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43B1 -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43B1
KR102579643B1 KR1020210078018A KR20210078018A KR102579643B1 KR 102579643 B1 KR102579643 B1 KR 102579643B1 KR 1020210078018 A KR1020210078018 A KR 1020210078018A KR 20210078018 A KR20210078018 A KR 20210078018A KR 102579643 B1 KR102579643 B1 KR 10257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se substrate
release member
interface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8372A (en
Inventor
정라파엘
차지수
이형섭
신승수
Original Assignee
정라파엘
주식회사 브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라파엘, 주식회사 브로젠 filed Critical 정라파엘
Priority to KR102021007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4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18Auxiliary support including means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a device or wafer from the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필름을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In a film separation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from a base substrat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s weakened, and the center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A releas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and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lm.

Description

필름 분리 방법{METHOD FOR SEPARATING A FILM}{METHOD FOR SEPARATING A FIL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필름을 기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필름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ilm separ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ilm separation method capable of separating the film from the substrate.

반도체 제조 공정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 에 기판을 부착하여 대상체를 형성한다. 상기 대상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조 공정에서 용이하게 이송되거나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필름에 기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점착 필름 등이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or a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an object is formed by attaching a substrate to a carrier film. Since the object has relatively high strength,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or proces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attach the substrate to the carrier film, an adhesive film or the like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추후,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분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름 분리 공정은 레이저 또는 자외선와 같은 광조사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점착 필름을 이루는 물질에 광반응을 발생시켜 , 상기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감소시킨다. 이로써, 상기 캐피어 필름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Later, a film sepa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o separate the carrier film from the substrate. The film separation process generates a light reaction in the material forming the adhesive film through a light irradiation process such as laser or ultraviolet rays, thereby reduc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film. As a result, the cappier film can be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하지만, 상기 광조사 공정 중, 상기 점착 필름을 이루는 점착 물질이 상기 필름의 중심부에서 집중적으로 광반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의 외곽부에는 점착 물질이 반응하지 않거나, 잔류물이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조사 공정 후 상기 필름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중심부만 분리된 채 상기 필름의 외곽부는 여전히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during the light irradiation process, the adhesive material forming the adhesive film may photoreact intensively in the center of the film. Meanwhile, the adhesive material may not react or residue may remain o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Therefore, after the light irradiation process,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m is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while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remains attach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을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필름 분리 방법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film separation method that can easily separate the film from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을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킨다. 이어서, 상기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In the film separation method for separating the film from the base substr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s weakened, and the center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Next, with the central portion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a releas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and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lm.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또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이용하여 디본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bo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light including a laser or ultraviolet rays to weake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여기서,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름 및 베이스 기판을 점착시키는 점착제 중 상기 광에 미반응한 잔류물을 향하여 상기 이형 부재를 인입킬 수 있다.Here, the step of inserting the release member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may include inserting the release member toward the residue that has not reacted to the light among the adhesive that adheres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기 전, 상기 베이스 기판을 회전척 상에 지지하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척을 회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weaken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the base substrate is supported on a rotary chuck and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lm. , the rotary chuck can be ro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부 중 복수의 위치들을 진공력으로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itially separate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may be used to adsorb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central portion with vacuum force.

여기서, 상기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흡착 부재들 각각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inserting the release member into the interface, each of the adsorption members may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lm using elastic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할 때, 상기 계면부를 향하여 에어 블로잉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lease membe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air may be blown toward the inte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분리 방법에 따르면, 필름의 중심부 및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상기 필름이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s weakened, the center is first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and th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A releas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ubstrates, and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lm. As a result, the film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필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ilm separation method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be configur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provided to fully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dispos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and other elem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It could be. Alternatively, if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placed directly on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re cannot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m.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items such as various elements, compositions, regions, layers and/or parts, but the item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wo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Technical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limit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above terms, as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will be constru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deally or excessively by superficial intuition. It will not be interpre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chematic illustrations of ide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changes from the shapes of the illustrations, for example changes in manufacturing methods and/or tolerances, are fully to b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describ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but are intended to include deviations in the shapes, and the elements depicted in the drawings are entirely schematic and represent their shapes. is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exact shape of the elements nor is i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필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ilm separation method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 방법에 있어서, 먼저 필름(20)의 중심부(21) 및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접착력을 약화시킨다(S110). 상기 필름(20)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점착 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베이스 기판(10)에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in the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21 of the film 20 and the base substrate 10 is weakened (S110). The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10 using an adhesive tape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점착 테이프는 광조사시 가변적인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테이프에 레이저 또는 자외선이 조사될 경우, 상기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The adhesive tape may have variable adhesive strength when irradiated with light. For example, when the adhesive tape is irradiated with laser or ultraviolet rays,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reduced.

