 성분만을 검출하여 이 검출된 전력값이 최소가 되도록 제어하면 선형 전력 증폭기의 안정된 선형 특성이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루프와 제 2 루프에서 각각 검출된 전력값이 최소가 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방식이 기존의 루프 제어 방식이다.
위에서 설명한 기존의 선형 전력 증폭기 루프 제어 방식의 경우, 각 루프에서 검출된 전력값이 최소가 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나, 이러한 제어 방식은 전체 선형 전력 증폭기에서의 최적의 선형 제어로는 수행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제 1 루프의 전력 최소화 방식은 제 1 루프에서 보았을 경우, 최적의 제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지만, 제 2 루프를 포함한 전체 선형 전력 증폭기의 제어에 있어서의 제 1 루프의 최적 제어 지점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의 경우,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구조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적충격에 의해 무방비한 구조로서, 내부에 탑재된 회로기판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의 경우, 다양한 사양의 회로기판을 채택하여 운용할 수 있어 그에 맞춤 적용되는 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 수납공간의 부피를 크게 구성하여 다양한 사양의 회로기판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하우징 구조의 외부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협소한 공간 또는 장착 공간에 적절히 맞춤 적용하여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19700호 (등록일자: 2005년09월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주증폭기부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는, 입력신호의 제1경로상에 배치되어 입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키는 방향성검출부; 방향성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키는 주증폭기부; 주증폭기부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한 신호와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한 후, 커플링된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켜 전력 증폭시키는 보조증폭기부; 입력신호의 파워와 주증폭기부의 출력신호의 파워를 산출하여 전력 증폭부의 게인을 산출하고, 주증폭기부에 의해 왜곡된 신호의 파워를 산출하며, 게인과 왜곡신호의 파워에 따라 주증폭기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이 개폐 가능한 밀페형 박스 구조이고, 수납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방향성검출부, 주증폭기부, 보조증폭기부 및 제어부를 각각 독립된 공간에 장착하는 구조의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증폭기부는, 상기 주증폭기부의 출력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1딜레이부; 상기 입력신호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2딜레이부; 상기 주증폭기부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하는 제1커플링부; 상기 제1커플링부로부터 커플링된 신호와 제2딜레이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하는 제2커플링부; 상기 제2커플링부의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키는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 상기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키는 에러 증폭부; 및 상기 제1딜레이부의 출력신호와 에러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시켜 출력하는 제3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방 밀폐벽을 형성하고, 입력신호 단자 및 출력신호 단자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가 형성된 상부측벽부; 상기 상부측벽부와 대향하는 하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하부측벽부; 상기 상부측벽부와 하부측벽부의 양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좌우측벽부; 및 상기 상부측벽부, 하부측벽부 및 좌우측벽부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상부측벽부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부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도로 장착하는 돌출힌지부; 상기 하부측벽부 및 좌우측벽부의 내측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측벽부 및 좌우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만입힌지부; 상기 상부측벽부, 하부측벽부 및 좌우측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평면상 L자형 구조이며, 상부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양단에 탈착측벽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구조가 형성된 연결프레임부; 및 상기 연결프레임부의 양단에 장착되어 돌출힌지부 또는 만입힌지부와 결속되며, 상부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판상형 구조의 탈착측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개폐부; 상기 상부측벽부, 하부측벽부, 좌우측벽부 및 구획부에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하우징부의 바닥면과 개폐부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구조의 측벽내 중공부; 상기 개폐부에 형성되고, 측벽내 중공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연통되는 구조의 연통 관통구; 상기 측벽내 중공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냉각가스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냉각가스를 수납공간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냉각가스를 연통 관통구 내부로 주입하는 냉각가스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전력증폭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방향성검출부, 주증폭기부, 보조증폭기부, 제어부 및 하우징부를 구비함으로써, 주증폭기부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전력증폭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부측벽부, 하부측벽부, 좌우측벽부 및 구획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함으로써, 돌출힌지부와 만입힌지부의 위치를 다양한 위치로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연결프레임부의 위치 또한 이에 맞춰 배치한 후, 탈착측벽부를 손쉽게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크기를 가지는 회로기판에 맞춤 적용하여 하우징부의 내부 수납공간을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전력증폭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개폐부, 측벽내 중공부, 연통 관통구, 분사노즐 및 냉각가스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선형전력증폭기의 오작동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충격에 의해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냉각가스를 연통 관통구 내부로 주입하여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 및 2차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 전력 증폭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의 작동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는 특정 구조의 방향성검출부(120), 주증폭기부(130), 보조증폭기부(140), 제어부(150) 및 하우징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주증폭기부(130)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의 방향성검출부(120)는 입력신호의 제1경로상에 배치되어 입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의 주증폭기부(130)는 상기 방향성검출부(120)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의 보조증폭기부(140)는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한 신호와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한 후, 커플링된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켜 전력 증폭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의 제어부(150)는 입력신호의 파워와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의 파워를 산출하여 전력 증폭부의 게인을 산출하고, 주증폭기부(130)에 의해 왜곡된 신호의 파워를 산출하며, 게인과 왜곡신호의 파워에 따라 주증폭기부(130)의 전압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100)의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이 개폐 가능한 밀페형 박스 구조이고, 수납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방향성검출부(120), 주증폭기부(130), 보조증폭기부(140) 및 제어부(150)를 각각 독립된 공간에 장착하는 구조이다.
