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778A -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 Google Patents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778A
KR20160092778A KR1020150013600A KR20150013600A KR20160092778A KR 20160092778 A KR20160092778 A KR 20160092778A KR 1020150013600 A KR1020150013600 A KR 1020150013600A KR 20150013600 A KR20150013600 A KR 20150013600A KR 20160092778 A KR20160092778 A KR 2016009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water
closing
closing doo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희
이성준
김신형
우일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778A/ko
Publication of KR2016009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F41F3/10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from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선체 외부로 발사되는 무장이 대기되는 무장 발사 대기부와; 상기 선체에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 받고, 유입 받는 상기 해수를 가압 유동시켜 상기 외력을 생성하는 해수 가압부; 및 상기 무장 발사 여부에 따라, 상기 해수의 유입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 개폐부를 포함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갖는 잠수함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WEAPON FIRING SYSTEM HAVING A OPEN/CLOSE DOOR AND SUBMAR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장 발사시에만 개방하여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무장발사관은 잠수함 선수부에 위치된다. 잠수함은 무장발사방식에 따라 어뢰 및 기뢰 등을 발사한다.
무장발사방식은 크게 무장 자체의 추진력으로 발사관을 이탈하는 자항식(Swim out)과 잠수함에서 무장을 밀어주는 강제발사(Positive Discharg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강제발사방식은 무장에 힘을 공급해주는 수단 (발사장치)에 따라 Direct Air, Water Ram System, Air Turbine Pump System 등으로 나뉜다.
이중, Water Ram 발사 방식의 무장발사관의 경우, 유압 혹은 공압으로 해수 피스톤을 구동하면 이에 의한 유동에 의해 어뢰 혹은 다른 무기를 발사한다.
상기 Water Ram 발사 방식은 해수 피스톤 및 실린더가 잠수함의 자유통수구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수가 유입되는 홀을 통해 운용 중 따개비 등의 해양생물이 부착되거나 유입될 수 있다.
Water Ram 발사 방식은 순간적인 힘으로 피스톤을 당겨야 한다.
그러나,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해수 피스톤 및 실린더에 부착되면 피스톤의 움직임에 제약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원활한 무장의 발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압축수방식 충격흡수형 무장발사관(특허출원 제10-2007-0003712호)
본 발명은 무장 발사시에만 개방하여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 유로를 평상시에 폐쇄하여 해저에서의 이물질이 해수 유입 유로로 유입되거나, 이물질 고착으로 인해 해수 유입 유로가 좁아지거나, 무장 발사에 사용되는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자할 수 있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을 제공함에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선체 외부로 발사되는 무장이 대기되는 무장 발사 대기부와; 상기 선체에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 받고, 유입 받는 상기 해수를 가압 유동시켜 상기 외력을 생성하는 해수 가압부; 및 상기 무장 발사 여부에 따라, 상기 해수의 유입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 개폐부를 포함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해수 가압부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개방되는 해수 유입홀과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해수가 상기 무장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해수 유로부와, 상기 해수 유로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상기 해수를 가압하여 상기 무장이 발사되도록 가압 유동을 형성하는 가압 피스톤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 유입 개폐부는,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 시키는 개폐기와, 상기 무장 발사를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기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 도어를 사용하여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도어는, 회전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해수 유로부의 내측을 따라 개방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는, 슬라이딩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는, 조리개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해수 유입홀에는, 이물질 투입 방지를 위한 메쉬 형상의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잠수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장 발사시에만 개방하여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 유로를 평상시에 폐쇄하여 해저에서의 이물질이 해수 유입 유로로 유입되거나, 이물질 고착으로 인해 해수 유입 유로가 좁아지거나, 무장 발사에 사용되는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 유입홀에 필터를 설치하여, 무장 발사시 해수가 유입되는 동안에 해양 생물 또는 이물질이 해수 유입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갖는 잠수함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갖는 잠수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잠수함은 선체(10)와, 선체(10)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310)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 도어(310)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은 크게 무장 발사 대기부(100)와, 해수 가압부(200)와, 해수 유입 개폐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무장 발사 대기부(1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선체 외부로 발사되는 무장(110)이 대기된다.
상기 무장(110)은, 어뢰와 같은 무기일 수 있다.
상기 무장 발사 대기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고, 무장(110)이 발사되는 경우 슬라이딩 이동되는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해수 가압부(200)는 무장(10)이 발사되기 위한 외력을 형성하는 설비로, 해수를 가압하여 상기 외력을 형성한다.
상기 해수 가압부(200)는 선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가압하여 가압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의 기능을 갖는 해수 가압부(200)는 해수 유로부(210)와, 가압 피스톤 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해수 유로부(210)는 선체(10)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해수 유입홀(H)과 연결되어 상기 무장 발사 대기부(100)를 잇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해수는 상기 해수 유입홀(H)을 통해 유입된다.
도한, 상기 가압 피스톤 부(220)는 후술되는 제어기(3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피스톤(221)을 신축시키는 실린더(222)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221)은 해수 유로부(210)에서 피스톤 운동이 실시됨으로써, 해수 유입홀(H)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가압하여 상기 무장(110) 측으로 유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해수 유입 개폐부(300)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해수 유로부(210)를 개폐한다.
상기 해수 유입 개폐부(300)는 해수 유입홀(H)을 개폐하도록 상기 선체(10)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310)와, 상기 개폐 도어(310)를 개폐 시키는 개폐기(320)와, 상기 무장 발사를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기(320)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 도어(310)를 사용하여 상기 해수 유입홀(H)을 개폐하는 제어기(33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개폐 도어(310)는 해수 유입홀(H)의 일정 부분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개폐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 도어(310)는 해수 유로부(210)의 내측부를 향해 회전 개폐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해수 유입홀(H)에는 메쉬 형상의 필터(34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340)는 해양 생물 또는 이물질이 해수 유로부(2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330)는 개폐기(320)를 구동시키되, 무장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해수 가압부(22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만, 개폐 도어(310)를 개방하여 해수 유입홀(H)을 개방하는 것이 좋다.
역으로, 무장(H)을 발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 도어(310)를 사용하여 해수 유입홀(H)을 폐쇄하여, 해저에서의 생물 및 이물질이 해수 유로부에 유입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311)는 슬라이딩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수 유입홀(H) 근방에는 슬라이딩 홀(311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홀(311a)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개폐 도어(311)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 도어(311)는 유압 실린더의 신축 가능한 축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 실린더는 상기 개폐기(320)이다.
상기 유압 실린더의 축이 신축됨에 따라 개폐 도어는 해수 유입홀을 개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개폐 도어(312)는 조리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312)는 상기 조리개 타입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단위 도어(312a)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도어들(312a)이 반경 방향을 따라 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해수 유입홀(H)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도어들(312a)의 회전 구동은, 상술한 모터와 같은 개폐기(3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참조 하면, 잠수함이 작전에 나가기 전, 해수 유로부를 청수로 채우고, 개폐 도어를 사용하여 해수 유로홀을 폐쇄한다.
해저 생물인 따개비 및 이물질은 해수 유로홀이 개폐 도어로 폐쇄되기 때문에, 해수 유로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따개비의 경우 수백나노미터 크기의 포자 상태로 해수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가압 피스톤의 매우 작은 틈을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해수 유로부를 청수로 채움으로써 따개비 포자가 유입되어도 성장하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잠수함이 무장을 발사하기 전 장시간의 대기시간에 따개비가 성장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따개비 억제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무장 발사시에만 개방하여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무장 발사를 위한 해수 유입 유로를 평상시에 폐쇄하여 해저에서의 이물질이 해수 유입 유로로 유입되거나, 이물질 고착으로 인해 해수 유입 유로가 좁아지거나, 무장 발사에 사용되는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체
100: 무장 발사 대기부
110: 무장
200: 해수 가압부
210: 해수 유로부
220: 가압 피스톤부
300: 해수 유입 개폐부
310, 311, 312: 개폐도어
320: 개폐기
330: 제어기
340: 필터

