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515B1 -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515B1
KR102578515B1 KR1020210110089A KR20210110089A KR102578515B1 KR 102578515 B1 KR102578515 B1 KR 102578515B1 KR 1020210110089 A KR1020210110089 A KR 1020210110089A KR 20210110089 A KR20210110089 A KR 20210110089A KR 102578515 B1 KR102578515 B1 KR 10257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amount
acces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844A (ko
Inventor
박종진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1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visu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출입 관리를 실시할 수 있고, 출입 관리에 따른 인원 현황을 기반으로 당일의 급식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다기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은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용도로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 영상 정보와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여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등록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를 제어 장치로 제공하며, 기설정된 기간 중의 출입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출입량과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Access management and food quantity prediction system using facial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출입 관리를 실시하고 이와 연계하여 급식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출입 관리를 실시할 수 있고, 출입 관리에 따른 인원 현황을 기반으로 당일의 급식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다기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식의 사전적 의미는 식사를 공급하거나 제공하는 행위이나 실생활에서는 학교나 회사에서 제공하는 단체 식사를 의미하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학교와 상당수의 회사에서는 단체 급식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과 직장인들에 대한 균형잡힌 영양소의 제공과 식습관의 개선 그리고 식사 준비와 비용의 부담 완화 등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단체 급식에서는 매일 평균적으로 소비되는 식사량을 기준으로 하여 충분하거나 적정한 양의 음식을 준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음식의 종류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도 차이에 따라 소비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준비한 음식량의 과잉 또는 부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정확한 수요 예측이 필요하나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인한 음식량의 과잉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잔반량의 증가에 따른 음식의 낭비와 처리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더 나아가 다음의 수요 예측에 잘못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331호의 “급식 시스템 장치”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7275호의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331호의 “급식 시스템 장치”에는 영양사가 제공하는 통합 식단에 포함된 음식에 대한 각 개인의 선호도와 영양의 균형을 모두 고려하여 음식의 배급량을 사전에 개별 결정함으로써 잔반의 감소 등 다양한 형태로 식비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7275호의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는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스캐닝한 식사 전후의 식판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식사량과 식습관 등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식사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잔반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사용자 개개인의 식습관을 기반으로 하여 전체의 급식량을 조절함으로써 식사의 질은 유지하거나 개선될 수 있도록 하되 잔반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급식의 제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발명의 실시를 위한 각종 장치의 설치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각종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일정한 행위를 매번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비협조가 발생하여 예측과 실제의 결과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여 잔반량의 최소화 같은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거나 더 개선하되, 발명의 실시를 위한 비용의 발생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선된 방식의 새로운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331호(2016. 09. 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7275호(2019. 09. 25.)
본 발명에 의한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단체 급식에서는 음식의 종류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도 차이에 따라 소비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준비한 음식량의 과잉 또는 부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정확한 수요 예측을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종래의 발명들은 발명의 실시를 위한 각종 장치의 설치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각종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일정한 행위를 매번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비협조가 발생하여 예측과 실제의 결과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권한의 확인과 체온 측정을 위한 용도로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 상기 영상 정보와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여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등록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제공하며, 기설정된 기간 중의 출입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출입량과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식성과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 또는 영양사에 의해 생성된 설문조사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설문조사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작성된 설문조사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식성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현재의 날씨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다음 날의 날씨 정보와 식재료값을 이용하여 날씨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음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다음 날의 식단 정보를 기설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생성된 식단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은,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관리의 목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 및 운용되는 촬영 장치와 제어 장치를 단체 급식에서의 수요 예측에 이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발명의 실시를 위한 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출입량과 개개인의 식습관을 단체 급식에서의 수요 예측에 이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측된 수요와 실제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서의 등록 절차를 위한 사용자 스마트폰의 화면 구성을 순서대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관리 서버의 추가 구성도.
도 5는 관리 서버에 의한 급식량 예측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관리 서버에 의한 급식량 예측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관리 서버에 의한 식단 정보 생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출입 관리를 실시하고 이와 연계하여 급식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권한의 확인과 체온 측정을 위한 용도로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100); 상기 영상 정보와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여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0); 및,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등록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200)로 제공하며, 기설정된 기간 중의 출입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출입량과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한 출입 관리와 급식량 예측을 위해서는 출입 관리가 필요한 건물 등의 입구 측에 상기 촬영 장치(100)와 상기 제어 장치(200)가 설치되어야 하고, 서버실 등 관계자 외 출입이 제한되는 장소에 상기 관리 서버(300)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관리의 목적으로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 및 운용되는 촬영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를 출입 관리와 급식량 예측에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추가로 관리 서버(300)를 구비함으로써 출입 관리와 급식량 예측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 장치(100)는 건물 등의 입구 측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공지의 검사 또는 확인용의 기기이다.
