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28B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028B1
KR102579028B1 KR1020180094772A KR20180094772A KR102579028B1 KR 102579028 B1 KR102579028 B1 KR 102579028B1 KR 1020180094772 A KR1020180094772 A KR 1020180094772A KR 20180094772 A KR20180094772 A KR 20180094772A KR 102579028 B1 KR102579028 B1 KR 10257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shield
network connector
pcb
shie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842A (ko
Inventor
하랄드 판카우
다니엘 하크바쓰
게르트 드뢰즈베케
쟝 라자피아리벨로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특히 차량용의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Mbit/s 및/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하며,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핀 쌍(122)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포함하는 헤더 하우징(110)으로서,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1 핀 단부(130)는 교합 축(X)을 따라 상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2 핀 단부(140)는 PCB(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제2 핀 단부(140)가 교합 축(X)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하는 헤더 하우징, 핀 쌍(122)의 측방향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핀 쌍(122)을 차폐하는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 및 핀 쌍(122)의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 배열되며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서로로부터 차폐하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를 포함하고, 제2 핀 단부(140)는 PCB(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가압 끼워맞춤 커넥터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제2 핀 단부(140)는 제2 핀 단부(140)로부터 직교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돌기부(142)를 포함하며 압축 돌기부는 PCB의 PCB-개구부(410)에서 압입되는 동안 가압 도구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도구 개구부(310)를 포함하며, 도구 개구부(310)는 압축 돌기부(142)에 접근하기 위해 도구 축(T)을 따라 도구 개구부(310)를 통해 가압 도구(5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배열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의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는 100Mbit/s 및/또는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하는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최근에, 차량은 다수의 내장(on board) 전자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내장 전자장치는 센서, 제어 기능 등과 같은 광범위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단일 내장 전자장치 구성요소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가 차량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100Mbit/s 및/또는 1Gbit/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에서 동작하는 이더넷에 기반한다.
새로운 내장 전자장치 제공과 함께,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률이 높을수록, 특히, 단일 데이터 신호 경로로의 커넥터 및/또는 케이블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경우 누화 수준이 더 높아진다. 또한,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하면, 사용되는 커넥터의 EMC 특성(전자기 적합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100Mbit/s 네트워크 및 1Gbit/s 네트워크에 대해 서로 다른 커넥터가 제공된다. 최대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에서 증가된 누화 및 감소된 EMC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되는 차폐 수단이 패키징/피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인쇄 회로 기판(PCB)에 대한 연결은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핀을 PCB의 금속성 층에 납땜하여 이루어진다. 납땜 매개변수가 잘 제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프로세스는 까다롭다. 또한 프로세스는 우수한 전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필요로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하고 PCB에 대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조립 프로세스에서 조립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우수한 전기 연결성뿐 아니라 우수한 누화 및 EMC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PCB에 대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조립 프로세스로 조립될 수 있어 우수한 전기 연결성뿐 아니라 우수한 누화 및 EMC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최신 기술을 향상시킨다.
다음의 설명을 읽을 때 분명해지는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 제1항에 따른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 및 독립항 제15항에 따른 PCB에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출원은 특히 차량용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Mbit/s 및/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는 핀 쌍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핀을 포함하는 헤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핀 각각의 제1 핀 단부는 교합 축을 따라 상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2개의 핀 각각의 제2 핀 단부는 PCB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 핀 단부는 교합 축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한다.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핀 쌍의 측방향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핀 쌍을 차폐하고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핀 쌍의 적어도 2개의 핀 사이에 배열되며, 적어도 2개의 핀을 서로로부터 차폐한다. 제2 핀 단부는 PCB에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가압 끼워맞춤(press fit) 커넥터를 형성한다. 제2 핀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돌기부(press protrusion)를 포함하며, 압축 돌기부는 제2 핀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돌출하며 PCB의 PCB-개구부에 압입되는 동안 가압 도구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도구 개구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도구 개구부는 압축 돌기부에 접근하기 위한 도구 축을 따른 도구 개구부를 통한 가압 도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개시된 발명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핀을 가압 끼워맞춤 기술을 이용하여 PCB의 전도성 층에 연결할 기회를 제공한다. 가압 끼워맞춤 기술은 본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가압 끼워맞춤 연결의 원리는 접촉 단자가 인쇄 회로 기판(PCB) 내로 압입되는 것이다. 