Claims (9)

  1. 선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선체 외부로 발사되는 무장이 대기되는 무장 발사 대기부;
    상기 선체에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 받고, 유입 받는 상기 해수를 가압 유동시켜 상기 외력을 생성하는 해수 가압부; 및
    상기 무장 발사 여부에 따라, 상기 해수의 유입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해수 유입 개폐부를 포함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가압부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개방되는 해수 유입홀과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해수가 상기 무장 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해수 유로부와,
    상기 해수 유로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상기 해수를 가압하여 상기 무장이 발사되도록 가압 유동을 형성하는 가압 피스톤부를 구비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 개폐부는,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 시키는 개폐기와,
    상기 무장 발사를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기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 도어를 사용하여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회전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해수 유로부의 내측을 따라 개방 동작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슬라이딩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조리개 동작되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홀에는,
    이물질 투입 방지를 위한 메쉬 형상의 필터가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150013600A 2015-01-28 2015-01-28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KR2016009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00A KR20160092778A (ko) 2015-01-28 2015-01-28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00A KR20160092778A (ko) 2015-01-28 2015-01-28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78A true KR20160092778A (ko) 2016-08-05

Family

ID=5671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00A KR20160092778A (ko) 2015-01-28 2015-01-28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51A (ko) * 2018-10-30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712A (ko) 2005-07-01 2007-01-05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광이미지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712A (ko) 2005-07-01 2007-01-05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광이미지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51A (ko) * 2018-10-30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역발사방식 수평발사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운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8210A (en) Elastomeric impulse energy storage and transfer system
US7418914B2 (en)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KR20100086295A (ko) 잠수함의 무장 발사장치
KR102088241B1 (ko) 고압 압축공기를 이용한 무장발사장치
KR102465457B1 (ko) 빌지 펌프를 이용한 무장 사출 장치 및 방법
US6854409B1 (en) Rotary electromagnetic launch tube
US5438948A (en) Elastomeric launch system for submarines
US5410978A (en) Flow-through elastomeric launch system for submarines
KR101648629B1 (ko) 워터 램 방식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US5085122A (en) Firing assembly for stored energy launcher
KR101960000B1 (ko) 수중 이동체의 자동 출발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 수중 엔진
KR101951263B1 (ko) 수중 이동체의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 수중 엔진
KR20160092778A (ko) 개폐 도어를 갖는 무장 발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잠수함
KR20150081757A (ko) 어뢰 발사 테스트 장치
KR102480677B1 (ko) 수중함 무장 발사관 중간수로 개폐밸브 및 이를 이용한 무장 발사방법
KR101648630B1 (ko)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KR200493241Y1 (ko) 무장의 수평발사관 해수유입부 개폐장치
KR102590591B1 (ko) 복귀용 축압기가 구비되는 강제사출발사관 및 이를 이용한 무장 발사방법
KR101647194B1 (ko) 워터피스톤 방식 무장 발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발사 속도 제어방법
KR20160000304A (ko) 공기압축식 수중이동체 발사 구조체
KR101648631B1 (ko) 수중 무장 발사 장치
KR20150044161A (ko) 수중 이동체 발사장치의 피스톤 구조체
KR102590597B1 (ko) 워터 램 방식의 어뢰 발사 장치
KR102030193B1 (ko) 피스톤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워터 램 방식 어뢰발사장치
KR102590596B1 (ko) 워터 램 방식의 어뢰 발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