이때,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이루는 물질은 상기 필름(20)의 중심부(21)에서는 광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반면에,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는 상대적으로 광반응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에는 미반응 상태의 점착 테이프를 이루는 물질이 잔류물(25; 도 3 차조)로 여전히 잔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forming the adhesive tape undergoes an effective photoreaction in the center 21 of the film 20, while the photoreaction may be relatively weak in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Accordingly, the unreacted material constituting the adhesive tape may still remain as residue 25 (shape in FIG. 3) on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심부(21)를 상기 베이스 기판(20)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킨다(S130).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central portion 21 is initial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20 (S130).

이를 위하여 상기 필름(20)의 상면의 중심부를 흡착 부재를 이용하여 흡착함으로써, 상기 필름(20)의 중앙부(21)를 상기 베이스 기판(10)으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필름의 외곽부(29)는 상기 베이스 기판(10)에 여전히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ral portion 21 of the film 20 is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10 by adsorb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20 using an adsorption member. At this time,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may remain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10.

이 경우, 진공력 또는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20)의 중앙부(21)를 흡착하는 흡착 부재(13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 부재는 진공력을 발생하는 진공 노즐(미도시) 및 상기 진공력을 전달하는 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진공관을 둘러싸고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adsorption member 130 that adsorbs the central portion 21 of the film 20 using vacuum force or an adhesive sheet may be used. The adsorption member may include a vacuum nozzle (not shown) that generates vacuum force and a flow pipe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vacuum force. Furthermore, a spring surrounding the vacuum tube and having elastic forc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후,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 및 상기 베이스 기판(10)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140)를 인입시킨다(S150). 상기 계면부에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미반응 물질로 이루어진 잔류물(25)을 향하여 이형 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의 중심부가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이형 부재가 상기 계변붙에 인입하여 상기 에지부를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reafter, the release member 140 is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and the base substrate 10 (S150). A release member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face portion toward the residue 25 made of unreacted material of the adhesive tape. At this time, since the center of the film is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the release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by entering the edge portion.

상기 이형 부재(140)의 선단부는 니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형 부재(140)는 선단부로 갈수록 첨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형 부재(140)가 계변부에 보다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The tip of the release member 140 may have a needle shape. For example, the release member 140 may have a sharper shape toward the tip. Accordingly, the release member 140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metering part.

특히, 상기 필름 및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점착 시트가 개재될 경우, 상기 이형 부재는 점착 시트 및 필름 사이의 계면에 인입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n adhesive she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the release member may enter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film.

또한, 상기 이형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에 형성된 노치에 인접하는 위치에 인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lease member 140 may be inserted in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notch formed in the base substrate 10.

이어서, 상기 필름(20)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14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S170). 이로써,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가 원주 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름(20) 전체가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Next,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140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lm 20 (S170). Accordingly,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entire film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10.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10)을 지지하는 회전척(13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형 부재(140)가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를 원주 방향을 따라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 부재에는 스냅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흡착 부재가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척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필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otating chuck 130 supporting the base substrate 10 rotates so that the release member 140 separates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from the base substrate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do. In this case, the su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snap ring, so that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can rotate together as the rotary chuck rotates while the suction member separates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이와 다르게, 상기 이형 부재(140)가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를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필름(20)의 외곽부(29)를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lease member 140 may rotate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eparate the outer portion 29 of the film 20 from the base substrate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할 때, 상기 계면부를 향하여 에어 블로잉 할 수 있다.예를 들면, 상기 이형 부재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통하여 에어를 상기 계면부를 향하여 블로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형 부재가 상기 에지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lease membe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portion, air may be blown toward the interface portion. For example,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release member and air is blown through the flow path. Blowing can be done toward the interface. Accordingly, the release member can more effectively separate the edge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exists.