가압 끼워맞춤 핀의 2가지 유형이 있으며, 솔리드 핀은 솔리드 압입(press-in) 구역을 가지고 컴플라이언트 핀은 탄성 압입 구역을 갖는다. 개시된 발명은 가압 끼워맞춤 핀의 2가지 유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미리 조립되고 차폐된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는 경우, 가압 끼워맞춤 핀이 광범위한 차폐 수단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PCB에 연결하기가 어렵다. 압입 도구가 가압 끼워맞춤 핀과 결합할 수 없어서 가압 끼워맞춤 핀을 PCB의 개구부 내로 밀어넣을 수 없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가압 끼워맞춤 핀에 접근할 수 있는 차폐 수단 내의 개구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차폐 수단 내의 개구부는 차폐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신중하게 배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PCB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PCB를 제공하는 단계,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PCB 상의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조정하여 PCB의 PCB 개구부 위에 제2 핀 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도구를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에 정렬시키는 단계,
-제2 핀 단부를 도구를 사용하여 PCB 개구부 내로 가압하는 단계,
-도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핀 단부를 도구를 사용하여 PCB-개구부에 가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가 PCB를 향해 이동되거나 또는 PCB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향해 이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를 따르는 핀 쌍의 2개의 핀 사이에 차폐를 제공한다. 핀 사이의 가상 직선은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와 교차하고 도구 개구부의 위치는 이 교차점으로부터 이격되어있다. 즉, 핀들은 서로를 볼 수 없다. 도구 개구부는 핀의 시선(line of sight)으로부터 이격되어있다. 핀들이 서로 보이지 않는 한 매우 양호하게 차폐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차폐 부재는 교합 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1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 차폐 부재는 제1 차폐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배열된 제2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차폐 플레이트는 교합 축을 따라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 및 내부 차폐부에 대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부 차폐부를 갖는다.
제1 차폐 플레이트 및 제2 차폐 플레이트는 단면에서 T 형상을 형성하면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여 배열된다. 외부 차폐부는 경사진 커넥터 핀까지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경사지며 이에 의해 차폐를 계속 제공한다. 제2 차폐 플레이트 내의 제1 차폐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판금으로 제조되지만 또한 전도성 플라스틱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하고 외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여 가요성 이동을 제공한다. 내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의 공동 내에 포획(captured)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을 성형하는 동안 헤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 차폐부는 강체 돌기부와 결합할 때 유연하게 이동함으로써 강체 돌기부와 협력할 수 있다. 이는 상대 접촉부의 설계를 더 쉬워지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차폐 플레이트는 제1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외부 차폐부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는 접지 돌출부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1 차폐 플레이트 및 제2 차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차폐 플레이트에 절단부가 없는 것이 접지 접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제1 차폐 플레이트는 폐쇄된 표면을 유지하고 최상의 차폐 성능을 제공한다. 접지 돌출부는 도구를 사용하여 제1 차폐 플레이트 내로 프레스 가공할 수 있다. 접지 돌출부와 제2 차폐 플레이트 사이의 가요성 접촉부는 수명 동안 신뢰성 있는 접촉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도구 개구부는 내부 차폐부와 외부 차폐부가 연결되는 제2 차폐 플레이트의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제2 차폐 플레이트가 구부러지는 지역에서 도구 개구부를 제공하는 것은 굴곡 에지에서 재료가 적기 때문에 굽힘 프로세스를 보다 용이하게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핀 중 하나는 제1 핀 단부와 제2 핀 단부 사이에 배열된 중간 핀 부분을 포함하고, 중간 핀 부분은 직선형이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1 핀 단부에 연결되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2 핀 단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2개의 핀의 다른 핀의 제1 핀 단부와 제2 핀 단부는 90°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된다. 중간 핀 부분의 사용은 고속 데이터 전송의 2개의 신호 경로를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2개의 핀의 상이한 형상에 적응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외부 차폐부는 중간 핀 부분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경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간 핀 부분은 제1 핀 단부로부터 제2 핀 단부로의 경로를 따라 폭이 변한다. 중간 핀 부분은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2 차폐 플레이트의 외부 차폐부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는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장착되고, 제1 차폐 부재는 차폐 부재와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전도성 접촉을 위한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접촉 부재는 가압 끼워맞춤 연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접촉 부재는 접촉 핀이 압입됨과 동시에 PCB 내로 압입될 수 있다. 이는 한 단계로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PCB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제2 핀 단부의 일부는 PCB의 PCB-개구부 내에 수용된다. PCB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제2 핀 단부의 일부는 PCB-개구부 내부에 배열된 전도성 슬리브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PCB로부터 절연되고 제1 차폐 부재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PCB에 대한 전기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폐부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 지점이 요구되는 PCB 상의 공간을 절약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는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를 포함하며,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는 핀 쌍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에 대향하게 배열되며, 그로 인해 다른 측면에서 핀 쌍을 차폐한다. 추가적인 차폐 부재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사용하면서 데이터 전송의 강건함을 향상시킨다. 핀 쌍은 다른 핀 쌍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많은 양의 차폐 부재로 둘러싸여 있다.