따라서, 상기 촬영 장치(100)는 안면 인식에 필요한 영상을 촬영하는 일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온 측정에 필요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안면 인식과 체온 측정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안면 인식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장치(100)는 상기한 종류의 카메라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정보는 안면 인식을 위한 용도로 즉시 이용되고, 이후로는 출입 관리를 통한 단체 급식에서의 수요 예측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장치(100)는 통행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홍채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홍채 인식 카메라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홍채 인식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와 동일하게 출입 관리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200)는 건물의 입구 측에 설치된 상태로 출입용 게이트를 제어하는 개폐용 기기로써, 상기 출입용 게이트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생성되는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결과에 따라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200)는 상기 촬영 장치(100)를 이용한 체온 측정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에 있어 통행자의 체온을 더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200)는 통행자의 출입 권한이 확인되고, 통행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 내로 측정되는 두 가지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만 출입용 게이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이 만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출입용 게이트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 알람음 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 장치(100) 또는 상기 출입용 게이트의 일측에는 통행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센서 또는 통행자의 출입용 RF 카드를 인식하는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지문 인식에 의해 생성되는 지문 인식 정보와 리더기의 인식에 의한 출입 권한의 확인 여부는 상기 영상 정보와 동일하게 출입 관리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200)는 상기 홍채 인식 정보, 상기 지문 인식 정보 그리고 리더기의 인식에 의한 출입 권한의 확인 여부에 따라 출입용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출입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이며, 관리자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등록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200)로 제공함으로써 출입 권한의 확인에 의한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300)에는 상기 촬영 장치(100)와 상기 제어 장치(200)가 설치된 건물에의 상시 출입이 필요한 사용자인 내부자들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 정보가 입력되어야 하며, 개인 정보가 입력된 내부자들은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등록용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에 따라 자신의 얼굴에 대한 등록 절차를 실시함으로써 출입 권한이 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에는 상기 촬영 장치(100)와 상기 제어 장치(200)가 설치된 건물에의 임시 출입이 필요한 사용자인 방문자들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개인 정보가 입력된 방문자들은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등록용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에 따라 자신의 얼굴에 대한 등록 절차를 실시함으로써 유효기간이 지정된 임시의 출입 권한이 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성상 방문자들에 대한 임시의 출입 권한의 발급이 반드시 현장에서만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유효기간이 지정된 임시 출입 권한의 발급을 위한 등록 절차가 사전에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임시의 출입 권한을 미리 발급받고자 하는 사용자인 예비 방문자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관리자에게 자신의 개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등록용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에 따라 자신의 얼굴에 대한 등록 절차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용 웹페이지의 링크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에 신규로 업로드되는 사용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출입 권한을 포함한 등록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화번호를 포함한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310) 및, 저장된 개인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등록용 웹페이지의 링크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출입 권한을 포함한 등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사진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부를 식별하여 저장하는 식별부(330) 및,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생성된 등록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3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내부자의 인사기록이나 내부자 또는 방문자가 직접 작성하여 제출 또는 전송하는 양식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이며, 반드시 허위가 아닌 것임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인 내부자 또는 방문자는 그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통해 등록용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에 따라 본인인증 후 자신의 얼굴 사진을 업로드하는 등록 절차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인증의 방식의 아이핀 입력, 휴대전화 인증 등 공지의 인증 방식을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를 통해 업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스마트폰의 촬영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현재의 사진으로만 제한함으로써 사진의 보정, 도용 등의 문제로 인한 사후의 문제가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를 통한 얼굴 사진의 업로드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되거나 온라인에 업로드된 상태인 사진을 이용한 업로드가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업로드한 얼굴 사진이 얼굴을 정면에서 명확하게 촬영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자동 검증이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인 내부자가 등록을 위해 업로드한 얼굴 사진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미 출입 권한이 부여된 상태인 다른 내부자들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얼굴 사진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내부자들의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생성부(320)는 일정 비율 이상의 내부자들에 의한 상기 얼굴 사진의 확인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출입 권한을 포함한 등록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불법이나 도용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에는 상기 촬영 장치(100)와 상기 제어 장치(200)가 설치된 건물에의 상시 출입이 필요한 사용자인 내부자들의 홍채 정보와 지문 정보 그리고 발급되어 제공된 출입용 RF 카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중 상기 홍채 정보와 상기 지문 정보 또한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를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뿐만 아니라 홍채 정보와 지문 정보의 등록을 위한 절차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절차는 홍채 인식 기능 또는 지문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에 연계하여 급식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안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를 실시하여 실시간의 출입량을 계산하는 출입량 계산부(350)와 이전의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의 식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실시간의 출입량을 