10: 베이스 기판 20: 필름
21 : 중앙부 29 : 외곽부
110: 회전척 120: 회전 구동부
130: 흡착 부재 140 : 이형 부재
10: base substrate 20: film
21: central part 29: outer part
110: Rotating chuck 120: Rotating driving unit
130: adsorption member 140: release member

Claims (7)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갖는 필름을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단계;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외곽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이차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단계는, 레이저 또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상기 계면부에 개재된 점착 테이프를 향하여 조사함으로써,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는 상기 점착 테이프로부터 상기 광에 미반응한 잔류물이 잔류하고,
상기 필름의 외곽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 사이의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잔류물을 향하여 상기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분리 방법.
A film separation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having a central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surrounding the central portion from a base substrate, comprising:
weaken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nitially separating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Inserting a release member into an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while the central portion is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base substrate; and
Rotating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relative to the film to secondarily separate the outer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The step of weaken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ncludes irradiating light including a laser or ultraviolet ray toward the adhesive tape interposed in the interface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and reduc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to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a residue unreacted to the light remains from the adhesive tap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ubstrate,
The step of inserting a release member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includes inserting the release member toward the resid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중심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기 전,
상기 베이스 기판을 회전척 상에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인입된 이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척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분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weaken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lm and the base substrate,
Further comprising supporting the base substrate on a rotating chuck,
A film separation method, wherein the step of rotating the introduced release member relative to the film includes rotating the rotary chu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심부 중 복수의 위치들을 진공력으로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 부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분리 방법. The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initially separating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base substrate uses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to adsorb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central portion using vacuum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흡착 부재들 각각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에 대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분리 방법. The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tep of inserting the release member into the interface portion involves lifting each of the adsorption members with respect to the film using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부에 이형 부재를 인입할 때, 상기 계면부를 향하여 에어 블로잉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분리 방법. The film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blowing air toward the interface when introducing the release member into the interface.
KR1020210078018A 2021-06-16 2021-06-16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KR102579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18A KR102579643B1 (en) 2021-06-16 2021-06-16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18A KR102579643B1 (en) 2021-06-16 2021-06-16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72A KR20220168372A (en) 2022-12-23
KR102579643B1 true KR102579643B1 (en) 2023-09-19

Family

ID=8453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18A KR102579643B1 (en) 2021-06-16 2021-06-16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64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348B1 (en) * 2019-11-26 2021-02-25 세메스 주식회사 Wafer debon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124A (en) * 2011-06-28 2013-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substrate
JP5977710B2 (en) * 2013-05-10 2016-08-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Peeling apparatus, peeling system, peel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446955B1 (en) * 2016-05-24 2022-09-23 세메스 주식회사 Wafer debon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348B1 (en) * 2019-11-26 2021-02-25 세메스 주식회사 Wafer debon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72A (en)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196B1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system
KR102654506B1 (en) Wafer debonding method and wafer debonding apparatus
JP2010018505A (en) Glass laminate, panel for display device with supporting body, panel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m
TWI585867B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nding table, a bonding apparatus and a bonding substrate
CN104115267B (en) The method for temporarily connecting product substrate and base substrate
US1041090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holding device
TWI427691B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8100755A (en) Sheet for die sorting and conveyance method of chip having adhesive layer
US8349526B2 (en) Pellicle for lithography
KR102579643B1 (en) Method for separating a film
KR102561186B1 (en) Method of attaching substrate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atr
JP2015532782A (en) Wafer etching system and wafer etching process using the same
TW200532786A (en) Wafer transcription method
US20080293187A1 (en) Substrate table and chip manufacturing method
CN210006714U (en) Wafer bearing and conveying device
US953096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for the same
KR102556329B1 (en) Vacuum chuck supporting semiconductor substrate
JP2006253352A (en) Chucking device
JP6194227B2 (en) Holding device and holding method
TW20151110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2023010660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miconductor wafer leveling rim
KR101223633B1 (en) Method for bonding and debonding between device wafer and carrier wafer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R2016007755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KR102267955B1 (en) Wafer debonding apparatus
JP2006013073A (en) Bonding apparatus, bond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