유리하게, 제3 차폐 플레이트는 제3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외부 차폐부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외부 차폐부는 접지 돌출부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3 차폐 플레이트 및 제2 차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차폐 플레이트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접지 돌출부는 도구를 사용하여 제3 차폐 플레이트 내로 프레스 가공할 수 있다. 이 설계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완벽한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차폐 부재와 PCB 사이에 단지 하나의 접지 지점을 필요로한다.
또한 제1 차폐 플레이트가 외부 차폐부를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외부 차폐부와 결합하는 접지 돌출부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5항을 따른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수평 차폐부와 수직 차폐부 사이에서 향상된 차폐 연속성이 제조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수직 차폐부가 생성하기 쉬운 돌출부 또는 엠보싱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 차폐부와 제1 차폐 플레이트 사이에 복잡한 스탬핑 도구 또는 부착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외부 차폐부가 구부러짐에 따라, 외부 차폐부의 사전-스프링 힘은 접지 돌출부에 맞닿아 제조가 용이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차폐 연속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있다.
또한 청구항 제15항을 따른 본 발명이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모든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특히 차량용의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로서,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Mbit/s 및/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는 헤더 하우징 및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차폐 부재는 커넥터 조립체의 교합 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1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2 차폐 부재는 제1 차폐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배열된 제2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2 차폐 플레이트는 교합 축을 따라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 및 내부 차폐부에 대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부 차폐부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한다. 외부 차폐부는 헤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여 가요성 이동을 제공한다. 제1 차폐 플레이트는 제1 차폐 플레이트로부터 외부 차폐부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외부 차폐부는 접지 돌출부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1 차폐 플레이트 및 제2 차폐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 절단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 절단부의 사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중간 핀 부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중간 핀 부분,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 및 PCB의 상세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가압 도구를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핀 쌍(122)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포함하는, 헤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1 핀 단부(130)는 교합 축(X)을 따라 카운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2 핀 단부(140)는 PCB(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 핀 단부(140)는 교합 축(X) 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한다. 제2 핀 단부(140)는, 제2 핀 단부(140)로부터 직교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 돌기부(142)를 포함하며, PCB의 PCB-개구부(410)에서 압입되는 동안, 가압 도구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는, 핀 쌍(122)의 측방향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핀 쌍(122)을 차폐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핀 쌍(122)의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 배열되며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서로로부터 차폐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PCB로부터 절연되고 제1 차폐 부재(2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도구 개구부(310)를 포함한다. 도구 개구부(310)는 압축 돌기부(142)에 접근하기 위해 도구 축 T를 따라 도구 개구부(310)를 통해 가압 도구(500)(도 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제2 핀 단부(140)는 PCB 400에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가압 끼워맞춤 커넥터를 형성한다.