반영하여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인공지능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입량 계산부(350)에 의한 출입량의 계산에 의해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출입량의 계산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인공지능부(360)에 의한 급식량의 예측에 의해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인한 음식량의 과잉 또는 부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때,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대부분은 내부자로 구성되나, 방문자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구내식당을 이용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임시의 출입 권한을 미리 발급받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예비 방문자가 등록용 메시지를 이용한 등록 절차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방문 중 구내식당의 이용의사를 미리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용 메시지를 이용한 등록 절차를 실시중인 방문자 또는 예비 방문자에게는 식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는 가격이나 구내식당의 이용을 위한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 등이 식단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량 계산부(350)에 의해 실시간의 출입량이 계산되는 기간은 사용자 중 내부자들의 출근 시간과 음식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오전 06시부터 오전 10시까지 등으로 초기설정될 수 있으나, 예측과 실제의 결과의 차이인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임의 또는 자동으로 기간이 연장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지능부(360)는 기입력되거나 신규로 생성한 당일의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 각각에 대하여 서로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예측과 실제의 결과의 차이인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 각각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그 식단 정보를 직접 구성하여 입력하는 영양사가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고, 사전의 설문조사나 연구의 결과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즉,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성별, 연령 등의 특성에 따라 전체의 평균적인 식성과 식사량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당일의 급식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전체 사용자들의 평균적인 식성과 식사량 등에 대한 반영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에는 다양한 음식 각각의 가중치 정보와 음식 각각의 1인분 정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지능부(360)는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가중치 정보와 정량 정보를 기반으로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 각각에 대한 서로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음식 각각의 1인분의 정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정량에 현재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반영함으로써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식성과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 또는 영양사에 의해 생성된 설문조사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설문조사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작성된 설문조사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성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에는 사용자의 식성과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문조사지의 양식이 저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관리자 또는 영양사는 그 설문조사지에 포함될 음식의 종류를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하나 이상 선정할 수 있으며, 생성된 설문조사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설문조사지를 작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인공지능부(360)는 작성된 설문조사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성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급식량 예측에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현재의 날씨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온도와 습도, 강우량 등의 날씨는 사람의 식욕, 식사량 그리고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인공지능부(360)에 의한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있어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현재의 날씨 정보를 반영하여 기입력된 당일의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 각각에 대하여 서로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연결을 통한 날씨 정보 수집의 용도로 이용되는 사이트로는 공식의 기상청 홈페이지가 가장 바람직하며, 이를 대신하여 기상청의 오픈 API인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현재의 날씨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수집하기 위한 목적의 수집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부(370)는 지정된 시간 또는 일정한 주기마다 공식의 기상청 홈페이지 또는 기상청의 오픈 API인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로부터 온도와 습도, 강우량 등의 필요한 날씨 정보를 선별하여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각각의 날씨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기상청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기상예보를 갱신하여 공식의 기상청 홈페이지 공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공지능부(360)가 날씨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또는 주기는 이와 동일하게 1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다음 날의 날씨 정보와 식재료값을 이용하여 날씨에 따라 선호도가 최상위인 음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다음 날의 식단 정보를 기설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온도와 습도, 강우량 등의 날씨는 사람의 식욕, 식사량 그리고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인공지능부(360)에 의한 식단 정보의 자동 생성에 있어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다음 날의 날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인공지능부(360)에 의한 식단 정보의 자동 생성에 있어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식재료값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여 날씨에 따라 선호도가 최상위인 음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다음 날의 식단 정보를 기설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370)는 다음날의 날씨 정보와 현재의 식재료값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이전의 식단 정보와 분석에 의한 식성 정보, 날씨 정보 그리고 식재료값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다음 날의 식단 정보를 기설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공지능부(360)에 의해 생성된 식단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식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구내식당의 입구측에 부착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식권을 구매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촬영 장치
200 : 제어 장치
300 : 관리 서버
→ 310 : 데이터 베이스
→ 320 : 생성부
→ 330 : 식별부
→ 340 : 전송부
→ 350 : 출입량 계산부
→ 360 : 인공지능부
→ 370 : 수집부

Claims (6)

  1. 안면 인식을 통한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용도로 통행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100);
    상기 영상 정보와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여 출입용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00); 및,
