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52B1 -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 Google Patents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52B1
KR102579652B1 KR1020180130559A KR20180130559A KR102579652B1 KR 102579652 B1 KR102579652 B1 KR 102579652B1 KR 1020180130559 A KR1020180130559 A KR 1020180130559A KR 20180130559 A KR20180130559 A KR 20180130559A KR 102579652 B1 KR102579652 B1 KR 10257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launch tube
reverse
flow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51A (ko
Inventor
김건호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F41F3/10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from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63G8/32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of torpedo-launching means; of torpedo stores or hand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Underwater launching-apparatus

Abstract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은 함의 이동 시 작용하는 항력에 의한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발사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으로서, 함의 외측에 구비되며, 함의 측면에서 무장을 장전하도록 마련된 측면 발사대, 상기 측면 발사대의 전후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유로를 통해 해수가 유동하는 해수 유동부, 상기 해수 유동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의 미단부를 향하여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 유입구, 및 상기 해수 유동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을 사출시키는 무장 사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REVERSE FIRING TYPE HORIZONTAL LAUNCH TUBE AND UNDERWATER MOVING BOD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함이 이동하면서 받는 항력으로 발생하는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이하, 수중운동체라 함)에는 적 함정을 공격하기 위해 무장이 탑재되며, 무장을 발사하는 발사관이 잠수함의 압력선체를 관통하거나 압력선체 외부에 설치된다.
무장발사방식은 크게 자항발사방식과 강제발사방식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그 중 하나의 방식으로서, 자항발사방식은 무장에 자체 추진 장치, 예를 들어 어뢰 자체 추진기 등을 이용하여 발사관에서 무장이 이탈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하나의 방식으로서, 강제발사방식은 무장에 강제력을 가하여 발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자항발사방식은 어뢰 추진기가 없으면 발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강제발사방식은 함속보다 높은 속도로 무장을 사출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무장을 강제로 방출시키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큰 규모의 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무장발사방식은 모두 잠수함이 전진 중일 때 무장을 발사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제약이 따랐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885호(2017.07.21. 공개일)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함이 이동하면서 받는 항력으로 발생하는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할 수 있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수함이 공격 대상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잠수함이 후진 중에도 무장을 발사할 수 있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은 함의 이동 시 작용하는 항력에 의한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발사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으로서, 함의 외측에 구비되며, 함의 측면에서 무장을 장전하도록 마련된 측면 발사대; 상기 측면 발사대의 전후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유로를 통해 해수가 유동하는 해수 유동부; 상기 해수 유동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의 미단부를 향하여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 유입구; 및 상기 해수 유동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을 사출시키는 무장 사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발사대는, 함의 좌,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 상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는 상, 하부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는 회전식 개폐도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발사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 하나의 공간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식 개폐도어는, 무장의 사출 시,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에서 상기 측면 발사대가 배치된 공간을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에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에서 상기 측면 발사대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의 해수 유량 조절에 의해,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속이 설정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식 개폐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을 사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을 포함하는 수중운동체로서, 함의 전진 시, 함수에 배치된 수평발사관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하고, 함의 후진 시, 상기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동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의하면 잠수함이 이동하면서 받는 항력으로 발생하는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의하면 잠수함이 공격 대상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잠수함이 후진 중에도 무장을 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장 발사 후 퇴각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에 의하면 기존의 자항발사방식 어뢰의 사용이 가능하여 무장 호환성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이 적용된 수중운동체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점선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평면도와 부분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무장발사방식(a)과 본 발명에 따른 역발사방식(b)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무장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의 배치 형태(a)와 본 발명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의 배치 형태(b)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이 적용된 수중운동체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점선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평면도와 부분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100)은 함의 이동 시 작용하는 항력에 의한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발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100)은 측면 발사대(110), 해수 유동부(111), 해수 유입구(112), 무장 사출구(113), 회전식 개폐도어(115), 유량측정부(117), 및 유량조절부(119)를 포함한다.
측면 발사대(110)는 함(즉, 수중운동체 또는 잠수함을 의미함)(1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면 발사대(110)는 함(10)의 외측에 구비되어 함(10)의 측면에서 무장(T)을 장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해수 유동부(111)는 측면 발사대(110)의 전후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수 유동부(111)는 내부유로를 통해 해수가 유동하는 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와 다른 형태로 변경되어 이용될 수 있다.
해수 유입구(112)는 해수 유동부(111)의 입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수 유입구(112)는 해수 유동부(111)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측면 발사대(110)에 장전된 무장(T)의 미단부를 향하여, 즉 무장(T)의 후미 방향을 향하여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개방 형성된다.
무장 사출구(113)는 해수 유동부(111)의 출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장 사출구(113)는 측면 발사대(110)에 장전된 무장(T)을 사출시키도록 개방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면 발사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10)의 좌,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 상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해수 유동부(111)는 해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내부로 유동하며 측면 발사대(110)에 장전된 무장(T)을 무장 사출구(113)를 통해 사출시키도록 함(10)의 측면을 따라 연통된 내부유로(111a)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유동부(111)의 내부유로(111a)는 상부(111b)와 하부(111c)로 구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유로(111a)의 상, 하부(111b, 111c)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는 회전식 개폐도어(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 발사대(110)는 내부유로(111a)의 상, 하부(111b, 111c) 중 하나의 공간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무장(T)은 내부유로의 하부(111c)에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무장(T)이 사출되기 위해서는 회전식 개폐도어(115)가 내부유로의 하부(111c)를 개방하면서 내부유로의 상부(111b)를 폐쇄하는데, 이로써 측면 발사대(110)에 장전된 무장(T)의 후미 방향으로 해수가 유입된다. 그 결과 무장(T)은 유입된 해수에 의해 무장 사출구(113)로 사출될 수 있다.
한편, 해수 유동부(111)는 내부유로(111a)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수 유동부(111)의 내부유로(111a)에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량측정부(117)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내부유로의 상, 하부(111b, 111c) 중에서 측면 발사대(110)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 즉 무장이 장전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해수 유동부(111)의 내부유로(111a)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량조절부(119)의 해수 유량 조절에 의해 해수 유동부(111)의 내부유로(111a)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속이 설정속도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때 회전식 개폐도어(115)를 개방시켜 측면 발사대(110)에 장전된 무장(T)을 사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유량조절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종래의 무장발사방식(a)과 본 발명에 따른 역발사방식(b)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무장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의 배치 형태(a)와 본 발명에 따른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의 배치 형태(b)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을 포함하는 수중운동체(10)는 함의 전진 시에는 함수에 배치된 수평발사관(20, 도 5의 (a) 참조)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무장 탑재부(30, 도 5의 (a) 참조)에 탑재된 무장(T)을 사출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이와 반대로, 함의 후진 시에는 함의 측면에 배치된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100, 도 5의 (b) 참조)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장(T)을 사출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잠수함이 이동하면서 받는 항력으로 발생하는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할 수 있다.
나아가, 잠수함이 공격 대상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잠수함이 후진 중에도 무장을 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장 발사 후 퇴각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자항발사방식 어뢰의 사용이 가능하여 무장 호환성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강제발사방식의 경우 함속보다 높은 속도로 무장을 사출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종래의 강제발사방식에서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어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함(수중운동체 또는 잠수함)
20: 수평발사관
30: 무장 탑재부
100: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110: 측면 발사대
111: 해수 유동부
111a: 내부유로
111b: 내부유로 상부
111c: 내부유로 하부
112: 해수 유입구
113: 무장 사출구
115: 회전식 개폐도어
117: 유량측정부
119: 유량조절부
130, 140: 무장 탑재부