도 2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를 따르는 핀 쌍(230)의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 차폐를 제공한다.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서 차폐 재료의 연속선을 제공한다. 도구 개구부(310)는 연속선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차폐 부재(200)는 교합 축(X)에 평행하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1 차폐 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제2 차폐 부재(300)는 제1 차폐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배열된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포함하며, 제2 차폐 플레이트(310)는 교합 축(X)을 따라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312) 및 내부 차폐부(312)에 대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부 차폐부(314)를 갖는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이 아닌 비용상의 이유이지만, 제2 차폐 부재(300)는 또한 도구 축(T)을 따르는 제3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부 차폐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차폐 부재(300)는 PCB 400의 PCB-개구부와의 연결을 위한 그 자신의 단부를 가질 수있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312)는 헤더 하우징(1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헤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하여 가요성 이동을 제공한다.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중 하나는 제1 핀 단부(130)와 제2 핀 단부(140) 사이에 배열된 중간 핀 부분(124)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중간 핀 부분(124)은 직선형이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여 제1 핀 단부(130)에 연결되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여 제2 핀 단부(140)에 연결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이 아닌 제조성을 위해서지만, 단부 130 및 단부 140은 또한 단일 반경(원의 1/4)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의 다른 핀의 제1 핀 단부(130) 및 제2 핀 단부(140)는 90°의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된다. 평평한 외부 차폐부(314)는 중간 핀 부분(124)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경사진다.
도 3은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중간 핀 부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차폐 플레이트(210)는 제1 차폐 플레이트(210)로부터 외부 차폐부(314)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접지 돌출부(220)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1 차폐 플레이트(210) 및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구 개구부(310)는 내부 차폐부(312)와 외부 차폐부(314)가 연결되는 제2 차폐 플레이트(310)의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중간 핀 부분(124)은 도구(500)가 압축 돌기부(142)에 접근할 수 있게 제1 핀 단부(130)로부터 제2 핀 단부(140)로의 경로(way)를 따라 폭이 변한다.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인쇄 회로 기판 PCB(400)에 장착된다. 제1 차폐 부재(200)는 차폐 부재(200)와 인쇄 회로 기판(400)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420)의 전기 전도성 접촉을 위해 접촉 부재(23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차폐 부재(200)는 접촉 부재(230)를 PCB의 개구부 내로 압입하기 위한 접지 압축 돌기부(240)를 포함한다. 제2 핀 단부(140)의 일부는 PCB의 PCB-개구부(410) 내에 수용된다.
도 4는 나란히 6개의 핀 쌍(122)을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른 핀(핀 120b)이 외부 차폐부(314)에 의해 덮여있기 때문에 핀(핀 120a)의 단지 하나의 행만이 보인다. 2개의 핀 쌍(120a, 120b) 사이에서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가 배열된다. 행의 단부 상에서,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60)는 핀 쌍(122)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에 대향하게 배열되며, 그로 인해 다른 측면에서 핀 쌍(122)을 차폐한다. 제3 차폐 플레이트(260)는 제3 차폐 플레이트(260)로부터 외부 차폐부(314)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262)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접지 돌출부(262)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3 차폐 플레이트(260) 및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5는 가압 도구(500)를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가압 도구(500)는 PCB를 향한 운동(motion)의 끝에 있다. 제2 단부(140)의 일부는 PCB-개구부(410)를 통해 돌출한다. PCB-개구부(410) 내부의 접촉 수단(미도시)은 PCB(400)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와 제2 단부(140)를 접촉시킨다.

Claims (16)

  1.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이며, 네트워크는 적어도 100Mbit/s 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하며,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핀 쌍(122)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포함하는 헤더 하우징(110)으로서,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1 핀 단부(130)는 교합 축(X)을 따라 상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각각의 제2 핀 단부(140)는 PCB(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제2 핀 단부(140)가 교합 축(X)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하는 헤더 하우징; 핀 쌍(122)의 측방향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서 핀 쌍(122)을 차폐하는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 및 핀 쌍(122)의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 배열되며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을 서로로부터 차폐하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를 포함하고, 제2 핀 단부(140)는 PCB(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가압 끼워맞춤 커넥터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제2 핀 단부(140)는 제2 핀 단부(140)로부터 직교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부(142)를 포함하며 가압 돌기부는 PCB의 PCB-개구부(410)에서 압입되는 동안 가압 도구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도구 개구부(310)를 포함하며, 도구 개구부(310)는 압축 돌기부(142)에 접근하기 위해 도구 축(T)을 따라 도구 개구부(310)를 통해 가압 도구(5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배열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를 따르는 핀 쌍(230)의 2개의 핀(120a, 120b) 사이에서 차폐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차폐 부재(200)는 교합 축(X)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1 차폐 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제2 차폐 부재(300)는 제1 차폐 플레이트에 대해 직교하여 배열된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포함하며, 제2 차폐 플레이트가 교합 축(X)을 따라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312) 및 내부 차폐부(312)에 대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부 차폐부(314)를 갖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4. 