    출입 권한의 확인을 위한 등록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200)로 제공하며, 기설정된 기간 중의 출입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출입량과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용 웹페이지의 링크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에 신규로 업로드되는 사용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출입 권한을 포함한 등록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록용 웹페이지를 통해 업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의 사진을 스마트폰의 촬영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현재의 사진으로만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인 내부자가 등록을 위해 업로드한 사진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이미 출입 권한이 부여된 상태인 다른 내부자들의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의 사진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내부자들의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현재의 날씨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다음 날의 날씨 정보와 식재료값을 이용하여, 날씨에 따라 선호도가 최상위인 음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다음 날의 식단 정보를 기설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생성된 식단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식사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구내식당의 입구측에 부착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식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안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를 실시하여 실시간의 출입량을 계산하는 출입량 계산부(350)와, 이전의 식단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의 식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실시간의 출입량을 반영하여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하는 인공지능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음식 각각의 가중치 정보와 음식 각각의 1인분 정량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공지능부(36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가중치 정보와 정량 정보를 기반으로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 각각에 대한 서로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음식 각각의 1인분의 정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정량에 현재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반영함으로써 당일의 급식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100)는,
    통행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홍채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홍채 인식 카메라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촬영 장치(100) 또는 상기 출입용 게이트의 일측에는,
    통행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센서 또는 통행자의 출입용 RF 카드를 인식하는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200)는,
    상기 홍채 인식 정보, 상기 지문 인식 정보 그리고 상기 리더기의 인식에 의한 출입 권한의 확인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용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식성과 식사량을 포함하는 식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 또는 영양사에 의해 생성된 설문조사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설문조사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작성된 설문조사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식성 정보를 당일의 급식량 예측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10089A 2021-08-20 2021-08-20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KR102578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89A KR102578515B1 (ko) 2021-08-20 2021-08-20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89A KR102578515B1 (ko) 2021-08-20 2021-08-20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44A KR20230027844A (ko) 2023-02-28
KR102578515B1 true KR102578515B1 (ko) 2023-09-15

Family

ID=8532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89A KR102578515B1 (ko) 2021-08-20 2021-08-20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05B1 (ko) * 2008-07-07 2009-04-21 주식회사 미래인식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27611B1 (ko) * 2020-09-17 2021-03-15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등록이 간편한 얼굴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31B1 (ko) 2015-04-10 2016-09-09 성진계장 주식회사 급식 시스템 장치
KR20170127750A (ko) *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나우드림 기상 정보를 고려한 급식 인원수의 판단 방법
KR102027275B1 (ko) 2017-11-14 2019-10-01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00101533A (ko) * 2019-02-01 2020-08-28 주식회사 비케이정보시스템 선택식 식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05B1 (ko) * 2008-07-07 2009-04-21 주식회사 미래인식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27611B1 (ko) * 2020-09-17 2021-03-15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등록이 간편한 얼굴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44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0576B2 (en) Method of managing visiting guests by face recognition
AU2007219702B2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access control
KR100802510B1 (ko)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EP2709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tel reservation and for automated check-in
CN110766570A (zh) 一种智慧酒店服务方法及系统、智慧酒店电视机
KR102311077B1 (ko) 이용권 기반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117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ance based video advertisement reward system with instant dynamic price generation for digital media propagation
KR20070080423A (ko)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578515B1 (ko) 안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급식량 예측 시스템
KR20080089541A (ko) 저작물의 온라인 게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9544B1 (ko) 무인 스터디 카페 고객 지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82324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CONFIRMATION
CN112884332A (zh) 一种基于集成电路感知技术的智慧终端管理系统
KR101977600B1 (ko)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JP6351807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769360B1 (en) Interactive touchless information exchange system
CN11668122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民政管理方法和系统
KR100777557B1 (ko) Rfid를 이용한 옥외 광고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1533A (ko) 선택식 식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7242741B2 (ja) 鉄道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KR20190075220A (ko) Gps를 이용한 독서실 좌석정보 제공시스템
JP7310124B2 (ja) 管理装置、発行システム、発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47968B2 (ja) 接客管理装置、接客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64232B1 (ja) 設備の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99639B1 (ko) 접촉성 암호화 칩셋을 포함한 전자 티켓을 활용한 출입 통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