Claims (10)

  1. 함의 이동 시 작용하는 항력에 의한 유속을 이용하여 함미 방향으로 무장을 발사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으로서,
    함의 외측에 구비되며, 함의 측면에서 무장을 장전하도록 마련된 측면 발사대;
    상기 측면 발사대의 전후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유로를 통해 해수가 유동하는 해수 유동부;
    상기 해수 유동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의 미단부를 향하여 해수를 유입시키는 해수 유입구; 및
    상기 해수 유동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을 사출시키는 무장 사출구;
    를 포함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발사대는,
    함의 좌, 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 상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는 상, 하부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를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는 회전식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발사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 하나의 공간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식 개폐도어는,
    무장의 사출 시,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에서 상기 측면 발사대가 배치된 공간을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에는 해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내부유로의 상, 하부 중에서 상기 측면 발사대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의 해수 유량 조절에 의해, 상기 해수 유동부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유속이 설정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식 개폐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측면 발사대에 장전된 무장을 사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을 포함하는 수중운동체로서,
    함의 전진 시, 함수에 배치된 수평발사관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하고,
    함의 후진 시, 상기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을 통해 함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장을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동체.
KR1020180130559A 2018-10-30 2018-10-30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KR10257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59A KR102579652B1 (ko) 2018-10-30 2018-10-30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59A KR102579652B1 (ko) 2018-10-30 2018-10-30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51A KR20200048451A (ko) 2020-05-08
KR102579652B1 true KR102579652B1 (ko) 2023-09-15

Family

ID=7067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59A KR102579652B1 (ko) 2018-10-30 2018-10-30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6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630B1 (ko) * 2014-09-11 2016-08-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KR101684763B1 (ko) * 2015-01-07 2016-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워터 램 방식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KR20160092778A (ko) * 2015-01-28 2016-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KR102465457B1 (ko) * 2015-12-31 2022-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빌지 펌프를 이용한 무장 사출 장치 및 방법
KR102434532B1 (ko) 2016-01-13 2022-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무장 탑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51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914B2 (en)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US4372239A (en) Undersea weapon with hydropulse system and periodical seawater admission
KR870000749B1 (ko) 수중 운반체용 추진장치
US5666897A (en) Submarine weapon-handling and discharge system
CN112444167A (zh) 一种水下火箭增程超空泡航行体
KR102579652B1 (ko)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KR101648630B1 (ko)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ES2942472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nzar un proyectil subacuático desde una embarcación
US5050523A (en) Pivoted vehicle launch for submarine
US4993344A (en) Torpedo defense for ships
KR102646928B1 (ko) 수중 어뢰
KR101648631B1 (ko) 수중 무장 발사 장치
KR200493241Y1 (ko) 무장의 수평발사관 해수유입부 개폐장치
US7278347B1 (en) Submarine
US498679A (en) War-boat
KR102590590B1 (ko) 어뢰 발사 시험 장치
US35193A (en) Improvement in arming war-vessels
DE3723817A1 (de) Unterseeboot
US1080492A (en) Battleship.
US1295708A (en) War vessel.
US7389717B1 (en) Missile launch system with high-volume assault capability
KR20230071598A (ko) 잠수함의 무장발사장치
KR20230092655A (ko) 수평 및 수직 자세전환 발사체계 무인잠수정
RU73065U1 (ru) Комплекс противолодоч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KR20210110114A (ko) 수중함의 무장 발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