제3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부 차폐부(312)는 헤더 하우징(1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하고 외부 차폐부(314)는 헤더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하여 가요성 이동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5. 제3항에 있어서, 제1 차폐 플레이트(210)는 제1 차폐 플레이트(210)로부터 외부 차폐부(314)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접지 돌출부(220)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1 차폐 플레이트(210) 및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6. 제3항에 있어서, 도구 개구부(310)는 내부 차폐부(312) 및 외부 차폐부(314)가 연결되는 제2 차폐 플레이트(310)의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중 하나는 제1 핀 단부(130)와 제2 핀 단부(140) 사이에 배열된 중간 핀 부분(124)을 포함하고, 중간 핀 부분(124)은 형상이 직선형이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1 핀 단부에 연결되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2 핀 단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의 다른 핀의 제1 핀 단부(130)와 제2 핀 단부(140)는 90°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8.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 중 하나는 제1 핀 단부(130)와 제2 핀 단부(140) 사이에 배열된 중간 핀 부분(124)을 포함하고, 중간 핀 부분(124)은 형상이 직선형이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1 핀 단부에 연결되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제2 핀 단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2개의 핀(120a, 120b)의 다른 핀의 제1 핀 단부(130)와 제2 핀 단부(140)는 90°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되고,
    평평한 외부 차폐부(314)는 중간 핀 부분(124)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경사진,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9. 제7항에 있어서, 중간 핀 부분(124)은 제1 핀 단부(130)로부터 제2 핀 단부(140)로의 경로를 따라 폭이 변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인쇄 회로 기판(PCB)(400) 상에 장착되고, 제1 차폐 부재(200)는 차폐 부재(200)와 인쇄 회로 기판(400)의 전기 전도성 접촉을 위해 접촉 부재(23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핀 단부(140)의 일부는 PCB의 PCB-개구부(410) 내에 수용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는 PCB로부터 절연되고 제1 차폐 부재(20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60)를 포함하고,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60)는 핀 쌍(122)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에 대향하게 배열되며, 그로 인해 다른 측면에서 핀 쌍(122)을 차폐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60)를 포함하고, 제3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60)는 핀 쌍(122)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에 대향하게 배열되며, 그로 인해 다른 측면에서 핀 쌍(122)을 차폐하고,
    제3 차폐 플레이트(260)는 제3 차폐 플레이트(260)로부터 외부 차폐부(314)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262)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접지 돌출부(260)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3 차폐 플레이트(260) 및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5.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이며, 네트워크는 적어도 100Mbit/s 또는 적어도 1Gbit/s의 데이터 전송률로 통신하며,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는 헤더 하우징(110) 및 제2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300)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기 전도성 차폐 부재(200)를 포함하며, 제1 차폐 부재(200)는 커넥터 조립체의 교합 축(X)에 평행하게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1 차폐 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제2 차폐 부재(300)는 제1 차폐 플레이트에 직교하여 배열된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포함하고, 제1 차폐 플레이트가 교합 축(X)을 따라 배열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내부 차폐부(312) 및 내부 차폐부(312)에 대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부 차폐부(314)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부 차폐부(312)는 헤더 하우징(1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헤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하여 가요성 이동을 제공하는, 제1 차폐 플레이트(210)는 제1 차폐 플레이트(210)로부터 외부 차폐부(314)를 향해 돌출하는 접지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외부 차폐부(314)는 접지 돌출부(220)에 접촉하여 측면에 배열되며 제1 차폐 플레이트(210) 및 제2 차폐 플레이트(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
  16.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를 PCB(400)에 조립하는 방법이며, 방법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
    -PCB(400)를 제공하는 단계,
    -도구(500)를 제공하는 단계,
    -PCB(400) 상의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를 조정하여 PCB의 PCB-개구부(410) 위에 제2 핀 단부(140)를 위치시키는 단계,
    -도구를 네트워크 커넥터 조립체(100)에 정렬시키는 단계,
    -제2 핀 단부(140)를 도구(500)를 사용하여 PCB 개구부(410) 내로 가압하는 단계,
    -도구(50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94772A 2017-08-18 2018-08-14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579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6930.8 2017-08-18