상기 언급한 보조증폭기부(14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딜레이부, 제2딜레이부, 제1커플링부, 제2커플링부,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 에러 증폭부, 및 제3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증폭기부(140)의 제1딜레이부는 주증폭기부(130)의 출력 경로상에 배치된다. 제2딜레이부는 입력신호의 경로상에 배치된다. 제1커플링부는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한다. 또한, 제2커플링부는 제1커플링부로부터 커플링된 신호와 제2딜레이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한다. 이때,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는 제2커플링부의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킨다. 에러 증폭부는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킨다. 또한, 제3커플링부는 제1딜레이부의 출력신호와 에러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시켜 출력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방향성검출부(120), 주증폭기부(130), 보조증폭기부(140), 제어부(150) 및 하우징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주증폭기부(130)의 공급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선형전력증폭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전력증폭기의 작동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10)는 특정 구조의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좌우측벽부(111c) 및 구획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10)의 상부측벽부(111a)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방 밀폐벽을 형성하고, 입력신호 단자 및 출력신호 단자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가 형성된 구조이다. 하부측벽부(111b)는 상부측벽부(111a)와 대향하는 하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좌우측벽부(111c)는 상부측벽부(111a)와 하부측벽부(111b)의 양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또한, 하우징부(110)의 구획부(112)는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112)는 특정 구조의 돌출힌지부(112a), 만입힌지부(112b), 연결프레임부(112c) 및 탈착측벽부(112d)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112)의 돌출힌지부(112a)는 상부측벽부(111a)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도로 장착하는 구조이다. 구획부(112)의 만입힌지부(112b)는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의 내측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구조이다. 구획부(112)의 연결프레임부(112c)는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평면상 L자형 구조이며,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양단에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구획부(112)의 탈착측벽부(112d)는 연결프레임부(112c)의 양단에 장착되어 돌출힌지부(112a) 또는 만입힌지부(112b)와 결속되며,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좌우측벽부(111c) 및 구획부(112)를 포함하는 하우징부(110)를 구비함으로써, 돌출힌지부(112a)와 만입힌지부(112b)의 위치를 다양한 위치로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연결프레임부(112c)의 위치 또한 이에 맞춰 배치한 후, 탈착측벽부(112d)를 손쉽게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크기를 가지는 회로기판에 맞춤 적용하여 하우징부(110)의 내부 수납공간을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양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형전력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10)는 하우징부(110)의 상부면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개폐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는 특정 구조의 측벽내 중공부(114), 연통 관통구(115), 분사노즐(116) 및 냉각가스공급부(117)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10)의 측벽내 중공부(114)는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좌우측벽부(111c) 및 구획부(112)에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하우징부(110)의 바닥면과 개폐부(113)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구조이다. 하우징부(110)의 연통 관통구(115)는 개폐부(113)에 형성되고, 측벽내 중공부(114)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연통되는 구조이다. 하우징부(110)의 분사노즐(116)은 측벽내 중공부(114)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냉각가스공급부(117)로부터 전달되는 냉각가스를 수납공간 내부에 분사하는 구조이다. 또한, 하우징부(1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는 냉각가스공급부(117)는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냉각가스를 연통 관통구(115) 내부로 주입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개폐부(113), 측벽내 중공부(114), 연통 관통구(115), 분사노즐(116) 및 냉각가스공급부(117)를 구비함으로써, 선형전력증폭기의 오작동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충격에 의해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냉각가스를 연통 관통구(115) 내부로 주입하여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재 및 2차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선형전력증폭기
110: 하우징부
111a: 상부측벽부
111b: 하부측벽부
111c: 좌우측벽부
112: 구획부
112a: 돌출힌지부
112b: 만입힌지부
112c: 연결프레임부
112d: 탈착측벽부
113: 개폐부
114: 측벽내 중공부
115: 연통 관통구
116: 분사노즐
117: 냉각가스공급부
120: 방향성검출부
130: 주증폭기부
140: 보조증폭기부
150: 제어부

Claims (5)

  1. 입력신호의 제1경로상에 배치되어 입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키는 방향성검출부(120);
    상기 방향성검출부(120)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키는 주증폭기부(130);
    상기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한 신호와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한 후, 커플링된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켜 전력 증폭시키는 보조증폭기부(140);
    입력신호의 파워와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의 파워를 산출하여 전력 증폭부의 게인을 산출하고, 주증폭기부(130)에 의해 왜곡된 신호의 파워를 산출하며, 게인과 왜곡신호의 파워에 따라 주증폭기부(130)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이 개폐 가능한 밀페형 박스 구조이고, 수납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방향성검출부(120), 주증폭기부(130), 보조증폭기부(140) 및 제어부(150)를 각각 독립된 공간에 장착하는 구조의 하우징부(110);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11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방 밀폐벽을 형성하고, 입력신호 단자 및 출력신호 단자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가 형성된 상부측벽부(111a);
    상기 상부측벽부(111a)와 대향하는 하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하부측벽부(111b);
    상기 상부측벽부(111a)와 하부측벽부(111b)의 양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방 밀폐벽을 형성하는 좌우측벽부(111c); 및
    상기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112)는,