EP17186930.8A EP3444904B1 (en) 2017-08-18 2017-08-18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842A KR20190019842A (ko) 2019-02-27
KR102579028B1 true KR102579028B1 (ko) 2023-09-18

Family

ID=5965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72A KR102579028B1 (ko) 2017-08-18 2018-08-14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0979B2 (ko)
EP (1) EP3444904B1 (ko)
KR (1) KR102579028B1 (ko)
CN (1) CN1094119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6484B (zh) * 2020-09-10 2022-02-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连接器组合
KR102588446B1 (ko) * 2022-09-20 2023-10-1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배터리 이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4482A1 (de) 2014-02-24 2015-08-27 Robert Bosch Gmbh Steckeranschlusselement, verbindungsanordnung mit mehreren steckeranschlusselementen in einem elektrischen gerät und einpresswerkzeug zur ausbildung einer verbind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8135A1 (de) * 1983-05-18 1984-11-22 Erni Elektroapparate Gmbh, 7321 Adelberg Loetfreie elektrische verbindung
US4871321A (en) * 1988-03-22 1989-10-03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846727A (en) * 1988-04-11 1989-07-11 Amp Incorporated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DE3925958C1 (en) * 1989-08-05 1991-02-07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De Plug connector insertable in metallised bores of PCB - has parallel rows of contact element at right angles to insertion direction of counter-plug for other appts.
DE69427235T2 (de) * 1993-11-15 2001-09-27 Berg Electronics Mfg Rechtwinkliger elektrischer verbinder und einsetzwerkzeug
US6146202A (en) * 1998-08-12 2000-11-14 Robinson Nugent, Inc. Connector apparatus
SG95610A1 (en) * 1999-11-30 2003-04-23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figuration
JP3491064B2 (ja) * 2000-10-20 2004-01-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NL1018176C2 (nl) 2001-05-30 2002-12-03 Fci Mechelen N V Rechthoekige connector.
US20030166349A1 (en) * 2002-03-01 2003-09-04 Huss John P. Pin installation guidance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4331570B2 (ja) * 2003-10-29 2009-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CN2770142Y (zh) * 2004-12-25 2006-04-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背板连接器
CN2809949Y (zh) * 2005-06-10 2006-08-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背板连接器
US7806729B2 (en) * 2008-02-12 2010-10-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speed backplane connector
CN102593661B (zh) * 2011-01-14 2014-07-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951066B2 (en) * 2011-07-22 2015-02-1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O2015080997A1 (en) * 2013-11-27 2015-06-04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guide member
US9431751B2 (en) * 2014-03-25 2016-08-30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Connector having a pin guide for use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EP3149810A4 (en) * 2014-05-30 2018-03-2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holder
US9692183B2 (en) * 2015-01-2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 b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4482A1 (de) 2014-02-24 2015-08-27 Robert Bosch Gmbh Steckeranschlusselement, verbindungsanordnung mit mehreren steckeranschlusselementen in einem elektrischen gerät und einpresswerkzeug zur ausbildung einer verbind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4904B1 (en) 2021-04-14
CN109411914B (zh) 2020-09-18
US20190058290A1 (en) 2019-02-21
US10290979B2 (en) 2019-05-14
KR20190019842A (ko) 2019-02-27
EP3444904A1 (en) 2019-02-20
CN109411914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334B (zh) 提供接触支持和阻抗匹配特性的包覆模制引线框架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763210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17003350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US7736154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827725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board assembly
CN111628353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US20180102611A1 (en) Plug Connector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CN102570116B (zh) 用于电连接器的接口触头
CN105098516A (zh) 夹层插座连接器
JP5640912B2 (ja) 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プリント回路板用コネクタ
KR102579028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12753136B (zh) 插头连接器
US1032012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terminals having opposite sides located from connector internal sidewalls
JP735312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787081B2 (ja) コネクタ装置
US11799249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outer conductor connected to circuit board
US2007008759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CN217215360U (zh) 卡边缘连接器
JP7231099B1 (ja) 可動コネクタ、可動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2242637B (zh) 模块化插头及电缆线束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7546374A (zh) 基板用连接器及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