    상기 상부측벽부(111a)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도로 장착하는 돌출힌지부(112a);
    상기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의 내측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만입힌지부(112b);
    상기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및 좌우측벽부(111c)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평면상 L자형 구조이며,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양단에 탈착측벽부(112d)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구조가 형성된 연결프레임부(112c); 및
    상기 연결프레임부(112c)의 양단에 장착되어 돌출힌지부(112a) 또는 만입힌지부(112b)와 결속되며, 상부측벽부(11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을 서로 독립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판상형 구조의 탈착측벽부(112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력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증폭기부(140)는,
    상기 주증폭기부(130)의 출력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1딜레이부;
    상기 입력신호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2딜레이부;
    상기 주증폭기부(130)의 출력신호를 커플링하는 제1커플링부;
    상기 제1커플링부로부터 커플링된 신호와 제2딜레이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하는 제2커플링부;
    상기 제2커플링부의 출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변환시키는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
    상기 에러신호 감쇄 및 위상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시키는 에러 증폭부; 및
    상기 제1딜레이부의 출력신호와 에러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서로 커플링시켜 출력하는 제3커플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력증폭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부면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개폐부(113);
    상기 상부측벽부(111a), 하부측벽부(111b), 좌우측벽부(111c) 및 구획부(112)에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하우징부(110)의 바닥면과 개폐부(113)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구조의 측벽내 중공부(114);
    상기 개폐부(113)에 형성되고, 측벽내 중공부(114)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연통되는 구조의 연통 관통구(115);
    상기 측벽내 중공부(114)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냉각가스공급부(117)로부터 전달되는 냉각가스를 수납공간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노즐(116); 및
    상기 하우징부(1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고,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냉각가스를 연통 관통구(115) 내부로 주입하는 냉각가스공급부(1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력증폭기.
KR1020230038132A 2023-03-23 2023-03-23 선형전력증폭기 KR10258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32A KR102580013B1 (ko) 2023-03-23 2023-03-23 선형전력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32A KR102580013B1 (ko) 2023-03-23 2023-03-23 선형전력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013B1 true KR102580013B1 (ko) 2023-09-18

Family

ID=8819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32A KR102580013B1 (ko) 2023-03-23 2023-03-23 선형전력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0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4627A (ja) * 1982-05-21 1983-11-29 Toshiba Corp チユ−ナ装置
KR100519700B1 (ko) 2003-10-09 2005-10-11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선형 전력 증폭기의 최적 루프 제어 방법
KR20110044057A (ko) * 2009-10-22 2011-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20190099819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 장치
KR102080202B1 (ko) * 2019-08-23 2020-02-21 주식회사 패러다임 선형 전력 증폭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4627A (ja) * 1982-05-21 1983-11-29 Toshiba Corp チユ−ナ装置
KR100519700B1 (ko) 2003-10-09 2005-10-11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선형 전력 증폭기의 최적 루프 제어 방법
KR20110044057A (ko) * 2009-10-22 2011-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20190099819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 장치
KR102080202B1 (ko) * 2019-08-23 2020-02-21 주식회사 패러다임 선형 전력 증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996A (en) Feed-forward microwave power amplifier with difference signal distortion cancellation circuit
US6326845B1 (en) Feedforward amplifier
KR20010056500A (ko) 전력증폭기의 왜곡 성분 검출장치
JPH08222965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5412342A (en) Power amplifie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eedforward distortion compensating circuits in parallel
US2015003131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ower amplifier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580013B1 (ko) 선형전력증폭기
KR20040019780A (ko) 피드포워드 증폭기 및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성능 개선 방법
JP2001308650A (ja) 送信電力増幅装置
US6400223B1 (en) Double carrier cancellation in wide band multi-carrier feed forward linearized power amplifier
WO2019146549A1 (ja) 電力増幅回路
KR100309720B1 (ko)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101145830B1 (ko) 전치왜곡장치 및 간섭억제시스템 필터-유닛이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KR101199005B1 (ko) 피드포워드 고주파 전력 증폭기
KR101046339B1 (ko) 이동통신장치의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10695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출력단
KR10113191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출력단
KR101003003B1 (ko) 통신시스템의 출력단
KR101046350B1 (ko) 간섭억제시스템 필터모듈 기반 전치왜곡장치 및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화회로가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KR100929417B1 (ko) 중계기용 전력증폭장치
KR100371531B1 (ko)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KR101003001B1 (ko) 통신시스템의 출력단
JP3400113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WO2019146550A1 (ja) 電力増幅回路
KR101131923B1 (ko)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화회로 및 간섭억제시스템 필터유닛이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